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839B1 - 고스트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고스트제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839B1
KR0144839B1 KR1019930012812A KR930012812A KR0144839B1 KR 0144839 B1 KR0144839 B1 KR 0144839B1 KR 1019930012812 A KR1019930012812 A KR 1019930012812A KR 930012812 A KR930012812 A KR 930012812A KR 0144839 B1 KR0144839 B1 KR 0144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host
gcr
shortened
waveform equa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911A (ko
Inventor
이명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홍두표
한국방송공사
이헌조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홍두표, 한국방송공사, 이헌조, 주식회사금성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1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4839B1/ko
Publication of KR950004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04N5/213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impulsive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퀀스길이가 짧은 단축GCR신호를 사용하여 TV전송신호에 혼입된 고스트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고스트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이밍 신호발생수단, 파형등화필터링수단, 고스트제거필터링수단. GCR신호검출수단, 기준신호로서 단축 GCR신호를 저장하는 수단, 검출된 GCR신호와 단축 GCR신호를 상관연산하는 수단, 상관연산결과에 따라 필터링수단의 필터계수를 정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스트제거장치는 단축GCR신호를 사용함으로써, 고스트검출범위가 확장되고, 고스트검출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용량이 감소되고, 데이타처리속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스트제거장치
제1도는 종래의 CS-GCR 신호쌍,
제2도는 데이타시퀀스길이가 320인 단축 CS-320GCR 신호쌍,
제3도는 데이타시퀀스길이가 256인 단축 CS-256GCR 신호쌍,
제4도는 데이타시퀀스길이가 256인 단축 CS-256GCR 신호쌍,
제5도는 데이타시퀀스길이가 240인 단축 CS-240GCR 신호쌍,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스트제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7도는 제6도의 각 동작부에 대한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D변환부 12:타이밍신호발생부
13:파형등화필터부 14:스위칭부
16:고스트제거필터부 17:D/A변환부
18:GCR신호검출부 19:상관부
20:기준신호저장부 21:필터계수정정부
본 발명은 텔레비젼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비젼신호가 다중경로를 거쳐 전송되므로써 발생되는 고스트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고스트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국에서 발송되어 텔레비젼세트로 전송되는 텔레비젼신호는 전송과정에서 고층빌딩이나 산 등의 반사체에 의해 발생되는 반사파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텔레비젼세트에서 출력되는 화상의 화질이 저하되는데, 주영상의 주위에 다중상이 생기는 고스트현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고스트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S-GCR(Complementary Sequence-GCR)신호를 사용한다. 종래에는 시퀀스길이가 640인 데이터로부타 발생된 CS-640GCR신호를 사용한다. 이 CS-640GCR신호의 파형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a)도는 CS-640GCR신호를 나타내고, 제1(b)도는 S-640GCR신호신호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CS-640GCR신호신호는 고스트 검출범위가 매우 작으므로, 이 고스트검출범위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고스트제거장치에서 GCR신호를 검출하는 수단에 2K바이트 정도로 큰 용량의 메모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고스트제거장치의 상관부(Correlator)에서 기준 GCR신호와 고스트가 포함된 전송GCR신호간의 상관도를 검출함에 있어서, 데이타 시퀀스의 길이가 긴 관계로 데이타 처리속도가 늦어지며, 시퀀스길이에 비해 고스트제거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GCR신호보다 데이타시퀀스가 짧은 단축 CS-GCR신호를 사용함으로써, 고스트제거장치의 고스트검출범위가 확장되고, 고스트검출수단의 메모리용량이 감소되고, 상관부의 데이타 처리속도가 증가되어 고스트제거성능이 향상된 고스트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된 TV신호에 고스트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고스트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스트가 포함된 TV신호를 입력받아 파형등화필터링수단, 고스트제거필터링수단, 스위칭수단. GCR신호검출수단, 상관수단 그리고 필터계수정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각 수단들로 출력하는 타이밍신호발생수단; 상기 고스트가 포함된 TV신호와 필터계수정정수단으로부터 필터계수데이타를 공급받아, 상기 고스트가 포함된 TV신호를 파형등화필터링하여 출력하는 파형등화필터링수단; 필터계수정정수단으로부터 필터계수데이타를 공급받아 가산기에서 출력되는 TV신호에서 고스트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고스트제거필터링수단; 상기 파형등화필터링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고스트제거필터링수단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가산된 TV신호를 상기 고스트제거필터링수단으로 공급하는 가산기; 2개 입력단자로 상기 고스트가 포함된 TV신호와 상기 가산기 출력TV신호를 각각 공급받고, 2개 입력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칭수단; 상기 스위칭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TV신호에서 GCR신호를 검출하는 GCR신호검출수단; 소정의 시퀀스길이를 갖고 기준 GCR신호인 단축 GCR신호를 저장하는 기준신호저장수단 ; 상기 GCR신호검출수단에서 검출된 GCR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저장수단에서 단축 GCR신호를 공급받아, 2개 GCR신호를 상관연산하는 상관수단; 및 상기 상관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관연산결과데이타에 따라 가변되는 필터계수데이타를 산출하여, 상기파형등화필터링수단 및 고스트제거필터링수단으로 각각 공급하는 필터계수정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제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고스트제거장치에서 사용되는 단축 CS-GCR신호의 파형이 제2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a)도 및 제2(나)도는 데이타가 +1,0-1의 3값을 가지며, 시퀀스길이가 320인 단축 CS-320GCR신호 및 단축 S-320GCR신호를 각각 나타낸다. 제3(a)도 및 제3(나)도는 데이타가 +1,-1의 2값을 가지며, 시퀀스길이가 256인 단축 CS-256GCR신호 및 단축 S-256GCR신호를 각각 나타낸다. 제4(a)도 및 제4(b)도는 데이타가 +1,0,-1의 3값을 가지며, 길이가 256인 단축 CS-256ZGCR신호 및 단축 S-256ZGCR신호를 각각 나타낸다. 제5(a)도 및 제5(b)도는 데이타가 +1,0,-1의 3값을 가지며, 길이가 240인 단축 CS-240GCR신호 및 단축 S-240GCR신호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이, 시퀀스길이가 짧은 단축 GCR신호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의 표1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고스트검출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제6도는 전술한 단축 GCR신호를 사용하는 고스트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2도 내지 제5도의 단축 GCR신호 중의 하나, 또는 이와 유사한 다른 단축 GCR신호를 사용하게 되는데, 데이타 전송 채널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단축 GCR신호를 선택하나. 선택된 단축 GCR신호는 수직블랭킹구간 내의 한 수평라인구간동안에 실려서 송신측으로부터 발송된다. 이와 같이, 전송되는 TV신호는 전송도중 전송 채널의 특성에 따라 반사파 등에 의해 발생되는 고스트가 혼입되어 수신측에 수신된다. 이와 같이 고스트성분이 혼입된 수신신호가 제7(a)도에 도시되어 있다. 고스트가 포함된 복합영상신호(V)는 A/D변환기(11)로 입력됨과 동시에 타이밍신호발생부(12)로 공급된다. A/D변환기(11)에서 출력되는 디지탈데이타는 파형등화필터부(13)로 공급됨과 동시에 스위칭부(14)의 제1입력단자(a)로 공급된다. 타이밍신호발생부(12)는 클럭신호 비롯한 수평동기신호, 수직동기신호, 필터제어신호, 메모리제어신호 등 각종의 시간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각 동작부로 공급한다. 파형등화필터부(13)는 전송채널에 의해 변경된 입력데이타의 주파수특성을 보상한 다음 가산기(15)로 공급한다. 이때, 파형등화필터부(13)의 필터계수는 소정의 피드백신호에 의해 결정되며, 가산기(15)는 파형등화필터부(13)의 출력신호와 소정의 피드백신호를 가산하는데, 이에 대히서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산기(15)의 출력데이타는 상술한 스위칭부(14)의 제2입력단자(b)로 인가됨과 동시에 고스트제거필터부(16)로 공급된다. 또한, 가산기(15)의 출력데이타는 D/A변환기(17)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최종 출력된다. 스위칭부(14)는 제1입력단자(a) 및 제2입력단자(b)로 각각 입력되는 A/D변환가(11) 출력신호 및 가산기(15) 출력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단자(c)를 통해 GCR신호검출부(18)로 전송한다. 스위칭부(14)의 스위칭동작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GCR신호검출부(18)는 스위칭부(14)에서 공급되는 복합영상신호 중GCR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수평라인을 선택하여, 이 수평라인에서 동기신호 및 색부반송파신호 등을 제거하여 순수한 GCR신호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GCR신호검출부(18)에서 검출되는 순수한 GCR신호의 파형이 제7(b)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신호는 상관부(19)의 일측 입력단자로 인가된다. 상관부(19)의 타측 입력단자로는 기준신호저장부(20)에 저장된 고스트가 포함되지 않은 기준GCR신호가 공급된다. 이 기준GCR신호의 파형이 제7(c)(d) 도시되어 있으며, 이 기준GCR신호는 제2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축GCR신호이다. 그러면, 상관부(19)는 GCR신호검출부(18)로부터 공급되는 고스트가 포함된 GCR신호를 공급받고, 기준신호저장부(20)로부터 고스트가 포함되지 않은 기준GCR신호를 공급받아, 이 2개 입력신호에 대한 상관연산을 수행한다. 상관부(19) 출력신호의 파형이 제7(d)(e)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관부(19)의 출력신호는 필터계수정정부(21)로 공급된다. 필터계수정정부(21)는 상관부(19)로부터 공급되는 상관 연산신호에서 고스트의 크기 및 고스트의 성분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데이타를 바탕으로 고스트성분과 반대되는 성분을 갖도록 필터계수값을 조정한후 상술한 파형등화필터부(13)와 고스트제거필터부(16)로 각각 공급한다. 그러면, 파형등화필터부(13)는 필터계수정정부(21)에서 공급되는 필터계수에 따라 A/D변환기(11)의 출력데이타를 등화하여 가산기(15)로 공급한다. 또한, 고스트제거필터부(16)는 필터계수정정부(21)에서 공급되는 필터계수에 따라 가산기(15)의 출력데이타에서 고스트성분을 필터링한 다음 다시 가산기(15)로 공급한다. 그러면, 가산기(15)는 파형등화필터부(13)의 출력신호와 고스트제거필터부(16)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D/A변환기(17)로 공급하고, D/A변환기(17)는 제7(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스트성분이 제거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스위칭부(14)는 전원이 턴온되거나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에는 A/D변환부(11)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제1입력단자를 선택하여 출력단자(c)와 접속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계수가 산출되어 파형등화필터부(13) 및 고스트제거필터부(16)가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가산기(15)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제2입력단자(b)를 출력단자와 접속한다. 즉, 고스트제거장치의 전원이 턴온되거나 TV의 채널이 전환되어 최초로 신호가 입력될 때, 스위칭부(14)는 A/D변환기(11)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신호는 GCR신호검출부(18), 상관부(19), 기준신호저장부(20) 및 필터계수정정부(21)에 의해 필터계수를 산출하여 파형등화필터부(13) 및 고스트제거필터부(16)로 보낸다. 이와 같이, 필터계수가 산출되는 동안, 고스트가 포함된 입력영상신호는 파형등화필터부(13) 및 가산기(15)를 바이패스한 후 제7(a)도와 같이 고스트가 포함된 상태로 D/A변환기(17)를 통해 아날로그영상신호로 재생된다. 필터계수가 산출된 후에는, 필터계수값이 파형등화필터부(13) 및 고스트제거필터부(16)로 공급되어 필터들을 콘트롤하여 입력영상신호에 포함된 고스트성분을 제거한 후 D/A변환기(17)를 통해 제7(e)도와 같이 고스트가 제거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일단 고스트제거동작 수행된 후에는, 고스트제거장치의 전원을 다시 턴오프 및 턴온하거나 채널을 전환하기 전까지는 스위칭부(14)에서 A/D변환기(11)로 부터의 신호를 차단하고, 가산기(15)로 부터의 신호를 선택하여 상술한 고스트제거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스트제거장치는 종래의 GCR신호보다 시퀀스길이가 짧은 단축GCR신호를 사용하므로써, 고스트검출범위를 대폭 확장시키며, 고스트검출에 사용되는 메모리의 용량을 감소시키고, 데이타처리속도를 증가시키는 등 고스트제거성능을 보다 향상시킨다.

Claims (6)

  1. 수신된 TV신호에서 고스트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고스트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스트가 포함된 TV신호를 입력받아 파형등화필터링수단, 고스트제거필터링수단, 스위칭수단, GCR신호검출수단, 상관수단 그리고 필터계수정정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각 수단들로 출력하는 타이밍신호발생수단; 상기 고스트가 포함된 TV신호와 필터계수정정수단으로부터 필터계수데이타를 공급받아, 상기 고스트가 포함된 TV신호를 파형등화필터링하여 출력하는 파형등화필터링수단; 필터계수정정수단으로부터 필터계수데이타를 공급받아 가산기에서 출력되는 TV신호에서 고스트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고스트제거필터링수단; 상기 파형등화필터링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고스트제거필터링수단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가산된 TV신호를 상기 고스트제거필터링수단으로 공급하는 가산기; 2개의 입력단자로 상기 고스트가 포함된 TV신호와 상기 가산기의 출력 TV신호를 각각 공급받고, 2개의 입력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칭수단; 상기 스위칭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TV신호에서 GCR신호를 검출하는 GCR신호검출수단; 소정의 시퀀스길이를 갖고 기준 GCR신호인 단축 GCR신호를 저장하는 기준신호저장수단; 상기 GCR신호검출수단에서 검출된 GCR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저장수단에서 단축 GCR신호를 공급받아, 2개 GCR신호를 상관연산하는 상관수단; 및 상기 상관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관연산결과데이타에 따라 가변되는 필터계수데이타를 산출하여, 상기 파형등화필터링수단 및 고스트제거필터링수단으로 각각 공급되는 필터계수정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전원을 턴온하거나, 채널을 전환할 때 상기 고스트가 포함된 TV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파형등화필터링수단 및 고스트제거필터링수단이 필터계수를 각각 공급받아 필터링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가산기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저장수단은 +1,0,-1의 3값으로 이루어지고 데이터 시퀀스길이가 320인 단축 CS-320GCR신호쌍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저장수단은 +1,-1의 2값으로 이루어지고 데이타 시퀀스길이가 256인 단축 CS-256GCR신호쌍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저장수단은 +1,0,-1의 3값으로 이루어지고 데이타 시퀀스길이가 256인 단축 CS-256ZGCR신호쌍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저장수단은 +1,0,-1의 3값으로 이루어지고 데이타시퀀스길이가 240인 단축 CS-240GCR신호쌍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스트제거장치.
KR1019930012812A 1993-07-08 1993-07-08 고스트제거장치 KR0144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812A KR0144839B1 (ko) 1993-07-08 1993-07-08 고스트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2812A KR0144839B1 (ko) 1993-07-08 1993-07-08 고스트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911A KR950004911A (ko) 1995-02-18
KR0144839B1 true KR0144839B1 (ko) 1998-07-15

Family

ID=1935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2812A KR0144839B1 (ko) 1993-07-08 1993-07-08 고스트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4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338B1 (ko) 2011-09-29 2016-10-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행 탑재가 용이한 스티프너-브래킷 배치 구조를 갖는 데크 하우징 구조물 및 그것의 탑재 공법
KR101662337B1 (ko) 2011-09-29 2016-10-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행 탑재가 용이한 스티프너-브래킷 설치 구조를 갖는 데크 하우징 구조물 및 그것의 탑재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911A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1806B1 (ko) 고품위 텔레비젼용 대역 통과 위상 트랙커를 구비한 디지탈 잔류 측파대 검출기
US5341177A (en) System to cancel ghosts generated by multipath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5532755A (en) Apparatus for suppressing ghosts in signals modulating a carrier in quadrature phasing with a video carrier
JP2983951B2 (ja) 同一チャンネル干渉除去器及びその駆動方法
KR950014188B1 (ko) 다중 경로 왜곡 보정 시스템
JP2000506716A (ja) 同一チャネル干渉を受けるdtv信号用受信機のチャネル等化器の動作方法
KR0144839B1 (ko) 고스트제거장치
JP2514854B2 (ja) 映像信号のノイズ除去装置
KR19990084482A (ko) 기준신호를 갖는 변복조방식 디지털통신시스템 수신장치에서의신호처리 방법 및 장치와 동일채널간섭신호 제거를 위한 방법및 장치
JP2940326B2 (ja) ゴースト除去装置
JP2871323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im et al. A new ghost cancellation system for Korean GCR
JPH0420086A (ja) 波形等化装置
KR960016564B1 (ko) 적응적인 고스트 제거장치
KR0139158B1 (ko) 고스트제거기준(gcr)신호검출방법 및 그 장치
JPH0211069A (ja) ゴースト除去装置
JP2583877B2 (ja) 雑音抑圧装置
JPS58117780A (ja) ゴ−スト除去装置
KR0129563B1 (ko) 고스트 제거장치
JP2569960B2 (ja) 波形等化装置
KR960004132B1 (ko) 텔레비전(tv) 수상기의 고우스트 제거 장치와 방법
JP2000156799A (ja) ゴースト除去装置
JP2857538B2 (ja) ゴースト除去回路
JPH09135402A (ja) 波形等化装置
JPH01174008A (ja) 波形等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