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247B1 -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247B1
KR0148247B1 KR1019940010031A KR19940010031A KR0148247B1 KR 0148247 B1 KR0148247 B1 KR 0148247B1 KR 1019940010031 A KR1019940010031 A KR 1019940010031A KR 19940010031 A KR19940010031 A KR 19940010031A KR 0148247 B1 KR0148247 B1 KR 0148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ser
handed
pen
dictio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찌 스나까와
가쯔또시 시마다
에이사꾸 다쯔미
노리유끼 스즈끼
가쯔히꼬 나가사끼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663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093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48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305045B2/ja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8Determining representative reference patterns, e.g. by averaging or distorting; Generating 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G06V30/1423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the instrument generating sequences of posi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handwr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9Recognition using electronic means
    • G06V30/191Design or setup of recognition systems or techniques; Extraction of features in feature space; Clustering techniques; Blind source separation
    • G06V30/1914Determining representative reference patterns, e.g. averaging or distorting patterns; Generating dictionaries, e.g. user 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6Matching; Classification
    • G06V30/373Matching; Classification using a special pattern or subpattern alphab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적을 인식할 수 있는 입력 펜이 있는 핸드 헬드 컴퓨터이다. 문자는 화면의 앞에서 투명한 좌표 입력 판 상에 입력펜으로 유저의 손에 의해 입력된다. 컴퓨터는 유저의 펜 입력 특징을 판별하여 판별 결과에 따라 문자 인식 딕셔너리를 선택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2도는 제1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제1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문자-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오른손잡이 입력용 패턴 매칭 사전(pattern matching dictionary)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왼손잡이 입력용 패턴 매칭 사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제1실시예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8도는 제3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10도는 제4실시예에 따른 좌표 검출 회로 주변의 소자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11도 내지 제13도는 제4실시예에 따른 저항막을 사용하여 좌표 검출의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14도 내지 제17도는 제4실시예의 도미넌트-핸드(dominant-hand)검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8도는 제4실시예의 도미넌트-핸드(dominant-hand)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제19도는 제4실시예의 화면 전체와 표시 영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20도는 제4실시예의 표시 방향과 그 표시된 내용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21도는 제4실시예에 따른 제어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22도는 제5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23도는 제5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사시도.
제24도는 제5실시예에 따른 제어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26도는 제25도의 검출 회로(60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27도는 제6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사시도.
제28도는 표시 화상과 표시용 메모리의 내용 간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29a도 내지 제29c도는 제6실시예의 제1 및 제2 변환 회로에 의한 변환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30도는 제6실시예에 따른 좌표 검출 및 출력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31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사시도.
제32도는 제31도의 선 A-A로 절취한 단면도.
제33도는 제7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하부 평면도.
제34도는 제33도의 선 B-B로 절취한 단면도.
제35도는 제33도의 선 C-C로 절취한 단면도.
제36도는 제7실시예의 종속 장치의 사시도.
제37도는 제36도의 선 D-D로 절취한 단면도.
제38a도 내지 제38d도는 제7실시예의 종속 장치에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39도는 종속 장치에의 장치의 결합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0도는 제7실시예의 검출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41도는 제7실시예의 논리 표시 간격 및 물리적 표시 간격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42a도 내지 제42d도는 종속 장치에 관련하여 장치의 본체의 결합 방향에 따른 표시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제43도는 제7실시예에 따른 좌표 방향 및 출력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44도는 본 발명 제8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하부 평면도.
제45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라 제36도의 선 E-E로 절취한 단면도.
제46도는 제9실시예로서 직립 상태로 종속 장치와 결합시킨 장치의 본체의 사시도.
제47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48도는 제47도의 전원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49도는 제10실시예의 종속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50도는 제10실시예의 광 통신 플레인의 온/오프 제어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51도는 제10실시예에 따른 통신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52도는 제10실시예의 전력 인터 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53도는 제10실시예에 따른 조작 방향 변경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54도는 제10실시예의 조작 방향 변경 지시의 표시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55도는 제10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종속 장치의 결합시의 구동/비구동 설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56a도 및 제56b도는 제1실시예1에 따라, 종속 장치에 대한 장치 본체의 접속 방향을 검출하기 위해 정보 처리 장치의 본체의 전극 접점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제56c도는 제11실시예에 따라, 종속 장치에 대한 장치 본체의 접속 방향을 검출하기 위해 정보 처리 장치의 종속 장치의 전극 접점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제57도는 제11실시예의 종속 장치의 광 통신부에서의 LED 및 포토다이오드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제58도는 제11실시예의 종속 장치의 광 통신부에서의 복수의 LED 및 포토다이오드의 구동/비구동의 제어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59도는 제58도의 선택 신호에 의한 선택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제60도는 제58도의 선택 신호 논리의 판별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입력/출력 포트(I/0 PORT) 5 : 표시 출력부
6 : 압점 검출 회로 9 : 핸드 센서(우측)
10 : 핸드 센서(좌측) 12 : 진동자 구동 회로
19 : 수신파 검출회로 20 : 펜 코넥터 센서(우측)
21 : 펜 코넥터 센서(좌측) 40 : 오른손잡이 입력용 패턴 매칭 사전
41 : 왼손잡이 입력용 패턴 매칭 사전 101, 102 : 디지타이저
104 : 펜 105 : 펜 구동 회로
106 : 핸드 검출 회로 107 : 좌표 검출 회로
110 : 표시 제어 회로 111 : 표시용 메모리
본 발명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펜과 같은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정보 처리 장치로서 퍼스널 컴퓨터 및 워드 프로세서와 같은 여러 장치들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장치들은 문서나 프로그램 등의 문자 데이타를 표시하고, 편집, 검색, 그리고 그밖의 다른 처리를 행하고 있다.
또한, 손으로 문자 및 도형을 정보 처리장치내에 입력하는 장치로서, 입력 펜 및 입력 태블릿(input tablet)을 포함하는 다양한 좌표 입력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입력 장치로는 입력된 궤적을 기억하고, 이 입력된 궤적을 출력하는 장치 뿐만아니라, 입력된 문자 패턴에 따라 패턴 매칭 방법을 이용하여 문자 인식을 행하는 장치도 사용되고 있다.
패턴 매칭 장치에는 입력 문자 패턴과의 조합을 행하기 위한 패턴 매칭 사전이 갖추어져 있어서, 입력되는 다양한 필기체(handwriting)에 대하여 최고의 문자인식율을 나타내도록 최적화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패턴 매칭 사전이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자주 오인식을 행하는 일이있다. 따라서, 유저는 장치에 인식되기 쉬운 필기체로 문자를 쓸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불편함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은 여러 가지 필기체에 대비하여 복수의 패턴 매칭 사전을 준비하고, 유저의 필기체 특징에 따라 사전을 전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 있어서는 상이한 필기체 특징을 갖고 있는 다른 유저가 문자 입력을 행하려고 할 때마다 패턴 매칭 사전을 전환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유저는 현재 사용중인 사전이 무엇인가를 알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유저에게 불편함을 초래한다.
최근, 펜 입력 컴퓨터가 일반 대중의 주의를 끌고 있다. 이러한 장치의 조작성의 개선점의 하나는 유저가 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방향에 따라 그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다. 이로인해 유저는 장치의 앞면과 면하는 위치에 있을 필요가 없으며 적당한 방향에서 표시된 화면을 볼 수 있다.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하나의 가능한 수단은 화면상이나 장치의 주위에 어느방향을 위로할 것인가를 지시하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 스위치이다. 그러나 이것은 입력 방향(즉, 유저가 위치해 있는 방향, 그리고 유저가 입력하는 방향)이 변경될 때마다 유저가 스위치를 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이런 종류의 장치가 범용으로 사용되고 응용 소프트웨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소프트웨어 자체가 방향 변경 기능을 갖지 않으면, 표시 방향이 장치에 의해 변경 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임의로 특정하게 수동 설정하지 않고서도 복수의 유저용 문자 인식 사전을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자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 방향과 관련하여 항상 적절한 방향에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응용 프로그램과 관계없이 유저가 위치해 있는 방향과 관련하여 항상 적절한 방향에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임의의 접속 방향, 즉 컴퓨터가 기능 확장 장치와 접속될 때 컴퓨터의 단측 또는 장측이 평행하는 방향에서 핸드 헬드(hand-held) 컴퓨터와 기능 확장 장치를 접속하고, 입력 방향과 관련해 적당한 방향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잇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아울러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도면 전체를 통해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첨부한 도면은 상세한 설명과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실시예 1]
장치 외관의 설명(제2도)
제2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장치는 입력펜을 사용하여 좌표 위치를 지시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좌표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제2도에서, 도면 참조 부호(8)는 좌표의 지시를 행하기 위한 입력 펜을 나타내며, 도면 참조 부호(7)는 정보의 입력을 행하기 위한 입력 태블릿(tablet)이고, 도면 참조 부호(22,23)는 유저가 입력을 행할 때에 손을 놓는 팜레스트(palm rest)이다. 팜레스트(22)는 오른손으로 입력을 행할때에 사용되고, 팜레스트(23)는 왼손으로 입력을 행할 때 사용된다. 입력 태블릿(7)은 투명한 판이며, 그 판 밑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가 설치되어 있어 유저가 입력펜(8)을 사용하여 입력한 스트로크(stroke)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그 스트로크를 선으로 표시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유저가 용지상에 펜으로 쓰는 것과 같이 입의의 필기체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의 장치는 단순한 문자 인식 장치가 아니라 문서의 편집 등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지만, 본 발명의 특징이 입력 조작시의 문자 인식에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장치의 문자 인식에 관한 설명만을 하고자한다.
장치 구성의 설명(제1도)
제1도는 제1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CPU(1)는 ROM(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RAM(3)에 제어 데이타를 저장하면서 정보 처리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도면 참조 부호(4)는 프린터, 키보드, 또는 모뎀 등의 주변기기에 접속되어 있고, 데이타의 입/출력을 행하는 I/O 포트이고, 도면 참조 부호(5)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로 구성되며 화상 및 문자 데이타 등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출력부이다. 또한 표시 출력부(5)는 반드시 액정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CRT 디스플레이나 그 밖의 방식의 디스플레이어도 관계없다.
도면 참조 부호(11)는 좌표의 입력을 행하는 좌표 입력 장치인데, 본 실시예 에서는 저항막을 사용한 디지타이저를 사용했다. 물론 다른 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도면 참조 부호(7)는 저항막을 사용한 투명한 입력 태블릿이다. 유저가 입력 펜(8)으로 태블릿면을 누르게 되면, 입력 태블릿(7)은 이에 대응하는 좌표를 입력하는 것이다. 이 입력 태블릿(7)은 저항막이 형성되어 있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포함한다. 우리판상의 저항막은 재료, 즉 ITO(인듐 주석 산화물)를 사용하여 진공증착 혹은 인쇄하는 등으로 하여 형성된다. 유리판과 PET막은 저항막 면과 막이 서로 마주하는 방식으로 층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양자의 사이에는 미소한 실리콘 고무 등의 스페이서(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어, 막의 표면이 눌린 지점에서만 양자의 저항막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유리판, 막 모두 저항막의 양단부에는 해당 저항막으로의 전압의 인가 내지는 전위의 계측을 위한 단자로서 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참조 부호(6)는 저항막의 양단으로의 일정 전압의 인가와 전위의 계측을 행하는 압점 검출 회로이며, 계측된 전위의 크기에 의해 압력 위치를 검출한다.
도면 참조 부호(9,10)는 각각 팜 레스트(22,23)에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가를 검출하는 핸드 센서이다. 유저가 입력을 행하려고 하여 팜 레스트(22,23)에 손을 둔때에 핸드 센서(9,10)는 이것을 검출하여 CPU(1)에 검출 결과를 출력한다. 핸드센서(9,10)는 압력을 검출할 뿐만 아니라 온도의 검출나 팜 레스트의 용량 변화 등도 검출한다.
도면 참조 부호(40,41)은 문자 인식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패턴 매칭 사전이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문자 인식(제3-5도)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문자 인식을 이하 간단히 설명한다. 유저의 손이 팜레스트(22)에 놓여있는 상태가 검출되면, 유저가 오른손에 입력펜(8)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반대로 유저의 코넥터가 팜레스트(23)에 놓여있는 상태가검출되면, 유저가 왼손에 입력펜(8)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패턴 매칭 사전(40,41)중 하나가 선택된다.
제3도는 문자 인식 입력을 행하는 경우의 표시 출력부(5)의 표시 화면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제3도에서, 도면 참조 부호(30)는 문자 입력 프레임을 나타낸다. 유저가 문자 입력 프레임(30)내에 문자를 기입하려고 문자 입력 프레임(30)상의 입력 태블릿(7)에 입력 펜(8)에 의해 입력을 행하면, 문자 패턴은 패턴 매칭 방법 등에 따라 CPU(1)에 의해 문자 인식되어 문서 파일 속에 입력된다.
문자 인식의 개시 타이밍은, 예를 들면 하나의 입력 프레임에 입력된 후 소정 시간 경과한 후, 혹은 소정의 펜지시(문자 인식 표시)를 행한 경우, 혹은 다음 입력 프레임에 펜입력이 개시된 경우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패턴 매칭 사전(40,41)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사전(40)는 오른손잡이 입력용 패턴 매칭 사전 이고, 사전(41)는 왼손잡이 입력용 패턴 매칭사전이다. 즉, 패턴 매칭 사전(40,41)은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 조작자에 의한 여러 가지 필기체에 대하여 최고의 문자 인식율을 나타내도록 최적화 되어 있다.
이어서, 제1실시예에 따른 처리 동작을 제6의 플로우 챠트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플로우챠트에 관한 프로그램은 ROM(2)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턴 매칭 사전은 핸드 센서(9,10)의 검출 결과, 즉 팜레스트(22,23)중 어느것이 눌렸는지에 따라 선택된다.
먼저, 단계(S101)에서, 좌표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예이면, 단계(S102)로 진행하고, 아니오이면 입력을 기다리는 단계(S101)로 복귀한다. 그후, 펜입력을 검출한 경우, 단계(S102)로 진행하여 입력된 좌표의 궤적에 따라 문자 패턴 입력을 행한다. 하나의 문자의 패턴 입력이 완료되면 단계(103)로 진행한다.
단계(S103)에서는, 좌측 핸드 센서(10)로부터 좌측 팜레스트(23)의 눌린 상태를 판독한다. 단계(S104)에서는 우측 핸드 센서(9)로부터 우측 팜레스트(22)의 압력상태를 판독한다. 단계(S105)에서는 센서(10)로부터 입력된 상태에 따라 좌측 팜레스트가 눌렸는지를 판단한다. 예이면 단계(106)로 진행하고, 아니오이면 단계(107)로 진행한다. 단계(S106)에서는 왼손잡이 입력용 사전(41)가 선택되고 단계(S110)로 진행한다.
단계(S107)에서는, 센서(9)로부터 판독된 상태에 따라 우측 팜 레스트(22)가 눌렸는지를 판단한다. 예이면 단계(S108)로 진행하고, 아니오이면 단계(S109)로 진행한다. 단계(S108)에서는 오른손잡이 입력용 사전(40)가 선택되고 단계(S110)로 진행한다.
어떠한 눌림 상태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이것은 센서의 이상이나 유저가 입력하는 방향이 다른 경우(장치에 대해 역으로 입력된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펜 입력을 무효로 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히 정보의 출력을 행하고 단계(S109), 단계(S110)로 진행한다. 단, 이경우에는 유저가 어느쪽의 코넥터에 펜을 갖고 있는지를 특정할 수 없으므로, 사전은 직전에 선택된 것을 이용한다.
단계(110)에서는, 입력 문자 패턴과 선택된 사전에 따라 패턴 매칭이 행해진다. 이어서 단계(S111)에서는 패턴 매칭의 결과의 문자 코드를 표시 출력부(5)상의 소정 위치에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 센서(9,10)는 우측 및 좌측 팜레스트(22,23)의 상태를 검출하고, 패턴 매칭 사전은 검출 결과에 따라 전환된다. 따라서, 유저는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 입력용 패턴 매칭 사전을 세팅하기 위해 임의의 특정 세팅을 변경하지 않아도 되므로 문자 인식율을 향상시킨 바람직한 정보 처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손잡이 입력 및 왼손잡이 입력용의 2종류의 페턴 매칭 사전을 이용하고 있으나 패턴 매칭 사전의 수가 증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오른손잡이 입력 및 왼손잡이 입력에 공통인 임의의 패턴 매칭 사전이 제3의 사전으로서 추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이 공통 사전이 제5도의 단계(S110)에서 세트된다. 이로인해 센서가 이상을 나타낸 경우 혹은 이전의 입력과는 다른 코넥터을 가진 인간이 입력을 행한 경우에도 높은 문자 인식율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제1실시예는 유저의 필기체의 특징으로써 오른손잡이 입력 또는 왼손잡이 입력의 검출에 따라 패턴 매칭 사전을 전환하였다. 제2실시예는 유저가 기록하는 압력(기록할 때 입력 태블릿을 누르는힘)에 따라 사전을 전환하는 구성이다.
이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의 핸드 센서(9,10)는 팜 레스트(22,23)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검출했으나, 제2실시예에 따른 핸드 센서(9,10)는 복수의 유저를 식별하기 위해 검출된 압력에 따라 다중 레벨 데이타를 출력한다. 한편, 압력센서는 검출된 압력값에 따라 유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펜(8)의 펜 포인트에 제공될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문자 패턴이 입력된 경우, 핸드 센서(9,10) 각각이 팜 페스트(22,23)에 가해지는 기록 압력을 검출하여 이 검출된 압력값을 CPU(1)에 출력한다. CPU(1)는 검출된 유저의 기록 압력에 따라 높은 압력, 중간 압력 및 낮은 압력 각각에 최적화된 패턴 매칭 사전을 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유저의 기록 압력을 검출하여 패턴 매칭 사전을 전환함으로써 문자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오른손/왼손잡이 입력의 검출 및 기록 압력의 검출 결과의 결합으로 보다 많은 유저를 식별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펜의 기록 압력에 의해 유저의 식별을 행했으나, 개인별의 사전을 갖는다는 의미는 아니다(물론 메모리 용량에 문제가 없으면 관계없다). 개인별 사전의 경우에, 그들의 기록 스타일(궤적)이 유사한 경우 다른 유저에 대해서도 동일한 사전이 선택될 수 있다. 실제로, 개인별 사전의 수는 N으로 제한되어 있다(유저의 수 이하). 이 경우, 오른손/왼손잡이 입력을 나타내는 기록 및 데이타 등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와 선택되는 사전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를 준비해 두면, 적어도 문자 인식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는 유저가 자주쓰는 코넥터을 판별하기 위해 우측 또는 좌측 팜레스트에 가해지는 압력의 검출을 이용한다. 제3실시예는 유저가 자주 쓰는 손을 판단하기 위해 복수의 코넥터를 제공한다.
장치 외관의 설명(제8도)
제8도는 제3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좌표 입력 장치로서 초음파 디지타이저를 사용하고 있다.
제8도에서, 도면 참조 부호(18)는 좌표 입력을 위한 입력 태블릿이고, 도면참조 부호(13)는 좌표의 지시를 위해 접속 테이블(26)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로 구동되는 입력펜이며, 도면 참조 부호(24,25)는 입력펜(13)과 장치를 접속시키기 위한 펜 코넥터이다. 오른손잡이 유저는 펜 코넥터(24)에 입력펜(13)을 접속시키지만, 왼손잡이 유저는 펜 코넥터(25)에 입력펜(13)을 접속시킬 수 있으므로, 유저에게 편리한 측으로 접속 케이블(26)을 이동시킬 수 있다.
장치의 구성(제7도)
제7도는 제3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1실시예에 사용된 구성요소와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병기하였으므로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7도에서, 도면 참조 부호(18)는 초음파 센서인 압전 소자(16A,16B,16C)입력면의 주변부에 배치한 태블릿이고, 도면 참조 부호(17)는 태블릿(18) 주변을 포위하는 식으로 배치된 탄성파를 흡수하는 반사 방지 부재이고, 도면 참조 부호(13)는 초음파 진동자(14) 및 펜포인트(15)으로 구성된 입력펜이며, 도면 참조 부호(12)는 진동자 구동회로이며, 입력펜(13)에 설치된 초음파 진동자(14)를 구동하고 있다. 도면 참조 부호(19)는 수신파형 검출 회로이며, 각 센서(16A,16B,16C)로 부터의 초음파 수신 신호를 입력하여 파형을 검출하고 있다.
진동자 구동 회로(12)는 CPU(1)로 부터 스타트 신호를 수신하여 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펄스 신호는 초음파 진동자(14)를 구동하도록 케이블(26)을 통해 입력 펜(13)의 초음파 진동자(4)에 인가된다. 이 펜 포인트(15)가 태블릿(18)의 입력면을 누르면, 펜포인트(15)로부터 탄성파로서의 초음파가 태블릿(18)상에 전파되고 센서(16A,16B,16C)에 의해 수신된다. 펜 포인트(15)가 태블릿(18)를 누르는 점과 초음파가 센서에 의해 수신되는 점간의 각 지연시간 tg은 스타트 신호와 동기된다. 수신파 검출 회로(19)는 상기 결과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파형을 출력한다. 연산제어부(11)는 수신파 검출 회로(19)의 출력으로부터 펜포인트(15)에 의해 압점의 좌표위치를 연산한다.
도면 참조 부호(20,21)는 각각 펜 코넥터(24,25)에 입력펜(13)이 접속되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우측 펜 코넥터 센서 및 좌측 펜 코넥터 센서를 나타낸다. CPU(1)는 펜 코넥터 센서(20,21)에 의해 우측 코넥터(24) 및 좌측 코넥터(25) 중 어느 것이 입력펜(13)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검출한다.
제3실시예의 CPU(1)에 의한 제어 처리 절차도 제6도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에 따르면 좋다.
즉, 제3실시예에서, 단계(S101,S102)는 제1실시예에 대응하고 있다. 단계(S102,S103)에서, 펜 코넥터 센서(20,21)로 부터의 신호가 검출된다. 단계(S105)내지단계(S109)에서, 패턴 매칭 사전은 센서(20,21)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선택된다. 어어서 단계(S110)에서, 문자 인식을 선택된 사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인식 결과로서의 문자 코드의 출력은 단계(S111)에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는 입력 펜이 접속되는 위치를 검출하여 패턴 매칭 사전을 전환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입력펜에 의한 좌표 데이타 입력 장치를 가진 정보 처리 장치에서, 입력 방향(유저가 문자 입력을 하는 방향)을 특정화하는 제1 방법은 유저가 입력 방향을 선택하도록 입력 방향 선택 화상을 표시하며 선택된 입력 방향에 따라 입력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2방법은 입력펜의 경사를 검출하여 검출된 결과에 따라 입력 방향을 특정화하는 것이다. 입력 펜의 경사를 검출하는 기구로서는 입력펜에 수은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입력펜 내부에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제공하여 펜이 수직일 때에만 발광 소자로부터 발광시킨 광이 수광 소자에 입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방법에서는 유저가 입력 방향을 변경하려고 할 때마다 입력 방향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2 방법은 입력펜의 구성이 복잡하게되는 외에, 입력펜을 집는 방법에 개인차기 있기 때문에 개인마다 입력 방향을 등록할 필요가 있다.
제4실시예는 개인이 주로 사용하는 손(dominant hand)을 검출된 손 방향에 따라 입력 방향을 특정화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소한다.
제9도는 제4실시예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참조 부호(101)는 제1실시예의 투명한 입력 태블릿(7)과 유사한 저항막 방식의 디지타이저 이고, 도면 참조 부호(102)는 제3실시예의 태블릿(18)과 유사한 초음파 방식의 디지타이저이며, 도면 참조 부호(103)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도면 참조 부호(104)는 디지타이저 면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좌표 데이타를 입력하는 펜이고, 도면 참조 부호(105)는 소정의 주파수로 펜(104)을 진동시키기 위한 펜 구동회로이며, 도면 참조 부호(106)는 디지타이저(101)에 대한 좌표 검출 회로(도미넌트-핸드(dominant-hand)검출회로)로, 펜 및 유저의 코넥터의 위치에 따라 좌표를 검출한다. 좌표 검출 회로(107)는 펜 입력의 기록 방식으로부터 펜 입력의 좌표를 검출한다. 이 좌표 검출회로(107)는 펜 입력 좌표를 검출하는 디지타이저(102)용 좌표 검출 회로이다. 도면 참조 부호(108)는 입력 방향 판단 회로이며 도미넌트-핸드 검출 회로(106)와 좌표 검출회로(107)의 검출 결과를 입력으로 하여 입력 방향을 판단한다. 도면 참조 부호(109)는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CPU이고, 도면 참조 부호(110)는 LCD(103) 및 표시용 메모리(111)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회로이며, 도면 참조 부호(112)는 RAM, 도면 참조 부호(113)는 ROM이다.
저항막 방식 디지타이저에서의 입력 좌표 검출의 원리를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좌표 입력부에는 2개의 저항막(201,202)이 실리콘 고무등의 스페이서를 통하여 소정 거리 만큼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저항막은 통상은 접촉하고 있지 않으나 좌표 입력 면에 눌림 현상이 발생하면 그 압점에서 2개의 저항막이 접촉하게 된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막(201)은 그의 2 대향면에 전극(A,B)을 갖고 있고, 저항막(202)은 그의 그 대향면에 전극(C,D)을 갖고 있다. 이들 전극은 좌표 검출 회로(107)에 접속되어 있으며 소정의 전압이 제공된다.
제11도는 좌표 입력면에 압력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압력이 가해지면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점(P)에서 2개의 저항막이 서로 접촉한다. 좌표 검출회로(107)는 전극(A)와 전극(B)간에 또는 전극(C)와 전극(D)간에 소정의 전압(Vcc)을 인가하고 전극(C 또는 D) 또는 (A 또는 B)로부터 고저항을 가진 전압 검출 회로를 사용하여 점(P)에서 전압을 검출한다. 좌표 검출 회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좌표 값의 X 및 Y 성분을 검출한다. 좌표 검출 회로는(107)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10도에서, 도면 참조 부호(203)는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한 회로 접속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 회로이고, 도면 참조 부호(204)는 전환 회로(203)을 통해 얻어진 접촉점(P)에서 전압을 증폭하기 위한 연산 증폭기이다. 이 연산 증폭기(204)는 전환회로(203)을 통해 얻어진 점(P)에서의 전압을 측정하며, 전압 폴로워(voltage follower)로서 고 입력 저항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점과 검출점간의 저항막에 의한 전압 강하를 무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산 증폭기(204)의 입력 단자에서의 전압은 수 MΩ정도의 고전항에 의해 접지 전위로 풀 다운(pull-down)되어 있고, 저항막으로부터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연산 증폭기(204)를 통해 제로볼트(0V)가 검출된다. 그리고 연산 증폭기로부터 검출된 전압 정보는 A/D 변환회로 (205)를 통해 CPU(109)에 입력된다.
이어서, 제9도의 구성을 갖는 입력 방향 판단 회로(108)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입력 방향 판단 회로(108)는 상부 방향, 하부 방향, 우측 방향 그리고 좌측 방향으로부터의 입력에 대하여 판단을 행하다. 먼저, 유저가 오른손잡이 인지 왼손잡이 인지를 등록한다. 이것은 유저가 펜입력에 의해 오른손 입력인지 왼손 입력인지를 선택하도록 선택 화면을 표시함에 의해 수행된다. 등록 결과는 입력 방향 판단 회로(108)에 저장된다.
이 상태에 의해 유저가 화면에 대하여 펜 입력을 행한 것으로 한다. 즉 펜 구동회로(105)에 의해 구동된 펜(104)을 화면에 접촉점(X1,X1)에서 접촉시키면, 펜(104)의 진동이 디지타이저(102)에 전파된다. 좌표 검출 회로(107)는 입력 좌표를 검출한다. 간단히 설명하면, 펜(104)으로부터의 진동(초음파)가 펜 접촉점을 중심으로 하여 주위로 디지타이저(102)의 표면상에 전파된다. 따라서, 진동 검출 회로와 접속점간의 거리는 접촉시간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이 검출된 시간까지의 지연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펜(104)의 접촉점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진동 검출 회로를 갖는다. 이 경우에, 좌표 검출은 초음파의 성질에 의해 유저의 코넥터의 접촉 방식으로부터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는다.
펜으로 입력하 경우, 펜 포인트가 태블릿면을 누르는 동안기록하는 사람의 손의 일부분이 태블릿면이 일부분과 접촉하는 것은 당연하다. 즉, 도미넌트 핸드는 태블릿과 접촉하는 손이다.
펜(104)으로 초음파 진동에 의해 좌표 입력을 행하는 경우, 디지타이저(104)가 유저의 손이 태블릿 면과 접촉하는 위치를 검출한다.
손의 접촉점이 Q(X2,Y2)인 경우, 제12도 및 제13도의 상태는 제14도 내지 제17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제14도는 제10도의 좌표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접촉점(Q)의 X 좌표는 접촉점(P)의 X 좌표 보다 작다. 제15도는 접촉점(Q)의 X 좌표가 접촉점(P)의 X 좌표 보다 큰 것을 나타낸다. 이와 유사하게, 제16도는 접촉점(Q)의 Y좌표가 접촉점(P)의 Y좌표보다 작은 것을 나타내고, 제17도는 접촉점(Q)의 Y좌표가 접촉점(P)의 Y좌표보다 큰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18도는 펜 입력과 손 접촉점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18도에서, 영역(A)는 제14 및 제16도에 도시한 상태에 대응하고, 영역(B)는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상태에 대응하며, 영역(C)는 제15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상태에 대응하며, 영역(D)는 제14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상태에 대응한다. 이때에 디지타이저(101)에 의해 검출된 전압은 코넥터 접촉이 없는 경우에 검출된 것과 다르다.
손 접촉이 없는 경우 제11도의 점(C)에서의 전압 Vc(또는 Vd)는 다음과 같이 (LCD는 640 * 480 도트를 갖고 있다) 디지타이저(102)의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되는 좌표(x1 y1)로 표현된다. 즉
Vc = Vd = (x1/640) * Vcc (a)
이어서, 손 접촉이 있는 경우, 제14도에서 (Vc 또는 Vd)와 Vc' 또는 Vd'간의 비료는
Vc(=Vd)Vc'(=Vd') (b)
이와 유사하게, 제15도의 경우에
VC(=Vd) Vc' (=Vd') (c)
코넥터 접촉과 펜 입력간의 관계는 상기 표현식으로부터 x축에 관련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16도 및 제17도의 경우에, 코넥터 접촉과 펜 입력간의 관계는 y축과 관련하여 판단될 수 있다.
입력 방향 판단 회로(108)는 다음의 판단 법칙에 따라 입력 방향의 판단을 행한다.
(1) Vc(=Vd) Vc' (=Vd')
Va(=Vb) Va' (=Vb') 그리고
유저는 오른손잡이다
또는
Vc (=Vd) Vc' (=Vd'),
Va (=Vb) Va' (=Vb')그리고
유저는 왼손잡이이다 인 경우
입력 방향 : 제18도의 E
(2) Vc (=Vd) Vc' (=Vd')
Va (=Vb) Va' (=Vb')그리고
유저는 오른손잡이이다
또는
Vc (=Vd) Vc' (=Vd'),
Va(=Vb) Va' (=Vb') 그리고
유저는 왼손잡이이다인 경우 입력 방향:제18도의 F
(3) Vc (=Vd) Vc' (=Vd'),
Va (=Vb) Va' (=Vb') 그리고
유저는 오른손잡이이다
또는 Vc(=Vd) Vc' (=Vd'),
Va (=Vb) Va' (=Vb') 그리고
유저는 왼손잡이이다 인 경우 입력 방향 : 제18도의 G
(4) Vc (=Vd) Vc' (=Vd')
Va (= Vb) Va' (=Vb') 그리고
유저는 오른손잡이이다
또는
Vc (=Vd) Vc'(=Vd'),
Va (=vb) Va' (=Vb') 그리고
유저는 왼손잡이이다인 경우 입력 방향 : 제18도의 H
입력 방향 판단 결과는 LCD(103)상에서의 화면 표시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19도는 RAM(112) 내에서의 전체 논리 화상 영역(301)과 물리적 표시 영역(302)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CPU(109)는 표시 제어 회로(110)를 통해 표시 영역(302)내의 데이타를 표시형 메모리(111)로 전송한다. 즉 제20도에 도면 참조 부호(401) 내지 도면 참조 부호(404)로 도시한 표시 방향의 변화는 표시 영역 또는 전체 화상 영역 내의 데이타의 전송 순서를 변경 함에 의해 행해진다.
화상 표시 방향 제어는 제21도의 플로우챠트와 관련하여 설명하다. 이 제어처리 절차에 대한 프로그램은 ROM(113)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단계(S801)에서, 입력 방향 판단 회로(108)에 의한 입력 방향 판단이 행해진다. 단계(S802)에서, 단계(S801)에서 판단된 입력 방향에 따라 데이타 판독 및 데이타 변환을 선택한다.
제18도에서, 입력이 G 방향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RAM 영역(301)의 표시 영역(302)내의 모든 데이타가 아무런 변환 없이 표시용 메모리(111)로 전송된다.
입력이 방향 E, F 및 G중 임의의 방향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RAM 영역(601)에 있는 데이타가 판독되어, 대응하는 화상 회전 처리 동작(데이타 변환) (단계(S805, S807, 및 S809)중 임의의 단계)이 행해진다(혹은, 표시용 메모리(111)로 데이타가 전송되는 기입 방향).
어떠한 경우이더라도, 처리는 단계(S810)로 진행하게 되지만, 여기에서는 변환된 데이타가 표시 제어 회로(110)를 통해 표시용 메모리(110)로 전송된다. 단계(S811)에서, 표시 제어 회로(110)는 LCD(103)로 표시용 메모리(11)에 대한 데이타를 출력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표시 방향이 변화된다.
상기한 동작은 유저가 입력 방향을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입력 방향에 따라 데이타를 변환함에 의해 펜입력을 할 수 있는 입력 방향에 따라 표시 방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102)에 의해 검출된 접촉점(p)의 좌표와 디지타이저(101)에 의해 검출된 접촉점(Q)의 좌표를 비교함으로써 펜접촉점(P)과 코넥터접촉점(Q)간의 위치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이 위치 관계는 다른 수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입력면이 너무작으면,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팜레스트에 제공되는 압력 센서가 유리할 수 있고, 입력면이 크면 제4실시예의 구성이 유리할 수 있다.
[실시예 5]
제5실시예는 펜 입력 좌표 및 코넥터 접촉점을 검출하기 위해 층에 저항막형 디지타이저 및 초음파형 디지타이저를 이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입력 방향 판단 결과는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것 이외의 다른 처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5실시예는 표시 프레임 상에서 팜레스트로서 작용하는 스위치에 의해 코넥터 접촉 위치를 검출하며 문자 인식을 위해 입력 방향 판단 결과를 이용한다. 또한, 제5실시예는 상향/하향 방향에서 입력 방향 판단을 행하며, 동시에 유저가 오른손잡이/왼손잡이 인지의 입력의 판단을 행한다.
제22도는 제5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참조 부호(501) 내지 도면 참조 부호(504)는 내장된 압력 센서(도시 생략)로 펜입력에 따르는 손 접촉을 각각 검출하는 핸드 검출 패드를 나타낸다. 제23도는 장치의 외관을 일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유저가 한 방향으로부터 펜 입력을 행하면, 디지타이저(102) 및 좌표 검출회로(107)가 입력 좌표를 검출한다. 동시에, 핸드 검출회로(505 내지 508)는 핸드 검출패드(501 내지 504)로 코넥터 접촉을 검출한다. 입력 방향 (제18도의 E, F, G, H) 및 오른손잡이/왼손잡이 입력은 핸드 검출 회로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따라 판단된다.
(a) 검출회로(505)에 의해 검출 : 방향 G, 오른손잡이
(b) 검출회로(506)에 의해 검출 : 방향 G, 왼손잡이
(c) 검출회로(507)에 의해 검출 : 방향 E, 오른손잡이
(d) 검출회로(508)에 의해 검출 : 방향 E, 오른손잡이
이와 같이 얻어진 입력 방향 판단 결과는 문자 인식을 위해 데이타 변환에 이용된다. 입력 방향 판단이 위방향이면 입력 데이타는 다음 방정식에 따라 변환된다 (LCD(103)는 640 * 480 도트이다).
(x,y) = (640 - x1, 480-y1)
x, y : 유저용 좌표 데이타
x1, y1 : 절대 좌표 데이타
입력 방향이 아래 방향이면, 어떤 데이타 변환도 수행되지 않는다.
제5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제24도의 플로우챠트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단계(S1101)에서는 손 접촉이 검출됐는지를 판단하고, 단계(S1102)에서는 입력 좌표가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양 단계(S1102)에서 예이면 손접촉 검출 결과에 대응하는 처리가 수행된다.
손 접촉이 핸드 검출 회로(507)에 의해 검출된 경우, 입력 좌표 데이타가 단계(S1103)에서 상기 변환 방정식에 따라 변환된다. 단계(S1104)에서는 오른손잡이 입력용 사전이 세트된다.
손 접촉이 핸드 검출 회로(508)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단계(S1105)에서 입력좌표 데이타가 변환된다. 왼손잡이 입력용 사전은 단계(S1106)에서 세트된다.
손 접촉이 핸드 검출 회로(505) 또는 핸드 검출회로(506)에 의해 검출된 경우 처리 절차가 단계(S1104) 또는 단계(S1105)는 진행한다.
단계(S1107)에서는, 단계(S1104) 또는 단계(S1106)에서 세트된 사전과 데이타간의 패턴 매칭이 행해진다. 인식 결과가 표시된다.
제5실시예는 손 접촉을 검출하기 위해 핸드 검출 패드를 이용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 데이타 변환은 각 입력방향에 대한 많은 사전을 준비하는 대신에 단지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 입력용 사전 만을 요한다. 아울러, 제5실시예는 입력 방향과 동시에 유저가 잘쓰는 손의 판단도 특정하게 의식하는 일 없이 높은 문자 인식률을 제공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 각각은 2개의 디지타이저 및 손 접촉 검출을 위한 핸드검출 패드를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실시예에서, 입력 방향 판단 결과는 표시 방향 변화 및 문자 인식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입력 방향 판단 결과는 다른 제어 용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4실시예는 유저가 펜입력을 행하는 방향을 검출하여 유저에게 적당한 방향에 화상을 표시한다. 유저가 위치해 있는 방향을 특정하는 이러한 구성은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그리고 모든 방향에서의 필기체를 인식할 수 있는 제5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는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문자 패턴입력이 행해졌는지 검출하여, 검출된 결과에 따라 패턴 매칭 사전을 변환함으로써 유저가 임의로 세팅함이 없이 자동적으로 적절한 패턴 사전을 선택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 장치에서 유저는 펜 입력의 입력 방향 판단을 의식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유저에 대한 정확한 필기체 인식을 임의의 특정한 수동 세팅 없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항상 적절한 방향에서 표시된 화상을 볼 수 있다.
[실시예 6]
제25도는 제6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참조 부호(601)는 전용 입력 펜(601a)이 누르는 점의 좌표를 입력하기 위해 투명한 압력 감지 태블릿을 포함하는 입력 유닛이며, 도면 참조 부호(602)는 LCD를 포함하는 출력 유닛이다. 입력 유닛(601) 및 출력 유닛(602) 각각은 일체로 입-출력 유닛을 형성한다. 도면 참조 부호(603)는 입력 방향을 검출하고 제어 회로(606)에 검출된 결과를 전송하는 검출 회로이고, 도면 참조 부호(604)는 표시용 메모리(RAM,605)의 저장된 내용에 따라 출력 유닛(602)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회로이다. 또한, 표시 제어회로(604)는 제어 회로(606)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표시용 RAM(605)의 데이타를 변경한다.
표시용 메모리(605)는 출력 유닛(602)에 표시되는 데이타를 저장한다. 제어회로(606)는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도면 참조 부호(607,608)는 검출회로(603)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따라 데이타를 변환하는 변환 회로이다.
도면 참조 부호(609)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이고, 도면 참조부호(610)는 ROM 또는 RAM과 같은 메모리이다.
제26도는 검출회로(603)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일체형 입출력 유닛으로서 입력 유닛 및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는 각 측면의 동일한 위치에 4개의 전원 공급 시스템(DC잭)을 갖는다. 유저가 상기 임의의 전원 공급 시스템으로 DC 플러그를 삽입했을 때 이 장치에 전원이 공급된다. 제26도에서, 검출 회로(603)의 구성은 이들 전력 공급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26도에서, 도면 참조 부호(651 내지 654)는 DC 잭을 나타내는데, 각각은 전원 공급라인, 접지 라인 그리고 표시 방향 제어 신호 라인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유저의 앞이나 장치의 일측에 있는 케이블은 유저의 동작을 방해하므로 장치에 대해 전원 공급 케이블은 장치의 뒤쪽에 제공된다. 즉, DC 플러그가 삽입되는 DC 잭을 검출하는 것은 유저가 위치하는 입력 방향을 특정화하는데 대응한다. 이 실시예에서 DC 플러그(656)가 삽입되는 경우, 임의의 DC 잭(651 내지654), 즉 DC 잭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화상이 유저에게 적절히 표시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다.
도면참조 부호(655)는 가정용 전원과 장치를 접속하고, A/D 변환을 행하며, 그리고 전원 공급라인, 접지 라인 그리고 표시 방향 제어 신호 라인을 전환하기 위한 AC 어댑터를 나타낸다. 도면 참조 부호(657)는 장치 본체를 나타낸다.
제27도는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참조 부호(680)는 케이블과 입력펜(601)이 접속되는 캐비넷이다. DC 잭(651 내지 654)은 케이스 부재의 각 측면에 제공된다(DC 잭(653,654)도시 생략).
이어서, 제6실시예에 따른 표시 방향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표시된 화상은 표시용 메모리(605)의 비트맵 데이타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표시용 메모리(605)에 기입된 각 도트 정보는 턴온 상태의 표시된 화상의 동일 위치의 도트와 일치한다. 제28도는 출력 유닛의 표시 화상과 표시용 메모리(605)의 내용간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는 단순하게 되어있지만, 복잡한 숫자 또는 선정된 길이의 문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상의 실제 도트 수는 더욱 많다. 제28도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도트수는 a, 그리고 수직 방향에서의 도트 수는 b이다.
DC 플러그(656)가 임의의 DC잭(651 내지654)에 삽입되면 장치에 전기가 제공되고, 동시에 표시 방향 제어 신호(P,Q,R,S)중 하나가 변환 회로(607,608)로 전송된다. 변환 회로는 다음 방정식의 하나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타에 대한 변환을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환 회로(607)는 입력 유닛(601)으로부터 입력된 좌표데이타를 변환하고, 변환 회로(608)는 출력 유닛(602)으로 출력되는 좌표 데이타를 변환한다. 신호(P)가 하이레벨 일 때에는 변환 회로가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다.
(1) 신호 Q가 하이일 때
bit (x,y) = bit (int{a/b-yin)}, int{b/a'xin)} ''' ①
bit (xout,your) = bit (int{a/b'y}, int({b/a'(a-x)}) ''' ②
(2) 신호 R이 하이일 때
bit (x,y) = bit (int{a-xin), int(b-y}) ''' ③
bit (xout,yout) = bit (int{a-x}, int{b-y}) ''' ④
(3) 신호 S가 하이일 때
bit (x,y) = bit (int{a/b'yin}, int{b/a(a-xin)}) '''⑤
bit (xout,yout) = bit(int{a/b(b-y)}, int({b/a'x}) ''' ⑥
(xin,yin)는 입력 유닛(601)의 좌표이고, (X,Y)는 제어 회로(606) 및 프로세서(609)의 좌표이며, 그리고 (xout,yout)는 출력 유닛(602)의 좌표이다. a 및 b는 화상 크기이고, int(a/b'y)는 연산값(a/b)'y의 정수 부를 나타낸다. 제29a도 내지 제29c도는 상기 방정식에 각각 대응하는 좌표 변환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표시 방향 제어는 제30도의 플로우차트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이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은 메모리(610)의 ROM(도시생략)에 저장되어 있다.
먼저, 장치의 전원이 턴온되면, 단계(S601)에서 신호(P) 내지 (S)중 어느것이 하이로 되어 있는지에 의해 입력 방향(유저가 위치해 있는 방향)을 검출한다. 단계(S602)에서는 좌표가 입력 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예 이면 단계(S603)로 진행하고, 아니오이면 좌표 입력을 기다린다. 단계(S603)에서, 입력 좌표가 변환 회로(607)로 전송된다. 단계(S604)에서, 단계(S601)에서 검출된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데이타 변환 방법이 변환 회로(607)에서 선택된다.
신호(Q)가 하이이면 단계(S605)에서 방정식 ①에 따라 데이타 변환이 행해진다. 신호(R)가 하이이면 단계(S606)에서 방정식 ②에 따라 데이타 변환이 행해진다. 신호(S)가 하이이면 단계(S607)에서 방정식 ⑤에 따라 데이타 변환이 행해진다. 신호(P)가 하이이면 어떤 데이타 변환도 행해지지 않는다.
이어서, 처리 절차는 단계(S607)에서 데이타를 처리하는 프로세서(609)로 변환된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 단계(S608)로 진행한다(데이타를 응용 소프트웨어로 전송). 단계(S610)에서, 처리된 데이타는 수신된 데이타에 따라 출력 유닛(602)에 표시되는 데이타를 변환회로(608)로 출력하는 제어회로(606)로 전송된다. 단계(S611)에서는, 단계(S601)에서 검출된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 데이타 변환 방법이 선택된다. 신호(Q)가 하이이면, 단계(S612)에서 방정식 ②에 따라 데이타 변환이 수행되며, 신호(R)이 하이이면, 단계(S613)에서 방정식 ④에 따라 데이타 변환이 수행되며, 신호(S)가 하이이면 단계(S614)에서 방정식 ⑥에 따라 데이타 변환이 수행된다.
단계(S615)에서, 변환된 데이타는 표시용 메모리(605)로 전송된다. 단계(S616)에서, 표시 제어 회로(604)가 표시용 메모리(605)의 데이타를 출력 유닛(602)으로 출력하면, 이에 따라 화상이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유저가 DC잭중 어느 하나에 DC 어댑터를 삽입하는 것으로부터 입력 방향 및 이에 대응하는 표시 방향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입력펜에 의해 표시된 도트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도트가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것은 장치 자체가 절대 좌표 시스템을 유저에게 적절한 방향의 좌표 시스템으로 변환시키기 때문이며, 입력 방향에 따라 입력 좌표의 처리시 이 장치는 좌표 시스템을 다시 절대 좌표시스템으로 변환시킨다.
[실시예 7]
제7실시예는 일체형 입출력 유닛을 가진 정보 처리 장치와 장치에 접속되는 케이블간의 접속에 따라 입력 방향을 검출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디지타이저, 디스플레이, CPU, 배터리, 백업 메모리 및 HDD를 포함하는 장치 본체와, FDD를 포함하는 종속 장치, RS232C 및 프린터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I/F, 배터리 및 AC/DC 변환기 등을 포함하는 I/O 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장치 본체와 종속 장치의 착탈은 복수의 방향으로 가능하며, 그리고 별합 방향을 검출하면 입력 방향을 특정화할 수 있다. 메인 시스템 구성(장치 본체 및 종속 장치)은 제25도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차이가 있다면 구성이 2개의 장치로 분리되어 있다는 점이다.
제31도는 정보 처리 장치 본체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장치 본체의 외관은 수지앞판(701), 케이스(702) 그리고 하부판(703)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평행 육면체이다. 앞판(701)은 중앙 부분에 입력면으로서의 투명한 디지타이저(704)가 디지타이저(704) 밑의 LCD(801)에 제공되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개구이다. 케이스(702)의 측면은 입력펜(705)을 위한 펜홀더(706), 메인 스위치(707), LCD(801)용 콘트라스트 조정 노브(708), IC 카트 코넥터(도시생략) 및 DC 잭(도시생략)을 갖고 있다. 제3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702)이 각 측면은 두 위치에서, 타원형의 오목한 안내부(1501a 내지 1501d)를 갖는데, 각각은 장치 본체를 종속 장치에 접속 하기 위한 결합 부재의 일부분이다. 아울러, 제31도에서 입력 펜(705)용 코넥터(도시 생략)는 (펜홀더(706)가 제공되는)오른쪽면에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코넥터가 펜 홀더에 의해 가려 보이지 않는다. 입력펜(705) 및 코넥터는 펜 홀더(706)와 오른쪽면간의 갭에 감겨지는 코드(70)와 접속된다.
제32도는 제31도의 선A-A로 절취한 장치 본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33도는 장치 본체의 하부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702)는 층에 디지타이저(704) 및 LCD(801)를 갖고 있다. 또한, 장치 본체의 전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의 CPU, 메모리, LCD 제어 회로, 디지타이저 제어 회로, 및 전원회로가 장착되는 인쇄기판(802)이 LCD(801) 밑에 제공된다. 앞판(701), 케이스(702) 및 하부 판(703)은 탄성 후크로 고정되어 있다. 제33도에서, 4개의 오목부(901,902,906,907)는 각각 결합부재의 일부이며, 이들과 반구형상 볼록부(803a 내지 803d)는 하부판(703)상에 제공된다. 또한 광통신용 윈도우(903a 내지 903h)은 장치 본체의 길이 방향에 제공되고, 하부판(703)의 4개의 모퉁이에는 그루부(904a 내지 904)그리고 코드(709)를 수용하기 위한 고무피트(905a SOWL 905d)가 제공되어 있다. 볼록부(803a 내지 803d)의 높이는 고무 피트(905a 내지 905d)의 높이 보다 짧다.
제34도는 제9도의 선 B-B로 절취한 오목부(901)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임의의 다른 오목부(902,906,907)의 단면은 오목부(901)의 단면과 동일하다. 4개의 오목부(901,902,906,907) 각각은 개개의 4개의 측면 중 하나의 각 측면에 제공되는 개구(901a, 902a, 906a, 907a)을 갖고 있으며, 개구(901a, 902a, 906a, 907a) 각각은 판스프링(1001a 내지 1001d)을 갖는다. 제35도는 제33도의 선c-c로 절취한 오목부(901)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개구(901a, 902a, 906a, 907a) 각각을 2개의 전극핀(1101a, 1101b, 1101c, 1101d)을 포함하는 전극(1101)을 갖는다. 오목부(901, 902, 906, 907)는 각각 측면과 관련한 대응 위치에 제공된다.
이어서, 디지타이저(704)의 구성을 이하 설명한다. 디지타이저에 의한 좌표검출에는 여러 가지 방법을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초음파 검출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 이유는 좌표 입력판으로서 유리판을 이용할 수 있어서 유저가 LCD에 표시되는 화상을 명확히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투명한 재료를 적용할 수 있는 임의의 검출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진동자를 내장하고 있는 입력펜(705)이 좌표 입력판(진동 전달 판)과 접촉하게 되면, 그 접촉점을 중심으로 하여 진동이, 진동 전달판 주위에 고정된 복수의 진동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각 센서가 진동을 검출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센서와 접촉점 간의 거리에 의존하는데, 접촉점과 각 센서간의 거리는 입력펜이 입력판과 접촉하는 점으로부터 각센서가 진동을 검출하는 점까지의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좌표는 기하학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진동 전달판에는 진동 방지 부재가 제공되는데, 이 진동 방지 부재는 진동 전달 판의 단부로부터 반사된 진동을 흡수하도록 그 측면 주위의 진동을 감쇄시킨다. 또한, 진동 전달 판에는 각 진동 센서로 부터 신호를 검출하여 전달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검출 회로가 제공된다
이어서, 종속 장치의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제35도는 제7실시예의 종속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 종속 장치는 좌우측의 짧은 면에 2개의 L자형 측면을 가진 장방형 평행육면체이다. 이 장치는 하부 케이스(1202)와 수지 상부 케이스(1201)를 포함하는데, 상부 케이스는 그 상부면(1201b)의 일측에 장방형 평행육면체의 볼록부(1201a)를 갖고 있다. 이 종속 장치의 폭은 장치 본체의 폭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상부 케이스(1201)는 상부면(1201b)에 후크(1203) 및 게지 부재(1204), 그리고 광통신 윈도우(1205a 내지 1205g)을 갖는다. 게지 부재(1204), 그리고 광통신 윈도우(1205a 내지 1205g)을 갖는다. 게지 부재(1204)는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상부측으로 바이어스되며, 소정의 힘을 받았을 경우 하부측으로 이동한다. 광 통신 윈도우(1205a 내지 1205d)는 수직 방향(짧은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고,윈도우(1205d 내지 1205g)는 수평 방향(긴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며, 긴면에 평행한 상부에 볼록한 면을 갖고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201)는 볼록부(1201a) 상에 종속 장치로부터 장치 본체를 분리시키는 해제 버튼(1206)과, 전원 및 FDD 동작을 위한 표시기인 LED(1207a, 1207b)를 갖는다. 해제 버튼이 눌리면 내장된 회전기구(도시생략) 및 슬라이딩기구(도시 생략)가 게지 부재(1204)를 아래로 이동시킨다. 볼록부(1201a)는 그 내측면(상부면(1201b)의 상부측과 접촉하는 면)의 좌, 우측면 주위에 각각 안내핀(1208a,1208b)과, 이 안내핀(1208a) 주위에서 결합 상태 검출을 위한 작동핀(1209)를 갖는다. L자형면 중 하나 (우측면)는 내장된 FDD(1210)의 슬롯을 갖는다. I/O 포트, 네트워크 I/F, 키보드 코넥터 및 DC잭(전부도시 생략)는 다른 L자형 면측(좌측면)에 내장된다.
제37도는 제36도의 선 D-D로 절취한 후크(1203)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부 케이스(1201)는 종속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CPU, 메모리 및 광통신장치가 장착되는 인쇄기판(1301)을 갖는다.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가각 바이어스되는 2개의 전극핀(1302a, 1302b)을 갖는 전극(1302)은 후크(1203)의 내측에 제공된다.
이어서, 장치 본체와 종속 장치의 부착/분리를 제38a도 내지 제38d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장치 본체가 상부의 짧은면에 사용된다.
먼저, 장치 본체와 종속 장치를 제38D도와 같이 결합시켰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에, 종속 장치는 장치 본체의 하부 및 상부와 접촉한다. 장치 본체의 상부 및 하부면의 길이는 수평방향(장치 본체의 짧은 측면에 평행한 방향)에서 종속 장치의 볼록부(1201a)를 따른 길이와 일치한다. 장치 본체의 상부측면과 종속장치의 볼록부(1201a)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있다. 안내핀(1208a,1208b)은 장치 본체의 상부측면에서 2개의 안내부(1501a, 1501b)로 삽입된다. 후크(1203)는 장치 본체의 하부면 상의 오목부(901)에 위치 설정되고, 후크(1203)의 일부분이 개구(901a)속에 삽입된다.
또한, 볼록부(803a 내지 803d) 중 하나는 종속 장치의 상부 케이스(1201)의 상부면(1201b)과 접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치 본체와 종속 장치가 그들의 두께 방향으로 극히 적은 백래시(backlash)로 결합된다. 또한, 수직 방향으로의 장치의 결합은 안내부(1501a,1501b)의 하부면 안내핀(1208a,1208b)의 상부면, 오목부의 개구(901a)를 대면하는 측면 그리고 볼록부(1201a)와 면하는 후크(1203)의 측면에 의해 극히 적은 백래시를 제공한다.
또한, 오목부(901)의 개구부(901a)의 측면은 후크(1203)의 끝단부와 접촉되며, 안내부(1501a)의 하나의 곡선 측면은 안내핀(1208a)의 측면과 접촉된다. 종속 장치의 게지 부재(1204)의 우측면은 오목부(901)의 우측면에 소정의 갭이 있는 오목부(901)에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치 본체와 종속 장치는 매우적은 백래시로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렇게 부착되면, 종속 장치의 작동핀(1209)이 장치 본체의 상부측면에 의해 눌려, 결합 검출 스위치가 작동하게 된다. 장치 본체의 하부면상의 광 통신 윈도우(903a 내지 903d)의 위치는 광 통신 윈도우(1205a 내지 1205d)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또한, 장치 본체의 전극(1101a,1101b)이 소정의 스프링 힘에 의해 종속 장치의 전극(1302a,1302b)과 접촉 하므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어서, 장치의 부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38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는 종속 장치의 상부면(1201b)에 놓인다. 이때에, 이 장치들이 제3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동된다. 이 때는 장치 본체의 상부 측면 및 안내핀(1208a,1208b)이 안내부(1501a,1501b)에 삽입되지 않는다. 그리고,종속장치의 후크(1203)는 장치 본체의 오목부(901)로 삽입된다. 제38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를 이동시켜서 장치 본체의 상부 측면과 종속 장치의 볼록면(1201a)을 접촉시킨다. 이때에, 안내핀(1208a,1208b)이 안내부(1501a,1501b)에 삽입된다. 작동핀(1209)은 안내부(1501a)에 놓이며, 그것에 눌리지 않는 때에는 부착 상태 검출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다. 이어서, 제38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된다. 이때, 오목부(901)의 개구(901a)의 측면(도시 생략)은 후크(1203)의 끝단부와 접촉하고, 안내부(1501a)의 곡선측면 중 하나는 안내핀(1208a)의 측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러한 운동으로 후크(1203)가 오목부(901)의 개구(901a) 속에 삽입된다. 또한, 이때 장치 본체의 하부면의 운동으로 게지 부재(1204)가 아래 방향으로 이송하고, 게지 부재가 오목부(901)의 위치에서 자유상태로 된다. 이때 게지 부재는 다시 위로 바이어스된다.
이어서, 분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속 장치의 볼록부(1201a)의 해제버튼(1206)이 눌려어 게지 부재(1204)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결합되었던 방식과 반대의 방식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후, 장치가 그들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내핀(1208a,1208b)이 안내부(1501a,1501b)로부터 제거되어 분리가 왼료된다.
이어서, 장치가 상부의 긴 측면에 사용되는 경우의 착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장치 본체가 90° 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제39도는 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장치 본체의 상부 측면은 장치 본체가 상부의 짧은 면에 사용됐을 때 좌측면이 되는 측면이다. 장치 본체의 현재의 우측면(장치가 상부의 짧은 면에 사용되는 상부 측면)과 종속 장치의 우측의 L자형 측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이 되게 된다. 이러한 결합에 있어서, 안내부(1501a,1501b)와 안내핀(1208a,1208b)간의 위치관계, 오목부(902)와 종속 장치의 후크(1203) 간의 위치 관계, 오목부(902)와 종속 장치의 후크(1203)간의 관계 그리고 결합 동작을 상부의 짧은 면을 사용했을 때의 결합 동작과 유사하다. 즉, 상부의 긴 측면을 사용하는 경우의 안내부(1501c,1501d)와 오목부(902)의 위치는 상부의 짧은 측면을 사용하는 경우의 안내부(1501a,1501b) 및 오목부(901)에 대응한다. 또한, 광 통신 윈도우(903a 내지 903d)의 위치는 광 통신 윈도우(1205d 내지 1205g)의 위치에 대응한다. 수직으로 배열된 윈도우 및 수평으로 배열된 윈도우의 교차점에 윈도우(1205d)가 위치함에 따라, 장치 본체는 상부의 짧은 측면을 사용하거나 상부의 긴 측면을 사용하는 양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2가지 경우에 있어서, 결합된 정보처리 장치가 데스크와 같이 수평면에 놓이는 경우, 입력면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다. 해제 버튼(1206)을 누름으로써 분리되어 게지 부재(1204)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결합 방법은 다른 두 결합 방향에 각각 대응한다. 즉 장치 본체 및 종속 장치는 장치 본체가 상부의 다른 짧은면 및 상부의 다른 긴면에 사용되는 경우에 따라 착탈될 수 있다.
상술한 장치의 착탈에 있어서, 장치가 서로에 대해 이동할 때 착/탈 안내부로써 종속 장치의 볼록부(1201a)가 작용함으로써, 수동 착/탈 동작 동안 유저가 불록부(1201a)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착.탈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제40도는 입력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40도에서, 도면 참조 부호(1601 내지 1604)는 풀-다운(pull-down) 저항을 나타낸다.
장치 본체가 상부의 짧은 면을 사용하여 종속 장치와 결합되어 있다고 하면, 4개의 전극(1101a 내지 1101d) 중 하나가 전기를 전도하여, 신호(p) 내지 (Q)에 대응하는 하나의 신호가 장치 본체의 변환 회로(107) 및 변환회로(108)로 전송된다.
제6실시예에서, 유저 또는 응용 소프트 웨어는 출력 유닛(602)의 해상도에 따라 하나의 픽셀의 크기를 조정한다. 예컨대, 출력 유닛(602)이 200(수직) x 400(수평) 도트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각 도트는 좌표(x,y) (x≤400, y≤200)으로 표현되고, 입력 방향이 유저로부터 90° 만큼 이동되는 경우, 200 x 400 도트용 좌표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픽셀이 수직 방향에서 2배로 되고 수평방향에서 반으로 감소된 것임을 의미한다. 이것은 정보의 내용을 변화시키지 않지만 표시된 정보의 종횡비를 변화시킨다. 또한, 종횡비는 표시된 내용이 변화되더라도 유지될 수 있는데, 이는 1도트의 측정값이 모든 방향에 대하여 동일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표시 방법을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제41도는 전체 화상 영역(논리 표시 공간; 1701)과 메모리의 RAM(610)의 표시영역(물리적 표시 공간, 1702)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제어회로(606)가 표시 제어 회로(604)를 통해 표시 영역(1702)에 있는 데이타를 표시용 메모리(605)로 전송한다. 따라서, 표시영역(1702)에서 데이타의 전송 순서를 변화시킴에 의해 표시 화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표시 영역(1702)에서의 표시 방향을 입력 방향으로서 장치 본체의 결합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표시 영역(1702)의 데이타가 제4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 데이타는 제42a도 내지 제4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의 결합 방향에 따라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장치 본체는 동일 방향에 놓여 있지만, 장치 본체와 관련된 종속장치의 접속 방향은 다르다. 제42a도에서, 유저는 화살표(4201)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하부방향에 위치하며, 제42b도에서, 유저는 화살표(4202)로 표시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에 위치하고; 제42c도에서 유저는 화살표(4023)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방향에 위치하고; 제42d도에서, 유저는 화살표(420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 방향에 위치한다. 제42a도 내지 제42d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저의 적당한 방향에서 동일한 측정값을 갖는 화상은 장치 본체의 설정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간단히 장치의 결합시 상부의 볼록부(1201a)에 종속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제43도는 제7실시예에 따른 표시 방향제어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그 동작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면 참조 부호를 갖는 제30도와 대응한다(단계(S601) 내지 단계(S611)). 이 처리 과정에서, 하나의 도트의 측정값은 장치 본체의 결합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함으로, 단계(S607)에서의 배율(a/b 또는 b/a)은 1로 계산한다.
단계(S601) 내지 단계(S611)에서, 장치 본체와 종속장치의 결합 방향이 검출되고, 입력 좌표가 정정되며 그리고 정정된 좌표가 응용 소프트웨어로 전송된다.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표시된 좌표 위치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단계(S611)에서 검출된 결합 방향에 따라(즉, 신호(P) 내지 (S) 중 임의의 것) 단계(S1901, S1902, S1904, S1906) 중 임의의 단계로 진행한다.
신호(P)가 하이 상태이면, 즉 전체 화상 영역(1701)의 표시 방향 및 표시 영역(1702)의 표시 방향이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표시 영역(1702)의 지시 데이타가 단계(S1901)에서 판독되어 단계(S615)에서 데이타의 표시방향을 변화시키지 않고 표시용 메모리(605)로 전송된다.
신호(Q,R,S) 중 임의의 신호가 하이 상태이면, 표시 영역(1702)의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해 각각의 해당되는 단계(S1902, S1904, S1906)로 진행하고 대응하는 화상 회전 동작(데이타 변환)을 수행하도록 단계(S1903, S1905, S1907)로 더 진행하여 적절한 방향으로 표시방향을 변환한다. 그런 후에, 변환된 데이타는 단계(S615)에서 표시용 메모리(605)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데이타 전송이 완료되면 표시용 메모리(605)에 저장된 데이타에 따라 제42a도 내지 제42d도에 도시한 표시 상태중 임의의 표시 상태로 화상이 표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의 데이타가 일단 판독되면, 회전 처리와 같은 데이타 변환이 데이타에 대해 수행되어, 변환된 데이타가 표시용 메모리(605)로 전송된다. 그러나, 판독 개시 어드레스 및 판독 방향이 장치 본체의 입력 방향에 따라 판단될 수 있으며 데이타는 판단된 방향에 따라 판독 및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데이타 전송시 어드레스는 상승 순서 또는 하강 순서로 각 방향에서 변화하고, 초기 데이타 전송을 수반하는 각 라인에 대한 데이타 전송시의 어드레스 위치를 얻는 방법이 각 방향에서 변할 수 있지만, 고속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다. 예컨대, 응용 소프트웨어가 화상의 스크롤링을 지시하면, 스크롤링되어야 하는 방향을 종속 장치에 대한 장치 본체의 부착 방향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전체 화상 영역과 관련된 표시 영역의 위치(논리적 표시 공간)를 정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7실시예의 정보처리 장치는 장치 본체 및 종속된 본체로 분리된다. 유저가 장치 본체를 종속장치에 결합하는 경우, 수동 결합 조작은 입력 방향 검출 조작에 대응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저는 자유롭게 표시 방향 및 그 대응 입력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 종속 장치 간의 데이타 통신은 장치간에 어떤 접촉도 요하지 않는 광 통신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유저는 전원온 상태로 장치 본체의 방향을 변경하여 종속장치에 장치본체를 재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적절한 방향에 표시되는 화상을 항상 얻을 수 있다.
[실시예 8]
제7실시예은 4방향에서 장치본체와 종속 장치를 결합시키고 있다. 실제로, 이들 4개의 입력 방향은 두 방향으로 감소될 수 있다. 즉 장치의 표시가 상부의 짧은 측면과 함께 사용됐는지 또는 상부의 긴측면과 사용됐는지에 따르므로 두 방향으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두 방향만의 접속을 행하면 끝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유저는 다른 2 방향의 접속이 행해지지 않는 것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두 방향이 접속되지 않는 것과 오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제4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속장치의 후크(1203)용의 2개의 오목부(901,902)를 구비한 장치 본체가 제공될수 있다.
이것은 광통신용의 윈도우(903a, 903d) 만을 필요로 하므로 비용이 절감된다.
이 장치의 다른 소자는 제7실시예의 소자와 동일하므로 이들 소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43도의 플로우 챠트에서, 입력 방향의 수가 두 개인 경우 단계(S606, S607, S1904 내지 S1907)는 생략될 수 있다. 제7실시예와의 다른 차이는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쉽게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9]
제7실시예에서는 장치 본체가 종속 장치와 결합되는 경우에, 장치 본체의 무게로 인해 결합된 장치가 유저 방향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그러나, 장치의 구성을 미리 이러한 경사를 얻도록 배열할 수 있다.
제45도의 도면은 제36도의 선 E-E으로 절취한 단면도로서, 장치 본체의 하부면에 고무피트(1212)를 양측면에 설치한 구성이다. 고무재료를 이용하여 장치의 진동을 방지한다. 또한, 종속 장치의 뒷면(안내핀(1208a, 1208b)을 가진 측면에 대향하는 볼록부(1201a)의 측면)은 장치를 직립상태로 세울 때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스탠드(1224)로 구성할 수 있다. 제4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1224)는 종속 장치의 뒷면에 대하여 180° 이상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제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의 표시부는 위 방향과 면하는 상부면과 경사져 있다. 종속장치의 좌우면은 이러한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진동을 방지하도록 고무 피트(1213)로 구성되어 있다(고무 피트(1213) 사이에는 스탠드(1224)가 제공된다).
제46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표시되는 화상이 상하역전되므로, 스탠드(1224)의 회전 운동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도시생략)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의 CPU는 자체로 장치의 직립상태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상기 검출 스위치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 이 신호는 광 신호 또는 지정된 접촉 단자를 통해서 본체에 공급될 수 있다. 이 스위치가 턴온될 때 CPU는 적절히 화상을 상하 역전시키도록 표시 방향을 제어한다.
[실시예 10]
장치 본체가 종속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실제로 종속장치에 접속되는 전극(종속 장치로부터 전원을 수신하는 전극)과 다른 전극은 접속되지 않는다. 이들 미사용 전극은 셔터 또는 덮개로 덮혀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계적으로 복잡하게 되므로, 무엇보다도 유저가 미사용 전극 부분을 덮는 작업을 그때마다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유저가 벗겨진 전극에 손을 데거나 이들 부분속으로 무엇인가를 삽입하는 경우, 감전이나 소트에 의해 이상 발열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전극을 덮는다 해도, 거기에 외래 노이즈가 들어오면 장치의 오동작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0을 종속장치와 접속되어 있는 전극 부분만을 구동상태로하고, 그 외의 전극을 비구동 상태로 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예를 설명한다.
제47도는 제10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장치 본체 전체를 제어하는 CPU(2010)는 32비트 CPU, 즉, 인텔사제의 i80386SL 이다. CPU(2010)는 연산, I/O 제어 등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주변칩 세트(2011)는 필요한 주변 I/0 제어회로(직렬 통신, 병렬통신, 실시간 클럭 제어회로, 타이머 제어회로, 인터럽트 제어 회로 등)를 위한 CPU(2010)와 함께 사용된다. 메모리(2012)는 메인메모리(8MB DRAM), 캐쉬(64KB) 및 부트 ROM을 포함한다. 메인 메모리는 정지 중에 백업된다. HDD(2013)는 OS, 응용 소프트웨어, 유저 데이타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1.8 또는 1.3 인치 하드 디스크이다(용량은 20-80MB).
본 실시예의 정보처리 장치는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이다. 입력은 용지상에 문자가 기록되는 것처럼 디지타이저(704) 상에서 펜(705)에 의해 행해지며, 그 궤적 및 입력 결과가 LCD(801) 상에 표시된다. LCD(801) 및 디지타이저(704)는 입력 위치 및 출력 위치가 일치하도록 층에 배열된다. 디지타이저(704)의 입력의 정도는 LCD 표시 장치의 정도 즉 0.1mm와 적어도 동일하거나 높다. 디지타이저 제어회로(2014)는 디지타이저(704)를 제어하기 위해 CPU, ROM, RAM을 포함한다.
LCD 제어회로(2017)는 순차적으로 VRAM(2018)로부터 포시 데이타를 액세스하여, 계조 등을 고려하여 LCD(2019)로 데이타를 전송함과 동시에, CPU(2010)로부터 VRAM(2018)으로의 액세스와, LCD 제어 회로 (2017)로 부터 LCD(2019)로의 액세스간의 액세스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버스제어를 행한다. 또한 LCD 제어회로(2017)는 VGA 제어회로를 사용하여 결정된 데이타로 VRAM(2018)에 있는 표시 데이타에 대해 AND, OR, EXOR 등과 같은 논리 연산을 행할 수 있다. LCD(801) 밑에 제공된 백 라이트(2021)는 LCD 상에 표시된 내용이 실내나 조명이 좋지 않은 장소에서도 보일 수 있도록 광을 발광하는 발광체를 포함하고 있다. 백 라이트(2021)용으로는, 예를 들면 EL(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방법, 또는 CFL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인버터(2020)는 발광체를 구동시킨다.
카드 I/F(2023)는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타를 가산하기 위한 ROM 확장 메모리 가드와 같은 메모리 카드, 백업 동작용 RAM 카드, 백업동작 및 데이타가산을 위한 플래쉬 메모리카드, 또한 전화선을 통해 데이타 통신을 하기 위한 팩시밀리 데이타 모뎀카드와 같은 I/O 카드 그리고 장치와 회로망을 접속하기 위한 LAN 카드를 수용한다. 이 실시예에 이용된 I/F 규격은 JEIDA/PCMCIA에 의해 결정된 68핀의 것이 표준으로 되어가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도 이것을 이용한다(다른 I/F 규격을 이용할 수도 있다). 카드 제어회로(2022)는 CPU로부터 카드로 데이타를 기록하고 데이타를 읽기 위한 제어(예컨데, 어드레스 변경등)를 행한다.
통신제어회로(2024)는 SDLC 방법에 따라 데이타 통신 제어를 행하는데, 채널(A)은 키보드, 플로피 디스크, 센트로닉스-I/F와 같은 장치의 데이타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채널(B)은 로컬토크와 같은 직 회로망 통신용이며 종속장치를 통해 직접 송수신을 행한다. 채널(A,B)은 광 구동 수신회로(2025,2026), 그리고 LED 및 포토다이오드(LED-PD', 2027, 2028)을 갖는다.
DC/DC 변환회로(2032)는 배터리(2033), AC 어댑터 잭(2034), 그리고 전극접점부(2035)중 하나로 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장치 본체내에서 사용하는 전압(논리동작용 +5V, 백라이트용 +12V 그리고 LCD용 -24V)으로 변환한다. 전극 접점 전환 신호(2072)는 주변 칩 세트(2011)로 부터의 출력에 따라 전극 접점부(2035)의 전극 접점의 온/오프 전환용으로 사용된다. 접속 검출회로(2029)는 장치 본체와 종속장치 간의 접속을 검출한다.
제48도는 전원 제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장치 본체에서, 전기부분은 기능에 따라 전원 플레인이 분리되고 개별적으로 온/오프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PU 메모리 플레인(2036)은 온/오프 되지 않고 전원 투입시에 항상 온 상태이다. 이 플레인은 CPU(2010), 주변칩 세트(2011), 메모리(2012) 그리고 플레인 I/O(2030)의 동작을 커버한다. 백라이트 플레인(2037)은 백라이트 인버터(2020)용으로 +12V를 수신한다. LCD 제어 플레인(2038)은 LCD 제어회로(2017) 및 VRAM(2018)의 동작을 커버한다. HDD 플레인(2039)은 HDD(2013)용이다. 디지타이저 플레인(2040)은 디지타이저 제어회로(2014), 디지타이저(2016) 및 입력펜(2016)의 동작을 커버한다. 광 통신 플레인(2042)은 +5V를 수신하며, 통신제어 회로(2024), 광 구동 수신회로(2025),2026), 그리고 LED-PD(2027,2028)의 동작을 커버한다. LCD 구동 플레인(2042)은 -24V를 수신하며 LCD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발생한다.
CPU(2010)는 I/O 어드레스에서 플레인의 온/오프 상태를 맵하고, CPU(2010)는 I/O 어드레스를 통해 전원 플레인 I/O(2030)으로 온(하이) 또는 오프(로우)를 기입한다. 플레인 스위치(2031)는 온/오프 데이타에 따라 각 플레인을 온/오프한다. 플레인 스위치는 전자릴레이 또는 리드 스위치, 또는 FET를 사용하는 반도체 스위치와 같은 전기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제49도는 제1실시예0의 종속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종속 장치에 있어서, 장치들간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CPU(2050), 주변 칩(2051) 그리고 메모리(2052)가 전기 제어 유닛을 형성한다. 종속 장치는 FDD, 키보드, 센트로닉스 I/F 및 네트워크 I/F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장치 본체에 내장되어 있지 않는다.
FDD 제어회로(2053)는 3.5인치 플로피 디스크용 FDD 유닛(2054)을 제어한다. 키보드 제어회로(2055)는 키보드(2057)을 제어하고, 키가 눌렸음을 CPU(2050)에 알린다. FDD 및 키보드의 데이타는 장치 본체에 전송된다. 이 데이타는 장치 본체로부터의 적절한 명령에 따라 FDD로 기록될 수 있다. 센트로닉스 구동회로(2058)는 CPU(2050)으로부터의 데이타를 프린터등으로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통신제어회로(2060), 광 구동 수신회로(2061,2062), LED-PD(2063,2064)는 장치 본체의 것와 동일하다. LED(2063,2064)의 위치는 제33도의 윈도우(903a 내지 903e)의 것에 대응한다.
네트워크 I/F(2065)는 장치를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전압 임피던스 변환을 행한다. 이 실시예에서, 장치 본체의 채널(B)로 부터의 신호는 네트워크로 직접 전송된다.
종속장치용 전원인 DC/DC 변환회로 (2067)는 AC 어댑터 잭(207)으로부터 전원을 수신한다. 결합 검출 회로(2068)는 제6실시예 및 제7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결합검출 회로(2068)가 장치의 결합을 검출하는 경우, 스위치(2071)가 닫히고 전원이 전극(2069)을 통해 종속장치로부터 장치본체로 공급된다.
이어서, 광 통신 플레인의 온/오프제어를 제50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장치 본체가 종속 장치에 접속되는 경우, 접속 검출 회로(2029)가 인터럽션처리(INT 루틴)를 행하는 CPU(2010)로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단계(S200)에서, 접속 검출이 다시 체크된다. 장치들이 접속되었다고 판단되면, 광 통신 플레인(2041)이 단계(S201)에서 턴온된다(turn on). 즉, 전원 플레인 I/O(2030)의 4비트가 하이로 되고, 스위치(2031)의 대응 스위치가 온한다. 다음에, 단계(S202)에서, 전원을 안정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Nm초 동안 기다려야 한다. 단계(S203)에서는 통신 제어회로(2024)가 초기화된다. 그리고 단계(S204)에서는 통신 플래그(메모리(2012)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확보되어 있다)가 온된다. 그리고 인터럽션 루틴이 종료된다.
광 통신은 필요에 따라 데이타를 폴링 또는 선택하기 위해 통신 플래그가 온되어 있을 때만 일정한 시간마다 인터럽트 된다.
이러한 통신처리 절차를 제51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접속검출이 단계(S205)에서 체크된다. 장치들이 접속되었음이 확인되면, 통신 루틴 처리 단계(S206)로 진행한다. 단계(205)에서, 접속이 확인되지 않으면 장치본체와 종속장치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때 통신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단계(S207)에서 백업되고, 광통신 플레인이 오프되고 단계(S028)에서 통신 플래그가 오프된다. 이후 처리 공정이 종료되고 통신 플래그가 온 될 때까지 통신 루틴에 들어가지 않는다.
전원이 들어오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원이 초기화되는 동안 접촉 검출 스위치가 체크된다. 접속이 확인되면 광 통신 플레인이 온되고, 통신 제어 회로가 초기화되며, 통신 플래그가 온된다.
이어서, 장치 본체의 여러 가지 사용법을 이하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는 4(또는 2) 방향에서 사용될 수 있다.
펜(705)이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유저가 오른손잡이인 경우 코드(709)가 오른쪽에 있게 되며, 유저가 왼손잡이인 경우에는 왼쪽에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펜 홀더(706)와 장치 본체의 측면 사이의 갭에 감겨 있는 코드(709)는 필요에 따라 빼낼 수 있으며, 그루브(904a 내지 904d)중 임의의 그루브에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입력면측으로 더 빼내어 이 코드에 의해 펜 입력이 방해를 받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장치 본체와 종속 장치의 접속시의 사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실시예는 제9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무 피트를 가진 종속 장치를 제공한다.
상부의 단측에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와 상부의 장측에서 장치를 사용하는 양 경우에는 종속 장치는 장치 본체 밑에 위치된다. 입력면이 종속장치의 고무피트(12012)에 의해 경사져 있으므로 유저가 화면을 보고 펜(705)으로 입력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양자에 있어서, 결합된 장치는 결합된 장치의 하부를 종속장치의 하부면으로 하여 직립 상태(upright state)로 사용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제39 및 제46도에 도시되어 있다. LCD(801) 상의 화상이 상하 역전상태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치 본체와 종속장치의 결합시의 표시 화상의 방향을 180°회전시키는 경우에, 표시 방향은 검출스위치에 의해 검출되는 스탠드(1224)의 회전에 따라 180 °회전된다. 장치의 집립상태가 검출되는한 임의의 다른 검출 장치를 상기 스위치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전기적 인터페이스 (제52도)
이어서, 전극 접점부(2035, 제47도)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52도를 참조하며, 종속 장치로부터 장치 본체까지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설명한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위해, 장치 본체의 배면은 제4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즉 종속장치에 대하여 장치 본체의 결합 방향이 2방향인 경우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자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4방향 모두에서 전력공급 동작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52도에서, 도면 참조부호(2088)는 장치 본체의 하부면의 오목부(901) 내에 제공된 전극 접점 유닛을 나타내며, 상부에서 본체의 장측으로 장치 본체와 종속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장치 본체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와 유사하게, 장치본체의 하부면의 오목부(902) 내에 제공된 전극 접점 유닉(2089)은 상부에서 장치본체의 단측으로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 장치본체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면 참조 부호(2080)는 오목부(901)내에 제공된 전극 접점이고, 도면 참조부호(2081)는 오목부(902)내에 제공된 전극접점이다. 장치 본체 및 종속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임의의 전극 접점(2080,2081)을 통해 종속장치로부터 장치본체로 동작전압이 제공된다. 도면 참조 부호(2084,2085)는 전극 접점(2080)으로부터 전류를 각각 온/오프하는 FET 스위치이며, 도면 참조부호(2082)는 주변 칩세트(2011)로 부터의 출력에 따라 FET 스위치(2084,2085)의 온/오프동작을 전환하기 위한 전극 접점 전환신호이다. 도면 참조 부호(2082,2083)는 장치들간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접속 검출 스위치이다. 접속 검출 스위치(2082,2083)로 부터의 출력은 OR 접속되어 있다.
도면 참조 부호(2086)는 접속 검출 스위치(2082,2083)로 부터의 출력이 변화되는 경우 펄스를 발생하는 미분회로를 나타내고, 도면 참조 부호(2087)는 미분회로(2086)로부터의 출력을 TTL(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로직) 레벨로 변형시키기 위한 파형 정정 회로이다. 파형 정정 회로(2087)로부터의 출력은 장치 본체가 종속장치와의 착탈의 경우 인터럽션 신호가 발생되도록 주변 칩 세트(2011)의 인터럽트에 접속된다. 주변 칩 세트(2011)는 접속 검출 스위치(2082,2083)로부터의 출력을 직접 읽어들여 장치의 현재의 접속상태의 유무를 판단한다.
도면참조부호(2032)는 전극 접점(2050,2051)을 통하여 종속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로부터의 동작 전압, 장치 본체에 내장되는 배터리(2033)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또는 AC 어댑터(2034)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DC/DC 변환회로이다.
표시 방향 변경
이어서,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처리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 본체는 종속장치에 접속되고, 유저는 표시 방향을 표시한다. 그러나, 표시 방향은 제6실시예 및 제7실시예과 같이 자동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장치 본체와 종속 장치간에 접속(또는 재 접속)이 검출되는 경우, 장치 본체의 CPU(2010)가 제53도의 플로우챠트에 따라 작동된다.
단계(S400)에서는 제54도에 도시한 4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에 따라 버튼(2075 내지 2078)이 표시된다. 단계(S401)에서는 입력펜(705)에 의해 임의의 표시된 버튼(2075 내지 2078)이 표시된다. 단계(S401)에서는 입력펜(705)에 의해 임의의 표시된 버튼(2075 내지 2078)의 접촉 검출을 기다린다. 펜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단계(S402)에서, 눌려진 버튼이 버튼(2075)인지를 판단된다. 예이면, 단계(S403)로 진행하고, 메모리(2052)내의 소정 어드레스 위치에 확보된 표시 방향 바이트가 0로 세트된다.
한편, 눌려진 버튼이 버튼(2075)이 아니고 버튼(2076)이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S404)로부터 단계(S405)로 진행하고, 표시 검출 바이트가 1로 세트된다. 또한, 버튼(2077)이 눌린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S406)로 부터 단계(S407)로 진행하고, 표시 방향 바이트가 10로 세트된다. 버튼(2078)이 눌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표시 방향 바이트가 11로 세트된다.
이상의 결과, 표시 방향 바이트를 조사함으로써 종속 장치에 대한 장치 본체의 결합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방향 바이트를 참조하여 화면 표시를 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된 데이타가 VRAM(2018)에 비트맵 데이타로써 저장된다. 표시 화면의 모든 변화(표시 방향 바이트의 내용이 변화될 때마다)에서, CPU(2010)는 다음식에 따라 VRAM(2018)에 데이타를 재기록한다(0의 경우에는 어떤 변형도 없다).
10의 경우 :
bit(x,y) = old bit(int{(a/b)y}, int{b/a(a-x)})
1의 경우 :
bit(x,y) = old bit(int{a-x}, int{b-y})
11의 경우
bit(x,y) = old bit (int{a/b(b-y)}, int{(b/a)x})
a,b : 화면 크기
bit(x,y) : 일련의 바이트계 데이타를 갖는 VRAM(2018)의 어드레스
x : VRAM의 절대 수평 방향
y : 수평 도트(비트)위치
상기 식에서, 도트 위치 bit(x,y)는 VRAM(2018) 내의 ({a/8}y+int{ x/8}) 바이트의 비트 (x-int{x/8}*8)에 대응한다. 또한, int{a/b}는 a/b의 정수이다. 이와 같이, 표시 방향은 LCD 제어 회로(2017)에 의해 VRAM(2018)로 부터의 데이타를 표시함에 의해 변경된다.
변환 처리
이어서, 접속 검출 스위치가 인터럽션 신호를 발생할 때의 장치 본체의 처리동작을 제55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할 때 LCD 상의 표시 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표시 방향에 따라 적절한 전극 접촉만을 활성화한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표시 방향 바이트의 내용을 0 또는 1로 했다. 그러나, 0 또는 1의 경우의 처리와 유사한 10 또는 11의 경우의 처리는 다음 설명으로부터 쉽게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S250)에서, 표시 방향 바이트의 내용이 읽혀지고, 단계(S251)에서 내용이 0인지가 판단된다. 예이면, 장치 본체가 상부 단면과 접속되어 있다는 의미이므로, 오목부(904, 제44도)내의 FET 스위치(2084)가 단계(S252)에서 온한다. 이때, 오목부(901)내의 FET 스위치(2085)는 장치 본체가 상부의 장측에 접속되어 있을 때 사용되며 단계(S253)에서 오프된다.
한편, 표시 방향 바이트의 내용이 O1이면, 즉 장치 본체가 상부 장측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오목부(901)내의 FET 스위치(2085)가 단계(S254)에서 온되며, 오목부(902)내의 FET 스위치(2084)가 단계(S255)에서 오프된다.
상술한 예에서는 표시 방향 바이트의 내용을 0 및 1로 했다. 그러나, 장치 본체의 하부면이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 방향에서 접속된 경우, 표시 방향 바이트의 내용은 0, 1, 10, 및 11이다. 이때, FET 스위치의 수는 간단히 2배로 됨을 알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0실시예에 따르면, 장치 본체를 종속 장치에 접속할때의 표시 방향을 검출함으로써, 임의의 특정한 수동 설정없이 활성 상태의 전극 접점을 전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사용 전극 접점에 노이즈가 들어옴에 따른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유저가 부주의하게 미사용 전극 접점을 누르는 경우 또는 전극 접점에 무엇인가를 삽입하는 경우라도, 우연치 않는 전기 쇼크 또는 쇼트에 의한 이상 발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런 구성은 미사용 전극을 커버할 셔터 또는 덮개 등을 필요치 않으므로 기계적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10실시예는 사용 전극을 활성화시키고, 유저가 표시하는 표시 방향에 따라 미사용 전극을 비활성화시킨다. 그러나, 제6실시예 및 제7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의 접속 방향이 자동적으로 검출될수 있다.
이 실시예는 제어 장치로서 FET 스위치를 이용하고 있으나, 전자 릴레이 및 리드 스위치와 같은 다른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스위치로부터의 상태신호를 읽을 수 있다.
또한, 제10실시예를 전력 공급 전극과 관련하여 설명했으나, 이들 전극은 광통신 대신에 전기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장치 본체와 종속 장치간의 통신 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의 전력 인터페이스의 수는 종속 장치에 대한 장치 본체의 접속 방향에 대응한다. 그러나 사용시는 단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되고 다른 인터페이스는 비활성화된다.
[실시예 11]
제11실시예는 종속 장치에 대한 장치 본체의 접속 방향을 검출하여 통신 라인을 전환한다.
이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접속 방향 검출 기구
제56a도 및 제56b도는 장치 본체의 전극 접점을 나타내며, 제56c도는 종속 장치의 전극 접점을 나타낸다.
제56a도에서, 장치 본체의 오목부(902)는 전극 접점(150a, 150b), 접속 검출 스위치(152) 그리고 방향 검출핀(160)을 갖는다. 제56b도에서, 장치 본체의 오목부(901)는 전극 접점(151a, 151b) 및 접속 검출 스위치(153)를 갖는다. 제56c도에서, 종속 장치의 후크(1203)는 전극 접점(119a, 119b) 그리고 방향 검출 스위치(161)를 갖는다. 전극 접점(119a, 119b) 은 장치 본체로 동작 전압을 공급하도록 전극 접점 (150a, 150b) 또는 전극 접점(151a, 151b)과 접속된다. 장치 본체가 상부의 단측에서 종속 장치와 접속되는 경우, 방향 검출핀(106)이 눌림으로써 방향 검출 스위치(161)는 검출 방향을 검출한다. 방향 검출 스위치(161)로부터의 출력은 주변 칩(2051)에 접속되며, 주변칩으로부터 CPU(2050)는 접속 상태를 판독한다.
광 통신 인터페이스
제57도는 제36도에 도시한 종속 장치의 광통신 소자의 배열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제57도에서, 도면 참조 부호(1205a, 1205c, 1205e, 1205g)는 적외선 신호를 통과시키는 LED 윈도우이고, 도면 참조부호(1205b, 1205d, 1205f)는 전기 신호로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포토디텍터(이하 PD라함) 윈도우이다. 장치 본체가 상부의 단측에서 종속 장치와 접속되는 경우, 윈도우(1205a, 1205b, 1205c, 1205d)가 광 통신을 행한다. 한편, 장치 본체가 상부의 장측에서 종속 장치와 접속 되는 경우, 윈도우(1205g, 1205f, 1205e, 1205d)가 통신을 행한다.
제58도는 종속 장치의 광통신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참조 부호(2073)는 광 통신 소자를 전환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주변 칩이고, 도면 참조 부호(2162 내지 2164)는 PD(1205b, 1205f, 1205d)로 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특정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프리엠프(pre-amplifier)이며, 도면 참조 부호(2171)는 프리엠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프리 엠프 전원이고, 도면 참조 부호(2170)는 선택 신호에 따라 프리엠프(2162 내지 2164)로 부터의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멀티플랙서이고, 도면 참조 부호(2165)는 통신 제어 회로(206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65)로부터 입력된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셀렉터이며, 도면 참조 부호(2166 내지 2169)는 LED(1205c, 1205e, 1205g)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이다. 선택되지 않은 구동 회로는 그의 대응 LED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제59도는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된 광 통신 소자를 나타내고 있다. 선택 신호 레벨이 0 일 때, LED(1205c)는 채널(A)의 출력 LED로서 선택되며, PD(1205d)는 채널(A)의 입력 PD로서 선택되고, LED(1205a)는 채널(B)의 출력 LED로서 선택되며, PD(1205b)는 채널(B)의 입력 PD로서 선택된다.
선택 신호 레벨이 1인 경우, LED(1205e)는 채널(A)의 추력 LED로서 선택되고, PD(1205a)는 채널(A)의 입력 PD로서 선택되면, LED(1205g)는 채널(B)의 출력 LED로서 선택되고, PD(1205f)는 채널(B)의 입력 PD로서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호 레벨이 0인 경우, 상부에서 장치 본체의 단측과의 접속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있는 소자가 구동되고, 한편, 신호 레벨이 1인 경우, 상부에서 장치 본체의 단측과의 접속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잇는 소자가 구동된다.
전환처리 (제36도)
이어서, 종속 장치의 광 통신 소자의 전환 처리에 대하여 제60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통신 소자 어레이가 접속 검출 스위치에 의해 인터럽션 처리시에 선택된다.
먼저, 단계(S301)에서 접속 방향 검출 스위치(2161)의 상태가 판독된다. 이어서, 단계(S302)에서 접속 방향이 판단된다. 접속 방향이 상부에서 장치 본체의 장측에 평행하면, 처리 절차가 단계(S303)로 진행하고, 접속 방향이 상부에서 장치 본체의 단측에 평행하면, 단계(S305)로 진행한다. 단계(S303)에서, 레벨 0을 가진 선택 신호가 출력되고 처리가 종료한다. 단계(S305)에서 레벨1을 가진 선택 신호가 출력되면 처리가 종료된다.
상술한 처리는 접속 방향에 관계없이 장치 본체의 광 통신 소자에 대향하는 종속 장치의 광 통신 소자만을 활성화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1실시예는 접속 방향을 검출하여, 활성시키고자 하는 통신 소자를 전환시킴으로써 불필요한 회로에 공급되는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또는 장치에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6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는 입력 유닛의 좌표 시스템 및 장치의 입력 방향에 따라 출력 유닛의 좌표 시스템을 변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입력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 좌표 시스템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장치를 어느 방향에서 사용할 때도 공통의 조작으로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래머는 다른 좌표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면, 본 발명의 영역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화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역을 공표하는 의미에서 다음의 특허 청구의 범위를 작성했다.

Claims (10)

  1. 필기체(handwriting) 인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바닥이 놓여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축된 손바닥의 위치에 따라, 필기체 입력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 수단, 상기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따라, 다수의 문자 인식 사전중 하나의 사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 및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사전을 참조하는 선정된 문자 인식을 제어하기 위한 문자 인식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필기체 인식용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입력 펜을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hand-heldcomputer)를 더 포함하는 필기체 인식용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이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잡이라고 검출한 경우 상기 선택 수단이 오른손잡이 입력용 문자 인식 사전을 선택하는 반면에, 상기 판별 수단이 상기 사용자가 왼손잡이라고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선택 수단이 왼손잡이 입력용 문자 인식 사전을 선택하게 되는 필기체 인식용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이 글쓰기 압력(writing pressure)에 따라 사용자를 판별하는 필기체 인식용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쓰기 압력과 사용자에 대한 문자 인식 사전간의 관계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상기 글쓰기 압력에 대응하는 사전을 참조하는, 필기체 인식용 전자 장치.
  6. 필기체(handwriting) 인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바닥이 놓여진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손바닥의 위치에 따라, 필기체 입력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다수의 문자 인식용 사전중 하나의 사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사전을 참조하는 선정된 문자 인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체 인식용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 펜을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hand-held computer)인 필기체 인식용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오른손잡이라고 검출되면 오른손잡이 입력용 문자 인식 사전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왼손잡이라고 검출되면 왼손잡이 입력용 문자 인식 사전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필기체 인식용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에서 글쓰기 압력이 검출되는 필기체 인식용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글쓰기 압력과 사용자에 대한 문자 인식 사전간의 관계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글쓰기 압력에 대응하는 사전이 참조되는, 필기체 인식용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940010031A 1993-05-07 1994-05-07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0148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663893A JP3209378B2 (ja) 1993-05-07 1993-05-07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93-106638 1993-05-07
JP16448793A JP3305045B2 (ja) 1993-07-02 1993-07-02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93-164487 1993-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8247B1 true KR0148247B1 (ko) 1998-09-15

Family

ID=2644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031A KR0148247B1 (ko) 1993-05-07 1994-05-07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44653A (ko)
EP (1) EP0623891B1 (ko)
KR (1) KR0148247B1 (ko)
DE (1) DE6943419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7218B2 (ja) * 1992-09-11 2001-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3423413B2 (ja) * 1994-06-21 2003-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手書き情報認識装置及び方法
JP2746197B2 (ja) * 1995-04-21 1998-04-28 日本電気株式会社 光送信装置
US6606662B2 (en) * 1997-06-11 2003-08-12 Canon Kabushiki Kaish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5973734A (en) 1997-07-09 1999-10-26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spect ratio in a camera graphical user interface
US6243075B1 (en) 1997-08-29 2001-06-05 Xerox Corporation Graspable device manipulation for controlling a computer display
US6297805B1 (en) 1997-08-29 2001-10-02 Xerox Corporation Multiple interacting computers interfaceable through a physical manipulatory grammar
US6268857B1 (en) 1997-08-29 2001-07-31 Xerox Corporation Computer user interface using a physical manipulatory grammar
US6297838B1 (en) 1997-08-29 2001-10-02 Xerox Corporation Spinning as a morpheme for a physical manipulatory grammar
JP4149574B2 (ja) * 1997-08-29 2008-09-10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サポートデバイス、及び情報入力方法
US6243074B1 (en) 1997-08-29 2001-06-05 Xerox Corporation Handedness detection for a physical manipulatory grammar
JP3587971B2 (ja) 1997-09-26 2004-11-10 富士通株式会社 光通信ユニット
DE19818088B4 (de) * 1997-09-26 2005-09-01 Fujitsu Ltd., Kawasaki Optische Kommunikationseinheit
EP1601172B1 (en) 1997-12-29 200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pad
EP1717679B1 (en) 1998-01-26 2016-09-21 Apple Inc. Method for integrating manual input
JP3338777B2 (ja) * 1998-04-22 2002-10-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画面表示方法
US6393416B1 (en) * 1998-12-16 2002-05-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entering bidirectional and DBCS languages in tier-0 devices
US6317141B1 (en) 1998-12-31 2001-11-13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heterogeneous media objects in a digital imaging device
US6289303B1 (en) 1999-01-29 2001-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pen based language sets
JP2000311603A (ja) 1999-02-23 2000-11-07 Canon Inc 電子源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電子源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0311639A (ja) 1999-02-24 2000-11-07 Canon Inc 電子源の製造方法、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電子源の製造装置および電子源の調整方法
JP2000284895A (ja) 1999-03-31 2000-10-13 Hitachi Software Eng Co Ltd 座標入力ペン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ボード、座標入力システム及び電子ボードシステム
US6433791B2 (en) * 1999-08-10 2002-08-13 Smar Research Corporation Displaceable display arrangement
US6661920B1 (en) * 2000-01-19 2003-12-09 Pal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simultaneously active data entry mechanisms on a computer system
US6462941B1 (en) * 2000-06-30 2002-10-08 Pal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lighting a handwriting input area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6677929B2 (en) 2001-03-21 2004-01-13 Agilent Technologies, Inc. Optical pseudo trackball controls the operation of an appliance or machine
JP3988476B2 (ja) * 2001-03-23 2007-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及び表示装置
JP4301820B2 (ja) * 2003-01-16 2009-07-22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情報認識装置
US7658610B2 (en) * 2003-02-26 2010-02-09 Alig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 dental template with a 3-D object placement
JP3809423B2 (ja) * 2003-03-07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4266878B2 (ja) * 2004-04-22 2009-05-20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KR20050115148A (ko) * 2004-06-03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펜의 착탈에 따라 표시모드를 자동 전환하는휴대용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US7924269B2 (en) * 2005-01-04 2011-04-12 Tpo Displays Corp. Display devices and methods forming the same
KR20070012277A (ko) * 2005-07-21 2007-01-25 티피오 디스플레이스 코포레이션 디스플레이에 디지타이저 입력 디바이스를 집적하는 프로세스
KR100667075B1 (ko) 2005-07-22 2007-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주사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0527064C (zh) * 2005-10-25 2009-08-12 摩托罗拉公司 用于输入字符的方法和设备
US9224145B1 (en) 2006-08-30 2015-12-29 Qurio Holdings, Inc. Venue based digital rights using capture device with digital watermarking capability
US9104306B2 (en) * 2010-10-29 2015-08-11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Translation of directional input to gesture
DE112015004036B4 (de) 2015-01-16 2019-01-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alterung und Endgerätsteuerungsverfahren
CN104750315B (zh) * 2015-04-20 2018-09-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屏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触屏设备
US10514844B2 (en) * 2016-11-16 2019-12-24 Dell Products L.P. Automatically modifying an input area based on a proximity to one or more edges
JP2018139377A (ja) 2017-02-24 2018-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2467A (en) * 1980-10-03 1982-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Character reader
US4718102A (en) * 1983-01-19 1988-01-05 Communication Intelligence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involving pattern recognition
JPS60123979A (ja) * 1983-12-09 1985-07-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個人識別方法
JP2658039B2 (ja) * 1987-03-20 1997-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5265174A (en) * 1989-03-03 1993-11-23 Canon Kabushiki Kaisha Pattern recognition apparatus
US5202844A (en) * 1990-05-22 1993-04-13 Kabushiki Kaisha Toshiba Computer having integral type hand writing input/display device and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44653A (en) 1997-07-01
EP0623891A3 (en) 1995-06-21
EP0623891A2 (en) 1994-11-09
DE69434194D1 (de) 2005-01-27
EP0623891B1 (en) 200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247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5202844A (en) Computer having integral type hand writing input/display device and keyboard
CN101859214B (zh) 输入设备和使用输入设备的输入处理方法
CN101036101B (zh) 用于移动计算机的集成输入和显示设备
JP3227218B2 (ja) 情報処理装置
US8884885B2 (en) Touch pa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notebook computer with the same
US6243258B1 (en) Hand held user computer interface
US7079383B2 (en) Computer with force absorbing support mechanism
US20060028457A1 (en) Stylus-Based Computer Input System
US20120019488A1 (en) Stylus for a touchscreen display
CN109643176B (zh) 触控笔、触摸感测系统、触摸感测控制器及触摸感测方法
US20080266143A1 (en) Input device
CN110347208B (zh) 可携式电子装置与折叠式电子输入装置
KR20170124068A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KR101838690B1 (ko) 점자 정보 단말기
CN100380297C (zh) 自索引计算机指点设备的模块化组件
US11836297B2 (en) Keyboard with capacitive key position, key movement, or gesture input sensors
US20130154941A1 (en) Enhanced Tablet Computer
JP330504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4058876A1 (en) Mouse input function for pen-shaped writing, reading or pointing devices
JP320937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1054630Y (zh) 电子装置
CN101308422B (zh) 电子装置
US20040233176A1 (en) Touch panel with magnetic display unit
KR20190025471A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