KR0148506B1 - 차량용 파워 래치 기구의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파워 래치 기구의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8506B1 KR0148506B1 KR1019940037181A KR19940037181A KR0148506B1 KR 0148506 B1 KR0148506 B1 KR 0148506B1 KR 1019940037181 A KR1019940037181 A KR 1019940037181A KR 19940037181 A KR19940037181 A KR 19940037181A KR 0148506 B1 KR0148506 B1 KR 01485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latch
- power supply
- motor
- receiv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차체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파워 래치 기구용의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차체에 설치된 배터리에 접속된 급전 유닛과, 상기 도어에 설치된 해당 도어를 소정 위치까지 잠그면 상기 급전 유닛에 접속되는 수전 유닛과, 급전 유닛과 수전 유닛이 접촉하면 완성되어, 접촉 검지용의 전류가 흐르는 전기 루프와, 상기 수전 유닛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파워 래치 기구의 래치를 풀 래치 위치로 회전시켜 얻는 모터를 갖는다. 상기 수전 유닛은 상기 모터에 의한 잠금이 종료하면 상기 전기 루프에 걸리는 전압을 변화시키는 전압 변경 수단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급전 유닛은 상기 전기 루프가 완성되면 상기 수전 유닛에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주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전기 루프의 전압이 변화하면 상기 수전 유닛으로의 주전력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를 장비한 차체의 개념도.
제2도는 파워 래치 기구의 종단측면도.
제3도는 급전 수전 유닛의 블록 회로도.
제4도는 모터의 회로중에 발생하는 맥동 전류를 검출하는 회로도.
제5도는 래치와 래치 센서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
제6도는 동작 타임 차트도.
제7도는 플로 차트도.
제8도는 플로 차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회전식 도어
3 : 슬라이드식 도어 4 : 레일
5 : 파워 래치 기구 6 : 스트라이커
7 : 급전 유닛 8 : 배터리
9 : 수전 유닛 10 : 개방 핸들
11 : 본체 12 : 래치
13 : 축 14 : 래치트
16 : 리턴 스프링 19 : 하프 래치 단부
20 : 플래치 단부 21 : 동력 전달 기구
22 : 모터 27 : 회전자
본 발명은 차량용 파워 래치 기구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도어를 수동 조작에 의해 하프 래치 상태까지 잠그면, 이후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풀 래치 상태까지 잠그도록 한 파워 래치 기구는, 다수 제안되고 있다.
상기 파워 래치 기구를 차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또는 미끄럼 이동(이하, 슬라이드로 통칭함)하는 도어내에 설치할때는 특별한 전원 공급 장치를 필요로 한다. 슬라이드식 도어는 구조적으로 도어 안의 파워 래치 기구와 차체의 배터리를 전원 케이블에 직접 접속할 수 없기 때문에, 전원 공급 장치를 차체에 설치하여 배터리에 접속하는 급전(給電)유닛과, 도어에 설치된 파워 래치 기구에 접속하는 수전(受電) 유닛으로 분할 형성하여, 도어를 소정 위치(하프 래치 위치와 거의 같은)까지 닫으면 양 유닛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각 유닛에는 노출 상태의 플러스 단자와 접지 단자가 각각 설치되어, 급전 유닛의 단자군과 수전 유닛의 단자군이 접촉하면, 배터리의 전력이 급전 유닛을 통하여 수전 유닛에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급전 유닛은 도어가 열려 있을 때에는 노출 상태의 플러스 단자와 접지 단자가, 물이라든지 금속편에 의해 쇼트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급전을 행하지 않고, 도어가 소정 위치까지 닫히면 비로소 급전을 개시한다. 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평 3-115676호의 장치에서는, 급전 유닛의 플러스 단자와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 사이에, 차체에 설치한 마이크로 스위치가 도어의 잠금에 의하여 가압되면 온(on)으로 되는 급전 스위치를 설치하여, 마이크로 스위치가 일정한 잠금 조건을 검출하면, 급전 유닛은 수전 유닛으로의 전류 공급을 개시한다.
상기 공지 장치의 과제는 전류 공급을 개시하는 타이밍이 부정확한 것에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가 잠금에 의하여 가압되는 타이밍은 마이크로 스위치의 부착 정밀도에 의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전류 공급을 개시하는 타이밍을 실제로 각 유닛이 접촉하는 타이밍과 일치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또한, 도어에 의해 가압되는 위치에 설치된 마이크로 스위치는 녹등에 의해 작동 불량을 일으키기 쉬운 단점도 있다.
이러한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한국 특허 출원 제 94-8160호로서, 급전 유닛과 수전 유닛의 실제 접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특허 출원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마이크로 스우치를 사용하지 않고 유닛끼리의 접촉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특징을 갖지만, 급전을 정지시키는 수단이라든지, 배터리의 소모를 억제하는 수단등의 개량해야 할 점이 남아 있다.
또한,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에는 모터의 회전 및 정지를 검출하는 감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감시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정상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의 모터 전류치와 모터가 정지했을 때의 부하 전류치를 구별함으로써, 모터의 회전 상황을 판별하는 방식이다.
모터의 부하 전류를 측정하는 감시 장치에서는 정상 전류치와 정상 전류치보다 큰 부하 전류치를 구별하기 위해서 그 경계가 되는 기준치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정상 전류치는 외기 온도의 변화나 배터리 전압 변화의 영향으로 크게 변동하기 때문에, 기준치의 설정은 매우 곤란한 작업이 된다. 즉, 정상 전류치의 변동 폭을 예측하여, 기준치를 높이 설정하면, 그 만큼 모터의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느리기 때문에, 감시 장치의 응답성은 저하된다. 반대로, 기준치를 낮게 설정하면, 모터가 회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터의 정지를 검출하는 습관이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특허 출원의 특징을 유지한 채 간단한 구성으로 수전 유닛으로의 급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원에서는, 급전 유닛과 수전 유닛이 접촉함으로써 형성되는 전기 루프의 전압을 파워 래치 기구의 작동이 종료된 때에 변경하여, 급전 유닛이 이 전압 변동을 검출하면, 수전 유닛으로의 급전을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바명의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슬라이드 도어의 개방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파워 래치 기구의 작동이 종료된 뒤에도, 급전 유닛과 수전 유닛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 루프에 미소 전류를 흘려, 도어가 열림으로써 소멸되는 전기 루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워 래치 기구가 비작동일 때의 배터리의 소모를 억제하도록 한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어의 개방을 확인하기 위하여 흐르게 한 전류를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기 위하여 흐르게 한 전류보다 작게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의 회전 상황을 정확하고 빠르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맥동 전류를 검출하여, 맥동 전류의 유무에 의해, 모터의 회전 및 정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하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차체(1)는 힌지에의해 차체에 설치된 회전식 도어(2)와, 차체(1)의 측면에 설치된 전후 방향으로 뻗어있는 레일(4)에 가이드되는 슬라이드식 도어(3)와, 해당 도어(3)의 개방 핸들(10)을 갖는다. 파워 래치 기구(5)는 슬라이드식 도어(3)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1)에 고정한 스트라이커(6)에 대하여 결합 및 이탈한다. 상기 차체(1)의 배터리(8)에 접속된 급전 유닛(7)은 차체(1)의 도어 테두리의 전방 측면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파워 래치 기구(5)를 제어하는 수전 또는 시퀀스 유닛(9)은 상기 급전 유닛(7)과 대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드식 도어(3)에 설치한다. 상기 수전 유닛(9)은 도어(3)를 잠금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급전 유닛(7)에 접촉하여, 급전 유닛(7)을 통해 전력 공급을 받는다. 환언하면, 상기 수전 유닛(9)은 도어(3)가 열려있을 때는 무전원 상태가 된다. 또, 급전 유닛이 수전 유닛(9)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체적 방법 및 시기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제2도와 같이, 상기 파워 래치 기구(5)는 합성 수지제 본체(11)를 갖고, 상기 본체(11)에는 상기 스트라이커(6)와 결합하는 래치(12)를 축(13)에 의해, 또한, 래치(12)와 상기 스트라이커(6)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트(ratchet;14)를 축(15)에 의해 각각 축지(軸止)한다. 상기 래치(12)는 리턴 스프링(16)의 탄력에 의해 제2도에 있어서 좌회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개방 상태에서는 래치(12)는 리턴 스프링(16)의 탄력에 의해 고무 스토퍼(17)에 당접하여 정지하고 있다. 상기 래치트(14)는 용수철(도시 안됨)에 의해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개방 상태에서는 네일부(nailail;18)가 래치(12)의 둘레에 당접하고 있다.
상기 래치(12)가 상기 스트라이커(6)와의 결합에 의해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하프 래치 위치(A)까지 회전하면, 상기 래치트(14)의 네일부(18)는 상기 래치(12)의 하프 래치 단부(19)에 결합하고, 또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풀 래치 위치(B)까지 회전하면, 네일부(18)는 상기 래치(12)의 풀 래치 단부(20)에 결합한다.
회동 아암(24)은 안전 기구 부착의 동력 전달 기구(21)를 통하여 모터(22)에 연결된 회동축(23)에 고정된다. 회동 아암(24)의 선단부에는 링크(25)를 축(26)에 의해 회전을 자유로이 축지한다. 상기 링크(25)의 선단에는 가이드 핀(28)에 의하여 회전자(27)를 장착한다. 상기 가이드 핀(28)의 단부는 상기 본체(11)에 형성한 가이드홈(29)에 슬라이드 자재로 결합시킨다. 회동 아암(24)은 자동 잠금용의 전류에 의하여 모터(22)가 회전하면, 제2도에 있어서 좌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회전자(27)는 가이드홈(29)을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동력 전달 기구(21)의 안전 기구는 클러치 기구와 동등한 것으로, 언제나, 상기 모터(22)의 회전은 그대로 회동축(23)에 전달시키지만, 상기 개방 핸들(10)이 도어 개방으로 조작되면, 안전 기구는 상기 모터(22)와 상기 회동축(23)간의 전달 경로가 끊겨, 상기 회동축(23)은 프리 상태가 된다.
상기 래치(12)의 다리부(30)는 축(13)의 방사 방향으로 내밀고 있어, 제2도와 같이, 하프 래치 위치(A)로 이동한 다리부(30)는 상기 가이드홈(29)과 중합한다. 따라서, 래치(12)가 하프 래치 위치일 때에, 모터(22)에 의해 회동 아암(24)을 좌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자(27)는 다리부(30)에 당접하여, 상기 래치(12)를 풀 래치 위치(B)를 초과한 위치까지 강제적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래치(12)에는 해당 래치(12)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래치 센서(41)(제3도)를 설치한다. 본 원의 센서(41)는 제5도와 같이 래치(12)가 도어 개방 위치와 하프 래치 위치(A ) 사이에 있을 때는 오프(off), 하프 래치 위치(A)와 풀 래치 위치(B) 사이에 있을때는 온(on), 풀 래치 위치(B)와 스토퍼(17)와 당접하는 회전 한계 위치 사이에 있을 때는 오프가 되도록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쓰고 있다. 더욱이, 제5도에 나타낸 센서(41)와 래치(12)의 관계는 엄밀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작용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게시한 것이다. 실제의 제품에서는, 센서(41)는 래치(12)가 하프 래치 위치(A)에 있을 때는 확실하게 온으로 되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래치가 하프 래치 위치가 되는 바로 앞까지 회전하면, 센서(41)는 온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센서(41)는 래치(12)의 하프 래치 위치(A) 및 풀 래치 위치(B)를 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특히 구성상의 한정은 없다.
상기 급전 유닛(7)은 제3도에 나타냈듯이, 플러스 단자(31)와 접지 단자(32)와 신호 단자(33)로 이루어지는 커넥터(34)와, 제어 회로(35)를 갖는다. 상기 수전 또는 시퀀스 유닛(9)은 플러스 단자(36)와 접지 단자(37)와 신호 단자(38)로 이루어지는 커넥터(39)와, 제어 회로(40)를 갖는다. 상기 커넥터(34)의 단자군(31∼33)과 상기 커넥터(39)의 단자군(36∼38)은 도어(3)를 잠금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서로 접촉하도록, 차체(1) 및 도어(3)에 각각 노출 상태로 설치된다. 이 단자군끼리가 접촉하는 타이밍은 알맞게는 래치(12)와 스트라이커(6)가 간신히 결합을 개시하는 때로 설정하여, 래치(12)가 스트라이커(6)와의 결합에 의해 하프 래치 위치(A)까지 회전했을 때에는, 단자군끼리는 확실히 접촉하게 한다.
상기 급전 제어 회로(35)의 콘트롤러(42)는 상기 배터리(8)로부터 항시 전원 공급을 받고 있고, 상기 신호 단자(33)에 접촉 검지용의 전압이 걸려 있다. 신호 단자(33)에 걸리는 전압은 상기 커넥터(34)와 상기 커넥터(39)가 비접촉 상태일 때는 레벨 VH(약 12볼트, 제6도의 a로 나타낸 부분 참조)가 된다. 상기 수전 커넥터(39)의 신호 단자(38)와 접지 단자(37)는 저항(36)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것 때문에, 커넥터끼리 접촉하면, 상기 저항(46)을 통하여 레벨 IH(약 6mA, 제6도의 b로 나타낸 부분 참조)의 전류가 흐르는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전기 루프(C)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전기 루프(C)가 완성되면, 상기 신호 단자(33)에 걸려 있던 전압은 레벨 VH에서 레벨 VM(약 6볼트, 제6도의 c로 나타낸 부분 참조)까지 강하한다.
상기 제어 회로(35)는 콘트롤러(42)로부터의 지령으로 온이 되는 스윗칭 트랜지스터(43)와, 트랜지스터(43)가 온이 되면 통전되는 릴레이(44)와, 플러스 단자(31)와 배터리(8) 사이에 설치된 상기 릴레이(44)의 접점(45)을 갖는다. 상기 콘트롤러(42)는 커넥터끼리의 접촉에 의해 상기 신호 단자(33)에 걸려 있는 전압이 레벨 VH에서 레벨 VM으로 강하하면, 커넥터끼리의 접촉으로 간주하여, 트랜지스터(43)에 전류를 공급하여 릴레이(44)를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릴레이 접점(45)은 닫히고, 배터리(8)의 전력은 플러스 단자(31, 36)를 통하여 상기 수전 유닛(9)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원에서는 커넥터끼리의 접촉에 의해 완성되는 전기 루프(C)가 검출되면, 수전 유닛(9)에 모터(22)의 제어에 필요한 급전을 개시하기 때문에, 급전 개시의 타이밍은 정확하고, 그 작용도 확실해진다.
상기 급전 또는 시퀀스 제어 회로(40)는 전기 모터(22)의 회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47)를 갖는다. 콘트롤러(47)는 도어(3)가 하프 래치 상태가 되면, 상기 동력 전달 기구(21)가 회전자(27)등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일단 모터(22)를 역전시킨 후, 모터(22)를 정회전시켜 하프 래치 위치의 래치(12)를 강제적으로 풀 래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 회로(40)는 콜렉터와 에미터를 상기 전기 루프(C)에 베이스를 콘트롤러(47)에 접속한 트랜지스터(48)를 갖는다. 콘트롤러(47)는 모터(22)에 의한 자동 잠금이 종료하면, 급전 콘트롤러(42)에 잠금 종료를 알리기 위해 트랜지스터(48)에 소정시간만 전류를 공급한다. 트랜지스터(48)가 급전되면, 전기 루프(c)에 흐르고 있던 전류는 화살표 D와 같이 저항(46)를 바이패스하여 흐르고, 신호 단자(33)와 접지 단자(32) 사이의 전위차는 급격히 감소하여, 상기 신호 단자(33)의 전압 레벨은 레벨 VM에서 레벨 VL(거의 제로 볼트, 제6도의 d로 나타낸 부분 참조)로 강하한다. 이 전압 변동을 급전 콘트롤러(42)가 검지하면, 콘트롤러(42)는 잠금 완료로 간주하여, 상기 스윗칭 트랜지스터(43)를 오프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릴레이(44)는 오프가 되고, 그 릴레이 접점(45)이 해방되어, 수전 유닛(9)으로의 전류 공급은 정지된다.
또한, 급전 콘트롤러(42)는 레벨 VL의 전압을 검지하면, 급전 콘트롤러(42)내의 회로를 바꿔 전기 루프(C)에 흐르는 전류를 레벨 IH(약 6mA)에서 레벨 IL(약 0.6mA, 제6도의 e로 나타낸 부분 참조)로 저하시킨다. 이와 같이, 잠금 상태에서도 전기 루프(C)를 감시함으로써 도어(3)의 개방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전기 루프(C)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동안은, 잠금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전류의 흐름이 정지하면, 도어 잠금에 의해 커넥터끼리가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에서는, 신뢰성에 의문이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도어 개방을 검출할 수 있는 의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본 원에서는, 주차중에도, 레벨 IL의 전류를 연속적으로 소비하는 단점을 갖지만, 이 소비량은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자연 방전보다 적고, 무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 루프(C)의 전류치가 레벨 IL이 되면, 신호 단자(33)의 전압은, 레벨 VM으로서 예시한 6볼트보다 상당히 낮은 수치(제6도의 f로 나타낸 부분 참조)가 되지만, 상기 콘트롤러(42)는 이 수치도 레벨 VM의 전압으로서 인식하도록 설정한다.
제4도는 모터(22)의 회전에 의해서 생기는 맥동 전류(전압)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4도의 회로도는 모터(22)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릴레이 접점(49, 50)과, 맥동 전류 검지용의 저항(51)과, 증폭 회로(52)와, 맥동 판단 회로(53)를 갖는다. 모터(22)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맥동 전류는 그 상태로는 대단히 작은 전류이기 때문에, 이것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값비싼 장치가 필요하다. 이것 때문에, 맥동 전류는 저항(51)을 이용하여, 맥동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것을 증폭 회로(52)에서 증폭하여 맥동 판단 회로(53)로 출력한다. 맥동 판단 회로(53)는 증폭된 맥동 전압의 파형에 의해 상기 모터(22)가 회전중인지, 정지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콘트롤러(47)에 송출한다.
슬라이드식 도어(3)가 도어 개방 상태일 때는, 급전 콘트롤러(42)는 신호 단자(33)에 레벨 VH(약 12볼트)의 전압을 거는 것과 동시에, 스윗칭 트랜지스터(43)를 오프로 하여 릴레이(44)로의 전원을 끊고, 릴레이 접점(45)를 해방시켜 배터리(8)과 플러스 단자(31) 사이를 차단하고 있다. 또한, 래치(12)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41)은 오프이다. 또한, 도어 개방 상태에서는, 모든 급전 단자(31∼33)는 해방단이므로, 소비 전류는 실질적으로 영이다.
슬라이드식 도어(3)를 수동에 의해, 래치(12)가 스트라이커(6)와 간신히 결합하는 위치까지 잠금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커넥터(34)의 단자군(31∼33)과 커넥터(39)의 단자군(36∼38)은 서로 접촉하여, 이것에 의해, 신호 단자(33)로부터 접촉 검지 저항(46)을 통하여 급전측 접지 단자(32)로 되돌아가는 전기 루프(C)가 완성된다. 그렇다면, 신호 단자(33)에 걸려진 전압은 레벨 VH에서 레벨 VM(약 6V)로 강하함와 동시에, 전기 루프(C)에는 약 6mA의 레벨 IH의 전류가 흐른다. 이와 같이 신호 단자(33)의 전압이 레벨 VM으로 강하하면, 급전 콘트롤러(42)는 커넥터끼리의 접촉으로 간주하여(제7도의 단계 2), 트랜지스터(43)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릴레이(44)로 통전하고, 릴레이 접점(45)에 의해 플러스 단자(31)와 배터리(8)를 접속하여, 수전 유닛(9)에 모터(22)의 제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단계 3).
수전 유닛(9)의 콘트롤러(47)가 급전되면, 콘트롤러(47)는 내장 타이머(TI)를 가동시킨다(단계 4). 또, 이 시점에서도, 래치(12)는 하프 래치 위치(A)까지는 회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센서(41)는 오프이다.
도어(3)가 관성으로 하프 래치 상태까지 슬라이드하여, 래치(12)가 하프 래치 위치가 되면 센서(41)는 온이 되고, 이것에 의해, 콘트롤러(47)는 별도의 내장 타이머(T20를 가동시키고(단계 6), 릴레이 접점(50)을 온으로 하여 모터(22)에 역회전용의 전류를 공급한다(단계 7). 모터(22)가 역회전하면, 모터(2)의 전기 회로중에는 맥동 전류가 발생하고, 이 맥동 전류는 저항(51)에 의해 맥동 전압으로 변환되어 증폭 회로(52)로 출력된다. 증폭 회로(52)에 의해 증폭된 맥동 전압의 파형은 맥동 판단 회로(53)에 의해 검출되고, 이것에 의해, 모터(22)가 회전중임이 확인된다. 모터(22)의 역회전에 의해, 동력 전달 기구(21) 회전자(27) 등은 일단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고, 다리부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면 기구적으로 로크 상태가 되고, 모터(22)의 회전은 정지하고, 모터(22)의 회로중의 맥동도 없어진다. 맥동 판단 회로(53)가 맥동이 없는 것을 검출하면(단계 8), 콘트롤러(47)는 별도의 내장 타이머(T3)를 기동시켜(단계 9), 릴레이 접점(50)은 오프, 릴레이 접점(49)은 온으로 한다. 그러면, 모터(2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변하여, 모터(22)는 정전한다(스텝 10).
모터(22)가 정회전하면, 제2도에 있어서 회동 아암(24)은 좌회전하고, 이것에 의하여 회전자(27)는 홈(29)에 안내되면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하프 래치 위치(A)에 있는 래치(12)의 다리부(30)와 당접하여, 래치(12)를 풀 래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래치(12)가 풀 래치 위치(B)를 초과하여 회전하면, 센서(41)는 오프가 되고(단계 11), 이것에 의해, 콘트로러(47)는 타이머(T2)를 재기동시키고(단계 12), 모터(22)를 역회전시킨다(단계 13). 이 역회전에 의해, 래치(12)의 다리부(30)로부터 회전자(27)가 떨어지면, 래치(12)는 용수철(16)의 탄력에 의해 풀 래치 위치(B)로 되돌아가고, 래치트(14)가 풀 래치 단부(20)와 결합하여, 풀 래치 사태가 완성된다.
모터(22)의 역회전에 의해, 동력 전달 기구(21) 회전자(27)등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면 모터(22)의 회전은 정지하고, 모터(22)의 회로중의 맥동도 없어지고, 맥동 판단 회로(53)가 맥동이 없음을 검출하면(단계 14), 콘트롤러(47)는 모터(22)로의 통전을 정지시키고, 작동 종료 신호로서 트랜지스터(48)에 일정 시간만 전류를 흘린다(단계 15). 그러면 트랜지스터(48)의 작용에 의해, 신호 단자(33)와 접지 단자(32) 사이의 전위차는 급격히 감소하여, 전기 루프(C )에 걸려 있던 전압은 레벨 VM(약 6볼트)에서 레벨 VL(대략 제로)로 강하한다. 이 전압 강하가 일어나면, 콘트로러(42)는 스윗칭 트랜지스터(43)으로의 전류를 정지하여, 릴레이(44)를 오프로 하고, 릴레이 접점(45)을 해방시켜, 배터리(8)와 수전 유닛(9)간의 전기 회로를 차단한다. 동시에, 콘트롤러(42)는 전기 루프(C)에 흐르는 전류를 레벨 IH에서 레벨 IL(약 0.6mA)로 저하시키고, 자동 잠금의 모든 작동은 종료한다.
잠금 상태에서는 레벨 IL의 전류가 계속하여 소비되지만, 이 소비량은 밧테리(8)의 자연 방전으로 소비되는 양과 동등 혹은 이것보다 적은 정도이므로, 배터리(8)에 걸리는 경미한 것이다. 또, 배터리(8)와 플러스 단자(31)는 접점(45)에 의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스 단자(31)를 통한 소비 전류는 제로가 된다.
도어(3)를 도어 개방 핸들(10)에 의하여 개방시키면, 양 커넥터의 접촉 상태는 끊어지므로, 전기 루프(C0는 소멸하고, 이것에 의해, 신호 단자(33)의 전압은 제6도에 나타낸 레벨 VM에서 레벨 VH로 상승한다. 이 승압에 의해, 콘트롤러(42)는 개방 상태를 검출하여, 다음 전기 루프(C)가 형성되는 것을 대기한다.
그리고, 모터(22)가 회전하면 모터의 회로중에는 맥동 전류가 발생하고, 이 맥동 전류는 저항(51)에 의해 맥동 전압으로서 증폭 회로(52)로 출력된다. 본원에서는, 증폭 회로(52)에 의해 증폭된 맥동 전압의 파형의 유무를 맥동 판단 회로(53)에 의해 감시하여, 맥동이 있을 때는 모터(22)는 회전, 맥동이 없을 때는 모터(22)는 정지로 판단하기 때문에, 모터(22)의 회전과 정지를 용이하게, 정확히, 빨리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맥동 판단 회로(53)는 모터(22)로의 통전 회로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통전 회로 일부의 단선에 의해, 콘트롤러(47)로부터 모터(22)로의 통전 불능이 되었을 경우에는, 콘트롤러(47)가 통전을 행하더라도 모터(22)는 전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맥동 판단 회로(53)는 1회도 맥동을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통전을 하더라도 맥동을 검출할 수 없을 때는, 통전 회로의 일부가 단선 상태로 간주될 수 있다.
릴레이 접점(45)이 온으로 되어 있을 때, 즉, 수전 유닛(9)에 모터 제어용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을 때에, 플러스 단자(31)와 신호 단자(33)가 쇼트하면, 신호 단자(33)는 배터리(8)의 플러스 단자에 접속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신호 단자(33)의 전압은 레벨 VM에서 레벨 VH로 상승한다. 그러면, 이 레벨 VH의 전압은 개방 상태의 전압 레벨과 같기 때문에, 콘트롤러(42)는 스윗칭 트랜지스터(43)로의 전류를 정지시키고, 릴레이 접점(45)을 해방시켜, 이것에 의해, 밧데리(8)와 플러스 단자(31)의 접속을 차단한다.
또한, 수전 유닛(9)에 모터 제어용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을 때에, 플러스 단자(31)와 접지 단자(32)가 쇼트할 때, 및 3개의 단자가 모두 서로 쇼트했을 때는 신호 단자(33)에 걸리는 전압은 레벨 VM에서 레벨 VL로 하강한다. 이 레벨 VL의 전압을 트랜지스터(48)가 온이 될 때의 전압 레벨과 같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콘트롤러(42)는 릴레이(44)를 오프로하여 릴레이 접점(45)을 해방시키고, 이것에 의해, 배터리(8)와 플러스 단자(31)의 접속을 차단한다.
또한, 커넥터끼리 이간하고 있을 때에, 신호 단자(33)와 접지 단자(32)가 쇼트했을 때는, 신호 단자(33)에 걸리는 전압은 레벨 VH에서 레벨 VL로 변동한다. 그러나, 이 레벨 VL의 전압은 트랜지스터(48)가 온이 되었을 때의 전압 레벨과 같기 때문에, 콘트롤러(42)는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고, 그 후, 쇼트 상태가 복구되면, 영향없이 작동을 계속할 수 있다.
다음에, 플로우에 기재된 나머지의 제어에 관해서 설명한다.
단계(5)에 있어서, 센서(41)가 하프 래치 상태를 검출하기 전에, 타이머(T1)가 업했을 때는, 잠금 불량으로서, 단계(15)로 진행하며, 트랜지스터(48)에 전류가 흐른다. 그렇게 하면, 전기 루프(C)에 걸려 있던 전압은 강하하고, 이것에 의해, 콘트롤러(42)는 스윗칭 트랜지스터(43)으로의 전류를 정지하여, 릴레이(44)를 오프로 하고, 릴레이 접점(45)을 해방시켜, 배터리(8)와 수전 유닛(9)간의 전기 회로를 차단한다.
단계(8)에 있어서, 맥동 판단 회로(53)가 모터(22)의 회전 정지를 검출하기 전에, 타이머(T2)가 업했을 때는 동력 전달 기구(21)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간주하여, 상기와 같이, 단계(15)로 진행한다.
단계(11)에 있어서, 센서(41)가 풀 래치 상태를 검출하기 전에, 모터(22)의 회전이 정지했을 때, 또는 타이머(T3)가 업했을 때는, 이상 발생으로 간주하여, 단계(12)로 진행한다. 이러한 이상에는, 도어에 물건이 끼었을 때 등이 해당된다.
단계(14)에 있어서, 모터(22)의 회전이 정지하기 전에, 타이머(T2)가 업했을 때는, 동력 전달 기구(21)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간주하여, 트랜지스터(48)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종료 제어를 행한다.
Claims (10)
- 차체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도어에 설치된 파워 래치 기구용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배터리에 접속된 급전 유닛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해당 도어를 소정 위치까지 잠그면 상기 급전 유닛에 접속되는 수전 유닛과, 급전 유닛과 수전 유닛이 접촉하면 완성하여, 접촉 검지용의 제1전류가 흐르는 전기 루프와, 상기 수전 유닛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파워 래치 기구의 래치를 풀 래치 위치로 회전시켜 얻는 모터와, 상기 수전 유닛은 전기 모터에 의한 잠금이 종료하면 상기 전기 루프에 걸리는 전압을 변화시키는 전압 변경 수단을 가지며, 상기 급전 유닛은 상기 전기 루프가 완성되면 상기 수전 유닛에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주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전기 루프의 전압이 변화하면 상기 수전 유닛으로의 주전력의 공급을 정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래치 기구용의 전원 공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유닛은 상기 수전 유닛으로의 주전력의 공급을 정지 후, 상기 전기 루프에 상기 제1전류보다 작은 제2전류를 흐르도록 하여, 상기 제2전류가 정지했을 때는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간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래치 기구용의 전원 공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유닛은 상기 배터리에 스위치를 통하여 접속되는 플러스 단자와, 접지 단자와, 신호 단자를 가지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급전 유닛이 상기 전기 루프를 검출하면 상기 급전 유닛에 의하여 페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래치 기구용의 전원 공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경 수단은 상기 전기 루프에 접속한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래치 기구용의 전원 공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모터의 전기 회로중에 흐르는 맥동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가지고, 상기 수전 유닛은 상기 모터로 주전력을 공급중에 상기 검출 수단이 맥동 전류가 없는 것을 검출했을 때는 상기 모터의 회전 정지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래치 기구용의 전원 공급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래치의 하프 래치 위치와 풀 래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가지고, 상기 수전 유닛은, 상기 센서가 하프 래치 위치를 검출하면 잠금용의 주전력을 전기 모터에 공급하여, 잠금용의 주전력 공급중에 상기 검출 수단이 맥동 전류가 없음을 검출할 때는 상기 모터에 역회전용의 주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래치 기구용의 전원 공급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래치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와 상기 래치의 하프 래치 위치와 풀 래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가지고, 상기 수전 유닛은 상기 센서가 풀 래치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전달 기구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역회전용의 주전력을 상기 모터에 공급하여, 역회전용의 주 전력의 공급중에 상기 검출 수단이 맥동 전류가 없는 것을 검출하였을 때는 상기 모토로의 주전력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래치 기구용의 전원 공급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래치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와 상기 래치의 하프 래치 위치와 풀 래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가지고, 상기 수전 유닛은 상기 센서가 하프 래치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전달 기구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역회전용의 주전력을 상기 모터로 공급하고, 역회전용의 주전력의 공급중에 상기 검출 수단이 맥동 전류가 없음을 검출하였을 때는 상기 모터에 잠금용의 주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래치 기구용의 전원 공급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유닛은 상기 급전 유닛으로부터 주전력을 받으면, 기동하는 제1타이머를 가지고, 상기 센서가 하프 래치 상태를 검지하기 전에 상기 제1타이머가 업했을 때는, 상기 수전 유닛은 상기 전압 변경수단에 의해 상기 전기 루프의 전압을 변경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래치 기구용의 전원 공급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유닛은 상기 모터가 잠금용의 주전력의 공급을 받으면 기동하는 제2타이머를 가지고, 상기 센서가 풀 래치 상태를 검지하기 전에 상기 제2타이머가 업했을 때는, 상기 수전 유닛은 상기 모터에 역전용의 주전력을 공급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래치 기구용의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4-64682 | 1994-03-08 | ||
JP6468294A JP2884319B2 (ja) | 1994-03-08 | 1994-03-08 | スライド扉用自動閉扉機構の給電装置 |
JP10057794A JP3199301B2 (ja) | 1994-04-14 | 1994-04-14 | 車両スライドドア用自動閉扉装置 |
JP94-100577 | 1994-04-1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48506B1 true KR0148506B1 (ko) | 1998-12-01 |
Family
ID=2640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37181A KR0148506B1 (ko) | 1994-03-08 | 1994-12-27 | 차량용 파워 래치 기구의 전원 공급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525875A (ko) |
KR (1) | KR0148506B1 (ko) |
GB (1) | GB228728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32669A (en) * | 1995-08-24 | 1998-11-10 |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 Latch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
US5829912A (en) * | 1996-06-27 | 1998-11-03 | Primex Technologies, Inc. | Non-lethal, rapidly deployed, vehicle immobilizer system |
JP3656787B2 (ja) * | 1997-01-30 | 2005-06-08 | 株式会社大井製作所 | 車輛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
DE19711563A1 (de) * | 1997-03-20 | 1998-09-24 | Bosch Gmbh Robert | Schaltungsanordnung zur Steuerung eines elektrisch betätigten Kraftfahrzeug-Türschlosses o. dgl. |
US6283534B1 (en) | 2000-07-24 | 2001-09-04 | The Budd Company | Active door upper |
US6561567B2 (en) | 2000-07-24 | 2003-05-13 | Joseph E. Mrozowski | Active door upper |
WO2002077399A1 (en) * | 2001-03-26 | 2002-10-03 | David Russell Thompson | Building security incorporating lock & latch with electric and/or magnetic pathway across lock. |
US6863336B2 (en) * | 2001-10-29 | 2005-03-08 |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 Powered slid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
US7023224B2 (en) * | 2002-03-18 | 2006-04-04 | Delphi Technologies, Inc. | Low power absolute position sensor and method |
DE10322122C5 (de) * | 2003-05-16 | 2010-11-11 | Kiekert Ag | Kraftfahrzeug |
WO2006016822A1 (en) * | 2004-08-10 | 2006-02-16 | Ingersoll-Rand Architectural Hardware Limited | Electrical lock actuable by variable current and/or variable voltage |
JP4364814B2 (ja) * | 2005-02-04 | 2009-11-18 |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
JP4566037B2 (ja) * | 2005-03-14 | 2010-10-20 |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 ドアラッチ装置 |
JP4644515B2 (ja) * | 2005-04-13 | 2011-03-02 |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 車両用開閉体の半開保持装置 |
KR101786663B1 (ko) * | 2015-06-01 | 2017-10-18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래치 |
US10721443B1 (en) * | 2019-05-30 | 2020-07-21 | Joie Aganze Assani | Interactive door assembly system and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321958B1 (en) * | 1987-12-22 | 1993-11-18 | Ohi Seisakusho Co., Ltd. | Automatic door latching system |
JPH03115676A (ja) * | 1989-09-28 | 1991-05-16 | Suzuki Motor Corp | スライドドアのオートフルロック制御装置 |
JPH0747586Y2 (ja) * | 1989-11-30 | 1995-11-01 | 株式会社大井製作所 | 自動ドア閉止装置 |
US5189839A (en) * | 1990-03-22 | 1993-03-02 | Masco Industries, Inc. | Control apparatus for powered vehicle door systems |
GB2276913B (en) * | 1993-04-07 | 1996-08-07 | Mitsui Mining & Smelting Co | Door lock apparatus with automatic door closing mechanism |
-
1994
- 1994-12-27 KR KR1019940037181A patent/KR01485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
- 1995-01-12 US US08/372,039 patent/US5525875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02-03 GB GB9502170A patent/GB2287280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GB2287280B (en) | 1997-10-22 |
US5525875A (en) | 1996-06-11 |
GB9502170D0 (en) | 1995-03-22 |
GB2287280A (en) | 1995-09-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48506B1 (ko) | 차량용 파워 래치 기구의 전원 공급 장치 | |
US5640807A (en) | Powered vehicle door closing system | |
EP0321958B1 (en) | Automatic door latching system | |
EP1614846B1 (en) | Driving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 | |
US5049794A (en) | Automotive wiper control system with fail-safe feature for preventing burn-in of wiper motor | |
US7126238B2 (en) |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an electric actuator unit | |
EP0497692B1 (en) | Wiring error detector for a door operator | |
JPH08506889A (ja) | 複数のコイルをモニタするための回路構成 | |
EP1420257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s | |
CN107675955B (zh) | 电磁门锁控制装置 | |
JP2594886B2 (ja) | スライド扉用自動閉扉装置 | |
US4633153A (en) | Power window control with tape drive tension release | |
US4258292A (en) | Flasher devices for lamps | |
JPH07279514A (ja) | 車両ドア用自動閉扉装置 | |
JP2006009485A (ja) | 自動車用自動閉扉の制御方法 | |
JPH10184507A (ja) | リレー接点の溶着監視機能に特徴を有するキーレス式エンジン始動装置 | |
JP2594883B2 (ja) | スライド扉用自動閉扉機構の給電方法 | |
JP4412590B2 (ja) | 自動車用自動閉扉の制御装置 | |
US6437531B1 (en) | Backup method of microcomputer used in case of stoppage of operation, backup unit of microcomputer, a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power window for automobile use | |
JP2884319B2 (ja) | スライド扉用自動閉扉機構の給電装置 | |
US20040060546A1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ler and method for the operating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ler | |
EP1136695B1 (en) | Diagnostic system for an electric heater of an air-intake manifold of a diesel engine | |
KR970007102B1 (ko) | 자동 폐쇄기구를 구비한 도어 잠금장치 | |
JP3333740B2 (ja) | 自動車用パワーウインド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 |
JP3656182B2 (ja) |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523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