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162B1 - 투사형 텔레비젼 수신기 및 그것을 사용한 대화면 영상장치 - Google Patents

투사형 텔레비젼 수신기 및 그것을 사용한 대화면 영상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162B1
KR0145162B1 KR1019940009794A KR19940009794A KR0145162B1 KR 0145162 B1 KR0145162 B1 KR 0145162B1 KR 1019940009794 A KR1019940009794 A KR 1019940009794A KR 19940009794 A KR19940009794 A KR 19940009794A KR 0145162 B1 KR0145162 B1 KR 0145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rame member
cabinet
opening
transmissiv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요시 야마다
마사히로 토즈카
카츠미 고토
츠요시 시마타니
요시노부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2Multiple-film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투과형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해서 영상하는 배면투사형텔레비젼수신기 및 그것을 사용한 대화면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그 스크린의 유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온도변화나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스크린이 프레임부재로부터 빠지는 트러블이 해소되는 동시에 또 대화면장치에 있어서, 화상의 결락부분이 적고, 또, 스크린부를 유지한 프레임부재의 착탈이 용이하고, 보수성이 뛰어난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스크린부재(1)와, 그 투과형스크린부재(1)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2)와, 한면이 상기 투과형스크린부재(1)의 주위의 단부와 고착되고, 다른면이 상기 프레임부재(2)의 유지부와 고착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5)와, 개구부(3a)를 가지고, 이 개구부(3a)에 상기 프레임부재(2)를 설치한 캐비닛(3)을 가진 투사형텔레비젼수신기의 복수개가 다행다열로 배열되고, 1개의 대화면화상을 나타내도록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및 그것을 사용한 대화면영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일실시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스크린부재의 장착과정을 표시한 사시도
제3a도는 제1도에 표시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S1선을 따른 단면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3b도는 제1도에 표시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정면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구성하는 스크린 부재와 프레임부재와 탄성부재와의 상호의 위치관계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4b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구성하는 스크린 부재와 프레임부재와 탄성부재와의 다른 상호의 위치관계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4c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구성하는 스크린 부재와 프레임부재와 탄성부재와의 또 다른 상호의 위치관계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5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의 상세한 것을 표시한 사시도
제5b도는 제5a도에 표시되는 프레임부재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제5c도는 제5a도에 표시되는 프레임부재와 스크린부재와의 유지구조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확대도
제5d도는 제5a도에 표시되는 프레임부재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확대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일실시예의 프레임부재와 캐비닛의 조립구성을 표시한 주요부의 평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S2선을 따른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해서 구성항 대화면영상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외관도
제8도는 종래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스크린부와 그 프레임부의 주요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9도는 종래의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해서 구성한 대화면영상장치의 외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스크린부재 1a:프레넬렌즈시트
1b:렌티큘러렌즈시트 2:프레임부재
2e,3b:홈부 2f,4d,6c:절곡부
2g:블록형상부 3:캐비닛
4b,4c:L자형 코너접합부재 5:탄성부재
6a:록핀 6b:록레버
7:접착제
본 발명은 투과형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해서 영상하는 배면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및 그것을 사용한 대화면영상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그 스크린의 유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면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투과형 스크린의 유지구조의 일예를 제8도와 제9도에 표시한다.
제8도는 종래의 투과형 스크린의 유지구조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는 대화면의 영상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스크린의 크기도 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의 가로폭은 약 700~900mm, 세로길이는 약 500~700mm이다.
제8도에 있어서, 투과형 스크린부재(1)는 프레넬렌즈시트(1a)와 렌티큘러렌즈시트(1b)의 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크린부재(1)의 주위의 단부면이, 프레임부재(2)의 내주쪽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홈부(2e)속에 끼워넣어지고, 이 홈부(2e)에 의해 스크린부재(1)가 유지되고 있다. 프레넬렌즈시트(1a)와 렌티큘러렌즈시트(1b)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아크릴수지와 같은 플라스틱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프레임부재(2)의 재질은, 큰 스크린부재를 유지하기위하여, 기계적강도가 필요하고, 일반적으로 금속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재료나 금속재료는 온도변화에 의해, 팽창이나 수축이 발생한다. 특히 플라스틱재료의 열팽창률은, 금속재료의 열팽창률보다도 상당히 크다. 따라서, 스크린부재의 재질로서 이와 같은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한 경우 환경온도나 습도의 변화에 의해서, 스크린의 외경치수는 대폭으로 신축하다. 예를 들면, 스크린의 폭치수가 900mm일 경우, -10~+40℃의 온도변화에 대해서 폭치수는 약 3mm의 신축이 발생한다. 이에 대해서, 금속재료제의 프레임부재의 신축은 -10~+40℃의 온도변화에 대해서 1mm이다.
이와 같이 큰 화면을 필요로 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프레임부재(2)와 스크린부재(1)와의 신축의 차가 크기 때문에, 스크린부재(1)와 프레임부재(2)가 접착된 구성은 실현되고 있지 않았다. 그 결과 스크린(1)이 프레임부재(2)로부터 떨어져 빠지기 쉽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 스크린의 신축에 의한 빠짐에 대한 대책으로서, 프레임부재(2)의 유지부의 길이가 스크린의 길이보다도 대폭으로 길게 하는 구성도 제안되고 있다. 즉, 프레임부재(2)의 홈부(2e)의 홈의 깊이를 깊게 형성하고, 스크린(1)이 떨어져 빠지기 어렵게 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정면에서 본 프레임부재(2)의 프레임폭 즉 에지폭(dege width)D의 치수는, 그 홈의 깊이에 프레임부재의 판두께를 더해서, 약 5mm의 길이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투과형 스크린을 구비한 텔레비젼수신기를, 다행다열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한 종래의 대화면의 영상장치의 외관도를 제9도에 표시한다.
제9도에 있어서, 스크린부재는, 부호(1)로 표시되고, 프레임부재는 부호(2)로 표시된다. 스크린부재(1)를 유지한 프레임부재(2)는, 회로부품 및 광학부품을 내부에 수납한 캐비닛(3)의 개구부 끼워맞춤되고, 1개의 투과형 텔레비젼수신기가 구성된다. 이 텔레비젼수신기가 가로로 3열과 세로로 3열씩 겹쳐쌓여서, 1개의 영상을 나타내는 대화면 영상장치가 구성된다.
제9도에 표시한 종래의 대화면 영상장치에 있어서, 에지폭치수는, 인접하는 에지폭도 더해져서 약 10mm에 달한다. 이 에지폭부분은 영상이 비치지 않는 굵은 격자상태로서 화면속에 들어간다. 그 결과, 화면에 영상의 결락이 발생하여, 관찰자가 화면을 보기 나쁘다는 과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변화나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스크린이 프레임부재로부터 빠지는 트러블이 해소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화상의 결락부분이 적은 복수개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배치해서 1개의 화상을 나타내는 대화면영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크린부를 유지한 프레임부재의 착탈이 용이하고, 보수성이 뛰어난, 그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사용한 대화면의 영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는, 스크린 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그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고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스크린부재가 탄성부재를 개재해서 프레임부재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부재가 떨어져 빠지는 일이 없고, 동시에 스크린에 변형이 생기는 일도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온도상승 또는 습도증가에 의해 스크린이 팽창한 경우에, 그 팽창에 추종해서 탄성부재가 변형하기 때문에, 스크린부재의 변형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온도저하에 의해 스크린부재가 단축한 경우에, 스크린 부재가 프레임부재에 고착되고, 또, 그 단축에 추종해서 탄성부재가 변형하기 때문에, 스크린부재가 프레임부재로부터 빠지는 트러블이 없어진다.
또,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대해서도, 스크린부재가 프레임부재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부재로부터 빠지는 트러블이 없어진다.
이와 같이, 신뢰성이 높은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다른 구성은, 스크린기능을 가진 직사각형의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3개소의 코너부의 인접하는 2개의 주변부가,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에 의해서 접합되고, 다른 1개소의 코너부의 인접하는 2주변부가 변형할 수 없는 L자형 코너접합부재에 의해서 접합되고, 상기 스크린부재의 주위의 단부를 안쪽에 접착해서 유지한 직사각형의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접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가진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보다 큰 온도변화 또는 습도변화에 의해, 스크린부재가 보다 크게 신축한 경우에, 탄성부재가 스크린부재의 신축에 대응해서 변형한다. 동시에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가 스크린부재의 신축에 대응해서 변형한다.
그 결고, 스크린부재가 변형하거나, 또 파손하거나 하는 트러블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대화면 영상장치는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이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한면이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의 주위의 단부와 고착되고, 다른면이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와 고착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가진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복수개가 다행다열로 배열되고, 1개의 대화면 화상을 나타내도록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복수개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가 다행다열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대화면 영상장치에 있어서, 스크린부재와 프레임부재가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변형하는 탄성부재를 개재해서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부재의 주위에 여분의 틈새를 벌려서 구성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스크린접합부의 에지폭이 매우 가늘어지고, 화상의 결락이 적고, 뛰어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구성의 멀티스크린형의 대화면 영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에, 관찰자측의 바로앞쪽으로 회전할 수 있는 록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의 개구부의 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내에 록핀이 형성되고, 이 록핀과 상기 록레버가 끼워맞춤하고,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캐비닛이 고정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록레버를 관찰차측의 바로 앞쪽으로 회전함으로써 록을 해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한 대화면형상장치에 있어서, 앞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중앙부부근의 스크린을 유지한 프레임부재의 착탈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보수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부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1도~제7도를 사용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제1도는 본 발명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스크리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1)는, 그 스크린부재(1)의 주위의 단부에 있어서 프레임부재(2)에 의해 고정되어 유지되고 있다. 캐비닛(3)은, 내부에 회로부품이나 광학부품 등의 소정의 부품을 수납한다. 그 캐비닛(3)의 개구부(3a)에 있어서, 스크린부재(1)를 유지한 프레임부재(2)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스크린부재(1), 프레임부재(2) 및 캐비닛(3)의 형상은, 각각 4변형의 직사각형상이다.
스크린부재(1)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가로폭 700~900mm, 세로폭 500~700mm이다.
제 2도는 제1도에 표시한 프레임부재(2)와 캐비닛(3)의 장착과정을 표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캐비닛의 개구부(3a)의 단부면에, 프레임부재(2)의 형상에 대응해서 오목형상의 홈부(3b)가 형성되고, 그 홈부(3b)에 프레임부재(2) 일단부가 끼워넣어져 조립되어 있다.
스크린(1)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플라스틱재료가 사용된다. 프레임부재(2)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철,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 또는 기계적강도가 큰 강화플라스틱재료가 사용된다.
캐비닛(3)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철,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 또는 기계적 강도가 큰 강화플라스틱재료가 사용된다.
제3a도는 제1도에 표시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S1선을 따른 절단부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단면도이다.
제3b도는 제1도에 표시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스크린쪽에서 본 정면도이다.
제3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부재(1)는 프레넬렌즈시트(1a)와 렌티큘러렌즈시트(1b)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레넬렌즈시트(1a)는 브라운관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집광시키는 역할을 가진다. 렌티큘러렌즈시트(1b)는 수평의 시야각을 넓히는 역할을 가진다.
이들 프레넬렌즈시트(1a)와 렌티큘러렌즈시트(1b)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재료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아크릴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불소수지등이 사용된다.
프레넬렌즈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2~3mm이다. 렌티큘러렌즈시트의 두께는 특별이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0.5~1.5mm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부재(1)의 구성으로서, 앞면에 보호패널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a도와 제3b도에 있어서 프레임부재(2)는 4변형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이고, 좌변부재(2a), 저변부재(2b), 우변부재(2c) 및 상변부재(2d)로 구성된다.
이 프레임부재(2)의 각각의 내면쪽에 오목형상의 홈부(2e)가 형성되고, 그 홈부(2e)내에 탄성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부재(2)의 재질로서 철등의 금속재료가 사용된 경우, 두께가 약 0.2mm정도의 금속판이 사용된다.
또, 홈부(2e)는 상기 금속판에 다른 금속판 또는 강화플라스틱판이 붙여져 구성된다. 상기 홈부(2e)내에 상기 탄성부재(5)를 개재해서, 스크린부재(1)의 주위의 단부가 끼워넣어져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5)의 한면과 스크린부재(1)가 접착수단 또는 점착수단에 의해 접합되고, 또, 탄성부재(5)의 다른면과 프레임부재(2)가 접착수단 또는 점착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5)로서는 테이프형상탄성부재의 양면에 접착제가 부착형성된 양면접착테이프가 가장 바람지가하다.
이 탄성부재(5)의 두께는 약 0.5~1.5mm정도가 사용된다. 이 0.5~1.5mm정도두께의 테이프형상의 탄성부재를 사용한 경우, 두께의 약 6배의 길이의 신축에 대응해서 길이방향 및 두께방향으로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변화에 의해 스크린부재가 신축한 경우에 그 신축의 방향에 대응해서 탄성부재가 변형할 수 있다.
즉, 스크린부재의 신축의 방향과 동일방향에 대해서는, 탄성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변형하고, 동시에 스크린부재의 신축길이에 대해서는 탄성부재가 두께방향으로 팽창 압축된다.
이 접합부의 구성으로서는, 제4a도, 제4b도, 제4c도에 표시한 구성이 가능하다.
제4a도에 표시한 구성은, 스크린부재(1)의 주위의 단부면과 프레임부재(2)가 탄성부재(5)를 개재해서 접착된 구성이다. 상기한 양면접착테이프를 사용한 실시예는 이 제 4a도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4b도에 표시한 구성은, 스크린부재(1)의 평명의 주위의 단부면과 프레임부재(2)의 홈부(2e)가 스크린부재의 스크린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탄성부재(5)를 개재해서 접착된 구성이다.
제4c도에 표시한 구성은, 스크린부재(1)의 주위의 단부면 및 스크린부재(1)의 평명의 주위의 단부면과, 프레임부재(2)가 탄성부재(5)를 개재해서 접착된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4c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2)의 오목형상의 홈부에 대신해서, 프레임부재의 앞면부에만 돌기가 형성된 구성도 가능하다.
접착수단으로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합성수지제의 공지의 점착제 및 접착재등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수단에 대신해서 탄성부재자체의 탄성을 이용한 기계적인 압압에 의해 고착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이라는 어구는, '점착' 또는 '통상의 접착'이라는 의미에서 정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착'이라는 어구는 '접착제를 사용한 고정' 또는 '기계적인 압압에 의한 고정'이라는 의미에서 정의된다.
따라서, '고착'이라는 어구는 '점착제를 사용한 고정', '접착제를 사용한 고정' 및 '기계적인 압압에 의한 고정'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의미한다.
탄성부재(5)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외력에 대응해서 3차원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5)로서는 예를 들면, 부틸고무, 아크릴고무, 실리콘고무등의 덩어리형상의 탄성고무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5)의 다른 재질로서는 폴리우레탄폼, 폴리에틸렌폼 및 그 밖의 다수의 공극을 가진 플라스틱폼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5)의 또 다른 재질로서는, 상기의 탄성고무 또는 플라스틱폼의 표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가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양면접착테이프이다.
탄성부재(5)의 또 다른 재질로서는, 상기의 탄성고무자체 또는 플라스틱폼자체가, 접착기능 또는 점착기능을 가진 재료를 사용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온도변화 또는 습도변화에 의해 스크린(1)이 신축한 경우에, 그 신축에 대응해서 변형하는 탄성부재(5)를 개재해서, 프레임부재(2)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5)가 설치되어 있는 홈부(2e)의 깊이는, 최소한의 깊이로도 가능하다. 따라서, 스크린의 화면을 정면에서 본 경우의 프레임부재(2)의 프레임폭D는,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부재의 가로폭이 500~900mm일 경우, 그 프레임폭D는 약 1~1.7mm정도까지 작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폭D를 작게한 구성에 있어서도, 스크린(1)이 프레임부재(2)로부터 빠지거나 또는 변형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의 구성에 의해 온도변화 또는 습도변화에 의한 스크린(1)의 열팽창에 의한 신축 및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가해졌을때에, 탄성부재(5)가 그 신축에 대응해서 변형하기 때문에 스크린(1)이 프레임부재(2)로부터 빠지거나, 또는 변형하거나 하는 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2]
제7도는 실시예 2에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가로로 3열 및 세로로 3열의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하고, 1개의 대화면의 화상을 나타내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진 멀티스크린형 대화면영상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제7도에 있어서, 1개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프레임폭D는, 멀티스크린형 대화면영상장치의 에지폭(2×D)이 되고, 이 에지폭의 영역이, 화상결락이 된다.
따라서, 프레임폭이 작은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구성함으로써, 화상의 결락영역이 적고, 뛰어난 화상의 멀티스크린형 대화면영상장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3]
다음에, 실시예1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복수개를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한 멀티스크린형 대화면영상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제2도, 제3a도, 제3b도, 제7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프레임부재(2)와 캐비닛의 개구부(3a)와의 끼워맞춤관계에 있어서, 좌변의 프레임부재(2a)의 외경의 외선과 캐비닛앞부분(3a)의 좌변의 외경의 외선의 위치를 동일하게 설치하고, 동시에 저변의 프레임부재(2b)의 외경의 외선과 캐비닛의 앞부분(3a)의 저변의 외선의 위치와 동일하게 설치하고 있다.
또, 우변의 프레임부재(2c)와 상변의 프레임부재(2d)의 외경치수는, 캐비닛의 앞부분(3a)의 외경치수보다도 약 1mm짧게 구성하고 있다.
제3a도 및 제3b도에 있어서, 이 프레임부재(2)와 캐비닛전체부(3a)의 외경치수의 차는 부호A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온도변화 또는 습도변화에 의해 스크린부재(1)가 팽창할 때에, 팽창방향을 우변쪽과 상변쪽이 되도록 규제하고, 인접하는 스크린이 상호로 가압해서 변형하거나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제7도는 이와 같은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가로로 3열 및 세로로 3열의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한 멀티스크린형 대화면영상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대화면영상장치에 있어서, 에지의 위치 및 에지폭(2×D)이 일직선으로 가지런하게 되기 쉬운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 제3a도, 제3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의 일단부와 캐비닛의 개구부와의 끼워맞춤구성에있어서, 좌변의 프레임부재(2a)와 저변의프레임부재(2b)는 캐비닛의 개구부(3a)의 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홈(3b)내에 작은 클리어런스(부호B로 표시된다)에서 끼워맞춤되고, 우변의프레임부재(2c)와 상변의 프레임부재(2d)는 캐비닛의 개구부(3a)의 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홈부(3b)내에 큰 클리어런스(부호C로 표시된다)에서 끼워맞춤된다.
구체적 구성으로서, 프레임부재의 단부의 연속하는 2측면(예를 들면, 좌변(2a) 및 저변(2b)의 폭두께가, 다른 연속하는 2측면(예를 들면, 우변(2c) 및 상변(2d))의 폭께보다도 작게 형성되고, 이들 폭두께가 다른 상기 프레임부재의 단부가, 캐비닛의 개구부에 형성된 동일폭의 오목형상의 홈부속에 삽입된 구성이 가능하다
또, 다른 구체적 구성으로서, 캐비닛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홈부중, 연속하는 2측단부(예를 들면, 개구부의 좌변과 저변)에 형성된 홈부의 폭이, 다른 연속하는 2측단부(예를 들면, 개구부의 우변과 상변)의 폭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이들 폭이 다른 홈내에, 4변의 단부의 폭치수가 동일한 프레임부재가 삽입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프레임부재(2)와 캐비닛(3)과의 위치관계에 있어서, 좌변의 프레임부재(2a)와 저변의 프레임부재(2b)의 외경의 외선의 위치를, 캐비닛의 앞부분(3a)의 외경의 좌변과 저변의 외선의 위치와 동일면에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 결과, 제7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은 멀티스크린형 대화면 영상장치에 있어서 에지의 위치 및 에지폭D가 일직선으로 가지런하게 되기 쉬운 효과가 있다. 또, 스크린의 신축이나 가공치수의 불균일에 대해서도 에지의 위치를 제어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실시예4]
다음에, 본 발명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다.
제5a도는 실시예1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사용되는 프레임부재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표시한다.
제5b도는 제5a도에 표시되는 프레임부재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제5c도는 제5a도에 표시되는 프레임부재와 스크린부재와의 유지구조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확대도이다.
제5a도에 있어서, 좌변의 프레임부재(2a)와 저변의 프레임부재(2b)는, 프레임부재의 안쪽에, 변형할 수 없는 L자형 코너접합부재(4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변형할 수 없는 L자형 코너접합부재(4b)는, 프레임부재의 4변형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가진다.
또, 상변의 프레임부재(2D) 및 우변의 프레임부재(2c)는 스크린부재의 신축에 의한 광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부에 절곡부(2f)가 형성되어 있다.
우변의 프레임부재(2c)와 삼변의 프레임부재(2d)는,프레임부재의 스크린부재(1)를 유지하는 홉부(2e)의 떨어진 위치의 안쪽에,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4c)에 의해 고정되어있다.
제5b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하변의 프레임부재(2b)와 우변의 프레임부재(2c)는, 프레임부재의 스크린부재(1)를 유지하는 홈부(2e)와 떨어진 위치의 안쪽에,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4c)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변의 프레임부재(2a)와 상변의 프레임부재(2d)는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4c)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우변의 프레임부재(2c)와 상변의 프레임부재(2d)는, 프레임부재의 바깥쪽에,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시트(5a)를 사이에 개재해서 코너접합부재(4a)에 의해접합되어 있다.
상기 탄성시트(5a)는 스크린부재(1)의 신축에 대응한 형상의 변화를 흡수하는 효과와, 스크린부재가 늘어났을때에 캐비닛내부의 투사광의 외부에의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코너접합부재(4a)는 상기 탄성시트(5a)에 추종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접합된다.
탄성시트(5a)로서는, 스크린부재(1)의 신축에 추종해서 변형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1에서 설명되고 있는 탄성부재(5)와 유사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4c)로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철,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료가 사용된다.
또, 제5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L자형 코너접속부재(4c)의 코너부(4d)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에 있어서, 바깥쪽으로부터의 힘에 추종해서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절결부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U자형 및 V자형 등이 가능하다.
또,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4c)의 재질로서는, 상기 금속재료 대신에, L자형의 코너부에서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료 또는 직포도 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부재(2)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가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c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철판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경우, 두께가 0.2mm정도의 철판이 가능하다.
또, 오목형상의 홈부(2e)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른 철판 또는 강화플라스틱의 맞붙여져 구성될 수도 있다. 이 홈부를 형성하기 위한 맞붙이는 방법으로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제5d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7)를 사용해서 접합하는 방법, 또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지그를 사용해서 접합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접착제로서는, 바깥으로부터의 힘에 따라서 변형이 가능한 탄성을 가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접착되는 2개의 프레임부재의 재질의 열팽창이 다를 경우,이들 신축의 차에 대해서, 이 접착제가 추종해서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부재의 변형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 홈부(2e)내에서 스크린부재(1)의 주위부가 탄성부재(5)를 개재해서 접착되고 있다. 이 탄성부재로서는 두께가 0.4mm정도의 양면접착테이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5c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본 프레임부재(2)의 폭D는 0.9mm정도까지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보다 큰 온도변화 또는 습도변화에 의해, 스크린부재(1)가 보다 크게 신축한 경우에, 스크린부재(1)의 신축방향과 동일방향에 대해서는, 탄성을 가진 양면접착테이프(5)가 스크린부재(1)의 신축에 추종해서, 길이방향으로 변형한다. 동시에, 스크린부재의 신축에 대응해서 미는 힘과 끌어당기는 힘에 추종해서, 3개소의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4c)의 가는 절곡부(4d)가 병형하다. 따라서,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우변의 프레임부재(2c)와 상변의 프레임 부재(2d)의 홈부부근이, 절곡부(4d)를 지지점으로 해서, 제5a도, 제5b도에 표시되는 화살표 E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그 결과, 스크린부재가 변형하거나, 또 파손되거나 하는 트러블이 방지된다.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를 구성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매트릭스형상으로 겹쳐쌓아서 설치한 대화면 영상장치에 있어서, 에지폭은 매우 작게 된다. 그 결과, 화상의 결락영역이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5]
다음에, 본 발명의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6a도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프레임부재와 캐비닛과의 조립구성을 표시한 주요부의 평면도이고, 상세하게는, 상변의 프레임부재부의 확대도이다. 제6b도는 제6a도의 S2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6a도 및 제 6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2)와 캐비닛개구부(3a)의 끼워맞춤은,프레임부재(2)의 일단부쪽에 형성된 볼록형상부(2g)를 캐비닛개구부(3a)의 단부면에 형성한 오목형상의 홈부(3b)내에 삽입해서 구성된다. 오목형상의 홈부(3b)내에 록핀(6a)이 설치되어 있고, 또 프레임부재(2)의 볼록형상부(2g)의 소정부에 갈고리형상의 록레버(6b)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부재(2)의 볼록형상부(2g)를 캐비닛개구부의 홈부(3b)내에 삽입한 후, 갈고리형상의 록레버(6b)를 록핀(6a)에 걸어서 고정한다. 록레버(6b)는 약 0.5mm의 두께로 소형형상이고, 매우 작은 장소에 설치되고,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를 소정의 프레스가공 또는 구부림가공에 의해 작성된다.
록레버의 서단부에 절곡부(6c)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6c)는 스트로크엔드(stroke end)로서 기능하는 상변의 프레임부재(2d)의 단부면에 접촉한다.
또한, 이와 같은 록기구는, 프레임부재 및 캐비닛개구부의 모든 변의 적어도 1개소에 설치되나, 바람직하게는 캐비닛의 홈부(3b)에 클리어런스를 가진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상기한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를 구성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를 매트릭스형상으로 겹쳐쌓아서 설치한 대화면 영상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의 1개의 스크린부를 빼는 경우, 록레버(6b)를 시청자쪽의 바로앞으로 회전시켜서 록을 풀고, 스크린부를 바로 앞쪽으로 끌어내서 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의 수리나 점검 등의 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실시예이외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로서는, 3차원 방향으로 형상이 변화할 수 있는 재료와 같은 다른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스크린부재와 프레임부재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불연속으로 설치된 구성도 가능하다.
또, 스크린부재로서는, 렌티큘러렌즈시트 및 프레넬렌즈시트에 부가해서, 그 앞면에 보호패널이 설치된 구성도 가능하다.
또, 스키린부재로서는, 렌티큘러렌즈시트 및 프레넬렌즈시트에 한정되지 않고, 스크린기능을 가진 부재이면 사용가능하다.
또, 프레임부재의 4변부는 수지재료를 사용한 일체성형에 의해 연속한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프레임부재의 오목형상의홈부의 형성방법으로서 판의 맞붙임에 의한 방법에 대신해서,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 프레임부재의 오목형상의 홈부의 구성에 대신해서, 프레임부재의 앞면에만 돌기를 가진 구성도 가능하다.
또, 스크린부재를 유지한 프레임부재와 캐비닛의 고정에 있어서, 록레버와 록핀을 사용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록기구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에 존재하는 변형예는, 모든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28)

  1.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고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구비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기 개구부의 앞부분의 단부면에 오목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뒤부분의 일단부가 상기 홈에 끼워맞춤해서 삽입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주부에 오목형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이 홈부에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기 뒤부분의 상기 일단부는 돌기를 가지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캐비닛에 형성된 상기 오목형상의 홈내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부재가 상기 캐비닛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4.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고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구비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경치수가 상기 캐비닛의 개구부의 외경치수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5.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외; 상기 투과형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고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구비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한면과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가 접착수단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다른면과 상기프레임부재가 접착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6.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투과형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고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구비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을 가진 기재의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양면접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7.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고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구비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상시 탄성부재가 탄성을 가진 덩어리형상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8.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고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구비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다수의 공극을 가진 폼부재(foam materia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9.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고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사이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구비한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가진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10.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고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사이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구비한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상기탄성부재가 점착제로서의 기능을 가진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11.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한면이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의 주위에 단부와 고착되고, 다른 면이 상기프레임부재의 유지부와 고착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가진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복수개가 다행다열로 배열되고, 1개의 대화면의 화상을 나타내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진 멀티스크린형의 대화면 영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기 개구부의 앞부분의 단부면에 오모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뒤부분의 일단부가 상기 홈에 끼워맞춤해서 삽입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영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주부에 오목형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그 홈부에 사이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영상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기 뒷부분의 상기 일단부가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캐비닛에 형성된 상기 오목형상의 홈내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부재가 상기 캐비닛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영상장치.
  14.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한면이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의 주위에 단부와 고착되고, 다른 면이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와 고착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가진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복수개가 다행다열로 배열되고, 1개의 대화면의 화상을 나타내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진 멀티스크린형의 대화면 영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경치수가 상기 캐비닛의 개구부의 외경치수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영상장치.
  15.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기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한면이 사이 투과형 스크린부재의 주위에 단부와 고착되고, 다른 면이 상기프레임부재의 유지부와 고착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가진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복수개가 다행당열로 배열되고, 1개의 대화면의 화상을 나타내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진 멀티스크린형의 대화면 영상장치에 있어서, 면에서 본 형상이 4각형이고, 사이 캐비닛본체에 형성된 상기 홈부와 상기프레임부재의 단부사이에 연속하는 2측면의 끼워맞춤부가 큰 클리어런스를 가지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영상장치.
  16.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한면이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의 주위에 단부와 고착되고, 다른 면이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와 고착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가진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복수개가 다행다열로 배열되고, 1개의 대화면의 화상을 나타내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진 멀티스크린형의 대화면 영상장치에 있어서, 정면에서 본 형상이 4각형이고, 상기 캐비닛본체에 형성된 사이 홈부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단부사이에 연속하는 2측면의 끼워맞춤부가 큰 클리어런스를 가지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단부의 연속하는 2측면의 폭두께가, 다른 연속하는 2측면의 폭두께보다도 작게 형성되고, 이들 폭두께가 다른 상기 프레임부재의 단부가 상기 캐비닛본체에 형성된 상기 오목형상의 홈부의 속에 삽입되고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영상장치.
  17.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스크린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한면이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의 주위의 단부와 고착되고, 다른 면이 상기프레임부재의 유지부와 고착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가진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복수개가 다행다열로 배열되고, 1개의 대화면의 화상을 나타내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진 멀티스크린형의 대화면 영상장치에 있어서, 정면에서 본 형상이 4각형이고, 상기 캐비닛본체에 형성된 상기 홈부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단부사이에, 연속하는 2측면의 끼워맞춤부가 큰 클리어런스를 가지도록 구성해서이루어지고; 상기 캐비닛본체에 형성된 상기 오목형상의 홈부내의 연속하는 2측단부에 형성된 홈부의폭이 다른 연속하는 2측단부의 폭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이들 폭이 다른 홈내에, 상기 프레임부재의 단부가 삽입되고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영상장치.
  18.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한면이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의 주위의 단부와 고착되고, 다른면이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와 고착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가진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복수개가 다행다열로 배열되고, 1개의 대화면의 화상을 나타내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진 멀티스크린형의 대화면 영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경치수가 상기 캐비닛의 개구부의 외경치수보다도 짧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왼쪽의 변과 아래쪽의 변이, 상기 캐비닛의 왼쪽의 변과 아래쪽의 변과 각각 동일면이 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영상장치.
  19.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재와; 한면이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의 주위의 단부와 고착되고, 다른 면이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와 고착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설치한 캐비닛을 가진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의 복수개의 다행다열로 배열되고, 1개의 대화면의 화상을 나타내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진 멀티스크린형의 대화면 영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개구부의 단부면에 오목형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이 홈부와 상기프레임부재의 단부가 끼워맞춤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체의 바깥쪽에 관찰자쪽의 바로 앞으로 회전할 수 있는 록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기 오목부내에 록핀이 형성되고, 상기 록핀과 상기 록레버가 끼워맞춤하고,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캐비닛이 고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록레버를 관찰자쪽의 바로앞으로 회전함으로써 록을 해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면 영상장치.
  20. 스크린기능을 가진 직사각형의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3개소의 코너부의 인접하는 2개의 주변부가,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에 의해서 접합되고, 다른 1개소의 코너부의 인접하는 2개의 주변부가 변형할 수 없는 L자형 코너접합부재에 의해서 접합된 직사각형의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접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가 설치된 캐비닛을 가진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기 개구부의 앞부분의 단부면에 오목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프레임부재의 뒤부분의 일단부는 상기 홈에 끼워맞춤해서 삽입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21. 스크린기능을 가진 직사각형의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3개소의 코너부의 인접하는 2개의 주변부가,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에 의해서 접합되고, 다른 1개소의 코너부의 코너부의 인접하는 2개의 주변부가 변형할 수 없는 L자형 코너접합부재에 의해서 접합된 직사각형의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접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가 설치된 캐비닛을 가진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가, 금속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코너부에서 변형하기 쉽도록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텔레비젼수신기.
  22. 스크린기능을 가진 직사각형의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3개소의 코너부의 인접하는 2개의 주변부가,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에 의해서 접합되고, 다른 1개소의 코너부의 인접하는 2개의 주변부가 변형할 수 없는 L자형 코너접합부재에 의해서 접합된 직사각형의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접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프레임부재가 설치된 캐비닛을 가진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을 가진 기재의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양면접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23. 스크린기능을 가진 직사각형의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3개소의 코너부의 인접하는 2개의 주변부가,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에 의해서 접합되고, 다른 1개소의 코너부의 인접하는 2개의 주변부가 변형할 수 없는 L자형 코너접합부재에 의해서 접합딘 직사각형의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접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학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가 설치된 캐비닛을 가진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탄성시트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3개소의 코너부의 인접하는 2개의 주변부가 상기 탄성시트를 개재해서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에 의해서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
  24. 스크린기능을 가진 직사각형의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3개소의 코너부의 인접하는 2개의 주변부가, 변형가능한 L자형 코너접합부재에 의해서 접합되고, 다른 1개소의 코너부의 인접하는 2개의 주변부가 변형할 수 없는 L자형 코너접합부재에 의해서 접합된 직사각형의 프레임부재와; 상기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유지부의 사이에 접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와;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에 상기 프레임부재가 설치된 캐비닛을 가진 투사형 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캐비닛의 내부의 광이 외부에 누설되지 않도록 3개소의 코너부의 인접하는 2개의 주변부중의 적어도 1개의 주변의 코너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텔레비젼수신기.
  25. 제20항에 기재된 투사형텔레비젼수신기의 복수개가, 다행다열의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되고, 이들의 모든 텔레비젼수상기가 합쳐져서 1개의 대화면의 영상을 나타내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형의 대화면 영상장치.
  26.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이 텔레비젼수상기의 전자부품과 광학부품을 내부에 장착하고,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의 단부면에 오목형상의 홈부를 형성한 캐비닛과; 내주부에 오목형상의 홈부를 형성하고, 이 홈부에 상기 스크린부재를 유지하고, 상기 캐비닛의 개구부의 홈부와 끼워 맞춤하고, 외경치수가 상기 개구부의 외경치수보다도 짧게 형성된 프레임부재와; 한면이 상기스크린부재의 주위부와 접착되고, 다른면쪽이 상기 프레임부재의 홈부와 접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투사형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기 개구부의 앞부분의 단부면에 오목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프레임부재의 뒤부분의 일단부가 상기 홈에 끼워맞춤해서 삽입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텔레비젼수신기.
  27. 제26항에 기재된 투사형텔레비젼수신기의 복수개가, 다행다열의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되고, 이들의 모든 텔레비젼수상기가 합쳐져서 1개의 대화면의 영상을 나타내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형의 대화면영상장치.
  28. 스크린기능을 가진 투과형 스크린부재와; 이 텔레비젼수상기의 전자부품과 광학부품을 내부에 장착하고, 개구부를 가지고, 이 개구부를 단부면에 오목형상의 홈부를 형성한 캐비닛과; 내주부에 오목형상의 홈부를 형성하고, 이 홈부에 상기 스크린부재를 유지하고, 상기 캐비닛의 개구부의 홈부와 끼워 맞춤하고, 외경치수가 상기 개구부의 외경치수보다도 짧게 형성된 프레임부재와; 한면이 상기 스크린부재의 주위부와 접착되고, 다른면쪽이 상기프레임부재의 홈부와 접착해서 설치되고, 외력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투사형텔레비젼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탄성을 가진 기재의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양면접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텔레비젼수신기.
KR1019940009794A 1993-05-07 1994-05-04 투사형 텔레비젼 수신기 및 그것을 사용한 대화면 영상장치 KR0145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106569A JP3079831B2 (ja) 1993-05-07 1993-05-07 投射型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93-106569 1993-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5162B1 true KR0145162B1 (ko) 1998-07-15

Family

ID=1443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794A KR0145162B1 (ko) 1993-05-07 1994-05-04 투사형 텔레비젼 수신기 및 그것을 사용한 대화면 영상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48350A (ko)
EP (1) EP0623839B1 (ko)
JP (1) JP3079831B2 (ko)
KR (1) KR0145162B1 (ko)
CN (1) CN1040275C (ko)
CA (1) CA2122967C (ko)
DE (1) DE69408030T2 (ko)
HK (1) HK10040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148A1 (ko) 2017-12-29 2019-07-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로바릭산 및 그 유사체의 합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50295B1 (en) * 1993-10-21 1999-07-21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5512968A (en) * 1994-06-08 1996-04-30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ultiple projection television system
JP2755173B2 (ja) * 1994-06-21 1998-05-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背面投射型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5900979A (en) * 1995-06-09 1999-05-04 Heller; Philip Computer monitor hood
JP3384206B2 (ja) * 1995-08-11 2003-03-10 ソニー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装置
JPH0983918A (ja) * 1995-09-19 1997-03-28 Toshiba Corp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キャビネット構造
US6000668A (en) 1996-07-30 1999-12-14 Adf Incorporated Video wall framing system
JP2988444B2 (ja) * 1997-07-03 1999-12-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機器の保護板取り付け構造と取り付け方法
WO2001031399A1 (en) * 1999-10-22 2001-05-03 Scan Vision Screen Aps A system for mounting a projection screen
US6550521B1 (en) 2000-05-30 2003-04-22 Visual Structures, Inc. Seamless screen videowall
DE60137614D1 (de) * 2000-07-17 2009-03-26 Sony Corp Projektionstafelanordnung, Projektionsgerä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6519085B2 (en) * 2001-03-23 2003-02-11 Clarity Visual Systems, Inc. Screen holding mechanism
US7362386B2 (en) * 2002-08-06 2008-04-22 Toshiba America Consumer Products, L.L.C. Integrated structural screen panel for projection television
JP2004287207A (ja) * 2003-03-24 2004-10-14 Seiko Epson Corp リアプロジェクタ
JP2007256818A (ja) * 2006-03-24 2007-10-04 Sony Corp 背面投射型表示装置及び透過型スクリーン
KR100918174B1 (ko) * 2008-07-16 2009-09-17 주식회사 만도 변위 가변형 쇽업소버의 유동 피스톤 밸브
KR101874954B1 (ko) * 2012-01-19 2018-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표시 장치
JP2013160838A (ja) * 2012-02-02 2013-08-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リーン取付構造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GB2518461A (en) * 2013-09-23 2015-03-25 Barco Nv Seamless display screen for fast installation
JP2016157071A (ja) * 2015-02-26 2016-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6614892B2 (ja) * 2015-09-25 2019-12-04 三菱電機株式会社 背面投射型映像表示装置
US10063817B1 (en) * 2016-12-19 2018-08-28 Prysm, Inc. Large display systems with screen tension adjust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726B2 (ja) * 1991-04-19 2000-09-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
JPH04369629A (ja) * 1991-06-19 1992-12-22 Sony Corp 背面投射型プロジェクター
DE69218507T2 (de) * 1991-06-28 1997-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ehäuse für Projektionsfernsehempfänger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Bildschirms
US5363149A (en) * 1992-04-23 1994-11-08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Projection television s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148A1 (ko) 2017-12-29 2019-07-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로바릭산 및 그 유사체의 합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23839B1 (en) 1998-01-21
DE69408030D1 (de) 1998-02-26
HK1004071A1 (en) 1998-11-13
DE69408030T2 (de) 1998-07-23
CA2122967A1 (en) 1994-11-08
US5548350A (en) 1996-08-20
JP3079831B2 (ja) 2000-08-21
EP0623839A1 (en) 1994-11-09
CA2122967C (en) 2004-07-20
JPH06317849A (ja) 1994-11-15
CN1107630A (zh) 1995-08-30
CN1040275C (zh) 1998-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162B1 (ko) 투사형 텔레비젼 수신기 및 그것을 사용한 대화면 영상장치
JP2814807B2 (ja) 大画面映像表示用スクリーン装置と構成方法及びスクリーン接続部材
US5708528A (en) Multiscreen display and process for assembling the same
EP0689352B1 (en) Rear projection type television receiver
US5608579A (en) Projection TV set apparatus
US649001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having a light waveguide plate and a main supporting frame
WO2012035988A1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6848793B2 (en) Projector apparatus
US5831585A (en) Light transmission screen
CN100397878C (zh) 背面投射用的屏幕的保持装置及其保持方法、屏幕的保持胶片体及其保持方法
JP5106249B2 (ja) 背面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H07270914A (ja)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
JP2010085546A (ja) 液晶表示装置
CN211016303U (zh) 灯板模组及具有其的显示屏模块单元
JPH07319071A (ja) スクリーン二重固定装置
JP3978914B2 (ja) 背面投射スクリーン
JPH06130495A (ja) 組合せ形投写形表示装置
JPH07184150A (ja) マルチビジョンの一体型スクリーン装置
KR0164245B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그 조립 방법
JPH06294998A (ja) マルチビジョン
JPH086163A (ja) 投影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974227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JP2001305655A (ja) 背面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H07146516A (ja) マルチビジョンのスクリーン装置
US20070007408A1 (en) Rear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optical screen moun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