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569B1 - 주로 경량카메라용의 안정화된 장치 지지체 - Google Patents

주로 경량카메라용의 안정화된 장치 지지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569B1
KR0142569B1 KR1019890013779A KR890013779A KR0142569B1 KR 0142569 B1 KR0142569 B1 KR 0142569B1 KR 1019890013779 A KR1019890013779 A KR 1019890013779A KR 890013779 A KR890013779 A KR 890013779A KR 0142569 B1 KR0142569 B1 KR 014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andle
apparatus support
camera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219A (ko
Inventor
더블류. 브라운 가레트
Original Assignee
더블류. 브라운 가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류. 브라운 가레트 filed Critical 더블류. 브라운 가레트
Publication of KR900005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16M11/123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the axis of rotation intersecting in a single point, e.g. by using gimb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1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주로 경량 카메라 용의 안정화된 장치 지지체.
제1도는 본 발명의 안정화된 장치 지지체를 비데오 카메라에 관련하여 나타낸 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안정화된 카메라 지지체의 측면도.
제3도 및 4도는 제1도의 안정화된 카메라 지지체를 각각 그 유니트의 전후 끝에서 본 도면.
제5도는 제1도 안정화된 카메라 지지체의 저면도.
제6도는 제1도 안정화된 카메라 지지체의 플렛포옴 및 핸들의 분해등척도.
제7도는 제6도의 도해된 구조물의 확대 정면도로서, 핸들의 부분들과 최종유니트의 평형을 조절하기 위한 기구를 나타내기 위하여 일부를 잘라낸 것.
제8도는 안정화된 카메라 지지체용 핸들의 상부의 단면도로서 평형건절기구의 추가로 도해한 것.
제9도는 안정화된 카메라 지지체의 플랫포옴 및 핸들의 부분 정면도로서 짐빌(gimbal) 형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
제10도는 제1도의 안정화된 카메라 지지체의 파인딩 장치의 확대등척도.
제11도는 안정화된 카메라 지지체의 측면도로서, 어깨걸이로 유니트를 조작하도록 접합하게 된 위치로 접혀진 것을 나타낸 것.
제12도 및 제13도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안정화된 카메라 지지체의 투시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고정된 장치지지체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방향 결정 및/ㄸ는 안정성에 민감한 경량 카메라 또는 기타 장치를 지지하여 이러한 장치가 원하지 않는 운동으로 부터 격리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위 핸드헬드(hand-held) 카메라들은 사진기술이 시작된 이래 사실상 존재하여 왔다. 정지영상용이든 동작영상용이든 예술가들의 그러한 수단에 대한 필요 덕분에, 들기에 충분히 가벼운 온갖 종류의 카메라가 얼마 후 조작자에게 쥐어지게 되었다. 이런 장치의 고유한 불안정성은 일치하는 요소가 된다.
예를들면, 정시영상에 있어서, 저속 감광유제나 부족한 조명은 필름의 비교적 긴 노출시간이 사용될 것을 요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카메라의 어떠한 움직임, 특히 각 움직임은 영상의 흐림을 만들기 쉽다. 그러나 조작자가 끊임없이 어느 정도의 통제불가능한 움직임을 받고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더우기 조작자의 인체의 돌출부가 하중하에서 조작하고 있다면 가해진 외력에 의하여 이들 움직임은 증가하게 되거나 더 부족하게 제어된다. 이것은 물론 그런 카메라 장치를 파지 및/또는 지지하고 있는 조작자의 손과 팔에 가해진다. 이들 문제점은, 동작영상에 관계할 때 조작자가 이제는 걸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때로는 필요한 영상을 취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가지고 뛰어야 할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중첩된다.
그들의 구조에 의하여, 카메라는 비교적 작은 회전관성을 갖는 소형이며 비교적 조밀한 물체이다. 또한 이러한 카메라는 전통적으로 그 무제중심이 카메라내에 위치되어 조작자에게 동 떨어진 위치에 있다. 그 결과 그러한 질량을 그 외표면으로 파지한다는 것은, 조작자의 대부분 움직임이 카메라의 무게중심에 대해 실제 접선방향으로 상당한 영향을 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카메라의 렌즈를 통과하는 축에 대한 카메라의 각 운동으로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종류의 움직임(팬(pan), 기울기 및/또는 롤(roll) 어느 것이든 정지촬영 및 동작 영상촬영 모두에 대해 심하게 방해한다. 한편 사람 힘의 한도 내에서 조작자의 손과 팔은 그러한 공간적 움직임(상/하, 좌우, 내/외)에 무디어지기 쉬우며, 카메라를 그 조작 과정중에 효과적으로 일정방향을 향하게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정교한 터치(touch : contact)를 동시적으로 가할 수 없음은 자명하다.
사진기술의 역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가득차 있다. 이에 대한 한가지 다소 초기의 접근이 미합중국 특허번호 2,007,215(레미)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는 카메라의 핸들로부터 신장하여 카메라 몸체와 연합된 컵내에 수용되는 니이들(needle) 형상을 거의 취하는 휴대용 동작영상 카메라용의 평형을 이루고 격리된 지지체를 보여준다. 이 컵내의 니이들(needle-in-cup) 형상은 카메라와 조작자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격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지만 다양한 불편함을 감내하였다. 예를들면, 이 공개된 장치는 효율적 정향수단을 갖지 않았으며, 유니트를 조작자의 몸으로부터 불편한 거리에 유지될 것을 필요로 하여 조합하는 성가신 균형추를 채용하였다. 또한 유니트는 조작자에 관련하여 팬(pan) 될 수 없었으며, 균형을 잡아 조절하기 어려웠다.
그 문제점에 대한 또 다른 접근은, 유니트의 진동을 보정하기 위하여 카메라의 렌즈에 들어오는 빛의 광학적 경로를 변경하도록 조작할 수 있는 자이로(gyro)제어 프리즘 및/또는 거울을 구비한 장치를 포함하였다. 한편 이 장치는 일정의 고주파 진동에 대해 어느 정도 효과적이었지만 롤축 (렌즈를 통과하는 축 둘레)을 따른 움직임에 대하여는 비교적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그 장치들은 전체 유니트에 중량을 부가하였으며, 그들의 조작상의 한계(파라미터)를 넘으면 그들 자체의 움직임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었다.
카메라 안정성에 대한 또 하나의 접근은, 조작자의 몸체에 대한 카메라의 설치(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한 시도로 개발된 다양한 카메라 포드(pod) 및 어깨 설치대와 지주들의 사용을 포함하여, 몸통의 움직임만이 진행중인 촬영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책이 약간 긴 시간의 움직임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결과적 움직임은 겨우 어느 정도 감소되었고, 따라서 일정한 움직임이 조작자에 관련하여 항상 존재하는 요소로서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에 단지 부분적으로만 효과적이라고 밝혀졌다. 따라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허용할 수 없는 각 운동이 조작자가 계속 서 있을 때조차도 영향을 크게 미치기 쉬우며, 조작자가 유니트를 가지고 걷거나 뛸 때는 더욱 큰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Re. 32,313(브라운)과 그후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4,208,028(브라운 외)에 기재된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이들 특허에 기재된 장치들은 모두 짐벌(gimbal)이 설치된 확장된 카메라 시스템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하중을 받는 균형유지 아암을 제공함으로써 카메라 안정화의 문제에 접근한다. 이 공개된 유니트는 카메라 안정화의 문제에 접근하다. 이 공개된 유니트는 카메라를 각 및 공간적 움직임으로부터 격리하는 역할을 하며, 카메라 조작자가 다양한 여러 자세로 매우 안정된 영상을 만들 수 있게 하는데 대단히 효과적이라고 증명되었다. 사실상, 이 유니트는 보행하는 카메라 조작자가 일련의 화면을 포착하기 위해 이미 인정된 방법인 트랙상을 달리는 카메라 돌리(dollies)에 의해 제작된 것에 상응하는 이동촬영을 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결과, 이들 장치는 동작영상 및 비데오 산업에서의 다양한 엇갈린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그런 산업분야에서 표준 도구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원래 상당한 중량을 나타내는 비교적 대형필름 및 비데오 카메라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에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의도된 가장 경량의 카메라도 20파운드에 가까우며, 조작 조건이 더욱 다양하고 복잡하게 되었기 때문에 현재 완성된 시스템(안정화된 설치대, 카메라, 그리고 지지장치를 포함하여) 이 90파운드를 초과하는 것도 드물지 않아, 흥미있게도, 유니트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결과 경상의 안정성 역시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이 발견되었다(아마 더 많은 부동의 유니트를 사용한 것에 기인한 것 같다). 따라서 이러한 안정화 장치는 카메라가 가벼울수록 덜 유용하다고 믿어진다.
실제로, 미합중국 특허번호 4,474,439(브라운)에서는, 이러한 장치의 더욱 더 정교해진 용도에 대한 다양한 조작상의 요구에 응하여 조절할 수 있는 배치를 가지는 화대된 짐벌지지 카메라의 더욱 정교한 것을 개발하기 위하여 특별한 단계들을 취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 유니트의 총중량은 약 17파운더(카메라 없이)였으며, 그리고 이러한 경량의 유니트라 하더라도 그 자체보다 가벼운 카메라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없음이 밝혀졌다.
이 때에 때 마침 카메라 기술의 국면이 전개된 것이다. 즉 휴대용(소비자에 의해 조작되는) 비데오 카메라이다. 이 제품에 대한 다양한 형이 유니트의 소비자 지향적인 시장에 기인하여 소형화와 단순화에 대한 끝없는 노력으로 최초로 개발되었다. 독립적이며 자기 만족적인 소비자 비데오 카메라(예를들면 캠코더(com Corder))의 개발에 있어서의 초기의 노력은 소외 풀 사이즈(full-sized), 캠코더, 완비된 카메라, 그리고 전방을 향해 최종 유니트의 측부에 장착된 파인더(view finder)를 구비하고 조작자의 어깨에 끼우도록 설계된 레코딩 유니트를 포함한다. 이들 '풀 사이즈 캠코더는 그들의 최근 기기에서 평균 5.5파운드의 무게가 나가는 경향이 있다. 이로부터 소위 컴팩트(compact) 캠코더의 개발이 뒤따랐으며, 이는 신속하게 소비자 시장의 상당부분을 공략하고 있다. 이들 컴팩트 캠코더는 대개 VHS-C나 8㎜ 비데오형 내에서 작동하며, 완비된 카메라와 중량이 대채로 2-6파운드에 가까운 레코딩 유니트로 구성된다. 그들의 소형이 기인하여, 이들 카메라는 대개가 조작자의 어깨위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조작자의 손(혹은 양손)에 의해 전체가 지지되며, 파인더(일반적으로 정부에 설치되는)를 조작자의 눈과 밀접하여 얼굴 앞에 유지된다.
일반소비자에 대한 그들의 매력덕분에 대량의 비데오 캠코더가 판매되었다. 이들 각 유니트는 물론, 대형의 상업용 유니트에 관련하여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조작자의 고유한 불안정성을 받는다. 그러나 전통적인 손휴대용 카메라의 불안정성에 부가하여, 이들 유니트는 아마튜어 사진작가들에 의해 조작되어 훨씬 더 사정을 어렵게 한다. 이것은 특히 전체가 손휴대되는 비교적 소형의 컴팩트 캠코더에 관련하여, 적어도 조작자의 어깨 지지에서 이점이 있었던 풀사이즈 캠코더와 구별되는 점이다. 여하튼, 공통의 결론은 불안정하며 가끔 허용할 수 없는 비데오 영상이다. 이것은 특히 조작자가 정지자세에서 이탈할 때, 그리고 유니트의 보행조작을 시작할 때 그러하다. 이것의 불행한 결과는, 비데오 카메라가 그 사이즈 덕분에 특히 휴대가능하지만, 그 고유의 불안정성 때문에 그 전체의 포텐셜(potential)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궁극적인 목적은, 아마츄어 조작자가 최근 개발되었던 휴대용 비데오 카메라의 모든 포텐셜을 이용하고, 그의 어린이들을 뒤따르며, 친구와 걷고 혹은 흥미있는 장소를 두루 산보할 수 있는 한편, 유니트의 진동에 기인한 외관해상도의 저하가 없고, 느리며 낮은 주파수 진동이 곤란한 영향이 없으며 매끄러운 영상을 만드는 것이다. 비데오 카메라의 진보 그것은 이 목적의 달성에 도움을 주었다. 예를들면, 대부분의 비데오 카메라는 이제 극히 낮은 광량수준(대개 5룩스 이하)에서 통상적으로 작동하며, 촛점, 조리개 및 색상발란스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장치가 편입된다. 이러한 단순화의 결과, 직업적 동작 영상제작자에 직면한 문제점의 대부분은 본래 카메라 조작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이들 소비자 지향적 상대물에는 전혀 없다. 실제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존재하는 오직 중요한 문제점은 조직중의 카메라의 안정성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에 의해 사용되던 대형의 상업적 카메라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되어 왔던 많은 종래의 카메라 지지체에 대한 소형화를 제공하는 노력이 기본적으로 행하여 졌다. 소형화된 어깨 설치대, 지주 및 모노포드(monopods), 그리고 렌즈 및 비데오 리셉터(CCD 칩)의 정향을 위해 작동하는 광학적으로 안정화된 접근에 관한 변형물까지도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들 장치는 불안정성 문제를 더 이상 완화시키지 못하였고, 모두 그들의 풀사이즈 상대물에 연합된 문제점과 각자의 특성을 존속시키는 경향이 있다.
카메라 안정화 장치의 소형화를 향한 이러한 상황은 나를 나의 이전의 특허번호 Re. 32,213; 4,208,028; 및 4,474,439에서 개시된 카메라 지지체의 소형화를 심사숙고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것 역시 이행시 불충분하다고 밝혀졌다.
첫째, 이런 접근의 비실용성이다. 소비자 비데오 카메라의 평균중량(3과 6파운드 사이)은 일반적으로 합리적인 시간동안 조작자에 의하여 적절히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조작자의 힘과 촬영시간의 지속시간에 따라 변한다. 그러나 평균적 조작자는 만족할 만한(그리고 유용한) 기간동안 적절히 카메라를 잘 지지할 수 있으며, 장치의 거의 대부분 열정적인 사용자가 정교한 균형유리 아암과 한벌의 이러한 시스템을 위해 돈을 쓰거나 착용할 필요를 느끼거나 그렇게 할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둘째,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3내지 6파운드의 중량이 나가는 비데오 카메라는 불충분한 균형을 이루는 하중을 나타내기 쉬우며, 따라서 이런 장치의 최소의 유효한 변형까지도 부적절하게 조합된다. 이런 장치의 사이즈를 추가로 감소하는 것은, 그래도 역시 거추장스러우며, 조작자에 의해 유니트에 가해지는 힘에 대항하기 위하여 유용한 불충분한 관성 때문에 프로용의 유니트 보다 현저하게 낮은 안정성을 갖는 장치를 제조하게 되기 쉽다. 실제적으로, 이것은, 지지장치의 사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반면에 조작자의 손의 사이즈를 상응하여 줄일 수 없으며, 따라서 초과의 힘이 떠 있는 카메라 지지체의 정향부에 가해지게 된다는 것을 고려함으로써 요약될 수 있다.
이 분야의 또 다른 실무자에 의해 시도되었던 이런 장치의 또 하나의 단순화는,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번호 4,474,439에 기재된 카메라 지지체의 짐벌 요크(gimbal yoke)에 직접 부착된 핸들을 위한 균형유지 아암을 삭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일반적으로 본래 의도되었던 전체 유니트의 안정성 보다 낮게 되며, 또한 사용자의 신장된 팔에의 과도한 힘과 사용자의 손목에 과도한 스트레인을 유발하기 쉬운 비인체공학적인 오프셋트 위치내에 유니트 조작을 위한 두손이 있기를 요한다. 이것은 또한 최종유니트의 상당한 크기와 과도한 중량에 의해 복잡하여, 이러한 유니트에 의한 궁극적 결과는 전체적으로 환영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들 다양한 접근은, 개발된 개량중인 휴대용 카메라의 작동에 관련하여 고려되는 불안정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없애는데 완전하고 충분하게 효용이 있는 장치를 제공하지 못하였고, 따라서 경량이며 손휴대용 카메라 장치, 특히 소비자 지향적인 비데오 카메라 등의 특유한 요구에 특히 적합한 안정화된 장치 지지체의 개발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이런 장치의 조작에서 야기되는 원하지 않은 움직임으로부터 장치를 격리시키기 위한 안정화된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한 목적은 조작에 의해 손 휴대될 수 있는 안정화된 장치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한 목적은 경량 카메라 장치 등을 위한 안정화된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한 목적은 구조가 충분히 간단하고 아마츄어 조작자까지도 노력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하는 안정화된 카메라 지지체를 사용자에게 적절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한 목적은 그 조자자에 인체공학적으로 적합하여 유니트에 가해지는 힘과 발생된 결과 토오크를 통하여 조작자의 최대효율을 허용하는 안정화된 카메라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한 목적은 사용될 카메라 장치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이런 장치를 비교적 무거운 유니트에 연결하여 확장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안정화된 카메라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한 목적은 기본적으로 사용하기 단순하며 다양한 응용에 매우 적합한 경량 카메라 장치에 관련하여 사용할 안정화된 카메라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한 목적은 카메라의 독립한 손 휴대 사용을 허용하며 또한 어깨받이 조작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으로 경량 카메라 장치에 관련하여 사용할 안정화된 카메라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들 및 기타의 목적은, 구조가 소형이며 경량이고, 무게중심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방식으로 지지된 장치를 보완하는 확장된 지지체 네트워크(network)에 대해 사용되는 장치를 수용하게 최종 유니트가 신규한 핸들조립체를 사용하여 그 무게 중심에서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정화된 지지체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된다.
본 발명은 주로 카메라 안정화 지지체 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소비자 지향적 카메라 장치에 관련하여 유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라는 용어는, 한 영상 또는 일련의 영상들을 동일 또는 여러 방향에서 포착하기 위하여 특정방식으로 통제되도록 의도된 어떤 영상기록장치를 의미한다. 카메라는 구멍을 통해 단순한(고형으로 조작하거나 조준될 수 있는 그 구명의 각도 크기와 형성을 주어진 포인트에 관하여 조직하는 시각의 분야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용어 카메라의 사용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카메라(예를들면 장치)와 다른 장치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조작자(예를들면 손휴대시)에 의하여나 기계적 조작 시스템(예를들면 안정화된 설치)에 관련하여 그 조작중에 발생될 수 있는 비의도적 움직임의 적어도 일부의 스펙트럼으로부터 격리를 요하는 일반적 특성의 장치를 의미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용어 파인딩 장치(view finding device) 혹은 파인더(view-finder)는, 조작중에 어떤 주어진 위치에서 장치가 통제되는 방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조작자에 의해 혹은 장치에 접촉하여 있을 조작자의 눈을 바람직하게 필요로 하지 않고 제게되는 시각의 사용될 수 있는 많은 장치들중의 어떤 것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많은 TV 모니터, 헤드엎 디스플레이, 프로젝션 혹은 레이저 인디케이터 뿐만 아니라, 더욱 단순하며 더욱 전통적인 광학적 관측장치(예를들면 총가능자)중의 어떤 것일 수 있다.
장치 지지체는 전체적으로 장치(카메라)를 수용하는 플랫포옴으로 이루어지며, 이것은 파이딩 장치와 장치조작용 밧데리 혹은 밧데리들에 의하여 균형이 유지된다. 적절하게 형상을 갖춘 지주들이 플랫포옴과 파인딩 장치를 상호 연결하고 시스템의 밧데리 혹은 밧데리들을 위한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플랫포옴은 플랫포옴을 수용하는 장치와 조립체를 지지하는 핸들 사이에서 최종 유니트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기 위해 상대적 조절을 허용하는 조절기구(예를들면 X-Y 테이블)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이 조절기구는 장치의 무게중심과 그를 수용하는 지지체 시스템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최종 유니트의 세 직교축에 관한 적절한 정적 균형을 이루기 위해 플랫포옴을 지지하는 핸들을 수용하는 핏팅(fitting)을 포함한다.
지지 핸들은, 대체로 유니트의 전체지지와 이송을 위해 관계할 수 있는 메이저부(major portion)와, 장치 지지체의 제어된 정향을 이루기 위하여 손(바람직하게는 엄지와 검지)으로 잡기 쉬운 거의 원통형 제어 표면(마이너부(minor portion)으로서 이루어지는 두부분(즉, 중단된) 핸들의 형태를 취하며, 이는 이 복합핸들의 두부분 사이의 상호격리를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장치에 의해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도, 핸들의 두 명확한 부분을 분리하는 격리장치는 세개의 거의 수직인축에 대해 각 격리를 제공하는 한편, 장치 및 그 지지체의 적절한 제어를 허용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마찰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자유로이 선회 및 회전 가능한 짐벌 또는 기타 장치이다. 따라서 핸들은 장치의 지지 및 이송을 위한 힘을 수용하기 위해 작동할 뿐만 아니라, 핸들에 가해지는 힘의 각도적 영향과 지지된 장치 사이의 상호격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장치의 적절한 정향을 위해 작동한다. 신규하며 소형인 짐벌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핸들위 두 부분을 격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장치 지지를 위한 핸들은 그것이 지지하는 장치를 적절히 조작(지지, 이송, 정향)하는데 필요한 모든 기능을 제공한다. 핸들의 메이저부는 사용자의 손으로 강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유니트의 전중량을 지지하고 공간내에서 중량을 이동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소망에 따라 격리된 지지체를 위해 기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핸들의 마이너부는 지지된 장치의 바로 아래 위치에서 소망에 따라 장치를 정향하기 위하여 인지 및 검지에 의한 한정된 파지를 허용하는 제어 표면을 구획한다. 결과는 짐벌상에서 균형을 이루며, 그 사용자에 의한 유니트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절히 조절된 적절히 평형을 이루고 있는 구조물이다. 이리하여 유니트는 그것이 평탄하고 약간 하부가 무겁도록 전체유니트의 공간적 움직임중 빠른 변화에 의하여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는 느린 주기로서 바람직하게 조절된다.
그 결과 지지된 장치는, 조작자에 의해 소망한다면 한 손 만으로, 조작자의 원하지 않는 몸 움직임에 의해 드러나는 영향을 받지 않고 지탱되고 조준될 수 있다. 카메라에 관련하여, 이것은 유니트의 조작자가 안정화된 정적촬영의 실시를 허용할 뿐만 아니라, 조작자에 의한 유니트의 보행중 사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걷거나 뛰면서 혹은 계단을 오르면서 유니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가 떠 있는 중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느데 덧붙여, 부수적으로 유니트는 일정 종류의 비보행적 망원촬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편리한 어깨 설치로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장치 지지체를 안정화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추가의 상세에 대하여는 이하에 마련된 상세한 기재와 이하의 설명에 관련하여 언급한다.
제공된 여러 도면에서 동일 참고부호는 동일 구조물을 정의한다.
제1도는 카메라(2)와 연결 사용하는 고정지지체(1)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비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소형 비데오 카메라(캄코더)와 연결된 것을 사시도로 나타내었다. 앞에서 지시한 바와 같이, 이 카메라(2)는 설명을 위해 선택한 것으로서, 도시한 것과 다른 카메라의 어떤 종류 뿐만 아니라 다른 타입의 보조장비라도 도시한 고정지지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고정지지체(1)는 카메라(2)와 이하에서 설명할 신규의 핸들(5)을 수용하는 플랫포옴(3)을 갖는다. 제1지주는 플랫포옴(3)의 전방부(7)에서 파인딩장치(10)를 수용하고 있는 장착부(8)까지 전개한다. 카메라(2)와 마찬가지로 도면에서 도시한 파인딩장치(10)는 단지 설명을 위하여 선택한 것으로서, 기존에 나와있는 파인딩장치의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카메라고정지지체(1)와 연결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8)에서 더욱 전개되는 부분은 제2지주(11)부로서, 카메라(2)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밧데리(13)를 수용하는 홀더(12)까지 전개한다.
카메라고정지지체(1)의 이와 같은 기본요소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카메라고정지지체(1)의 여러 요소들은 형태가 적어도 2개의 수직축(각 요소들의 축 또는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다수의 축)을 따라 놓이는 무게(모든 구조를 포함하여)를 갖는, 폭넓고 균형있는 카메라장치수용구조가 되도록 신중하게 위치시켜, 조립체의 회전관성을 증가시키고, 카메라고정지지체(1), 핸들(5)과 그 조립체의 중력중심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중력중심에 요홈을 주어, 바람직하지 못한 높낮이 진동각 운동의 넓은 범위로부터 카메라(2)가 영향을 받이 않도록 안정된 설치가 되도록 함에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카메라(2)와 파인딩장치(10)를 위한 형상에 상관없이 그리고, 카메라고정지지체(1)를 포함하는 각각의 특정무게 또는 무게들에 바람직한 안정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조립된 조립체의 중력중심에 요홈을 준 가볍고 견고한 중간연결구조로 함으로서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제2도 내지 제4도에 있어, 특히 제5도와 제6도에 있어서, 이하에서 상술하겠지만, 플랫포옴(3)은 플랫포옴(3)과 핸들(5) 사이에 적당한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체적으로 장칫용면(14)과 조정기구(15)를 포함한다. 수용면(14)은 전체적으로 평면이고, 카메라(2)의 저부(16)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장치를 사용하는 중 카메라(2)가 표면(14)상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경향을 막기 위해 마찰면(예로써 거칠게하거나 직물로 덮어(코우팅))울 준다. 띠(17)는 맞은편 주연부(19)에 형성된 설치 브라켓트(18)에서부터 시작하여 플랫포옴(3)의 표면(14)에 카메라(2)를 확고히 보유할 수 있도록 카메라(2)까지 전개토록 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은 쉽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2) 확고히 고정시킬 수도 있게한다.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조정기구(15)는 플랫포옴(3)의 면(14)상에의 카메라(2) 위치변경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카메라 이어도 용이하게 즉시 수용할 수 있도록 작동함으로서, 카메라(2)를 특별히 조심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고, 카메라고정지지체(1)의 사용이 매우 간단하다.
조정기구(15)는 전체적으로 플랫포옴(3) 아래에 위치한 X-Y테이블(20)형상을 하고 있다. 결국, 한쌍의 슬라이딩 블록(24) 사이에 측으로 전개하는 1쌍의 로드(23)를 수용하는 베어링(22)을 주어 X-Y테이블(2)에 측이동을 준다. 슬라이딩 블록(24)과 그에 따른 테이블(21)은 플랫포옴(3)에서부터 전개하는 내부에 형성된 고정마운팅(2) 사이에 전개하는 1쌍의 로드(25)상에 더욱 수용되어, X-Y테이블(20)의 길이방향쪽 유동을 준다.
측연장로드(23a)는 나사져 있어 조정나사(28)와 조합작동하여 X-Y테이블(20)의 측위치 조정이 가능하므로 이하에서 상술할 핸들(5)의 측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길이방향으로 전개하는 로드(25a)의 하나는 마찬가지로 비슷하게 나사져 있어 조정나사(29)와의 조합으로 X-Y테이블(20)의 길이방향 위치조정을 허용하므로써 이하에서 상술할, 핸들(5)의 길이방향 조정이 가능하다. 로드(23a, 25a)상에의 나사피치는 상당히 정밀하므로 일단 고정시켜 놓으면 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무의식적으로 조정이 변경되지 않을 것이다.
테이블(21)에는 또한 핸들(5)의 끝단부(37)와 연결되어 있는 연속나사(36)수단으로써 카메라고정지지체(1), 핸들(5)을 수용하기 위해 나사진 부싱(35)를 설치한다. 따라서 부싱(35)내에서 나사진 단부(37)회전은 3단계 조정을 제공하고, 추가조정은 X-Y테이블(20)로써 가능하다. 그리하여 3개의 상호수직한 축을 따라 카메라고정지지체(1)를 충분히 조절할 수 있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카메라지지체(1)의 고정은 조립체 조정으로써 안정된 작동을 위해 적당한 무게중심의 위치에 오도록 한다. 이 무게중심은 카메라지지체(1), 특히 플랫포옴(3)과 카메라(2) 파인딩장치(10) 그리고 밧데리 홀더(12)를 포함하는 여러 요소들의 신장 및 균형잡힌 배치에 의해 카메라(2) 외부에 설정된다. 이 무게중심에 대한 핸들(5) 조정은 이하에서 상술할 부싱(35) 내부에서의 핸들(5)의 신장과 X-Y테이블(20)의 길이방향과 측면변위로써 가능하다.
핸들(5)은 전체적으로 2개의 별개로 떨어진 핸들부를 갖는다. 핸들(5)의 한 부분은 X-Y테이블(20)의 부싱(35)에 의해 수용되어 있는 나사단부(37)로 구성되며, 작동자에 의해 잡히는 콘트롤 면(4) 포함하여, 이하에서 상술할 카메라고정지지체(1)를 회전시키는데에 바람직하게 엄지와 검지를 사용한다. 핸들(5)의 다른 부분은 작동자의 남아있는 손가락을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어 카메라고정지지체(1)에 최상의 지지를 줄 수 있다.
만약 선택한 기구가 독자적인 각 이동이 가능하다면, 장치의 어떤 변형된 것이어도 핸들(5) 손잡이(41)와 단부(37)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장치는, 비록 다른 타입의 별개장치로(예로써 불과 소켓의 배치)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바람직한 것으로서 짐발(45)을 사용했다. 제7도에서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짐발(45)은 3개의 상호수직방향으로 각 분리(angular isolation)를 주도록 형성되었으며 특히, 핸들그립(손잡이)(41)과 단부(37) 사이에 끼이도록 충분히 작게 만들어, 카메라고정지지체(1) 헤드가, 작동자가 장치사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충분히 작게 한 짐발상에 놓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로막는 핸들은 비록 한 손만 사용하여도 고정된 카메라지지체(1)와 카메라(2)를 효과적으로 들어올리고 방향을 바꿀 수 있게 한다. 이 조립체는 핸들(5) 손잡이(41) 하단면을 중간, 네째, 새끼 손가락으로 잡으므로써 조립체 지지가 간단하고 적당하게 이루어져, 이 조립체를 옮기고 다니기 용이하다. 손잡이(41) 노치(42)는 작동자의 손을 조립체의 유지구와 관련하여 핸들(5)상에 적당히 위치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체의 지지를 도와준다. 노치로 만든 이유는 하단부가 핸들(5)의 상단부(37)에서 각 분리되도록 하여 지지된 장비가 이런 지지작동 중에 작동자가 원하지 않는 각각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별개로 유지되도록 한다.
핸들(5)의 단부(37)는 비교적 작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욱 편리하게 위치시킨 제어면(40)과 협동하여 동(또는 필요시엔 다른 손)손의 엄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가볍게 잡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짐발(45)의 약 50% 상부를 환상으로 감싼다. 이것은 작동자의 손과 함께 짐발(45)과 핸들(5) 고정구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고, 작동중에 카메라고정지지체(1)와 그에 수반하는 카메라(2) 방향을 돌릴 경우 가볍게 잡히는 최소의 제한된 제어면을 준다. 이 최소제어면(0)은 그것을 받아들이는 카메라고정지지체(1)와 카메라(2)의 방향을 바꿀 경우에만 가끔씩 필요로 할 뿐이다. 따라서, 최소 제어면을 설치하여 작동자 손의 엄지와 집게 손가락 사이 접촉을 확실케하고 이들 안내동작 중에 조립체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면(40)은 억제된다(즉 다시말해 최소로 방향전환이 된다). 필요시엔 카메라고정지지체(1)를 돌리기 위해 추가적인 제어면을 주도록 그리고, 이하에서 상술할 고정지지체(1) 핸들(5)과 작동자의 손 사이에서 적절한 상호 작동에 있어 더욱 다양함을 제공하기 위해, 핸들(5) 단부(37)의 앞쪽 전방에서부터 텅(46)을 추가로 연장시킨다.
앞에서 지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카메라고정지지체(1)의 중요한 특징은 조립체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핸들(5)의 위치조정을 가능하게 하며, 카메라고정지지체(1)의 (그리고 카메라(2)의) 신장된 균형잡힌 배치로써 이동성을 좋게 하는 것이다. 이 조절을 부싱(35) 내부에 핸들(5) 단부(37)의 나사연장부와 X-Y테이블(20)을 사용하여 수행하여, 이는 또한 균형잡힌 자세와 최종무게의 바닥중량(틸트와롤에 수직한 수직축)에 대하여 정밀한 조절을 하기 위해, 카메라고정지지체(1)의 잔부와 핸들(5)의 해당 공간적 위치를 3축 버니어 수정(calibration)으로써 가능하게 한다. 결국 3가지 조절이 주어진다.
너얼링된 조정나사(28)의 회전에 의해 달성되는 X-Y테이블(20)의 횡방향 조정과, 너얼링된 조정나사(29)의 회전에 의해 달성되는 X-Y테이블(20)의 종방향 조정은 본질적으로 조립된 유닛의 무게중심을 핸들(5)의 단부(37) 따라서 제어면(40)의 종축과 일치시키도록 실행된 이것은 안정된 카메라지지체(1)상에 카메라(2)의 레벨평형 배치를 확립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2)의 형상의 변화 뿐만 아니라 안정된 카메라지지체(1)의 플랫포옴(3)상에 카메라의 배치의 변화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X-Y테이블(20)의 적당한 조정은 상기 유닛의 핸들(5)의 단부(37)[그리고 제어면(40)]에 의해 정의된 축(Z-축)에 따라 조립된 유닛의 무게중심을 위치시킨다. 그리고나서 X-Y테이블(20)의 부싱(35)과 핸들(5)의 단부(37) 사이의 나사결합을 조정함에 의해 핸들(5)의 길이를 따라 이 무게중심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남아있다. 이 조정은 바람직하게 짐발(45)의 중심을 무게중심 위 약 1/16인치에 위치시키도록 달성되어, 그 결과 유닛이(안정된 정상방향으로 천천히 되돌아가는 경향이 있는) 약간 저부가 무겁게 되도록 한다. [짐발(45)과] 핸들(5)의 제어면(4) 근접위치설정을 겸하는 이것은 안정된 카메라지지체(1)의 제어동작을 확실하게 하고 장치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제, 상술한 X-Y테이블(20)과 그것의 나선접속부[부싱(35)]를 사용하여 안정된 카메라지지체(1)를 트리밍(trimming)하는 예시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유닛은 먼저 적당한 카메라(2)와 밧데리(13, 64)의 장착을 포함한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팽창된 평형구성을 취하도록 전개된다. 그리고나서 조립된 유닛은 걸린 방향을 (렌즈를 위 또는 아래, 밧데리를 위 또는 아래, 장치를 어느 한쪽으로) 결정하도록 손잡이(41)에 의해 유지된다. 카메라(2)가 상측 아래에 매달려 있는 경우에, 분리된 중량은 카메라(2)가 바닥이 무겁고 우측 위에 확실하게 걸려 있도록 밧데리 홀더(12)[그렇지 않고 다른 경우에, 바람직하다면 예를들어 카메라(2)]상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가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향하는 경향이 있거나, 카메라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면, 카메라(2)는 일반적으로 직립방향을 취하도록 플랫포옴(3)상에서 변위될 수 있다. 그리하여 띠(17)는 이 초기 위치를 유지하도록 꽉 조여져야 한다.
조정나사(28, 29)들은 그리고나서 X-Y테이블(20)의 버어니어 조정에 대하여 회전하여 카메라(2)의 레벨을 짐벌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후속하여 Z측에서 조정을 수행한다. 단부에서 손잡이(41)에 의해 장치가 지지되고,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상승된다. 다음에 장치는 이러한 수평위치에서 이탈되고, 장치가 수직위치를 통해 낙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측정된다. 측정된 시간은 약 2 내지 3초 바람직하기로는 2.5초이다. (짐벌의 중심의 약 1/16인치의 아래쪽에서의 무게중심위치에 대응하는 값이다) 상기 측정된 시간간격이 1초 이하인 경우, 조정처리에 앞서 밧데리 홀더(12)에 부여되어 있는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에 Z축에서 적당한 조정이 X-Y테이블(20)의 부싱(35)내에 핸들(5)의 단부(37)를 회전시키므로서 수행된다. 몇몇 경우에, X-Y테이블(20)의 재조정이 필요한데, 이는 장치의 바닥무게가 감소함에 따라 이러한 조정이 훨씬 더 중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소정의 2.5초 간격으로 수직위치 (수평으로부터)를 통해 장치가 낙하할 때까지, 전술한 바와 같이 Z축 및 X-Y테이블의 조정을 변경하므로써 필요시 장치를 더(미소한) 조정한다. 카메라(2)가 안정화된 카메라고정지지체(1)에 부착된 채로 유지되는 한 조정시 단지 약간의 재조정을 수행하여 장치를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전술한 조정은 안정화된 카메라고정지지체(1)의 적당한 작동을 보장하는데 극히 중요하므로, 상기의 조정은 비교적 작게 한다. 이 때문에 로드(23a, 25a)의 나사 및 부싱(35)과 단부(37)의 나사가 미세하여 조정에 있어 소정의 정확도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체조정은 플랫포옴(3)상의 카메라(2)의 전, 후 및 측방이동에 의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안정화된 카메라고정지지체(1)를 구성하는 구조의 다른 부분에 약간의 중량을 부여함으로써 장치의 바닥무게의 전체조정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정처리와 관련하는 중요한 사항이 핸들(5)의 핀(46)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핀(46)이 기본적으로 작동하여 핸들(5)의 제어면(40)에 의하여 작동자용 제어면을 더 제공하고 짐벌의 중점의 아래 및 전방으로 확장한다. 이는 핀(46)을 지정하여 작동자는 손의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장치의 무게중심을 맞출 수 있도록하며, 카메라(2)를 경사지도록 하며 상하좌우로 움직이도록 하는데 특히 유용한 약간의 상승면을 제공한다. 그러나 핀(46)에 의해 첨가면이 제공될 지라도, 핸들(5)의 상단부(37)의 제어면(40)과 핀(46)은 모두 규격화되고 비율화되어 작동자의 엄지와 집게손가락에 의해 시스템에 부여되는 초과적인 작동을 방지함으로써,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작은 회전관성능력이 장치의 각 방향에 작동하는 가장 큰 구요힘을 비례적으로 유지시키도록 한다.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면 핀(46)은 고정시 플랫포옴(3)으로부터 핸들(5)의 장방향 확장의 조정을 유지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작동 중 연속으로 카메라를 상하좌우 및 경사지도록 하는 결과로서 이러한 조정을 변경하려는 경향 (X-Y 테이블(20)의 조정과는 다름)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이를 성취하기 위하여 피냐(46)은 가장 전방에서 핸들(5)의 단부(37)의 림(47)(피보트(48)에서)과 피보트연결되며, 핸들(5)의 단부(37)의 내벽(49)을 따라 장방향으로 확장되며, 잠금핀(50)에서 종결된다. 잠금핀(50)의 수납용으로 통로(51)가 구비되며, 통로(51)는 잠금핀(50)을 수용하며 X-Y테이블(20)의 부싱(35)의 내벽을 따라 형성된 슬롯(52)에 확장되도록 한다.
X-Y테이블(20)의 부싱(35)내에서 Z측으로의 핸들(5)의 조정이 필요해진 경우에는 핀(46)에 반경방향 외향힘을 가하여 판스프링(54)을 풀어서 고정핀(50)을 종방향으로 뻗은 슬롯(52)으로부터 철수시킴으로써 수월하게 달성된다. 이렇게 하면 핸들(5)의 단부(37)가 부싱(35)내에서 회전하게 되어 핸들(5)의 길이방향 신장을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한다. 이러한 조정이 완료되면 핀(46)이 풀어져 고정된(50)을 슬롯(52)으로 복귀시켜서 단부(37)와 부싱(35)간의 상대회전을 더 못하게 방지하여 소기의 조정을 유지시킨다. 유의할 점은, 핀(46)이 항상 핸들(5)내의 최전방 위치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2)의 효과적인 기울어짐과 상하, 수평이동을 위해 바람직한 제어면을 제공하도록 슬롯(52)이 부싱(35)의 최전방 위치들을 따라 특정적으로 위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는 또한, 부싱(35)내에서의 핸들(5) 단부(37)를 위한 이용가능한 위치조정들을 제한하여 핸들(5)을 위한 이용가능한 조정들을 불연속(완전)한 회전당 1증분에 제한하고 있지만, 이를 이용가능한 조정들은 최종 유니트에 적당한 밸런스를 달성하기에 더욱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앞에서 지적하였듯이, 본 발명의 카메라고정지지체(1)에 의해 부여되는 제어에 관여하는 중요한 요인은 제어면들이 카메라(2)를 수용하는 플랫포옴(3) 밑면에 가능하면 밀접하게 위치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단속식 핸들(5)에 의해 제공되는 개선점들 뿐만 아니라 핸들부분들(37, 41)을 분리하는데 쓰이는 소형 짐발(4)에 의해 허용된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실제로 이 짐발(45)은 핸들(5)의 단부(37)와 그 제어면(40)의 경계내에 끼워질 만큼 충분히 작다. 짐발(45)은 측(55)에 의해 그의 종축선을 따라 지지되며, 축(55)은 그립(41)으로부터 뻗고 짐발(45)의 외측 요우크(56)를 수용한다. 짐발(45)의 작동에 의하여 축(55)[과 그립(41)]이 핸들(5)의 단부(3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5)의 그립(41)이 위로 올려짐에 따라, 위치차가 생겨 중간링(57)을 짐발(45)의 안쪽볼(59)에서 뻗어나간 축(58)과 닿게하여 그립(41)내에 대략 90 만큼 분리된 2개의 위치방해들을 가져옴에 유념할 것이다. 이는 핸들의 단부(37)와 짐발(45)에 대해 그립(41)에 형성된 노치들(42)의 효과적인 배치를 통하여 그립(41)을 효과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최소화되지만, 제9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짐발(45)에 대한 그립(41)의 배향을 변경함으로써 그런 방해를 가져호는 위치차를 더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축(55)이 짐발(45)의 요우크(56)에 대해 대략 20-30 정도로 치우쳐 있어서 그립(41)이 짐발의 요우크(56)를 위한 대칭적인 중심위치의 한쪽에 부착된다. 이렇게 하면 요우크(56)의 대부분의 호가 핸들(5)의 그립(41)에 제공되는 노치들(42)쪽으로 확실히 정렬됨으로써 안쪽볼(59)을 수용하는 축(58)과 짐발의 중앙링(57)간의 접촉을 더 방지한다. 이런 배열은 핸들(5)의 배향부분[단부(37)]에 대한 핸들(5)의 지지부분[그립(41)]을 위해 자유로운 최대의 비방해호를 제공한다. 더욱이 이렇게 하면 핸들(5)의 부분들(37, 41) 사이의 유일한 위치방해들[즉, 짐발(45)의 안쪽볼(59)에서 뻗은 축(58)과 중간의 짐발 링(57) 사이의 접촉점들)이, 사용자에게 일반적으로 유익하지 않으며 그래서 장치의 정상적인 사용중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할 자세에 위치하게 된다. 어느 경우에든지, 그립(41)이 노치들(42)에 의해 잡히면 사용자의 손이 그런 위치 방해들을 회피하도록 자동적으로 효과적으로 위치된다.
단속식 핸들(5)에 의해 제공되는 상당한 자유스러움과, 카메라고정지지체(1)의 여러부분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지주들(6, 11)에 의해 제공되는 확장되고 균형잡힌 배열에 의해 상당한 구간을 따라 짐발(45)에 확실하고 방해안되게 접근할 수 있다. 수평면에서는 사용자의 팔에 대한 접근은 약 40 의 호를 따라 이용할 수 있다. 수직평면에서는, 그런 접근은 수평위치로부터 유니트의 후미에 대해 수직이상의 약 70 위치까지, 그리고 핸들의 수평이동의 나머지 부분을 위해 수평위치로부터 수직이하의 약 85 위치까지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립(41)을 잡는 사용자의 손목을 최종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최강이면서 가장 자연스런 위치에 위치시키게 하는 김발직하의 위치까지 짐발(45)에 접근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개선된 부품배치는 카메라(2)의 중량중심을 김발(450의 후미[단부(37)의 축선]에 위치시키는 기능과, 고도로 안정화 된 카메라 지지체의 작동과 관련하여 현재 인식되고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2)의 신속한 상하 수평이동 중 받게 될 전진량을 줄이는 기능을 한다. 이런 전진은 제공되는 부품배치들이 핸들 축선과 상이한 동적으로 균형잡힌 축선을 형성할 때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결과는 상하수평이동힘들이 유니트의 구조축선 주변에 가해질 때 최종 구조물이 시스템의 진축선쪽을 향해 의도하지 않게 흔들리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카메라고정지지체(1)의 구조는, 핸들(5)의 단부(37)와 동심상이며 따라서 카메라(2)의 렌즈 또는 구명과 동심상인 축선에 수직인 축선을 따라 적당히 정적이고 동적인 밸런스에 있는 부품배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지주들(6, 11)의 형상은 바람직하게 배경 파인딩장치(10)를 카메라(2) 전방과 하방으로, 배터리 홀더(12)를 카메라(2)의 후의 하방과 후미로 위치시키나 카메라(2) 그 자체의 후단부보다 더 후방으로는 위치시키지 않는 대향하는 오목한 호들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카메라(2)의 중량중심이 바람직하게 상당히 김발(45)의 후방에 있다.
카메라고정지지체(1)는 그의 보관뿐 아니라 여러 작동모드들에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편리한 여러 특징들을 갖는다. 이것의 한 중요한 양상은 카메라(2)의 불편함과 바람직하지 않은 움직임을 주곤하는, 사용자가 배경파인더를 직접 어드레스할 필요를 해소하는 배경 파인딩장치(10)의 제공이다. 여러 이용가능한 배경 파이딩장치들 중 어느 것이나 이런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선택된 배경 파인딩장치(10)의 배치는 카메라고정지지체(1)를 위한 확장되고 균형잡힌 관계를 보장할 뿐아니라 배경파인딩장치(10)가 사용중 시스템의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관찰되는 것을 보장하는데에도 중요하다.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부(8)에서 카메라(2)쪽으로의 배경 파인딩장치(10)의 배치는 이 경우에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장착부(8)로부터 배경 파인징 장치(10)와, 이를 가동시키는 배터리(64)를 수용하는 배터리 홀더(63)와를 둘 다 수용하는 포오크(62)가 뻗어있다. 배경 파이딩장치(10)와 배터리 홀더(63)는 사용자에 의한 편리한 접근을 위해 포오크(62)의 대향 단부들(66)과 결합하고 그들 사이에서 피봇가능한 판(65)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의할 점은 이런 장착형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카메라고정지지체(1)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변경함이 없어 필요한 대로 배경파인딩장치(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카메라(2)와 배경 파인딩장치(10)와 배터리 홀더(63)와 배터리 홀더(12)를 위한 필요한 전기적 상호접속부들은 필요한 대로 제공되며, 유익하게도 이들 여러 구조물들 사이에 뻗어있는 지주들(6, 11) 안에 보호되도록 수용된다.
사용자를 위한 또 다른 편리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2)의 분리된 작동을 위해 유용한 확장되고 균형잡힌 배열로부터 카메라(2)를 어깨에 대고 작동시킬 수 있는 배열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제11도에 잘 도시되었듯이, 이는 지주(11)가 제2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11도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부(8)에 전환 조인트(67)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렇게 하면 지주(11)가 전환 조인트(67)에 의해 형성된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배터리 홀더(12)가 카메라(2) 바로 밑에 위치되는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어 최종 조립체를 위해 안락하고 편리한 어깨 지지부를 제공한다.
지주들(6,11)은 여러 재료들 중의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재료들에 따라 (별도의 조립체 뿐 아니라 일치의 조립체도 포함하여) 편리한 식으로 플랫포옴(3)과 장착부(8)와 홀더(12)에 적당하게 부착된다. 예컨대, 지주들(6, 11)을 형성하는데 금속관(예컨대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도 있고, 심지어는 제비용과 중량 등에 따라 흑연과 같은 복합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원한다면, 지지들(6, 11)은 카메라(2)에서 뻗은 조립식 또는 일체식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카메라(2)의 일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든지, 지주들(6, 11)은 고정지지체(1)가 보관을 위해 최소크기의 유니트를 형성하도록 접혀져 철회될 수 있도록 경사지는 내측(6a, 11a) 및 외측(6b, 11b) 부분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주들(6, 11)의 형태는 카메라고정지지체(1)의 적절한 작동을 위해 필요한 확장되고 균형잡힌 배열을 유지하도록 용의주도하게 선택되는 것을 유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필수적으로, 장치가 사용위치에 놓일 때에 경사지주부분들의 적절한 신장이 설정되는 것을 요한다. 이를 위해 지주들(6, 11)에는 유익하게, 유니트가 접혀진 보관 형태로부터 펴질 때 이런 위치조정을 작동으로 설정하는 적당한 멈추개장치(예컨대, 원주방향의 밴드 및 링 조합체, 핀 및 홈 장치 등)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카메라고정지지체(1)는 전술한 목적들 각자를 만족시키도록 잘 기능함을 알 것이다. 또한 설명된 카메라 고정지지체(1)는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정신과 경향에서 벗어남 없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런 몇가지 변경들이 바람작한 실시예의 설명 중에서 거론되었다. 이 경우에서 특히 유념할 것은 설명된 김발(45)이 아닌 여러 상이한 별도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여타 형태의 김발 뿐 아니라 볼 조인트 등과 같은 여타 형태의 별도 장치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유념할 것은 카메라 형태와, 카메라고정지지체(1)의 플랫포옴(3) 상에의 카메라 배치와 특히 관련하여 시스템내의 변동들을 수용하도록 다양한 조정부들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이는 상이한 카메라들을 수용하며 기본적으로 유니버살 지지시스템인 것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데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정형태의 카메라(2)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수용하도록 플랫포옴(3)을 특별한 형태로 만들어 전술한 조정절차들의 몇몇을 생략할 수 있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장치가 완전히 주문제조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의 부품들에 변동들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장치의 트림과 관련하여 전술한 X-Y테이블(20)과 또한 장치가 극히 정밀하게 주문제조되어 사용시에 전혀 손상되지 않는 경우에만 바닥 무게를 위한 조정부조차 포함하여 그런 조정부들 중 몇몇 또는 전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여타 변경들도 분명히 가능하다. 예를들어, 바람직한 실시예의 핸들(5)은 그의 단부(37)와 피봇 결합되어 일단 세트되면 핸들(5)을 고정하여 그 높이 조정을 유지하는 핀(46)을 구비한다. 이것이 바람직한 것이나. 핸들(5)의 단부(37)에는, 핸들(5)에 핀(46)과 동일한 배향기능을 제공하며 구조가 간단화된 고정 핀을 제공하거나 또는 필요하다면 핸들(5)에서 핀(46)을 제거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X-Y테이블(20)과 그것이 구비하는 나사 끼움부(35)와 관련하여도 변경이 가능한데, 이들은 장치내의 배치 또는 그들의 형태에 변경이 가해질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 고정지지체(1)에 대한 핸들(5)의 위치를 조정하는 다른 메카니즘들로 교체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 고정지지체(1)를 위해 적절히 확장되고 균형잡힌 배열이 유지되는 한, 배경 파인딩 장치(10)와 배터리 홀더들(12, 63)과 카메라(2)를 플랫포옴(3)에 고정하는데 쓰이는 수단을 위한 장착부들에 대해서도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런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스트랩(17)은 제외하고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개선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이한 핸들과 지지부 형태를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의 카메라 고정지지체(70)를 도시한다. 이런 형태에서, 카메라(2)와 배경 파인딩장치(10)와 배터리 홀더(12)는 T-바아(71)에 의해 적절히 확장되고 균형잡힌 배열 내에 지지되며, 그 T-바아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바와 같이 최종 유니트의 중량 중심이 지지김발(72) 밑에 대략 1의 1/16 정도로 위치하도록 이런 여러부품들을 수용하게끔 되어 있다. 이는, 수용할 부품들을 위해 특정한 형태로 만들어지는 T-바아를 제조하거나 또는 상이한 작동조건들과 트림 요건들을 조정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경사 단편들을 가진 T-바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X-Y 트림은 플랫포옴(3)상에서의 카메라(2)의 움직임의 도움을 받는 반면, Z축선을 따른 트림은 T-바아(71)의 길이를 따라 김발(72)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달성된다].
김발(72)은 여기서 완전하게 설명된 것처럼 참조로 설명된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32,213; 4,208,028; 및 4,474,439호에 개시된 김발과 형태가 비슷하다. 3링 김발(72)의 외측링(73)은 그립(75)에서 끝나는 연결축(74)을 수용한다. 핸들(5)의 그립(41)과 같이 그립(75)에도 사용자의 손이 그립(75) 위에 적절히 놓여지도록 중간링과 작은 손가락들을 수용하는 노치들(76)이 제공된다. 한편, 이로 인해 T-바아(71)를 잡는 엄지와 검지가 자유롭게 되어 카메라(2)의 효과적인 작동에 필요한 배향 기능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카메라 고정지지체(70)는 편안하고 편리하게 한 손으로 지지되어 배향될 수 있다.
카메라(2) 고정지지체용의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지만, 카메라지지체(70)는 현재, 김발(72)이 일반적으로 3링(3축선) 형상의 공간적 요건들로 인해 플랫포옴(3)에서 더 떨어져야 하기 때문에 그리고 그립(75)이 사용시 인체공학적으로 덜 만족스런 위치에 있을 것이기 때문에 덜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런 형태는 이용가능한 카메라들이 구조상 점점 더 가벼워지고 있기 때문에, 유용성이 증가되고 있음을 증명할 수 있다. 또한, 제13도는 카메라 지지체(1)의 양상들을 채용하며, 카메라고정지지체(70)의 핸들과 여러 면에서 비슷하며 사용자에게 인체공학적으로 더 적합한 핸들(81)과 조합된 카메라고정지지체(80)를 도시한다.
최상의 부품을 위한 카메라고정지지체(80)는 핸들(5)을 교체하는 핸들(81)을 제외하고는 카메라고정지지체(1)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81)은 플랫포옴(3)과 나사결합하는 단부(83)를 갖는 축(82)을 포함하며, 그 단부는 제12도의 김발(72)과 구조가 같은 김발(84)을 (조정가능하게) 수용한다. 김발(84)의 외측링(85)은, 사용자의 손을 핸들(81) 위에 정확하게 놓도록 하기 위해 노치(88)를 갖는 그립(87)에 김발(84)을 연결시키는 축(86)을 수용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축(82) 및 그립(87)이 서로 거의 일직선으로 위치되어 조작자의 손이 핸들(5)의 것에 동일한 인체공학적으로 적절한 정향을 나타낸다. 그립(87)은 또한 최종유니트를 위한 지지체를 제공하고 소망에 따라 카메라(2)를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사용자의 중지, 약지 및 새끼손가락에 의해 편리하게 파지된다. 축(82)은 또한 사용자의 인지 및 검지에 의해 이 경우 짐벌(84)의 아래에서, 카메라지지체(80)와 그것이 지지하는 카메라의 적절한 정향을 위하여 파지되도록 편리하게 위치된다.

Claims (121)

  1. 피정향장치 및 상기 피정향 장치의 관련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지지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장치를, 사용시 장치 지지체의 운동에 기인한 바람직하지 않은 각운동으로 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상하좌우운동, 경사운동 및 회전운동시의 각도편차에 대하여, 향상된 안정성을 갖고 수동조작이 가능한 장치 지지체에 있어서, 접근이 용이한 중력중심을 제공하는 확대되고 균형잡힌 구조체내에 상기 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장치 지지수단과, 조작자로 하여금 한손으로도 결합을 할 수 있고, 상기 중력 중심에의 접근을 위해 상기 장치 지지수단에 부착하기 위한 핸들 수단으로서, 상기 장치 및 상기 장치 지지수단의 중량을 지지 및 이송하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피정향 장치를 정향시키기 위한 정향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와 정향부가 핸들수단의 운동에 기인한 상기 파지부의 바람직하지 않은 각 운동으로부터 상기 정향부를 격리시키기 위한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그런 핸들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정향장치는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일체완비식 포터블형의 비데오 카메라 / 레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장치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발생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뷰 파인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뷰 파인딩 수단은 상기 장치 지지수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뷰 파인딩 수단은 상기 카메라로 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뷰 파인딩 수단은 상기 발생된 영상을 상기 조작자와의 접촉없이 상기 조작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뷰 파인딩 수단은 상기 카메라의 전방으로 또한 통상 하방으로 신장하는 지주에 의해 상기 카메라로 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위한 밧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는 상기 뷰 파인딩 수단 및 상기 카메라로 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는 통상 상기 카메라의 하방에서 상기 뷰 파인딩 수단으로 부터 후방으로 신장하는 지주에 의해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뷰 파인딩 수단으로 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위한 밧데리와, 상기 장치 지지수단에 부착된 밧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장치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발생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뷰 파인딩 수단과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위한 밧데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뷰 파인딩 수단 및 상기 상기 밧데리는 상기 중력 중심이 상기 카메라의 외측에 존재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핸들 수단에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도록 지주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카메라로 부터 분리되고 또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뷰 파인딩 수단과 밧데리는 상기 장치 지지수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지지수단, 상기 카메라, 상기 뷰 파인딩 수단 및 상기 밧데리는 상기 조작자의 팔을 수용하도록 개방된 수용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는 상기 조작자를 면하도록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장치 지지수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지지수단은 상기 카메라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상기 중력중심에 대하여 조정 가능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한축을 따라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상호 직각을 이루는 2개의 축을 따라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상호 직각을 이루는 3개의 축을 따라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상기 중력중심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중력중심에 대하여 조정가능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동격리수단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중력중심에 대하여 조정가능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지지수단은 상기 피정향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플랫포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정향장치는 상기 플랫포옴상에 느슨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플랫포옴은 상기 느슨하게 위치된 장치를 상기 플랫포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정향장치는 상기 플랫포옴상의 고정된 위치에 놓여지며, 또한 상기 플랫포옴은 상기 고정된 장치를 상기 플랫포옴에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포옴은 상기 핸들수단을 상기 플랫포옴에 대하여 조정가능하도록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핸들 수단을 상기 플랫포옴을 따라 고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버어니어 조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수단은 상기 중력중심을 상기 핸들수단내에서 축방향으로 위치시켜, 상기 장치 지지수단상에서 상기 피정향장치의 높이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수단은 X-Y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수단은, 상기 플랫포옴에 접근 및 이탈하는 고정위치에 상기 핸들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조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수단은 상기 플랫포옴에 의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수단은 상기 핸들 수단을 포함하는 격리수단과 실질적을 정렬하여 상기 중력중심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중심은 통상 상기 장치 지지수단의 저부가 무거워지게 되도록, 상기 격리수단의 약간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중심은 상기 격리수단의 약 1/16인치 아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지지수단은 상기 플랫포옴에 접근 및 이탈하는 상기 고정위치에 상기 핸들수단을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핸들 수단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핸들수단에 수축자재하도록 결합된 핀과, 상기 핸들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플랫포옴의 위치에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핀과 슬롯은 상기 핸들수단을 균일하게 지향된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협동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균일하게 지향된 방향은 상기 핸들수단의 형상을 파지될 적절한 위치에 자동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4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상호 직각을 이루는 3개의 축에 대해 각도상의 격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보올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짐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짐벌은 상기 정향부의 경계내의 완전히 수용되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짐벌은 상기 정향부와 상기 파지부사이내에 완전히 수용되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47.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와, 상기 짐벌 및 상기 정향부는 축방향으로 정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수단중 상기 파지부와 상기 짐벌을 연결하는 부분은,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off se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은 약 20-30도 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5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수단은 상기 장치 지지수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수단의 파지부는 상기 핸들수단에 대하여 손을 위치시키기 위한 손가락 수용 노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5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수단의 정향부는 상기 장치 지지수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5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수단의 정향부는 상기 조작자의 손에 의해 접근이 용이한 제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면으로의 상기 조작자의 손의 접근은 상기 제어면상의 지렛대비(leverage)를 한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정향부에 인가되는 동기력을 한정하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면은 상기 장치 지지체에 관하여 비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56.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면은 상기 격리수단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면은 상기 제어수단의 약 50% 위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58.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면은 또한 상기 정향부로 부터 종방향으로, 상기 격리수단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제어면과 상기 격리수단을 둘러싸는 제어면을 연결하는 직경선은 상기 중력중심을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60.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제어면은 상기 정향부의 전방단부로 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6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와 상기 정향부는 한 손에 의해 맞물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한손중 중지, 약지 및 단지에 의해 맞물려 지고, 상기 정향부는 상기 한손중 엄지 및 검지에 의해 맞물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63.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통상 상기 짐벌 아래에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정향부는 통상 상기 짐벌 위에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65.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정향부는 통상 상기 짐벌 아래에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6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지지수단은, 상기 확대되고 균형잡힌 구조체를 조정하기 위한 부가의 중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67. 제 8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 쌍들은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을 나타내기 위한 장면 파인딩 장치에 상기 카메라를 수납하는 플랫포옴으로 부터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는 상기 장면 파인딩장치를 전향으로 및 일반적으로 상기 카메라의 아래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69.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 쌍들은 상기 장면 파인딩 장치로 부터 상기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밧데리까지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밧데리를 후방으로 및 일반적으로 상기 카메라의 아래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71.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는 상기 제1 및 제2 구성을 취하도록 상호에 대해서 선회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장면 파인딩 장치에서 선회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73.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일반적으로 궁형이고, 상기 제1구성에서 상기 조작자의 손과 팔을 수납하도록 개방되어 있는 덮개부(enclosure)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2구성을 취하도록 접을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75. 사용중에 장치 지지체의 이동으로 야기되는 원치 않는 각이동으로부터, 상기 장치 지지체와 연관된 장치를 격리시키기 위하여, 조작자가 적어도 한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고 회전하는 팬에서 각 편차에 대항하여 개선된 안정성을 가지면, 상기 장치 지지체는 접근가능한 중심을 제공하는 확장되고, 균형된 구성으로 상기 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원치않는 상기 파지부의 각 이동으로 부터 상기 정향부 및 상기 장치를 격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결합된 상기 장치 및 상기 장치 지지체 그리고 상기 장치를 정향하기 위한 정향부의 중량을 지지하고 운반하기 위한 파지부로 구성되는 상기 장치 지지체용 핸들.
  76.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3개의 상호 수직인 축주위에 각을 이루어 격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77.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보올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78.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짐벌(gimb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79.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짐벌은 상기 정향부의 안에 완전하게 내장되는 크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80. 제 79 항에 있어서, 상기 짐벌은 상기 정형부 및 상기 파지부의 안에 및 사이에 완전하게 내장되는 크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81.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 상기 짐벌 및 상기 정향부는 축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82.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 및 상기 짐벌을 연결하는 상기 핸들의 부분은 상호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83. 제 82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은 약 20-30도 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84. 제 8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파지부는 상기 핸들에 대해 상기 손을 위치시키기 위한 노치를 수납하는 핑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85.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정향부는 상기 장치 지지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86.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정향부는 상기 조작자의 손에 의해 접근할 수 있는 제어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핸들.
  87. 제 8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면까지 상기 조작자의 손을 접근하여 상기 제어면상에 지레작용을 제한하도록 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정향부에 가해진 운동력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88.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면은 상기 장치 지지체에 대해 비례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89. 제 8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면은 상기 격리수단을 포위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90. 제 8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면은 상기 격리수단과 거의 50% 중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91. 제 8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면은 상기 정향부로 부터 상기 격리수단을 따라 종방향으로 신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92. 제 9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을 포위하는 제어면 및 상기 신장된 제어면을 연결하는 대향선은 상기 중심과 교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93. 제 9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된 제어면은 상기 정향부의 전향단부로 부터 신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94.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 및 상기 정향부는 한손으로 파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95. 제 9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손의 중지, 약지 및 소지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정향부는 상기 손의 엄지 및 검지에 의해 파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96. 제 9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일반적으로 상기 짐벌의 하방에 놓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97. 제 9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향부는 일반적으로 상기 짐벌의 상방에 놓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98. 제 9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향부는 일반적으로 상기 짐벌의 하방에 놓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99. 사용중에 장치 지지체의 이동으로 야기되는 원치않는 각이동으로 부터, 피정향장치 및 상기 피정향장치와 결합된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 지지체와 사용중의 장치를 격리시키기 위하여, 경사지고 회전하는 팬에서 각 편차에 대항하여 개선된 안정성을 가지고 손으로 잡을 수 있으며, 확장되고 균형된 구성으로, 조작자의 적어도 한손에 의해 파지하기 위하여, 핸들수단에 의해 접근할 수 있는 중심을 제공하는 상기 장치를 수납하고, 상기 장치 및 상기 장치 지지체 수단의 중량을 지지 및 운반하기 위한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상기 원치않는 각이동으로 부터 상기 정향부를 격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결합된 상기 피정향장치를 정향하기 위한 정향부를 포함하기 위한 장치 지지체 수단, 및 상기 중심에 대해 상기 핸들수단의 격리수단을 조절가능하게 위치 지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00.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일축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01. 제 100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2개의 상호 수직인 축을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02. 제 10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3개의 상호 수직인 축을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03.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상기 중심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중심에 대해 조절가능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04.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수단은 상기 격리수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중심에 대해 조절가능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05.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지지체 수단은 상기 피정향 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플랫포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06.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정향 장치는 상기 플랫포옴상에 느슨하게 위치조정될 수 있고, 상기 플랫포옴은 상기 느슨하게 위치 조정된 장치를 상기 플랫포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지지체.
  107.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정향장치는 상기 플랫포옴상에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플랫포옴은 상기 고정된 장치를 상기 플랫포옴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08.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포옴은 상기 핸들수단을 상기 플랫포옴에 대해 조절가능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09. 제 10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정수단은 상기 플랫포옴을 따라 상기 핸들수단을 고정된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버어니러 조정을 병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10. 제 10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정수단은 상기 핸들 수단의 안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중심을 위치시키며, 그럼으로써 상기 피정향장치를 상기 장치 지지체수단상에 레벨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11. 제 10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정수단은 X-Y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12. 제 10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정수단은 상기 핸들 수단을 상기 플랫포옴의 방향으로 및 상기 플랫포옴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고정된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조정을 병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13. 제 11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수단은 상기 플랫포옴에 의해 나사적으로 맞물려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14. 제 1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정수단은 상기 핸들수단을 구성하는 격리수단과 거의 일직선상으로 상기 중심을 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15. 제 11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은 상기 격리수단의 약간 아래에 위치되어서, 상기 장치 지지체 수단은 일반적으로 하부가 무거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16. 제 11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은 상기 격리수단의 아래에 약 1/16 인치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17. 제 1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지지체 수단은 상기 플랫포옴의 방향으로 및 그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위치에 상기 핸들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18. 제 1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핸들수단과 연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19. 제 1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핸들수단을 수납하기 위하여, 플랫포옴의 부분에 형성된 슬롯 및 상기 핸들수단과 이탈가능하게 결합된 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20. 제 119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및 슬롯은 상기 핸들수단을 일정하게 지시된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121. 제 12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하게 지시된 방향은 자동적으로 상기 핸들수단의 특성을 적절하게 파지되는 위치로 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지지체.
KR1019890013779A 1988-09-22 1989-09-22 주로 경량카메라용의 안정화된 장치 지지체 KR0142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7900 1988-09-22
US07/247,900 US4946272A (en) 1988-09-22 1988-09-22 Stabilized equipment support, primarily for use with light-weight camer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219A KR900005219A (ko) 1990-04-13
KR0142569B1 true KR0142569B1 (ko) 1998-07-15

Family

ID=2293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779A KR0142569B1 (ko) 1988-09-22 1989-09-22 주로 경량카메라용의 안정화된 장치 지지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46272A (ko)
EP (1) EP0360268A3 (ko)
JP (1) JP2798277B2 (ko)
KR (1) KR0142569B1 (ko)
CA (1) CA1316033C (ko)
IL (1) IL91666A (ko)
MY (1) MY1051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684B1 (ko) * 2001-05-22 2003-10-08 안형국 카메라의 이동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2136A (en) * 1993-05-26 1994-07-26 Rudolph John H Support apparatus for an optical instrument
US5585849A (en) * 1993-07-21 1996-12-17 Robalino; Manuel Auxiliary handle for portable video camera
US5323195A (en) * 1993-10-21 1994-06-21 Phillips Stephan D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USD382286S (en) * 1995-03-29 1997-08-12 Jim Mar Productions, Inc. Portable camera immobolizer
DE19519528C2 (de) * 1995-05-27 1999-01-21 Tobias Steidle Haltevorrichtung für kompakte Bildaufzeichnungsgeräte zur stabilisierten Bildaufnahme bei bewegtem Bildaufzeichnungsgerät
SE9600430L (sv) * 1996-02-06 1997-03-10 Elias Staicouras Kamerastabilisator
FR2745958B1 (fr) * 1996-03-05 1998-04-03 Gitzo Sa Dispositif d'alimentation electrique d'un appareil a alimentation exterieure, fixe sur un support portable
US6068223A (en) * 1997-11-25 2000-05-30 Panavision, Inc. Position adjustable grip support for motion picture camera
US5963749A (en) * 1998-02-09 1999-10-05 Nicholson; Lynn Self-leveling invertible camera stabilizer
FR2807493B1 (fr) 2000-04-05 2004-12-17 Pascal Michel Georg Coulombier Dispositif pour orienter et deplacer dans l'espace une camera ou un microphone
DE10060624B4 (de) 2000-12-06 2006-08-24 Sachtler Gmbh Balancesystem für handgeführte Kameras
DE10136341A1 (de) * 2001-07-26 2003-02-20 Sachtler Gmbh & Co Kg Balancesystem mit Rollgriff für handgefütterte Kameras
DE10145193C1 (de) * 2001-09-13 2003-03-13 Sachtler Gmbh & Co Kg Körpermontierbares Kameratragesystem mit einem multifunktionalen Verbund elektrischer Komponenten
US20040174457A1 (en) * 2003-03-05 2004-09-09 Chan-Min Ma Device for securing a video camera on a tripod
US6808324B2 (en) 2003-03-12 2004-10-26 Mckay Thomas L. Image stabilization and balancing system
FR2852665B1 (fr) 2003-03-17 2005-05-06 Pierre Andre Davezac Stabilisateur de cameras legeres, a serie de platines uniques a reglage rapide et simplifie
DE20305202U1 (de) * 2003-04-01 2003-08-14 Buhl Erich Schwebestativ zur Ausbalancierung von Kameras
JP4380475B2 (ja) 2003-10-02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CA2605034C (en) * 2005-04-15 2012-07-10 Garrett W. Brown Folding and adjusting hinge for stabilized equipment support
US7575324B2 (en) * 2006-02-03 2009-08-18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Holding assembly for a camera system
US7893958B1 (en) * 2006-04-03 2011-02-22 D Agostino Daniel M Vehicle video recorder
US9156154B2 (en) * 2007-09-17 2015-10-13 Garrett W. Brown Gimbal assembly for tool support
US7936984B2 (en) * 2008-04-10 2011-05-03 Camera Motion Research, Llc Stabilizer device for optical equipment
DE202008011399U1 (de) 2008-08-27 2009-11-05 Schmidt, Juri Halteanordnung für Bildaufzeichnungsgeräte
US8142083B2 (en) * 2008-11-14 2012-03-27 Brown Garrett W Extendable camera support and stabilization apparatus
EP2353046A1 (en) * 2008-11-14 2011-08-10 BROWN, Garrett W. Extendable camera support and stabilization apparatus
US8506180B2 (en) 2008-11-14 2013-08-13 Garrett W. Brown Extendable camera support and stabilization apparatus
US7976227B2 (en) * 2009-01-05 2011-07-12 The Tiffen Company Llc Stabilized equipment support and method of balancing same
US20120002062A1 (en) * 2009-01-05 2012-01-05 Brown Garrett W Modular and integrated equipment stabilizing support apparatuses
US20100238345A1 (en) * 2009-03-20 2010-09-23 Camera Motion Research, Llc Adjustable Control for an Inertial Stabilizer
EP2422238A1 (en) * 2009-04-20 2012-02-29 BROWN, Garrett W. Folding camera support with rotational inertia adjustment
US8007188B2 (en) * 2009-07-24 2011-08-30 The Tiffen Company Llc Stabilized mount for, and method of, steadily supporting a motion-sensitive, image capture device
US8585205B2 (en) * 2009-10-07 2013-11-19 Nigel J. Greaves Gimbaled handle stabilizing controller assembly
EP2486449A1 (en) * 2009-10-07 2012-08-15 Nigel J. Greaves Gimbaled handle stabilizing controller assembly
JP2011118017A (ja) * 2009-12-01 2011-06-16 Media Room Corp 撮影補助装置
US8276242B2 (en) 2010-04-09 2012-10-02 Girard Mylene Adjustable handle assembly with locking mechanism
US9534730B2 (en) 2010-08-26 2017-01-03 Garrett W. Brown Multi-arm gimbal system
FR2978565A1 (fr) * 2011-07-27 2013-02-01 Jean Baptiste Andre Ernest Stabilisateur pour appareil de prise de vues
JP5943580B2 (ja) * 2011-10-31 201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ユニット、及び表示ユニットを備える撮像装置
DE102012107265A1 (de) 2012-08-08 2014-02-13 Michael Goergens Vorrichtung zur stabilisierten Führung einer Bildaufnahmeeinrichtung
HUP1200561A2 (en) * 2012-09-27 2014-03-28 Istvan Forizs Camera stabilizer with improved setting characteristics
JP6168750B2 (ja) * 2012-11-01 2017-07-26 和男 山辺 撮影機器保持装置
WO2014081998A1 (en) * 2012-11-26 2014-05-30 The Tiffen Company, Llc Camera stabilizer
US9574706B2 (en) 2013-01-04 2017-02-21 Garrett W. Brown Folding image stabilizer
US9411214B2 (en) * 2013-01-29 2016-08-09 Disney Enterprises, Inc. Counterbalanced monopod jib for cameras
US20160124296A1 (en) * 2013-03-26 2016-05-05 Entaniya Co., Ltd. Panoramic imaging head, and imaging system using same
US9143661B2 (en) 2013-07-29 2015-09-22 Leslie A. Pock Balanced modular camera moun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9454064B2 (en) 2014-02-04 2016-09-27 Disney Enterprises, Inc. Motorized monopod jib for cameras
US9736376B1 (en) 2014-04-03 2017-08-15 The Tiffen Company, Llc Tilt head, camera stage, multi-post monitor mount and camera stabilizer encompassing the same
CA2966909A1 (en) 2014-11-16 2016-05-19 Garrett W. Brown Tensile parallelogram arm
US9798221B2 (en) 2015-02-20 2017-10-24 Disney Enterprises, Inc. Motorized monopod jib for cameras
US20160313084A1 (en) * 2015-04-21 2016-10-27 Michael Hunter Torque Reducing Apparatus and Method
CN109723956A (zh) * 2015-08-10 2019-05-07 深圳市大疆灵眸科技有限公司 夹持结构及具有该夹持结构的云台
GB2547884B (en) 2016-01-23 2020-02-19 Subratie Andrew Follow focus
US10547773B2 (en) 2016-10-28 2020-01-28 Disney Enterprises, Inc. User interface aspects for a motorized monopod jib for cameras
CN108253272B (zh) * 2016-12-29 2019-11-26 昊翔电能运动科技(昆山)有限公司 手持云台的配重结构
US10254632B2 (en) * 2016-12-29 2019-04-09 Haoxiang Electric Energy (Kunshan) Co., Ltd. Handheld stand for shooting and method for adjusting center of gravity thereof
WO2018132990A1 (zh) * 2017-01-19 2018-07-26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云台组件及手持云台拍摄器
US10583556B2 (en) 2017-06-30 2020-03-10 Disney Enterprises, Inc. Motion stabilization on a motorized monopod jib
CN209431043U (zh) * 2018-11-19 2019-09-24 单景华 一种手持防抖稳定装置及拍摄稳定器
CN113653925B (zh) * 2021-08-16 2023-09-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扫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215A (en) * 1931-11-12 1935-07-09 John T Remey Stabilized vibration absorbing mounting
US3105430A (en) * 1960-04-29 1963-10-01 Arthur L Fernelius Camera mount
GB944564A (en) * 1961-05-25 1963-12-18 Brown Ltd S 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abilisers for cameras or other precision apparatus
FR2188907A5 (ko) * 1972-06-02 1974-01-18 Dynasciences Co P
US4208028A (en) * 1974-09-16 1980-06-17 Garrett Brown Support apparatus
USRE32213E (en) * 1974-09-16 1986-07-22 Equipment for use with hand held motion picture cameras
GB1543296A (en) * 1976-07-19 1979-04-04 Panavision Inc Body-mounted support device for motion picture camera
US4244500A (en) * 1979-06-18 1981-01-13 Raymond Fournier Viewing support
US4437753A (en) * 1981-10-09 1984-03-20 Dunn Robert E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against the sternum of the photographer
US4474439A (en) * 1982-01-26 1984-10-02 Brown Garrett W Camera support
FR2611855B1 (fr) * 1987-03-03 1989-07-13 Spianti Dany Support d'equipement portatif, notamment de camer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684B1 (ko) * 2001-05-22 2003-10-08 안형국 카메라의 이동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91666A (en) 1998-07-15
JP2798277B2 (ja) 1998-09-17
CA1316033C (en) 1993-04-13
IL91666A0 (en) 1990-04-29
MY105100A (en) 1994-08-30
JPH02211779A (ja) 1990-08-23
EP0360268A2 (en) 1990-03-28
US4946272A (en) 1990-08-07
KR900005219A (ko) 1990-04-13
EP0360268A3 (en) 1994-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2569B1 (ko) 주로 경량카메라용의 안정화된 장치 지지체
US5098182A (en) Stabilized equipment support, primarily for use with light-weight cameras
US5229798A (en) Stabilized equipment support, primarily for use with hand-held cameras
US5742859A (en) Camera support and stabilizing device
US7563038B2 (en) Support for a camcorder
US5243370A (en) Camera stabilizer
JP4204436B2 (ja) カメラあるいはビデオカメラを固定するための肩装着型カメラ支持装置
US8845103B2 (en) Gimbaled handle stabilizing controller assembly
US6056449A (en) Frame assembly for supporting a camera
AU2010203242B2 (en) Stabilized equipment support and method of balancing same
US6905264B2 (en) Image stabilization and balancing system
US8585205B2 (en) Gimbaled handle stabilizing controller assembly
KR20070121052A (ko) 안정화 장비 지지체를 위한 접기 및 조정 힌지
US5890025A (en) Frame assembly for supporting a camera
WO2012138838A1 (en) Gimbaled handle stabilizing controller assembly
CN110809689A (zh) 云台、手持云台和手持拍摄装置
WO2023061168A1 (zh) 一种手持电子稳定器
US5749011A (en) Camera stabilizing mechanism
CN215981915U (zh) 一种手持电子稳定器
CN113915503A (zh) 一种手持电子稳定器
JPH10232446A (ja) カメラ支持装置
JPH0411421Y2 (ko)
GB2234829A (en) Camera mount
CA2333018C (en) Frame assembly for supporting a camera
JPH1198388A (ja) Engカメラのローアングルグリップ取付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