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251B1 - 고밀도 리본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밀도 리본 케이블 커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251B1
KR0148251B1 KR1019900007938A KR900007938A KR0148251B1 KR 0148251 B1 KR0148251 B1 KR 0148251B1 KR 1019900007938 A KR1019900007938 A KR 1019900007938A KR 900007938 A KR900007938 A KR 900007938A KR 0148251 B1 KR0148251 B1 KR 0148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utout
contacts
region
intermedi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292A (ko
Inventor
사무엘 데이비드 웨인
네일 화이트맨 2세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제이 엘. 사이칙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엘. 사이칙,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 엘. 사이칙
Publication of KR900019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7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with contacts having at least a slotted plate for penetration of cable insulation, e.g.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for round conductor flat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고밀도 리본 케이블 커넥터
제1도는 패널에 장착되고 리본 케이블에 접속된 본 발명에 따른 리본 케이블 커넥터의 횡단면도
제2도는 캐리어 스트립 상에 형성된 두 인접 내부 접점의 평면도
제3도는 도체 접속부의 면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된 소켓을 가진 제2도의 두 인접 내부 접점의 평면도
제4도는 내부 접점의 사시도
제5도는 캐리어 스트립 상에 형성된 두 인접 외부 접점의 평면도
제6도는 도체 접속부의 평면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된 소켓을 가진 제5도의 두 인접 외부 접점의 평면도
제7도는 외부 접점의 사시도
제8도는 리본 케이블 커넥터의 부분 단면 사시도
제9도는 리본 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
제10도는 하우징 내에서 수용된 일열의 접점의 도체 접속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커넥터 22 : 하우징
32 : 접점 36 : 소켓
38 : 도체 접속부 42,56 : 홈 구멍
76 : 돌기
본 발명은 전기 케넥터, 특히 소정의 최소 공간이 어떤 접점 및 부근의 다른 접점의 모든 형체(feature) 사이에 유지되는 고밀도 리본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데이지 체인 형상과 같이, 케이블의 한 단부에서 이격된 곳에 있는 리본 케이블에 대량 접속하는 리본 케이블 커넥터는 미국 특허(3,820,055:4,068,912:4,475,786:4,693,533)에서 개시되었다. 전자 장치의 축소화가 진행됨에 따라, 많은 접점이 인쇄 회로 기판 상에서 더 작은 공간을 점유하도록 점점 더 작아진 커넥터 내에 놓여진다. 보상형 커넥터, 특히 케이블 커넥터도 접점을 고밀도로 포함해야 한다. 리본 케이블 커넥터 사이의 접점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리본 케이블 내에서 리본 케이블 커넥터에 접속되는 인접 도체 사이의 공간도 상응하여 감소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도체간의 공간은 이전 세대 케이블 공간의 반으로 감소되었다. 리본 케이블 커넥터 사이의 공간이 감소함에 따라, 리본 케이블에 대량 접속되기에 적합하도록 배열 내에 도체 접속부를 위치시키는 동시에 유전체 재료로 분리시켜 적절한 간격으로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접점을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하우징 내에서 접점을 위치시킬 때나 리본 케이블로 접속 중에 접점의 이동 편차는 인접 도체 사이가 단락(short)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접점 간격이 매우 가깝기 때문에, 접점이 실제적인 용도로 커넥터를 사용하기에 충분할 정도의 전압에 견딜 수 있도록 인접 접점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충분히 분리하는 유전체 재료 또는 공기 간격에 대해 과거 보다 관심이 더 많아졌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본 케이블의 도체에 접속하는 고밀도 전기 커넥터는 케이블 수용면, 결합면, 및 상기 면 사이로 연장되고 내부에 고정된 단자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단자 수용 통로 열을 가진 절연 하우징을 구비한다. 통로를 수용하는 단자는 케이블 수용면 근처의 대향 채널 쪽으로 열려 있다. 각 단자는 결합부와 중간부 및 도체 접속부를 가진다. 중간부는 결합부에서 도체 접속부 쪽으로 향해서 연장된 한 쌍의 전단 단부에 의해 한정된다. 중간부는 제 1 견부 및 삽입 전단 단부를 형성하는 절결부를 포함한다. 중간부는 또한 결합부가 도체 접속부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 측면 오프셋부도 포함한다. 제 1 견부와 중간부의 일부분 및 도체 접속부는 케이블 수용면 근처의 채널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 1 견부 및 삽입 전단 단부는 인접 접점의 어떤 부분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리본 케이블 커넥터(20)는 제1도에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20)는 차폐 커넥터로 도시되었지만, 커넥터(20)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되지 않을 수도 있다. 커넥터(20)는 양자가 유전체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22) 및 접속 커버(24)를 포함한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하우징(22) 및 접속 커버(24)는 벡트라-130(Vectra-130)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액정 중합체와 같은 무수축율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하우징(22)은 전향 결합면(26)과, 대향된 접점 수용면(28) 및 내부에 고정된 접점(32)과 함께 면 사이로 연장되는 접점 수용 통로(30)를 갖는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접점(32)은 중심선에서 2.5㎜(0.100 인치) 이격된 두 열 내에 있는 소켓(36) 형태 내의 결합부(34)와 함께 하우징(22) 내에 위치하고; 각 열 내의 인접 소켓은 중심선에서 1.27㎜(0.050 인치) 이격되며; 커넥터(20)는 도체 사이에서 중심선이 0.635㎜(0.025 인치) 이격된 리본 케이블을 접속하도록 디자인된다.
제2도 내지 제7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32)은 통상적으로 인청동 압연 스트립 스톡을 스탬핑(stamping)하여 형성한다. 압연된 스톡 폭의 한 부분은 스트립 스톡의 단부를 따라 얇은 부분을 제공하도록 예비 밀링된다. 각 접점(32)은 한 단부의 결합부(34)와, 다른 단부의 도체 접속부(35)를 포함하는 커넥터 연결부 및 이들 사이의 중간부(40)를 구비한다. 각 접점의 결합부(34)는 상기 스톡의 두꺼운 부분에 스탬핑된다. 도체 접속부(38)는 상기 스톡의 얇은 부분에 스탬핑된다. 제2도, 제3도, 제5도 및 제6도에 상세히 도시되었듯이, 접점 (32)은 하우징(22) 내에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간격으로 중심선 상에 스탬핑된다.
제2도, 제3도, 제5도 및 제6도는 캐리어 스트립에 의해 접점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면서 스탬핑되어 형성된 접점(32)을 도시한다. 인접 접점(32)의 도체 접속부 홈 구멍(42: 제2도) 사이의 간격(44)이 2.5㎜(0.100 인치)인 것처럼 , 형성된 소켓(36: 제3도)의 중심선 간격도 2.5㎜이다. 소켓(36) 형태의 결합부(34)는 중간부(40)에서 자유 단부(52, 54)까지 전향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 캔틸레버 빔(48, 50)으로 구성되며, 결합부 사이에서 탭 수용 홈 구멍(56)을 한정한다. 자유 단부(52, 54)는 테이퍼(58)에서 탭 수용 홈 구멍(56) 쪽으로 내향으로 테이퍼져서, 보상형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의 탭을 홈 구멍(56) 내로의 안내를 돕는다. 곡면(60)은 결합하는 탭에게 면을 제공한다. 적절한 실시예에서, 소켓(36)은 중심선(62)에 대해 대칭이다.
빔(48, 50)의 외곽 전단면(64, 66)은 자유 단부(52, 54)에서 중간부(40) 방향으로 중심선(62)에서 점차적으로 멀어지면서 테이퍼진다. 제1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면(64 또는 66)이 접점 수용 통로(30)의 벽(68)과 결합해야 한다면, 상기 벽은 과응력 방지 구조로 기능한다. 중간부(40)의 영역(74)을 지나는 외곽 전단면(70, 72)은 또한 중심선(62)에 대칭이며 평행하다. 중간부(40) 상의 돌기(76)는 측면 단부(70, 72)의 양측을 지나서 연장된다. 접점(32)을 통로(30) 내로 삽입하는 경우에, 돌기(76)는 통로벽(68)을 지나서 돌기 주위를 변형 가능하게 통과하여 통로(30) 내에서 억지 끼워 맞춰 접점이 고정된다.
도체 접속부(38)는 스톡의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 사이에 전이 구역을 형성한 테이퍼(78)와 함께, 스톡의 예비 밀링된 부분인 얇은 부분에 조립된다. 도체 접속부(38)는 접속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리본 케이블(82)의 도체(80)의 도체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얇은 부분이다. 도체 접속부(38)는 확대 기저 영역(54)을 가지며, 그의 측면에는 정확하게 이격된 전단 단부(86, 88)가 형성된다. 한 쌍의 이격 절연 관통 가지(90, 92)는 기저 영역(84)에서 말단부에 있는 절연 관통점(94)까지 후향 연장되며, 그 사이에 도체 수용 홈 구멍(46)을 형성한다. 테이퍼진 도입면(96) 온도체수용 홈 구멍(46)쪽으로 각이 저 있다. 홈 구멍(46)은 홈 구멍(46)을 따라 대략 중간 부분에서 시작하는 확대 기저 영역(84)와 함께 판(38)의 확대 기저 영역(84)까지 연장된다. 제3도 및 제6도에 상세히 도시되었듯이, 홈구멍(46)은 중심선(62)과 평행하고, 측면 간격(63)에서 측방으로 변위된다. 파선(98)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32) 캐리어 스트립(42)과 분리되어 있다.
도시된 제2도, 제3도 및 제4도와 제5도, 제6도 및 제7도를 각각 비교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서술된 일반적인 형체를 갖는 두 가지 형태의 접점(32)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두 가지 접점은 외부 또는 외부로 지정된다. 제1도,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32a)의 도체 접속부(38)가 두 개의 외부 도체 접속판을 형성하기 때문에 접점(32a)은 외부 접점으로 언급된다.
접점(32a)은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서 도시되어 있다. 접점(32b)의 도체 접속부(38)가 두 개의 내부 열의 도체 접속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접점(32b)은 내부 접점으로 언급된다. 접점(32b)은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되어 있다.
접점(32a)의 외부 열의 결합부(34) 및 접점(32b)의 인접 내부 열의 결합부는 교대로 맞물려 연결되어 소켓(36)의 제1열(100)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접점(32a)의 다른 외부 열의 결합부 및 접점(32b)의 인접 내부 열의 결합부도 교대로 맞물려 연결되어 소켓의 제2열(102)을 형성한다.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 내부 접점(32b)이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서 인접 접점(32b)은 중심선 상에 스탬핑되고, 캐리어 스트립(42)과 일체이다. 형성되기 전에, 전체 접점은 최초 스톡의 평면 내에 있다. 전단면(72)은 견부(104) 및 전단면(106)을 형성한 중간부(40)에서 절결된다. 견부(104)의 위치 및 전단면(106)을 형성한 절결부의 깊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둘 다 이미 결정되어 있다.
견부(108)는 중심선(62)의 양 측면 상으로 연장되고, 삽입력이 가해질 수 있는 후향면 삽입 견부를 제공하며, 커넥터(20)의 조립 중에 통로(30) 내로 접점(32b)을 삽입하도록, 벽(68)과 결합하는 돌기(76)에 의해 제공된 삽입 저항력을 극복하도록 중심선(62)의 양측면으로 연장되어 있다. 삽입력이 중심선(62) 양측면 상의 견부(108)에 가해지므로, 소켓을 회전시킬 모멘트는 없다. 측면 오프셋 영역(110)은 접점(32b)의 중간부(40) 내에 있다. 측면 오프셋 영역(110)의 제 1 영역(39)은 결합부(34)의 후미이고, 견부(108)와 전향 단부(111)을 한정한다. 측면 오프셋 영역(110)의 제2 영역(141)은 제 1 영역(39)과 접촉하고, 도체 접속부(38)와 서로 접촉한다. 접점(32b)은 결합부(34)가 도체 접속부(38)의 평면에 수직인 면 내에 있도록 측면 오프셋 영역(110)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영역(39)은 결합부(34)의 평면 내에 있으며; 제 2 영역(41)은 도체 접속부(38)의 평면 내에 있다.
제3도는 소켓(36)을 가진 내부 접점(32b)을 도시하고 있으며, 제 1 영역(39)은 도체 접속부(38) 및 제 2 영역(41)에 제 2 영역과 수직으로 형성된다. 적절한 실시예의 이렇게 형성된 위치에서, 소켓(36)은 커넥터(20)에 연결되는 케이블(82)의 도체(80)의 중심선의 절반만큼 측면 오프셋부(63)에서 홈 구멍(46)의 중심선에서 측면으로 치우치게 된다.
제5도에 인접 접점(32a)이 중심선 상에 스탬핑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캐리어 스트립(42)과 일체이다. 형성되기 전에, 전체 접점은 최초 스톡의 평면 내에 있다. 접점(32a)의 전단면(72)은 견부(112) 및 전단면(114)을 형성하는 중간부(40)에서 절결된다. 견부(112)의 위치 및 전단면(114)을 형성한 절결부의 깊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둘 다 이미 결정되어 있다.
견부(116)는 중심선(62)의 양 측면 상으로 연장되고, 삽입력이 가해질 수 있는 후향면 삽입 견부를 제공한다. 커넥터(20)의 조립 중에 통로(30) 내로 접점(32a)을 삽입하도록, 벽(68)과 결합하는 돌기(76)에 의해 제공된 삽입 저항력을 극복하도록 중심선(62)의 양측면 상에 삽입력이 가해진다. 중심선(62)의 양측면 상에서 삽입력이 견부(116)에 가해지므로, 소켓을 회전시킬 모멘트가 없다. 견부(108, 116)는 삽입 견부 중의 하나가 다른 것 보다 더 앞쪽에 있도록 접점(32a 및 32b)의 중심선(62)을 따라 놓이게 된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접점(32b) 상에 견부(108) 보다 접점(32a)상의 견부(116)가 더 앞쪽에 있다. 따라서, 견부(116)을 미는 도구를 사용하여 외부 접점(32a)의 대량 삽입이 가능하며; 이어서 견부(108)를 미는 도구를 사용하여 내부 접점(32b)의 대량 삽입도 가능하다. 상기 순서 중에 접점(32b)을 삽입하는데 사용한 공구가 견부(116)를 방해하지 않는다.
측면 오프셋 영역(118)은 접점(32a)의 중간부(40) 내에 있다. 측면 오프셋 영역(118)의 제 1 영역(121)은 결합부(34)의 후미에 있고, 견부(116) 및 전향 단부(119)를 한정한다. 측면 오프셋(118)의 제 2 영역(123)은 제 1 영역(121)과 접촉하고, 도체 접속부(38)와 상호 접촉하도록 캐리어 스트립(42)을 통과하여 후향으로 연장된다. 접점(32a)이 측면 오프셋 영역(118)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도체 접속부(38) 평면과 직각인 평면에 결합부(34)가 있게 된다. 제 1 영역(121)은 결합부(34)의 평면 내에; 제 2 영역(123)은 도체 접속부(38)의 평면 내에 있다: 측면 오프셋 영역(118)은, 견부(112)와 전단면(114)에 의해 형성된 절결부 내로 들어가게 되는 전단 단부(120) 내에 인접한 접점의 결합부(34)의 형상 내에 들어가는 전단 단부(120)를 가진다.
제6도는 소켓(36)을 가진 외부 접점(32a)과 도체 접속부(38) 및 제 2 영역(123)과 수직으로 형성된 견부(116)의 전방의 있는 중간부(40)의 일부를 도시한다
이렇게 형성된 위치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소켓(36)의 중심선은 커넥터(20)에 연결 되는 케이블(82)의 도체의 중심선 간격의 절반 만큼 122에서 홈 구멍(46)의 중심선에서 측방으로 치우쳐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 9 도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80) 수용 홈 구멍이 커넥터(20)에 맞물리기 때문에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각 도체는 소정의 접점에 접속된다.
제8도의 부분 단면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접점(32a)의 소켓부는 소켓(100 또는 102) 열 내에서 통로(30)의 통로(124)를 수용하는 다른 모든 소켓에 수용된다. 내부 접점(32b)의 소켓부는 소켓(100 또는 102) 열 내에서 통로(30)의 통로(126)를 수용하는 남아있는 소켓에 수용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 접속부(38)의 기저 영역(54)은 리브(130)로 한정되는 채널(128)에 수용된다. 리브(130)의 측면벽(132. 134)은 기저 영역(84)의 전단 단부(86, 88)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공간을 그 사이에 한정한다. 따라서, 기저 영역(84)이 리브(130) 사이에 수용됨과 동시에 접점(32)이 통로(30) 내에 수용될 때, 전단 단부(86, 88)는 측면벽(132, 134)과 대향 위치되어 커넥터(20) 내의 도체 접속부(38)와, 가지(92), 및 홈 구멍(46)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뿐만 아니라, 케이블(82)의 접속 중에 판(38)과, 가지(92), 및 홈 구멍(46)이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도 및 제9도에 도시되고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접점의 두 열에서 후방 대 후방 접점 가지 사이의 간격은 커넥터(20) 내의 임의의 두 접점의 어떠한 형체의 두 점 사이의 최소 거리(136)이다. 접점의 모든 형체는 최소한 상기 최소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제1도를 참고로 하면, 전단면(106, 114)을 형성하는 절결부의 깊이는 대향 채널(128)에 수용된 접점 상의 최근접 형체와 각전단면 사이에서 최소한 최소 간격(136)을 유지하도록 선택된다. 견부(116)의 위치는 최소한 최소 간격(136)을 유지하도록 전향 단부(119)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택된다. 견부(104)의 위치는 최소한 최소 간격(136)을 유지하도록 전향 단부(119)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택된다. 상기 방법에서, 접점 사이의 아크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 하도록 임의의 한 접점 상의 임의 형체와 인접한 접점 상의 임의 형체 사이의 최소 공기 간격을 유지하여 접점 상으로 통과하는 신호 전압이 커넥터를 사용하기에 실제적인 전압에 도달하도록 하는 고밀도 커넥터가 제공된다. 적절한 실시 예에서, 상기 최소 공기 간격은 약 0.635㎜(0.025 인치)이다.
하우징(22)은 리본 케이블(82)의 대량 접속을 효과적으로, 또는 접속 위치에 리본 케이블(82)을 유지하도록 하우징에 고정되는 접속 커버(24)를 구비한다. 어떠한 공지된 접속 커버라도 충분하다. 그와 같은 접속 커버 중의 하나가 미국 특허 제 4,938,711호에 개시되어 있다.
차폐된 패널 장착 커넥터로써의 커넥터(20)가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20)의 결합 단부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합체되는 미국 특허 제 4,808,125호의 기술 내용에 따른 다이 캐스트 하우징(140)과 전기 연결된 외피(138)로 둘러 싸여 있다. 외피(138)는 패널(144) 내의 구멍(142) 내의 구멍(142)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그곳에서 고정된다.

Claims (5)

  1. 결합면(26), 접속면(28), 및 상기 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내부에 고정된 접점(32)을 가지는 다수의 접점 수용 통로(30)를 가지는 유전체 하우징을 구비하며, 제 1 단부 상의 결합부(34)와 제 2 단부 상의 도체 접속부(38) 및 상기 단부 사이의 중간부(40)를 갖는 상기 다수 접점 중 적어도 제 1 및 제 2 접점(32a, 32b)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34) 및 상기 중간부(40)의 제 1 영역(35 또는 121)은 평면이며, 상기 도체 접속부(38) 및 상기 중간부(40)의 제 2 영역(41 또는 123)은 평면이고 상기 결합부(34) 및 상기 중간부의 제 1 영역(39 또는 121)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40)는 상기 도체 접속부(38)와 면하는 삽입 견부(108 또는 116)를 한정하는 전기 커넥터(20)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은 일열의 통로와 인접한 통로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 1 접점(32a)은 각각 상기 도체 접속부(38)에서 제 1 소정 거리에 위치한 상기 삽입 견부(116)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 2 접점(32b)은 각각 상기 도체 접속부(38)에서 제 2 예정 거리에 위치한 상기 삽입 견부(116)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 2 거리는 제 1 거리보다 작게 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32a)은 그 삽입 견부(116)에 힘을 가함으로써 통로(30) 내에 삽입될 수 있고 그 후 상기 제 2 접점(32b)은 공구가 제 1 접점의 삽입 견부(116)를 방해하지 않고도 삽입 견부(108)에 힘을 가함으로써 통로(30) 내에 삽입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32a)은 상기 중간부(40)의 제 1 영역(121) 내에 절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결부는 후향 대향 단부(112)를 한정하며, 상기 후향 대향 단부(112)는 상기 후향 대향 단부가 상기 제 2 접점(32b)에서 최소한 소정의 최소 간격이 되도록 상기 제 1 영역(121)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32a)은 상기 중간부(40)의 제 1 영역(121) 내에 절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결부는 측방 대향 단부(114)를 한정하며, 상기 측방 대향 단부(114)는 상기 측방 대향 단부(114)가 상기 제 2 접점(321))에서 최소한 소정의 최소 간격이 되도록 상기 제 1 영역(121)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점(32b)은 상기 중간부(40)의 제 1 영역(39) 에 절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결부는 후향 대향 단부(104)를 한정하며, 상기 후향 대향 단부(104)는 상기 후향 대향 단부(104)가 상기 제 1 접점(32a)에서 최소한 소정의 최소 간격이 되도록 상기 제 1 영역(39)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점(32b)은 상기 중간부(40)의 상기 제 1 영역(39) 내에 절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결부는 측방 대향 단부(106)를 한정하며, 상기 측방 대향 단부(106)는 상기 측방 대향 단부(106)가 상기 제 1 접점(32a)에서 최소한 소정의 최소 간격이 되도록 상기 제 1 영역(39)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19900007938A 1989-05-31 1990-05-31 고밀도 리본 케이블 커넥터 KR0148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923189A 1989-05-31 1989-05-31
US359231 1989-05-31
US359,231 1989-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292A KR900019292A (ko) 1990-12-24
KR0148251B1 true KR0148251B1 (ko) 1998-09-15

Family

ID=2341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938A KR0148251B1 (ko) 1989-05-31 1990-05-31 고밀도 리본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22078A (ko)
EP (1) EP0400834B1 (ko)
JP (1) JP2627352B2 (ko)
KR (1) KR0148251B1 (ko)
CA (1) CA2015898C (ko)
DE (1) DE6901870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8534A1 (de) * 1992-11-14 1994-05-19 Minnesota Mining & Mfg Einteiliges Kontaktelement
US6333833B1 (en) * 1994-07-14 2001-12-25 Nomai S.A. Hard disk platter assembly with plastic hub for use in a removable cartridge
JPH08124638A (ja) * 1994-10-20 1996-05-17 Amp Japan Ltd 表面実装型コネクタ及びその電気コンタクト
JP2942979B2 (ja) * 1994-11-21 1999-08-3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5885113A (en) * 1995-05-11 1999-03-23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Connector with retained contacts
US5725386A (en) * 1996-05-24 1998-03-10 The Whitaker Corporation Board-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GB9610994D0 (en) * 1996-05-24 1996-07-31 Amp Espa Ola S A Insulation piercing plugging contact
US5779489A (en) * 1996-05-24 1998-07-14 The Whitaker Corporation Board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US6431889B1 (en) * 1997-12-23 2002-08-13 Berg Technology, Inc. High density edge card connector
US6056603A (en) * 1998-04-08 2000-05-02 The Whitaker Corporation Sacrificial plastic rib for contact retention
US6261118B1 (en) * 1998-06-30 2001-07-17 Avaya Technology Corp.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erminal for a network interface device
EP1089889B1 (en) 1998-07-02 2003-02-26 The Boler Company. Trailing arm axle/suspension system
US6068504A (en) * 1998-09-08 2000-05-30 Molex Incorporated Selective termination connector assembly
US6113438A (en) * 1999-06-16 2000-09-0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2001102118A (ja) * 1999-10-01 2001-04-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端子金具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端子金具の製造方法
JP2005183273A (ja) * 2003-12-22 2005-07-0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保持構造
DE102004054203A1 (de) * 2004-11-10 2006-05-11 Erni Elektroapparate Gmbh Schneidklemm-Steckkontaktleiste für elektrische Steckverbinder
US20080297988A1 (en) * 2007-05-31 2008-12-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Interconnect module with integrated signal and power delivery
DE102008062578B3 (de) * 2008-12-16 2010-07-08 Pre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sseraufnahmekontaktes
CN102456962B (zh) * 2010-10-23 2014-10-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导电端子
US11658426B2 (en) * 2017-10-31 2023-05-23 J.S.T. Corporation IDCC connection system and process
US10186789B1 (en) 2018-04-13 2019-01-22 Rustcraft Industries LLC Keyed cable and connec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0055A (en) * 1972-11-14 1974-06-25 Amp Inc Multi-contact connector and contact terminal for flat cable
US4068912A (en) * 1977-02-25 1978-01-17 Amp Incorporated Cable clamping insulation displacing electrical connector for multi-conductor flat flexible cable
DE2644296A1 (de) * 1976-09-30 1978-04-06 Siemens Ag Dreireihiger leitungsstecker mit sogenannten kontaktgabeln zum anschliessen von flachbandkabeln
US4143935A (en) * 1978-03-13 1979-03-13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 Electrical connector
US4252397A (en) * 1979-07-12 1981-02-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sulation piercing electric connector bonded to electric conductor
US4359257A (en) * 1979-07-09 1982-11-16 Amp Incorporated Modular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EP0043183B1 (en) * 1980-05-29 1985-04-17 Fujitsu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JPS5929946B2 (ja) * 1980-06-06 1984-07-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ブル用コネクタ
US4475786A (en) * 1982-09-07 1984-10-09 Amp Incorporated T Bar cover latch
JPS60167285A (ja) * 1984-02-10 1985-08-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多心フラツトケ−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S61248380A (ja) * 1985-04-24 1986-11-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多心フラツトケ−ブルの圧接結線方法及び多心フラツトケ−ブル用電気コネクタ
US4621885A (en) * 1985-09-20 1986-11-11 Amp Incorporated Ribbon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cover latch
US4693533A (en) * 1985-09-20 1987-09-15 Amp Incorporated Ribbon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cover latch
US4773876A (en) * 1986-06-02 1988-09-27 Hirose Electric Co., Ltd. Multi-conductor flat cable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tion method thereto
JPH0738309B2 (ja) * 1986-09-30 1995-04-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結線方法
US4781615A (en) * 1987-08-31 1988-11-01 Amp Incorporated Cable terminating cover retention system
US4808125A (en) * 1987-08-31 1989-02-28 Amp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with diecast housing and drawn sh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18704D1 (de) 1995-05-24
EP0400834A2 (en) 1990-12-05
CA2015898A1 (en) 1990-11-30
JPH0317970A (ja) 1991-01-25
KR900019292A (ko) 1990-12-24
JP2627352B2 (ja) 1997-07-02
CA2015898C (en) 1996-04-23
US5122078A (en) 1992-06-16
DE69018704T2 (de) 1996-01-11
EP0400834A3 (en) 1991-07-17
EP0400834B1 (en)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251B1 (ko) 고밀도 리본 케이블 커넥터
CA1310085C (en) High density ribbon cable connector and dual transition contact therefor
EP076102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uides
US5037334A (en) Connector with equal lateral force contact spacer plate
US4789346A (en) Solder post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US20020072275A1 (en) Connector socket, connector plug and connector assembly
US20030176111A1 (en) Connector
KR940016993A (ko) 단자 정렬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S61248375A (ja) 電気コネクタ
US5080596A (en) Connector with contact spacer plate providing greater lateral force on rear contacts
US4676576A (en) Communications connector
US5415566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688897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824757B2 (ja) 電気コネクタ
JP3424150B2 (ja) 電気コネクタ
US4959030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wo flat cables to a circuit board
KR19980702431A (ko) 터미널 지지벽을 갖춘 전기커넥터
US4439001A (en) IDC Socket connector
EP1538706B1 (en) A connector fixing bracket
JP2965210B2 (ja) 電気コネクタ
US5114362A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a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6293829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wire management system
KR0138521B1 (ko) 도전부재를 도체핀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한 케넥터
EP0189641B1 (en) Electrical connector arrangement for interconnect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an insulated cable
CA2089461C (en) Circuit bo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