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656B1 - 자동차의 프론트보디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프론트보디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656B1
KR0144656B1 KR1019940022329A KR19940022329A KR0144656B1 KR 0144656 B1 KR0144656 B1 KR 0144656B1 KR 1019940022329 A KR1019940022329 A KR 1019940022329A KR 19940022329 A KR19940022329 A KR 19940022329A KR 0144656 B1 KR0144656 B1 KR 0144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 force
cross
body structure
wall
ope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284A (ko
Inventor
신야 오가사와라
Original Assignee
쓰지 요시후미
닛산 지도우샤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지 요시후미, 닛산 지도우샤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쓰지 요시후미
Publication of KR950008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하는 프론트 보디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후측에 개방면이 되는 대략 ㄷ자상의 단면을 가지며 개방면 상단에 상측의 플랜지(7)가 형성됨과 동시에 개방면 하단에 하측의 플랜지(8)가 형성된 프론트부재(31)과 프론트부재(31)의 양 플랜지(7)(8)에 고설되어 프론트부재(31)의 개방면을 씌운 리어부재(5)로 이루어지며 사이드멤버(3) 사이에 가설되어 있는 퍼스트크로스멤버(30)을 가지며 리어부재(5)의 자동차(10) 전측 FR의 면(34)에 단면상 대략 L자상으로 형성된 레인포스(32)의 종벽(13)이 고설됨과 동시에 레인포스(32)의 횡벽(15)이 하측부재(37)에 형성된 계지돌부(33)에 계지되어, 센터멤버(2)가 레인포스(32)의 횡벽(15)과 퍼스트크로스멤버(30)의 하측부재(37)에 체결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의 제2도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 제1도의 레인포스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종래 예의 제1도에 상당하는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자동차의 저면도이다.
제5도는 자동차의 전부의 경사진 상부에서의 사시도이다.
제6도는 제3도의 자동차에 걸린 하중 분포 설명도이다.
제7도는 제3도의 퍼스트크로스멤버와 센터멤버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8도는 타의 종래 예의 제3도 상당의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퍼스트크로스멤버 2:센터멤버
3:사이드멤버 5:리어부재
7:프론트부재의 상측의 플랜지 8:프론트부재의 하측의 플랜지
10:자동차 RR:자동차의 후측
11:리어부재의 단부 12:리어부재의 단부
SW1:용접 SW2:용접
SW5:용접 13:레인포스의 종벽
15:레인포스의 횡벽 30:퍼스트크로스멤버
31:프론트부재 32:레인포스
33:계지돌부 34:자동차의 전측의 면
36:사이드부재 37:프론트부재의 하측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로서는, 제3도 내지 제7도(일본국 실개소 63-28079호 공보, 동 실개평 1-1754853호 공보 참조)에 표시하는 구조의 것이 있다.
즉,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로서는, 퍼스트크로스멤버(1)와 그 퍼스트크로스멤버(1)의 하방의 면에 체결되는 센터멤버(2)를 갖는다.
퍼스트크로스멤버(1)는 프론트부재(4)와 리어부재(5) 및 레인포스(6)로 이루어지며 사이드멤버(3) 사이에 가설된다.
프론트부재(4)는 자동차(10)의 후측(RR)이 개방면이 되는 대략 ㄷ자상의 단면을 소유하며 개방면 상단에 상측의 플랜지(7)가 종벽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면 하단에, 하측의 플랜지(8)가 대략 수평의 하측부재(9)의 후측에 연장하여 형성된다.
리어부재(5)는 단면이 대략 L자상으로 형성되어 프론트부재(4)의 양 플랜지(7)(8)에 리어부재(5)의 양단부(11)(12)가 용접(SW1,2)에 의해 고착되어, 프론트부재(4)의 개방면을 닫고 있다.
레인포스(6)은 종벽(13)과 횡벽(15)에서 이루어지는 단면이 대략 L자상으로 형성되어, 종벽(13)이 프론트부재(4)의 전측부재(14)의 후면(14A)에 용접(SW3)에 의해 고착됨과 동시에 횡벽(15)이 전기 프론트부재(4)의 하측부재(9)에 용접(SW4)에 의해 고착되어 이루어진다.
레인포스(6)의 횡벽(15)에는 용접에 의해 너트(16)가 고설되어, 볼트(17)로 너트(16)을 나합하므로서 센터멤버(2) 및 레인포스(6) 또 퍼스트크로스멤버(1)를 같이 체결하였다.
센터멤버(2)는 엔진마운트(도시생략)에 의하여 엔진유닛(18)을 지지하여 이루어진다.
또 센터멤버(2)의 전후에는 잭업포인트(19)가 형성되어 있다.
20은 프로트엔드업패널, 21은 헤드램프서포트패널이다.
그러나 전기한 종래의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는, 주행시의 엔진유닛(18)의 상하 가속도에 의해 엔진마운트를 개재하여 센터멤버(2)에 A방향의 하중이 가해져 이러한 하중에 의해 퍼스트크로스멤버(1)의 프론트부재(4) 하측이 플랜지(8)와 리어부재(5) 하측의 단부(12)와의 용접(SW2)이 파단할 염려가 있다.
그 때문에 용접(SW2)의 수를 증대시켜 그 파단을 방지하면 작업 공정이 상당히 증대하여 용접용 팁등도 많이 필요하며 원가상승의 한 원인이 되는 염려가 있다.
또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잭업포인트(19)에 잭(22)를 대고 자동차(10)을 들어 올리기 위하여 하중(FJ)를 가하면 그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에 의해 리어부재(5)의 각부가 변형할 염려가 있다.
그 때문에 리어부재(5)의 판두께를 증대시켜 변형을 방지하면 자동차(10)의 중량 증가의 한 원인이 되어 연비상으로 좋지 않다.
그 때문에 제8도와 같이 리어부재(5)에 미리 레인포스(6)의 종벽(13)을 용접(SW5)에 의해 조립하고 리어부재(5)의 양단부(11)(12)를 프론트부재(4)의 양 플랜지(7)(8)에 용접(SW1,2)에 의해 고설하여 리어부재(5)를 보강하는 조립방법도 고려되나, 리어부재(5)와 레인포스(6)의 종벽(13)과의 위치 오차가 생겼을 경우 프론트부재(4)의 하측부재(9) 및 레인포스(6)의 횡벽(15)과의 사이에 간격(23)이 생겨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제8도와 같은 경우 프론트부재(4)의 중간측에 용접공구(도시생략)를 삽입하려면 레인포스(6)의 종벽(13)이 방해하여 들어가지 않으므로 레인포스(6)의 횡벽(15)를 하측부재(9)에 용접이 불가능하며 볼트(17) 및 너트(16)에 의해 횡벽(15)를 하측부재(9)측에 고정하려 하여도 횡벽(15)의 전단부(35)는 하측부재(9)에서 부상해 버려 강도상 충분치 못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므로 그 목적하는 바는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하며 작업 공정수의 감축과 경량화가 가능한 프론트보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1의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로서는 자동차의 후측이 개방면이 대략 ㄷ자상의 단면을 가지며, 개방면 상단에 상측의 플랜지가 형성됨과 동시에 개방면 하단에 하측의 플랜지가 형성되는 프론트부재와 그 프론트부재의 양 플랜지에 고설되어 전기 프론트부재의 개방면을 씌운 리어부재로부터 이루어지고 사이드멤버 사이에 가설되어 이루어지는 퍼스트크로스멤버를 소유하며 전기 프론트부재의 대략 수평의 하측부재의 하면에 샌터맴버를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에 있어서,
그 퍼스트크로스멤버의 리어부재의 전측면에 단면이 대략 L자상으로 형성된 레인포스의 종벽이 고설됨과 동시에 그 레인포스의 횡벽에 전기 퍼스트크로스멤버의 프론트부재의 하측부재에 형성된 계지돌부가 계지되어 센터멤버가 레이포스의 횡벽과 퍼스트크로스멤버와 하측부재에 체결된다. 또 레인포스에는 종벽과 횡벽과의 좌우단부 사이에 종벽과 횡벽을 연결하는 사이드부재가 형성되면 좋다.
본 발명에서는 미리 레인포스의 횡벽을 계지돌부에 삽입하여 계지하고, 레인포스의 종벽을 리어부재의 자동차의 전측의 면에 고설하여 레인포스와 리어부재를 조립하고 리어부재를 프론트부재의 양 플랜지에 고설한다.
그리고 센터멤버를 레인포스와 퍼스트크로스멤버에 체결한다.
계지돌부는 레인포스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가지기 위하여 레인포스의 상하 전후 방향의 정확도가 증가하며 레인포스의 횡벽을 프론트부재의 하측부재에 억압을 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리어부재에 레인포스를 고설하므로서 엔진유닛의 상하 가속도에 의한 A방향의 하중 및 잭에 의한 하중 FJ에 대하여 레인포스에도 힘이 분산 전달되어 리어부재를 보강하므로 리어부재 하측의 플랜지와 프론트부재의 하측부재와의 파단 및 리어부재의 변형이 방지된다. 더욱이 사이드부재에 의한 레인포스의 강도가 더욱 향상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및 제2도에 의해 설명한다. 종래 예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며,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 및 제2도중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는 퍼스트크로스멤버(30)와, 퍼스트크로스멤버(30)의 하방의 면에 체결된 센터멤버(2)를 갖는다. 퍼스트크로스멤버(30)는 프론트부재(31)와 리어부재(5) 및 레인포스(32)에 의해 이루어지며 사이드멤버(3)(제4도) 사이에 가설된다.
프론트부재(31)은 자동차(10)의 후측 RR이 개방면이 되는 대략 ㄷ 자상의 단면을 소유하며 개방면 상단에 상측의 플랜지(7)가 종벽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면 하단에 하측의 플랜지(8)가 대략 수평의 하측부재(37)의 후측에 연재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부재(31)의 하측부재(37)에는 계지돌부(33)가 복수로 내측에 절취하여 세워서 형성된다.
레인포스(32)는 종벽(13)과 횡벽(15)에서 이루어지는 단면이 대략 L자상으로 형성되어 종벽(13)이 리어부재(5)의 자동차(10)의 전측(FR)의 면(34)에 용접(SW5)에 의해 고설되어 횡벽(15)의 전단부(35)가 계지돌부(33)의 속에 삽입하여 계지된다.
더욱이 레인포스(32)에는 종벽(13)과 횡벽(15)과의 좌우단부 사이에 종벽(13)과 횡벽(15)을 연결하는 사이드부재(3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레인포스(32)의 횡벽(15)의 전단부(35)를 계지돌부(33)에 삽입하고, 종벽(13)을 용접(SW5)하여 레인포스(32)와 리어부재(5)를 조립하고, 리어부재(5)의 양단부(11)(12)를 프론트부재(31)의 플랜지(7)(8)에 용접(SW1,2)에 의해 고설한다.
레인포스(32)의 횡벽(15)에는 용접에 의해 너트(16)가 고설되어, 볼트(17)로 너트(16)를 나합하므로서 센터멤버(2)를 레인포스(32)의 횡벽(15)과 퍼스트크로스멤버(30)의 하측부재(37)에 체결한다.
계지돌부(33)는 레인포스(32)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가지기 위하여 레인포스(32)의 상하 전후 방향의 정확도가 증가하여, 볼트(17)와 너트(16)를 나합할때에 레인포스(32)가 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레인포스(32)의 전단부(35)를 프론트부재(31)의 하측부재(37)에 결속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리어부재(5)에 레인포스(32)를 고설하므로서 엔진유닛(18)의 상하 가속도에 의한 A방향의 하중 및 잭에 의한 하중 FJ에 대하여, 레인포스(32)에도 힘이 분산 전달되어 리어부재(5)를 보강하므로 리어부재(5)의 하측의 플랜지(12)와 프론트부재(31)의 하측부재(37)와의 파단 및 리어부재(5)의 변형이 방지된다.
더욱이 사이드부재(36)에 의해 레인포스(32)의 강도가 더욱 향상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에 의하면, 리어부재에 레인포스가 고설되어서 엔진유닛의 상하 가속도에 의한 A방향의 하중 및 잭에 의한 하중 FJ에 대하여 레인포스에도 힘이 분산 전달되어 리어부재를 보강하므로, 리어부재의 하측의 플랜지와 프론트부재의 하측부재와의 파단 및 리어부재의 변형이 방지된다.
계지돌부는 레인포스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가지기 위하여 레인포스의 상하 전후방향의 정확도가 증가하여 레인포스의 횡벽을 프론트부재의 하측부재에 결속할 수 있다.
더욱이 사이드부재에 의한 레인포스의 강도가 더욱 향상하게 된다.

Claims (2)

  1. 자동차의 후측이 개방면으로 되는 ㄷ자형의 단면을 형성하고, 개방면 상단에 상측 플랜지가 형성됨과 동시에 개방면 하단에 하측 플랜지가 형성된 프론트부재와 그 프론트부재의 양 플랜지에 고정되어서 상기 개방면을 씌운 리어부재로부터 이루어지며 사이드멤버 사이에 가설된 퍼스트크로스멤버를 가지며 프론트 부재의 전기 수평 하측부재의 하면에 샌터멤버를 체결하여서 되는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에 있어서, 그 퍼스트크로스멤버의 리어부재 전면에 단면이 L자형으로 형성된 레인포스의 종벽이 고정됨과 동시에 그 레인포스의 횡벽의 전단부가 퍼스트크로스멤버의 프론트부재의 하측부재에 형성된 계지돌부에 계지되게 하여, 센터멤버에 레인포스의 횡벽이 퍼스트크로스멤버의 하측부재에 눌려지는 상태로 체결되어 착설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레인포스에는 종벽과 횡벽의 좌우단부에 있어서, 종벽과 횡벽을 연결하는 사이드부재가 형성되게 착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티보디 구조.
KR1019940022329A 1993-09-24 1994-09-02 자동차의 프론트보디 구조 KR0144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38323A JP3018863B2 (ja) 1993-09-24 1993-09-24 自動車のフロントボデイ構造
JP5-238323 1993-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284A KR950008284A (ko) 1995-04-17
KR0144656B1 true KR0144656B1 (ko) 1998-08-01

Family

ID=1702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329A KR0144656B1 (ko) 1993-09-24 1994-09-02 자동차의 프론트보디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18863B2 (ko)
KR (1) KR0144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8790B2 (en) 2001-04-26 2004-03-23 Denso Corporation Front-end structure of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18863B2 (ja) 2000-03-13
JPH0789453A (ja) 1995-04-04
KR950008284A (ko) 199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1076A (en) Upper body structure for vehicle bodies
KR910000502B1 (ko)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US6354654B2 (en) Vehicle frame reinforcement
US4440438A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of an automotive vehicle
KR0144656B1 (ko) 자동차의 프론트보디 구조
JPS602996Y2 (ja) 車両センタピラ−のシ−トベルト取付構造
JPH053421Y2 (ko)
KR19980059698A (ko) 리어사이드 프레임 강성보강구조
KR0131644Y1 (ko) 자동차의 토잉 훅
JP2581882Y2 (ja) 自動車のフューエルタンクプロテクター取付構造
JPH01306342A (ja) 自動車のリヤバンパ取付け構造
KR200149882Y1 (ko) 자동차의 하부 차체
KR930002557Y1 (ko) 승용차의 대쉬패널(dash panel)과 센터플로어(center floor) 접합구조
JPS6324048Y2 (ko)
JPH0331640Y2 (ko)
JPH0769260A (ja) 自動2輪車のリヤフェンダ取付構造
KR0120431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센타플로워 리어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200188442Y1 (ko) 자동차용 리어부 보강구조
KR19980028535U (ko)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JP3395052B2 (ja) 自動車のボディ構造
JP3785858B2 (ja) 燃料ボンベ付自動車の燃料ボンベ取付構造
KR0128313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0118846Y1 (ko) 자동차의 후방 범퍼의 사이드 플레이트
CN115052807A (zh) 驾驶室悬架支撑构造
JPH1159206A (ja) 燃料タンク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