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604B1 - 유동상 활성오니에 사용되는 고정화 담체 - Google Patents

유동상 활성오니에 사용되는 고정화 담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604B1
KR0144604B1 KR1019950005076A KR19950005076A KR0144604B1 KR 0144604 B1 KR0144604 B1 KR 0144604B1 KR 1019950005076 A KR1019950005076 A KR 1019950005076A KR 19950005076 A KR19950005076 A KR 19950005076A KR 0144604 B1 KR0144604 B1 KR 0144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rphous silica
activated sludge
silica powder
microorganisms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5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412A (ko
Inventor
이근헌
Original Assignee
김기호
쌍용양회공업주식회사
최탄
쌍용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호, 쌍용양회공업주식회사, 최탄, 쌍용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기호
Priority to KR1019950005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4604B1/ko
Publication of KR96003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1/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enzymes; Carrier-bound or immobilised microbial cells; Preparation thereof
    • C12N11/14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inorganic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Immobilizing And Processing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상 활성오니에 미생물을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유리 희석액을 공업용 황산으로 중화, 건조하여 제조된 다공성의 비정질 실리카 고정화 담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동상 활성오니에 사용되는 고정화 담체
본 발명은 하수 또는 산업폐수를 유동상 활성오니법으로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고정화 담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비정질 실리카분말을 새로운 고정화 담체로 사용하여 활성오니의 처리효율을 더욱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수 및 산업폐수를 처리하는 종래의 활성오니처리에서는 활성오니의 침강성이 낮은데다 벌킹이 자주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침강조에서 압밀성이 높은 침강오니를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활성오니가 쉽게 유출되어 폭기조내에서 미생물의 농도를 높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이유로 종래의 활성오니처리에서는 폭기조내에 미생물의 농도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높은 부하로(일반적으로1.5㎏COD/㎡일 이하) 폭기조를 운전할 수 없었다(대한민국 특허 공보 제90-1539호).
따라서 종래의 활성오니처리를 개선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한 시도중에서 유동상 활성오니법은 미생물을 고정화시키는 고정화 담체로써 활성탄분말, 규조토, 모래, 세라믹스, 고로수재, 유기 고분자 등을 폭기조에 유동시키는 방법으로써 활성오니의 침강성을 개선하고, 폭기조내 활성오니의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대한민국 특허 공보 제90-9152호). 유동상 활성오니법에서는 고정화 담체에 활성오니의 미생물이 부착되어 생물막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유동상 활성오니법에서 고정화 담체로 사용되는 활성탄이나 유기고분자의 경우 활성오니와의 친화력은 매우 높으나 고가이며, 또한 사용후 담체에 부착된 생물막을 물리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활성탄의 경우 소각처리한 후 재생할 수 있으나, 재생비용이 높으며 재생한 활성탄은 특성이 떨어진다. 무기계인 세라믹스는 활성오니와의 친화력이 낮으며, 이것은 일반세라믹스의 경우 표면전하가 프러스이기 때문에 미생물이 잘 부착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다. 따라서 유동상 활성오니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활성오니와 친화력이 높으며, 재생이 쉽고 가격이 저렴한 고정화 담체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상 활성오니법에서 미생물을 부착시키는 고정화 담체로 사용되는 비정질 실리카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비정질 실리카는 표면전하가 마이너스이므로 세라믹스보다 미생물이 잘 부착되며, 비정질 실리카 분말의 비표면적과 다공성이 높다. 또한 비표면적이 높으므로 활성오니의 부착이 용이하며, 다공성이므로 미생물의 영양원들을 흡착하여 미생물에게 공급하는 효과도 있어 부착된 생물막의 활성을 높이고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정질 실리카 분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비정질 실리카는 원료가격이 낮은 물유리(Sodium Silicate)와 공업용 황산을 사용하여 두 원료를 중화시키므로써 제조하였으며, 중화시킬 때 다공성의 겔이 생성되며, 겔중에 존재하는 나트륨(Sodium)성분을 제거하면 비정질 실리카의 다공성은 더욱 높아진다.
물유리에 물을 첨가하여 실리카농도가 중량비로 20%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이 희석액 5% 황산을 희석액에 대해 중량비로 50~60% 첨가하여 5~10분 정도 반응시키면 다공성의 겔이 형성된다. 이 겔을 10~15분간 숙성시킨후 3% 황산을 희석액에 대해 중량비로 140~160% 첨가하여 완전히 중화시킨다. 그후 고액분리하고 건조하면 다공성의 비정질 실리카가 제조된다. 제조된 비정질 실리카의 비표면적은 700㎡/g 이상이며, 기공크기는 5~20Å이다. 건조된 실리카 분말을 진동밀(Vibration mill)로 5~30분 동안 분쇄하면 5~40㎛의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좀더 크기가 큰 분말을 얻기 위해서는 분무조건을 하면된다. 분무건조기의 인입구 온도를 150℃, 인출구 온도를 200℃의 조건으로 분무건조하여 1~10분간 진동밀로 분쇄하면 25~300㎛의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비정질 실리카 분말을 고정화 담체로 이용하여 활성오니 처리하는데 있어서 운전시 가장 중요한 인자는 비정질 실리카 분말의 입자 크기와 첨가량이다. 비정질 실리카 분말의 크기를 20㎛ 이하로 하면 폭기할 때 폭기조 내에서 잘 유동하지 않으며, 폭기조의 상부에서만 위치하게 된다. 또한 침전조에서 짧은 시간안에 침전시키기 어렵다. 또한 250㎛ 이상이 되면 폭기조에서 분산성이 나쁘며, 특히 폭기량이 적을때는 잘 유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비정질 분말의 적정 크기는 20~250㎛ 이다. 폭기조내 비정질 실리카의 첨가량은 5~30㎏/폭기조㎡이 적합하다. 첨가량이 5㎏ 이하이면 활성오니처리효율의 증가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30㎏/폭기조㎥ 이상이 되면 더 이상 효율 증가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유동되지 않는 비정질 실리카 분말이 존재한다. 비정질 실리카 분말은 600℃까지 열적으로 안정하다. 따라서 활성오니 처리에 이용한 후 비정질 실리카 분말에 부착된 생물막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500~550℃에서 30분간 열처리하면 된다. 재생한 비정질 실리카 분말의 특성은 원래의 비정질 실리카 분말과 큰 차이가 없다.
한편 미생물의 비정질 실리카에 대한 부착성을 높여 더욱 효과적인 담체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조된 비정질 실리카를 미생물의 영양원이 되는 K, Ca, Mg, Fe, Mn, Ni, Co, N, P 등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침지시켜 표면특성이 개선된 비정질 실리카를 제조할 수 있다.
미생물의 영양원이 되는 K, Ca, Mg, Fe, Mn, Ni, Co, N, P를 포함하는 수용성 화합물을 물에 용해시켜 영양원 용액을 제조한후, 이 용액에 비정질 실리카 분말을 15~25시간 동안 침지하여 각 영양원의 이온들을 침지시켰다. 침지시간이 15시간 이하이면 이온의 흡착량이 적으며, 24시간 침전하면 더 이상의 흡착효과는 없었다. 이온이 흡착된 분말은 100℃에서 24시간동안 건조하였다. 이들 이온이 흡착된 비정질 실리카 분말을 고정화 담체로 이용하여 활성오니 처리한 결과 이온을 흡착하지 않은 비정질 실리카를 사용한 경우보다 활성오니 처리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비정질 실리카의 가격이 비싸지므로 난분해성 폐수처리에 더욱 주효할 것이다.
본 발명의 비정질 실리카 분말은 물유리로부터 제조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비정질 실리카 분말은 비표면적이 높고 다공성이므로 영양원을 흡착하여 미생물의 부착과 활성에 도움을 주므로 폐수처리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후의 비정질 실리카 분말은 500~550℃에서 열처리하므로써 쉽게 재생할 수 있다. 영양원이 되는 이온을 흡착한 비정질 실리카 분말은 활성오니 처리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에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입자 크기가 50~100㎛ 이며 비표면적이 750㎡/g, 기공크기가 평균 10Å인 비정질 실리카 분말을 사용하여 활성오니 처리하였다. 사용한 폐수는 하수종말 처리장에서 입수한 하수로 COD가 150㎎/ℓ 이었다. 실험장치로는 폭기조가 50ℓ이며, 비정질 실리카 첨가량은 10㎏/폭기조㎡ 이었다. 처리시간과 처리수질의 관계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비결정 실리카 무첨가 실험
또한 표 2는 비정질 실리카 첨가후 활성오니의 성상의 경시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MLVSS : Mixed Liquor Volatile Suspended Solid
SVI : Sludge Volume Index
표 1의 결과에서 비정질 실리카 분말을 고정화 담체로 첨가한 경우 2~8시간의 처리에 의해 CODcr의 처리율이 86~93% 처리되어 담체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인 51%에 비해 활성오니 처리효율이 매우 높아졌으며, SVI도 낮아져 오니의 침강성도 우수해 졌다.
[실시예 2]
입자크기가 80~250㎛이며 비표면적이 700㎡/g, 기공크기가 평균 12Å인 비정질 실리카 분말에 영양원이 되는 이온을 흡착시켰다. 흡착은 K, Ca, Mg, Fe, Mn, Ni, Co, N, P를 포함하고 있는 KH2PO4, NH4Cl, CaCl2, MgCl2, FeCl2, MnCl2, NiCl2, CoCl2를 각각 물 1ℓ에 대해 3, 6, 0.7, 1, 0.2, 5, 0.5, 5g 씩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용액에 비정질 실리카 분말을 18시간 동안 침지하고, 건조하여 실시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분말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활성오니 처리실험을 하였다. 처리시간과 처리수질의 관계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표 4는 이온흡착 비정질 실리카 첨가후 활성오니의 경시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표 3의 결과에서 고정화 담체로 이온이 흡착된 비정질 실리카 분말을 첨가한 경우 2~8시간 처리에서 CODcr의 처리율이 93~98%로, 이온 흡착이 없는 비정질 실리카를 첨가한 경우의 86~93% 보다 CODcr 처리효율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처리시간이 2시간으로 짧을 때도 CODcr 처리율이 93%로 매우 높았다.
[실시예 3]
침지시간을 5, 10, 15, 20, 25, 30 시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온을 흡착시켜 비정질 실리카 분말을 제조하고, 그 분말에 흡착된 이온량을 시차열분석기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Claims (3)

  1. 유동상 활성오니에 미생물을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유리 희석액을 공업용 황산으로 중화, 건조하여 제조된 다공성의 비정질 실리카 고정화 담체
  2. 제 1항에 있어서, 비정질 실리카 분말에 미생물의 영양원이 되는 K, Ca, Mg, Fe, Mn, Ni, Co, N, P 등의 이온을 흡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의 비정질 실리카 고정화 담체
  3. 20 내지 250㎛의 제 1 항의 비정질 실리카 분말을 5 내지 30㎏/폭기조㎥의 양으로 폭기조에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또는 폐수의 유동상 활성오니 처리방법.
KR1019950005076A 1995-03-13 1995-03-13 유동상 활성오니에 사용되는 고정화 담체 KR0144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5076A KR0144604B1 (ko) 1995-03-13 1995-03-13 유동상 활성오니에 사용되는 고정화 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5076A KR0144604B1 (ko) 1995-03-13 1995-03-13 유동상 활성오니에 사용되는 고정화 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412A KR960034412A (ko) 1996-10-22
KR0144604B1 true KR0144604B1 (ko) 1998-07-15

Family

ID=1940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5076A KR0144604B1 (ko) 1995-03-13 1995-03-13 유동상 활성오니에 사용되는 고정화 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46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412A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93433B (zh) 一种高浊度水质应急处理技术
US4193866A (en) Ferrite flocculating system
WO2020010678A1 (zh) 一种新型河道浊度原位净化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659354B (zh) 一种羟基石墨烯-纳米二氧化硅改性壳聚糖复合材料及其应用
CN112830575A (zh) 一种底泥基生物炭负载纳米零价铁固定反硝化菌活性微球的制备方法、产品及应用
SK283447B6 (sk) Spôsob spracovania amóniom silne znečistených priemyselných odpadových vôd
JP2004524967A (ja) ナノ材料を用いた廃水の生化学処理方法
CN109336345A (zh) 一种黑臭水体底泥生物改良剂
CN108773882B (zh) 一种无机复合混凝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354253A (zh) 一种絮沉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626677B (zh) 一种焦化废水深度处理工艺
CN115403229B (zh) 一种养殖废水的处理方法
KR0144604B1 (ko) 유동상 활성오니에 사용되는 고정화 담체
JP3933230B2 (ja) 窒素含有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
KR102432539B1 (ko)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수처리여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847642B (zh) 水处理微生物高流动载体材料、制备方法及水处理方法
CN115650448A (zh) 一种基于改性硅藻土的复合絮凝剂及其应用
KR20020080826A (ko) 스코리아를 이용한 미생물 담체 및 그 제조방법
JPH0223237B2 (ko)
RU279479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препарата с магнитным полем для биодеградации донных отложений
CN109097355A (zh) 一种漆酶固载材料及其固定漆酶的方法
CN115784436B (zh) 一种用于富集高效脱氮菌的生物质d-吡喃葡萄糖基球状填料
JP3812961B2 (ja) 有機性汚水の処理方法
CN118105949A (zh) 一种用于吸附水体中镉离子的重金属吸附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716016A (zh) 一种水体底泥修复方法及其采用的水体净化生态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