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971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971B1
KR0142971B1 KR1019950017849A KR19950017849A KR0142971B1 KR 0142971 B1 KR0142971 B1 KR 0142971B1 KR 1019950017849 A KR1019950017849 A KR 1019950017849A KR 19950017849 A KR19950017849 A KR 19950017849A KR 0142971 B1 KR0142971 B1 KR 0142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ull
reference voltage
control signal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192A (ko
Inventor
심재훈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7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971B1/ko
Publication of KR97000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am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에 동작전원전압을 초기에 공급시 고속으로 상기 전원전압의 하프레벨의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전원전압과 기준전압의 사이에 접속되며 푸시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바이어스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바이어스 공급수단과, 상기 두 전압을 입력하며 상기 제1바이어스 전압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전압을 출력노드로 공급하고 상기 제2바이어스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을 다운시키는 푸시풀 출력수단과, 미리 설정된 제2기준전압과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2기준전압의 레벨로 될 때까지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을 풀업하기 위한 풀업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풀업제어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바이어스수단의 제어단자와 상기 기준전압의 사이에 접속되며 풀업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푸시제어신호를 공급하는 푸시제어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푸시풀 제어신호단자와 상기 출력노드사이에 접속되어 풀업제어신호의 차단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을 상기 푸시풀 제어신호로 공급하는 피이드백 수단으로 구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제1도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 이용된 기준전압 발생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 이용된 또 다른 기준전압 발생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기준전압 발생회로의 동작파형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도,
제5도는 제4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사용되는 기준전압 발생회로(Referrence Voltage Genera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장치에 동작전원전압을 초기에 공급(Power-on)시 고속으로 소망하는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고 기준전압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하나의 트랜지스터가 차지하는 면적은 그만큼 줄어들게 되어 트랜지스터의 크기는 점점 극소형으로 되어 가고 있고, 산화막(Oxide)의 두께는 점점 더 얄팍하게 형성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반도체 장치가 점차적으로 고집적화됨에 따라 칩내의 동작전압도 점점 낮아지고 있다. 칩의 동작전압이라 함은 칩내의 구성소자인 트랜지스터가 스윙동작을 하기 위해 상기 구성소자에 인가하는 전원전압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는 칩의 고집적화의 증가에 비례하여 낮아지게 된다. 예를들면, 4메가 다이나믹 램(4mega dynamic RAM)의 경우 상기 동작전압은 약 5볼트로 유지되었으나, 외부 전원전압을 다운하여 칩내의 동작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기준전압회로(내부전원전압회로)를 채용하기 시작한 16메가 다이나믹 램의 경우 전원전압은 약 3볼트로 낮아졌고, 64메가 다이나믹 램의 경우 상기 전원전압은 약 2볼트 내외로 더욱 낮아지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기준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종래의 회로는 제1도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1도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 이용된 기준전압 발생회로의 회로도로서, 이는 크게 전압분배 바이어스단 10와 푸시풀 출력단 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압분배 바이어스단 10은 제1전원전압, 예를들면, 전원전압 Vcc에 일측노드가 접속된 저항 12와, 상기 저항 12의 타측노드에 다이오드의 형태로 드레인과 게이트가 접속된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14와, 상기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14의 소오스와 제2전원접압, 예를들면, 접지전압 Vss의 사이에는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16와 저항 18이 직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푸시풀 출력단 20은 드레인이 상기 전원전압 Vcc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저항 12과 상기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14의 드레인이 접속된 노드 N1에 게이트가 접속되며 전원전압 Vcc와 출력노드 N4의 사이에 드레인-소오스가 접속된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2와, 상기 출력노드 N4에 소오스가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접지전압 Vss에 접속되며 게이트가 상기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16의 소오스와 저항 18의 접속노드 N3에 접속된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4로 구성되어 있다.
반도체 장치의 외부로부터 초기 전원전압 Vcc이 제1도와 같은 회로에 예를들면, 3볼트레벨의 전원전압 Vcc와 접지전압 Vss가 공급되면 출력 노드 N4의 초기의 출력전압은 0볼트로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에 도시되어진 종래의 회로는 전원전압 Vcc과 접지전압 Vss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 12,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14,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16, 저항 18들은 입력되는 상기의 전원전압 Vcc을 분압하여 소정의 레벨의 전압을 상기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2의 게이트와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24의 게이트로 바이어싱하여 상기의 두 트랜지스터 22,24을 푸시풀 스윙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파워-온이 개시되면,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14의 게이트-소오스간의 노드 N1의 전압 V1,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16의 게이트-소오스간 노드 N2의 전압 V2,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24의 게이트-소오스간의 노드 N3 및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2의 게이트-소오스간의 노드 N4의 전압 V4들 각각은 0.5 Vcc+Vtn14, 0.5 Vcc-Vtp24 0볼트의 레벨로 셋업된다. (여기서 Vtn은 엔모오스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고, Vtp는 피모오스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며 각 부호의 하첨자는 트랜지스터의 부호이다.) 상기와 같이 셋업되는 상태에서 푸시풀단 20내의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2는 하기와 같은 전류의 크기로서 출력노드N4 를 구동한다.
상기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2의 드레인전류를 ID라하면 하기 식(1)과 같이 된다.
상기 식(1)에서 βn2는 Wn/Ln·Coxμeff이며, Wn은 채널폭 Ln 채널 길이이다.
따라서 상기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회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노드 N1, N2, N3의 전압이 초기에 셋업되므로써 출력노드N4의 전압은 상기 식(1)과 같은 전류로 출력되며, 이의 출력은 출력노드N4의 전압이 ½·Vcc로 상승할 때까지 지속된다.
상기 출력노드N4의 전압이 ½·Vcc(Half-Vcc)레벨 이상으로 상승되면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24가 턴온되어 상기 출력전압 레벨은 떨어지게 되고,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2가 턴오프 된다. 상기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24의 턴온 및 상기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2의 턴오프 동작에 의해 상기 출력노드N4의 전압 레벨이 ½·Vcc의 레벨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다시 상기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2가 턴온되어 출력노드N4의 출력전압 레벨을 ½·Vcc까지 상승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의 기준전압 발생회로는 전압분배 바이어스단 10의 전원분배 및 바이어싱에 의해 푸시풀 출력단 20내의 두 트랜지스터가 푸쉬풀 동작을 하여 상기 식(1)과 같은 구동전류로 입력전압의 ½·Vcc의 레벨을 갖는 기준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는 출력노드N4의 전압이 초기 0볼트에서 상기 식(1)의 구동전류의 레벨을 갖는 전압까지 상승되면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오스간의 전압 V1~V4의 레벨이 낮아지게 되어 결국은 출력노드N4의 구동전류가 작아지게 되어 기준전압 ½·Vcc의 출력 응답속도을τd라 하면 이는 하기와 같이된다.
따라서, 상기 응답속도 τd는 전원전압 Vcc과 반비례 관계를 가지게 되므로써 저전압에서 응답속도는 매우 느리게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제2도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 사용되는 또다른 기준전압의 회로도로서, 제1도에 도시된 회로의 전압분배 바이어스단 10이 개량된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된 전압분배 바이어스단 10은 전원전압 Vcc과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14의 드레인 사이에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26가 접속되어 있고, 접지전압 Vss와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28의 소오스 사이에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8가 더 부가 접속되며 이들의 채널들을 상기 출력노드N4의 전압레벨에 의해 제어토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2도와 같은 기준전압 발생기도 파워-온시 각 노드 N1, N2, N3, N4의 전압레벨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벨을 그대로 갖음으로써 출력전압의 ½·Vcc로 출력되는 시간이 제3도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매우 길어지게되어 이역시 응답속도가 문제시 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파워-온에 의해 전원전압 Vcc이 인가되면 출력노드N4의 전압은 서서히 증가되며 노드 N1의 전압을 제3도에 같이 스윙되어져 결국 출력노드N4의 전압은 소망하는 레벨의 전압, 즉,½·Vcc의 레벨로 출력된다.
상기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기준전압 발생회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개량된 기준전압 발생기가 Y.Nakagome 등에 의해 발표된 바 있다.(1990 Syposium on VLSI Circuits의 17면 내지 18면에 게재된 A 1.5V Cirruit Technology for 64Mb DRAM을 보라) 상기 Y.Nakagome등에 의해 개량된 기준전압 발생기는 상기와 같은 응답속도의 개선을 위하여 전류밀러 증폭기(Current MIrror AMP)와 3상태 버퍼 (Tri-state buffer)를 이용하여 응답속도를 개선시킨 것이다.
그러나, Y.Nakagome등에 의해 개량된 기준전압 발생기는 파워-온시 출력전압의 늦은 응답속도가 개선되지 않았으며, 3상태 버퍼를 이용하여 출력노드를 구동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써 몇가지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있다. 첫째는 3상태 버퍼에는 상항 직류(DC current)가 흐르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가 대기시 대기시의 전류(Standby current)를 소비한다는 것이다. 즉, 전류소비가 많아 문제가 된다.
두번째로는 3상태 버퍼의 대기시 전류가 반도체 장치의 공정변수에 민감하여 수율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투입(Power-on)시와 동시에 소망하는 레벨의 기준전압을 고속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빠른 응답속도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에 있어서, 제1전원전압, 예를 들면 전원전압 Vcc과 제1전원전압, 예를 들면 접지전압 Vss의 사이에 접속되며 푸시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바이어스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압분배 및 바이어스단과, 상기 두 전압을 입력하며 상기 제1바이어스 전압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전압을 출력노드로 공급하고 상기 제2바이어스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을 다운시키는 푸시풀 출력단과, 미리설정된 제2기준전압과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2기준전압의 레벨로 될 때까지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을 풀업하는 풀업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풀업제어신호 발생회로와, 상기 전압분배 및 바이어스단의 제어단자와 상기 기준전압의 사이에 접속되며 풀업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푸시제어신호를 공급하는 푸시제어신호 발생회로와, 상기 푸시풀 제어신호 단자와 상기 출력노드의 사이에 접속되어 풀업제어신호의 차단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을 상기 푸시풀제어신호로 공급하는 피이드백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준전압 발생회로는 전원전압의 투입에 응답하여 기준전압 출력노드의 전압레벨을 미리 설정된 제2기준전압의 레벨이 될 때까지 푸시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승시킨다. 이러한 초기의 상승동작에 의해 출력노드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2기준전압보다 높아지면 상기 푸시제어신호의 발생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노드로부터 전압에 의해 푸시풀 제어토록 동작되어 출력노드의 풀업제어를 종료하고, 전압분배 및 바이어스단과 푸시풀 출력단의 동작만으로 설정되는 기준전압을 발생하여 일정한 레벨의 기준전압이 출력되도록하므로써 출력노드부터 출력되는 기준전압의 레벨이 소망하는 레벨까지 고속으로 상승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전압 발생회로도이다. 제5도는 상기 제4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상기 제4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회로 구성중, 전술한 기준전압 발생회로의 구성과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기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지금 전원투입(Power-on)에 의해 제4도와 같은 회로에 전원전압 Vcc이 제5도와 같이 공급되면, 상기 전원전압 Vcc는 풀업단 10내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26의 소오스와 푸시풀 풀력단 20내의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2의 드레인 및 풀업제어신호 발생회로 110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전압 Vcc을 초기 입력하는 상기의 제1기준전압 발생회로 25의 출력노드N4의 전압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0볼트로부터 서서히 풀업된다.
한편, 상기 전원전압 Vcc를 입력하는 풀업제어신호 발생회로 110는 제5도와 같은 제2기준전압 Vref을 발생한다. 상기 제2기준전압 Vref의 발생은 상기 전원전압 Vcc을 분압하는 제2기준전압 발생회로 112로부터 출력된다. 상기 제2기준전압 발생회로 112는 전원전압 Vcc에 소오스가 접속되고 게이트가 접지전압 Vss에 접속된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30와 상기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30의 드레인에 소오스가 접속되고 드레인이 기준전압 Vss에 접속되며 게이트가 상기 전원전압 Vcc에 접속된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기준전압 발생회로 112는 전원전압 Vcc이 인가되면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30와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32의 저항값에 따라 제5도와 같이 분압된 제2기준전압 Vref 을 발생하여 내부노드 N6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출력노드N5로부터 출력되는 기준전압이 ½·Vcc의 레벨을 갖도록 제2기준전압 Vref 레벨을 ½·Vcc-0.1으로 설정한 것이다.
상기 제2기준전압 Vref의 설정은 상기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30와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32의 채널폭 대 길이비를 적절히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제2기준전압 Vref은 일측 입력노드가 상기 푸시풀 출력단 20의 출력노드N4에 접속된 비교기 34이 타측노드에 입력된다. 상기 비교기 34는 상기 푸시풀 출력단 20의 출력노드N4와 상기 노드 N6으로부터 출력되는 두전압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36의 게이트에 입력시킨다. 파워-온에 의해 초기 전원전압 Vcc이 입력되면 푸시풀 출력단 20의 출력노드N4의 전압은 제5도와 같이 0볼트이므로 상기 비교기 34의 출력노드N7의 전압은 제5도와 같이 로우로 출력된다. 따라서 전원전압 Vcc이 초기 인가되는 경우 상기 비교기 34로부터 출력되는 로우상태의 풀업제어신호에 의해 피이드백 제어회로 120내의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36은 턴오프된다.
또한, 드레인이 상기 전압분배 및 바이어스단 10의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26와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8의 게이트들이 공통으로 접속된 노드 N5와 접지전압 Vss에 드레인과 소오스가 접속된 푸시제어신호 발생회로 130내의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38은 인버터 37에 의해 하이로 반전 출력되는 풀업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노드 N5의 전압은 제5도와 같이 기준전압 Vss의 레벨로 된다. 따라서, 초기에 전원전압 Vcc이 인가되면, 노드 N6,N7,N5들의 전압 V6,V7,V5의 레벨들은 제5도와 같이 되므로써 전압분배 및 바이어스단 10내의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6가 제5도와 같은 전압 V1으로서 푸시풀 출력단 20내의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2를 구동하여 턴온시킨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푸시풀 출력노드N4의 전압은 제5도와 같이 풀업되며, 상기 출력노드 N4로부터의 전압 V4가 제2기준전압 Vref (Vref = ½·Vcc-0.1)보다 높은 레벨이 될 때까지 상기 푸시풀 출력단 20내의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22가 출력노드N4를 구동한다. 상기 출력노드N4로부터의 전압 V4가 제2기준전압 Vref(Vref = ½·Vcc-0.1)보다 높은 레벨로 풀업되면, 비교기 34의 출력은 로우 상태의 풀업제어신호의 출력을 제5도와 같이 하이로 천이하여 노드 N7로 출력한다. 이때, 노드 N7에 접속된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36가 턴온되며, 인버터 37를 통하여 반전입력하는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38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초기 파워-온시 푸시풀 출력노드N4의 전압 V4가 제2기준전압 Vref보다 높아지는 구간동안 푸시제어신호 발생회로 130가 풀업제어신호 발생회로 110로부터 출력되는 로우의 신호에 의해 전압분배 및 바이어스단 10의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26의 게이트전압을 풀다운 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풀 출력단 20의 출력노드N4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V4가 제2기준전압 Vref보다 높아지면 푸시풀 출력단 20의 출력노드N4와 상기 전압분배 및 바이어스단 10의 입력노드 N5간의 피이드백 루프를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36로 접속하여 상기 출력노드N4의 전압이 약 ½·Vcc로 수렴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36에 의해 피이드백 루프가 형성되면, 제2도의 회로에 동일하게 동작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는 제5도의 파형도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해 시뮬레이션된 제5도의 파형도와 제3도의 종래의 파형도를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응답속도가 종래것에 비하여 약 60마이크로초 정도 빠름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워-온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Vcc이 입력되면 전압분배 및 바이어스단의 입력노드를 풀다운하여 푸시풀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기준전압이 고속으로 소망하는 기준전압, 예를들면 상기 전원전압 Vcc의 하프전원전압을 발생하므로서 응답속도가 향상된 기준전압 발생기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8)

  1. 반도체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에 있어서, 제1전원전압과 제2전원전압의 사이에 접속되며 푸시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바이어스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바이어스 공급수단과, 상기 두 전압을 입력하며 상기 제1바이어스 전압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전압을 출력노드로 공급하고 상기 제2바이어스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을 다운시키는 푸시풀 출력수단과, 미리 설정된 제2기준전압과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2기준전압의 레벨로 될 때까지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을 풀업하기 위한 풀업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풀업제어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바이어스수단의 제어단자와 상기 기준전압의 사이에 접속되며 풀업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푸시제어신호를 공급하는 푸시제어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푸시풀 제어신호단자와 상기 출력노드의 사이에 접속되어 풀업제어신호의 차단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을 상기 푸시풀 제어신호로 공급하는 피이드백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이드백 수단은, 상기 푸시풀 출력단자와 상기 바이어스수단의 입력단자 사이에 드레인과 소오스가 접속되며, 게이트가 상기 풀업제어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에 접속되어 상기 풀업제어신호의 차단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 PMOS 사용도 가능)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푸시제어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푸시풀 제어신호단자와 상기 기준전압의 사이에 드레인과 소오스가 접속되어 있으며, 게이트로 입력되는 풀업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전압을 푸시제어신호로서 공급하는 엔모오스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제어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전원전압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푸시풀 출력수단에 출력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제2기준전압을 발생하는 제2기준전압 발생수단과, 상기 출력노드로부터 출력되는 기준전압과 상기 제2기준전압을 입력 비교하여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이 상기 제2기준전압보다 높을때까지 풀업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비교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이드백 수단은, 상기 푸시풀 출력단자와 상기 바이어스수단의 푸시풀 제어신호단자 사이에 드레인과 소오스가 접속되며, 게이트가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풀업제어신호의 차단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노도와 상기 푸시풀제어신호단자를 접속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전압 발생수단은,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의 사이에 적어도 2개의 모오스 트랜지스터가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모오스 트랜지스터들 각각은 채널폭대 길이비가 서로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전압은 전원전압의 하프레벨보다 낮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KR1019950017849A 1995-06-28 1995-06-2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KR0142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7849A KR0142971B1 (ko) 1995-06-28 1995-06-2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7849A KR0142971B1 (ko) 1995-06-28 1995-06-2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192A KR970003192A (ko) 1997-01-28
KR0142971B1 true KR0142971B1 (ko) 1998-08-17

Family

ID=1941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849A KR0142971B1 (ko) 1995-06-28 1995-06-2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854B1 (ko) * 2000-09-05 2002-1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센스 앰프
KR100851919B1 (ko) * 2007-03-12 2008-08-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내부 전압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192A (ko) 199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716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KR0142970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US5321324A (en) Low-to-high voltage translator with latch-up immunity
KR940001251B1 (ko) 전압 제어회로
KR101293316B1 (ko) 전류 누설 감소 스킴을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KR100240423B1 (ko) 반도체 장치의 레벨 검출 회로
KR930008859A (ko) 직류 전류를 제거한 데이타 출력 버퍼
KR0153603B1 (ko)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 리세트신호 발생회로
KR20010049227A (ko) 레벨조정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회로
KR940008091A (ko) 개량된 소프트 에러 저항을 갖는 모스 에스램(mos sram), 고전위 전원 전압강하 검출회로, 상보 신호 천이 검출회로 및 개량된 내부신호 시간마진을 갖는 반도체 장치
KR100211758B1 (ko) 멀티 파워를 사용하는 데이터 출력버퍼
KR20020092117A (ko) 전원전압의 변동을 감지하는 데이터 출력 버퍼
KR19980028353A (ko) 반도체 장치의 저소비 전력 입력 버퍼
US5990708A (en) Differential input buffer using local reference voltage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6753707B2 (en) Delay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US7199638B2 (en) High speed voltage level translator
KR014297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준전압 발생회로
EP0651311A2 (en) Self-exciting constant current circuit
US20020079955A1 (en) Circuit for generating internal power voltage in a semiconductor device
KR20070082472A (ko) 레벨 쉬프터 회로
KR0132368B1 (ko) 데이타 출력버퍼
JP3159182B2 (ja) 半導体装置の出力回路
KR940006507B1 (ko) 출력버퍼회로
KR100505569B1 (ko) 동기식 디램 반도체 장치의 내부 전압 발생기
JP3000950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ワード線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