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271B1 -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밀도 판별방법 - Google Patents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밀도 판별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271B1
KR0144271B1 KR1019940036512A KR19940036512A KR0144271B1 KR 0144271 B1 KR0144271 B1 KR 0144271B1 KR 1019940036512 A KR1019940036512 A KR 1019940036512A KR 19940036512 A KR19940036512 A KR 19940036512A KR 0144271 B1 KR0144271 B1 KR 0144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ensity
disc
servo
track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537A (ko
Inventor
남창우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1019940036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4271B1/ko
Priority to US08/550,652 priority patent/US5774438A/en
Publication of KR96002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537A/ko
Priority to US09/005,511 priority patent/US60318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19/128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involving the detection of track pitch or recording dens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2019/121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by photo-electric sensing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밀도 판별방법에 관한 것으로, 신호를 읽어내는 메인빔외에 서브 빔을 배치하여 되돌아오는 광량이 트레킹 에러검출용 포토 다이오드에 상으로 맺힘에따라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간단하게 디스크의 기록밀도를 판별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단된 기록 밀도에 따라 고밀도 또는 저밀도로 기록된 디스크의 데이터를 해당하는 재생 시스템을 구동시켜 읽어낼 수 있다.

Description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밀도 판별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콘팩트 디스크의 기록 밀도 판별방법의 흐름도.
제3도(a)는 고밀도 디스크에 조사된 빔을 도시한 도면.
(b)는 저밀도 디스크에 조사된 빔을 도시한 도면.
제4도(a)는 고밀도 디스크로부터 검출된 트래킹 에어시그날의 파형도.
(b)는 저밀도 디스크로부터 검출된 트래킹 에러시그날의 파형도.
제5도(a)는 제4도(a)의 파형을 디지털 변환한 파형도.
(b)는 제4도(b)의 파형을 디지털 변환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T':1펄스의 시간 1:감산부
2:아날로그/디지탈 변환회로 3:마이컴
본 발명은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밀도 판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져 빔이 1트랙을 횡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디스크의 기록밀도를 판별하기 위한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밀도 판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까지는 기록밀도가 크게 차이나는 콤팩트 디스크의 상품화는 되지않고 있으며, 콤팩트 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 선속도가 1.2~1.4m/s로 동일한 디스크의 면적에 있어서 선속도가 다르면 그 디스크는 재생시간이 달려져 전체 기록 밀도가 다르지만 그 차이는 크지않다.
그러나 기록밀도가 큰 고밀도 디스크가 상품화되면 현재까지의 저밀도 디스크를 사용하던 재생기기에 고밀도 디스크를 겸용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재생기기가 저밀도 디스크와 고밀도 디스크를 구분하고 동시에 기록밀도에 맞게 재생 시스템을 변환시켜 구동시켜야 한다.
이때 기록밀도는 디스크 트랙에 기록되어 있는 단위피트(T)의 길이나 트랙간격을 변화시켜 가변할수 있으며 통상은 단위피트의 길이와 트랙간격을 동시에 변화시켜서 기록밀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한 경우 저밀도 디스크와 고밀도 디스크를 판단하여 시스템의 동작을 디스크의 기록밀도에 맞게 절환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디스크의 기록밀도를 판단하기위해서 디스크의 기록밀도를 표시하는 ID(Identification Data) 코드(Code)를 두는 방법에 제안되었지만, 이 경우에는 ID(Identification Data) 코드(Code)를 읽어서 디스크의 종류를 판단해야 하므로 판단하기 까지의 시간적 손실과 ID 포맷(format)이 동일해야하는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랙 횡단시 소용되는 시간을 기준시간과 비교하여 고밀도와 저밀도 디스크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 밀도 판별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포커싱 서보와 픽엎 서보와 레이져 출력 서보를 구동하는 서보 구동단계, 픽엎이 일정 트랙을 점프한 후 점프 완료시까지 소요된 시간을 산출하는 트랙점프 시간 산출단계, 상기 산출된 시간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디스크의 기록밀도를 결정하는 디스크 기록밀도 결정단계로 구성하여 디스크의 기록밀도를 판별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산부(1),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 마이컴(3)으로 구성된다.
전원을 온하고 디스크를 카트리지에 삽입하게되면 마이컴(3)은 이를 인식하고 입력된 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포커싱 서보와 픽엎 서보와 레이져 출력 서보를 구동시키게된다.
픽업이 디스크의 횡(Radial)으로 이동하면서 트랙킹 에러 검출 전용 서브 빔을 디스크의 트랙면에 조사됨에 따라 검출되는 고조파(RF)의 아나로그신호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시그날을 이용하여 디스크의 기록 밀도를 판별하게 된다.
즉, 2개의 서브 빔 검출신호를 감산부(1)에서 감산되어 그 차이값에 해당하는 트랙킹 에러 시그날이 출력되고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후 마이컴(3)에 입력되어 디스크의 기록 밀도가 판별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 밀도 판별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 밀도 판별방법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보 구동단계(100, 101), 트랙 점프 시간 산출단계(102, 103, 104), 및 디스크 기록밀도 결정단계(105, 106)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전원을 온시키고 디스크를 안착한후(100), 포커싱 서보와 픽엎 서보와 레이져 출력 서보를 구동시키는 서보 구동단계를 수행한다(101). 이에 따라 신호를 읽어내는메인 빔과 트랙킹 에러 검출 전용 서브 빔이 디스크의 트랙면에 조사된다.
서보 구동 단계 수행후, 픽엎이 일정 트랙을 점프한 후 점프 완료시까지 소요된 시간을 산출하는 트랙 점프 시간 산출단계(102, 103, 104)를 수행하는데, 트랙 점프 시간 산출단계는 픽업이 트랙의 횡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조사되는 서브 빔의 트래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단계(102)와, 검출된 트래킹 에러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펄스폭을 산출하는 단계(102, 103)에 의해 수행된다.
즉, 제3도(a)(b)에 도시한 같이 트랙 피치가 다른 디스크의 트랙에 서브빔이 조사되고 픽업이 이동함에 따라 서브빔으로부터 제4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킹 에러 신호, 즉 주기가 다른 고조파의 아날로그 신호(RF)가 검출된다(102). 검출된 트랙킹 에러 신호는 디지털 변환 회로에서 제5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형파 펄스로 변환되고(103), 변환된 방형파 펄스로부터 1주기에 해당하는 시간 즉, 펄스폭이 산출되어 디스크의 기록 밀도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즉, 제3도(a)에 도시한 고밀도 디스크는 트랙과 트랙간의 간격이 제3도(b)에 도시한 저밀도 디스크 보다 좁아 일정 트랙을 점프한후 점프가 완료될때까지 소요된 시간이 저밀도 디스크 보다 적다. 그런데, 1트랙 점프후 점프 완료시까지 소요된 시간은 제4도(a)(b)에 도시한 트랙킹 에러 신호의 주기(T, T')로 나타낼 수 있다. 즉 1트랙 점프후 점프완료시까지 소요된 시간이 길면 트랙킹 에러 신호의 주기가 길어진다.
따라서 고밀도 디스크에서 1트랙 점프후 점프 완료시까지 소요된 시간(T)은 제4도(a)(b)와 제5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밀도 디스크에서 1트랙 점프후 점프완료시까지 소요된 시간(T')보다 작아지므로 디스크의 기록 밀도가 저밀도인지 고밀도인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랙 점프 시간 산출 단계 수행후 산출된 시간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디스크의 기록 밀도를 결정하는 디스크 기록밀도 결정단계를 수행한다. 즉, 산출된 시간, 즉1트랙 점프후 점프 완료시까지 소요된 시간, 다시말해서 트랙킹 에러 신호의 주기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디스크의 기록 밀도가 저밀도인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디스크으 기록 밀도가 고밀도인 것으로 판단하여 기록밀도에 맞는 재생 시스템을 구동시키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랙킹 서보와 송출 모터 서보를 구동하지 않고 포커스 서보와 레이져 출력서보와 픽업 서보를 구동시켜 간단하게 디스크의 기록밀도를 판별하므로써 기록 밀도에 따라 재생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포커싱 서보와 픽엎 서보아 레이져 출력 서보를 구동하는 서보 구동단계, 픽엎이 일정 트랙을 점프한 후 점프 완료시까지 소요된 시간을 산출하는 트랙점프 시간 산출단계, 및 상기 산출된 시간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디스크의 기록밀도를 결정하는 디스크 기록밀도 결정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 밀도 판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점프시간 산출단계는 픽업이 트랙의 횡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조사되는 서브 빔의 트래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트래킹 에러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퍽스폭을 산출하는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밀도 판별방법.
KR1019940036512A 1994-01-11 1994-12-24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밀도 판별방법 KR0144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512A KR0144271B1 (ko) 1994-12-24 1994-12-24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밀도 판별방법
US08/550,652 US5774438A (en) 1994-11-01 1995-10-31 Data writing density judging apparatus and method
US09/005,511 US6031802A (en) 1994-01-11 1998-01-12 Data writing density judging method for dis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512A KR0144271B1 (ko) 1994-12-24 1994-12-24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밀도 판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537A KR960025537A (ko) 1996-07-20
KR0144271B1 true KR0144271B1 (ko) 1998-07-15

Family

ID=1940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512A KR0144271B1 (ko) 1994-01-11 1994-12-24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밀도 판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42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882B1 (ko) * 2005-02-02 2007-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픽업 장치에서의 디스크 판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882B1 (ko) * 2005-02-02 2007-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픽업 장치에서의 디스크 판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537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9965B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laying back optical disc
EP0294490A1 (en) Optical disc discriminating device
US6982941B2 (en) Mirror detection signal generator
EP0390977B1 (en) Servo system for a disc player
JPS6010429A (ja) 光デイスク装置
JP3155373B2 (ja) 光ディスクの記録信号読取り方法
US7315491B2 (en) Disk driv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adout method with selective servo control for read-out destinations of lands and grooves
JPH10334570A (ja) 光ディスク判別装置
JPH08194969A (ja) 光ディスク装置
US6256274B1 (en) Data erasure preventing method and circuit thereof and optical disc apparatus mounting the same
KR100434410B1 (ko) 광디스크 재생장치 및 광디스크 재생방법
JPH05298717A (ja) 光学ヘッドアクセス制御装置
KR0144271B1 (ko)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밀도 판별방법
JP2693608B2 (ja) 情報記録ディスク演奏装置
KR0144261B1 (ko) 콤팩트 디스크의 기록밀도 판별방법 및 장치
JPS61296533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方式
JP2000173056A (ja) 光ディスク装置
JPS63167430A (ja) 光学デイスク再生装置
KR100245034B1 (ko) 디브이디 시스템에서의 스레드 서보 제어장치
KR0124618B1 (ko) 광자기 디스크의 기록밀도 판별방법
JP3031655B2 (ja) 記録済信号検出装置
KR100640916B1 (ko) 광 기록재생기의 액츄에이터 방향 검출 방법
JP3362431B2 (ja) Cdプレーヤアクセス方法
JPH0830982A (ja) トラック計数装置
JPH0850754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