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286B1 - 2-(2-피리딜) 프로판디올로부터 유도되는 신규한 카바메이트 화합물 - Google Patents

2-(2-피리딜) 프로판디올로부터 유도되는 신규한 카바메이트 화합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286B1
KR0141286B1 KR1019940023911A KR19940023911A KR0141286B1 KR 0141286 B1 KR0141286 B1 KR 0141286B1 KR 1019940023911 A KR1019940023911 A KR 1019940023911A KR 19940023911 A KR19940023911 A KR 19940023911A KR 0141286 B1 KR0141286 B1 KR 0141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idyl
acetoxy
propanol
following formula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626A (ko
Inventor
최용문
한동일
김형철
이광혁
Original Assignee
조규향
주식회사 유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40023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286B1/ko
Application filed by 조규향, 주식회사 유공 filed Critical 조규향
Priority to DE69509745T priority patent/DE69509745T2/de
Priority to US08/612,903 priority patent/US5849772A/en
Priority to PCT/KR1995/000124 priority patent/WO1996009283A1/en
Priority to CA002176960A priority patent/CA2176960C/en
Priority to PCT/KR1995/000125 priority patent/WO1996009284A1/en
Priority to EP95931454A priority patent/EP0730575B1/en
Priority to CN95190934A priority patent/CN1071315C/zh
Priority to CN95190935A priority patent/CN1135751A/zh
Priority to CA002176968A priority patent/CA2176968A1/en
Priority to ES95931454T priority patent/ES2134491T3/es
Priority to EP95931455A priority patent/EP0730576A1/en
Priority to JP8510765A priority patent/JP2809884B2/ja
Priority to JP8510764A priority patent/JP2809883B2/ja
Publication of KR96001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286B1/ko
Priority to CN001374621A priority patent/CN1216858C/zh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28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or sulphur atoms
    • C07D213/30Oxy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2-피리딜)-1, 3-프로판디올로 부터 유도되는 카바메이트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하기식(I)로 표시되는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 및 그것의(R)-, (S)-이성질체 및 하기식(Ⅳ)로 표시되는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및 그것의 (R)-, (S)-이성질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이성질체는 중추신경계질병, 예를 들어 신경성 근육통, 간질 및 뇌졸증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Description

2-(2-피리딜) 프로판디올로 부터 유도되는 신규한 카베메이트 화합물
본 발명은 2-(2-피리딜)-1, 3-프로판디올로 부터 유도되는 카바메이트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하기식(Ⅰ)로 표시되는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와 하기식(Ⅱ)로 표시되는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 및 하기식(Ⅲ)으로 표시되는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 3종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J. Am. Chem. Soc. 73,5779(1951)에 2-메틸-2-프로필-1,3-프로판디올 디카바메이트가 발표되었고, 이것의 약리학적 성능은 J.Pharmacol. Exp. Ther., 104, 229(1952)에서 확인된 바있다.
그밖에도 미합중국 특허 제2,884,444호에 2-페닐-1, 3-프로판 디올 디카바메이트가, 미합중국 특허 제 2,937,119호에 이소프로필 메프로바메이트와 같은 카바메이트류 화합물들이 발표되었다.
이들은 각각 간질치료제 및 근육이완제 등 중추신경계 치료 약물로 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현재 이와같이 중추신경계 분야에 있어서 카바메이트류 화합물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추세에 발맞추어 피리딜기를 포함한 카바메이트류 화합물에 대한 연구를 계속한 결과, 상기식(Ⅰ)∼(Ⅲ)의 카바메이트류 화합물들이 중추신경계 질병, 예를 들어 신경성 근육통, 간질 및 뇌졸증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함을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생체내에서는 어떤 한 가지의 광학 이성체의 활성이 다른 광학 이성체의 활성보다 월등히 우수하기 때문에 단일 광학이성체를 이용하여 신약을 개발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라는 점을 감안하여, 상기식(Ⅰ)∼(Ⅲ)의 화합물들이 이전에 보고된 바 없는 광학이성질체들이라는 점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상기식(Ⅰ)∼(Ⅲ)의 카바메이트 화합물들은 각기 2-프로필 위치의 탄소가 키랄한 탄소(chiral carbon)로서, 각각 (R)-과 (S)-의 광학 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중추신경계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가 있는 이전에 발표된 바 없는 카바메이트류 화합물들, 구체적으로는 하기식 (Ⅰ)로 표시되는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와 하기식(Ⅱ)로 표시되는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 및 하기식(Ⅲ)으로 표시되는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 3종의 화합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3종 화합물의 중간체로 사용되는 하기식(Ⅳ)로 표시되는 3-아세톡시-2-(2-피리딜)프로판올과 하기식(Ⅴ)로 표시되는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및 하기식(Ⅵ)으로 표시되는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식(Ⅳ)∼(Ⅵ)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상기식(Ⅰ)∼(Ⅲ)의 화합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아민계 염기 존재하에서 포스겐과 암모니아를 반응에 이용하므로써, 짧은 시간내에 높은 수율 및 높은 광학적 순도를 유지하면서 반응을 완결시킬 수 있으며, 반응 후처리 과정이 매우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식(Ⅳ)로 표시되는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은 2-(2-피리딜)-1,3-프로판디올과 아세틱 안히드라이드로부터 제조되는데, 이때 피리딘계 촉매를 도입하므로써 반응 온도를 낮게 유지하면서도 짧은 시간내에 높은 수율 및 선택률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식(Ⅴ)로 표시되는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은 2-(2-피리딜)-1,3-프로판디올과 알킬 또는 알케닐 아세테이트로부터 제조되는데, 이때 쎌라이트에 고정화된 효소를 촉매로 도입하므로써 낮은 반응 온도에서도 짧은 시간내에 높은 수율 및 선택율로 반응을 완결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광학적 순도를 갖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식(Ⅵ)로 표시되는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은 2-(2-피리딜)-1, 3-프로판디올 디아세테이트를 완충용액하에서 가수분해 반응시켜서 제조하는데, 이때 컬럼에 의해 분리된 효소를 촉매로 이용하므로써 낮은 반응 온도에서도 짧은 시간내에 높은 수율 및 선택률로 반응을 완결시키므로 높은 광학적 순도를 갖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응들에서 이용된 촉매들은 여타 반응의 다른 촉매에 비하여 그것들의 강력한 활성 및 반응후 제거가 용이한 특성으로 시간 및 제조비용의 측면에서 매우 경제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1) 상기식 (Ⅰ)∼(Ⅲ)으로 표시되는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 및 그것의(R)-, (S)-이성질체 제조;
수분을 포함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 및 할로겐화 알칸계 용매로 이루어진 혼합용매에 상기식 (Ⅳ)∼(Ⅵ)으로 표시되는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및 그것의(R)-, (S)-이성질체 각각을 아민계 염기와 함께 용해시키고 격렬히 교반하면서 -30℃∼-50℃로 항온시킨뒤, 톨루앤에 용해되어 있는 포스겐에 첨가하여 반응을 진행시킨다.
사용된 혼합용매는 벤젠, 톨루앤,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와 클로로포름, 1, 2-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등의 할로겐화 알칸계 용매의 혼합용매로서, 바람직하게는 톨루앤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혼합용매를 사용한다. 그리고 아민계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피리딘, 안티피린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 안티피린등이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70℃∼-80℃로 항온시키고, 무수의 암모니아를 첨가하여 약 2시간 동안 반응시키면 상기식(Ⅰ)∼(Ⅲ)으로 표시되는 새로운 화합물을 각각 얻을 수 있다.
첨가되는 무수 암모니아는 응축하여 액체 상태로 사용하고, 그것의 사용량은 과다한 원료사용을 지양하는 측면에서 10∼100당량, 바람직하게는 25∼50당량 과량으로 사용한다.
(2) 상기식(Ⅳ)로 표시되는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의 제조;
수분을 포함하지 않은에테르계 용매에 하기식(Ⅶ)로 표시되는 2-(2-피리딜)-1,3-프로판디올 및 피리딘계 촉매를 용해시키고 여기에 아세틱 안히드라이드를 첨가한다.
상기 반응 온도는 -10℃∼35℃이며, 압력은 상압을 유지시키는데, 바람직하게는 0∼25℃, 상압을 유지해야 한다. 35℃이상에서는 상기식(Ⅳ) 화합물에 대한 선택률이 저하되어 2-(2-피리딜)-1,3-프로판디올 디아세테이트가 주 생성물로 얻어지므로 가능한 35℃를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피리딘계 촉매로는 피리딘 또는 디메틸아미노피리딘인데, 구체적으로 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사용하고 원료물질에 대한 아세틱 안히드라이드의 사용량은 0.5∼1.5 당량비만큼 첨가되는데, 바람직하게는 0.7∼1.3 당량비로 사용된다.
반응시작후 2시간 정도면 반응이 완결되어 상기식(Ⅳ)로 표시되는 새로운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3) 상기식(Ⅴ)로 표시되는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의 제조;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하기식(Ⅶ)로 표시되는 알킬 아세테이트 또는 알케닐 아세테이트에 하기식(Ⅶ)로 표시되는 2-(2-피리딜)-1,3-프로판디올을 용해시키고, -10℃∼35℃로 항온시킨뒤 무용매상태에서 효소를 첨가하여 격렬히 교반해 준다.
상기식(Ⅶ)에서 R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비닐기중에서 선택된다.
이때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0∼25℃, 압력은 상압을 유지하여야 한다. 35℃이상에서는 반응이 너무 빨리 진행됨에 따른 광학적 순도의 저하가 초래되므로 35℃를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반응에 사용되는 알킬 아세테이트로는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비닐아세테이트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비닐아세테이트이며, 촉매로는 쎌라이트에 고정화된 돼지의 췌장에서 추출한 리파제(PPL), 칸디다 리파제(CCL) 또는 슈도모나스 리파제(PSL)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돼지의 췌장에서 추출한 리파제(PPL), 슈도모나스 리파제(PSL)이다.
반응시작 3시간부터 반응의 진척도를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라피로 파악하여 반응종결 시점을 결정하는데, 약 5시간 정도면 85%이상의 수율 및 99%이상의 광학적 순도를 상기식(Ⅴ)로 표시되는 새로운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4) 상기식(Ⅵ)으로 표시되는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의 제조;
포스페이트 완충용액하에서 하기식 (Ⅸ)로 표시되는 2-(2-피리딜)-1,3-프로판디올 디아세테이트를 효소를 촉매로 반응시킨다.
상기 반응의 온도는 0℃∼35℃로 유지되는데, 바람직하게는 10∼25℃로 유지해야 하고, 사용된 포스페이트 완충용액의 pH는 6∼8을 유지하는데 바람직하게는 7을 유지해야 한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효소로는 돼지의 췌장에서 추출된 리파제(PPL), 칸디다 리파제(CCL), 슈도모나스 리파제(PSL), 또는 돼지의 간에서 추출한 에스테라제(PLE)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돼지의 췌장에서 추출된 리파제(PPL) 및 돼지의 간에서 추출한 에스테라제(PLE)이다.
반응시작 후 3시간부터 반응의 진척도를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라피로 파악하여 반응종결 시점을 결정하는데, 약 1시간 정도면 90%이상의 수율 및 99%이상의 광학적 순도로 상기 식(Ⅵ)으로 표시되는 새로운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잘 건조된 100㎖플라스크에 온도계를 장치하고 플라스크 내부로 질소가스를 흘려주어 내부에 존재한 수분이나 공기를 모두 제거해 주며, 얼음중탕을 이용하여 0℃로 항온한다.
이러한 조작을 약 30분간 지속한 뒤, 3.1g의 2-(2-피리딜)-1,3-프로판 디올 및 0.02g의 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넣은후, 여기에 나트륨금속과 벤조페논에 의해 정제된 테트라히드로 퓨란을 30㎖ 첨가하고 교반해 주어 균일한 용액으로 만든다.
균일한 반응 혼합액을 0℃로 유지하면서 2.5㎖의 아세틱 안히드리이드를 천천히 첨가하며 반응을 진행시킨다.
반응시작후 1시간이 경과되면 얼음 중탕을 제거하고, 상온에서 계속 반응시키며, 반응의 진행을 박막 크로마토크라피법 및 액체 크로마토그라피법으로 파악하여 반응 종결 시점을 정하는데, 주로 2시간 정도 소요된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혼합액에 20㎖의 증류수와 20㎖의 에틸에테르를 첨가하여 용매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은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뒤 회전증발기로 용매를 모두 날리면 노란색 액체가 얻어진다.
얻어진 농축된 반응혼합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이동상 : 에틸아세테이트)로 분리하여 3.3g의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이 얻어졌다(수율 85%).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의 물리적 성질;
1H-NMR(CDC13, 200㎒), ppm(δ) ; 2.01(s, 3H), 3.48(m, 1H),
3.8∼4.0(m, 2H), 4.3∼4.5(m, 2H), 7.21(m, 2H),
7.68(m, 1H), 8.56(d, 1H)
실시예 2: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잘 건조된 1000㎖ 플라스크에 온도계를 장치하고 플라스크 내부로 질소 가스를 흘려주어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이나 공기를 모두 제거해주며, 얼음 중탕을 이용하여 0℃로 항온한다.
이러한 조작을 약 30분간 지속한 뒤, 21.6g의 2-(2-피리딜)-1,3-프로판디올 및 520㎖의 비닐아세테이트와 쎌라이트에 의해 고정화된 PPL 32g을 넣고 0℃를 유지하면서 격렬히 교반해 준다.
반응시작한 후 1시간이 경과되면 얼음중탕을 제거하고, 상온에서 계속 반응시키며, 반응의 진행을 박막 크로마토그라피법 및 액체 크로마토 그라피법으로 파악하여 반응 종결 시점을 정하는데, 주로 3시간 정도 소요된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 혼합액을 바로 여과하여 고정화된 효소를 제거하고,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여분의 비닐 아세테이트를 모두 말리면 노란색 액체가 얻어진다.
얻어진 농축된 반응 혼합액은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이동상 : 에틸아세테이트)로 분리하여 광학적 순도가 99%인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23.8g을 얻었다.(수율 85%)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의 물리적 성질;
[α]=-1.88° (1.0, 아세톤)
1H-NMR(CDC13, 200㎒), ppm(δ) ; 2.01(s, 3H), 3.48(m, 1H),
3.8∼4.0(m, 2H), 4.3∼4.5(m, 2H), 7.21(m, 2H),
7.68(m, 1H), 8.56(d, 1H)
실시예 3;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덜 정제된 PPL(Sigma No. 3126) 20g을 0.014몰의 포스페이트 완충 용액 100㎖(pH=7)에 30분간 녹인 후 원심분리하여 불용부분은 제거하고 용해된 용액만 동일한 완충용액에 투석(dialysis)하고 다시 원심분리하여 불용부분은 여과하여 제거한다.
얻어진 용액은 한외여과하여 농축한뒤 Sephadex G-75컬럼 크로마토그라피법으로 분리하면 4개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을 모아 동결건조시킨다.
이와는 별도로 50㎖ 둥근 플라스크에 0.2g의 1,3-디아세톡시-2-피리딜프로판 및 0.014몰의 포스페이트 완충용액(pH=7) 10㎖를 넣고, 이전에 얻어내었던 PPL 4가지 영역중 첫번째 영역을 0.4g 첨가해 준 뒤 0.5노르말 가성소다 수용액으로 pH를 7로 유지하면서 상온에서 교반하며 반응시킨다.
반응시작 30분후 0.2g의 1,3-디아세톡시-2-피리딜프로판을 추가로 첨가하여 계속 교반해 주다가 다시 30분후 1,3-디아세톡시-2-피리딜프로판 0.2g을 1회 더 추가로 첨가하고 30분간 교반한뒤 반응을 종결시킨다.
반응이 종결된 반응혼합물에 에틸에테르 10㎖를 첨가하여 용매추출을 하는데, 이 과정을 3회 실시하고 얻어진 에틸 에테르 용액은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뒤 회전증발기로 여분의 에틸에테르를 모두 제거하면 옅은 노란색의 액체가 생성되고, 이것을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법(이동상 : 에틸 아세테이트)으로 분리하여 광학적 순도가 98%인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23.8g 얻었다. (수율 92%)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의 물리적 성질 :
[α]=+1.82° (0.8, 아세톤)
1H-NMR(CDC13, 200㎒), ppm(δ) ; 2.01(s, 3H), 3.48(m, 1H),
3.8∼4.0(m, 2H), 4.3∼4.5(m, 2H), 7.21(m, 2H),
7.68(m, 1H), 8.56(d, 1H)
실시예 4: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
잘 건조된 500㎖ 플라스크에 온도계를 장치하고 플라스크 내부로 질소가스를 흘려주어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이나 공기를 모두 제거해 준다.
이러한 조작을 약 30분간 지속한 뒤, 0.6몰의 포스겐 용액 24.5㎖를 주입하고, 톨루엔 150㎖을 추가로 더 넣어준 뒤,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중탕으로 플라스크 내부의 용액을 -30℃로 유지한다.
이와는 별도로 잘 건조된 100㎖ 플라스크로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2g 및 안티피린 4.7g을 넣고 여기에 클로로포름 70㎖를 첨가하여 균일한 용액을 제조한다.
포스겐/톨루엔 용액을 -30℃로 유지하면서, 여기에 준비된 3-아세톡시-2-피리딜프로판올 용액을 Double-Ended needle로 천천히 첨가해 준다.
첨가가 종료되면 박막 크로마토그라피로 출발물질이 모두 소모됨을 확인한 뒤, 반응액을 -70℃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액체 암모니아 50g을 천천히 주입한다.
암모니아가 주입되는 동안 반응온도는 -70℃를 계속 유지시키며, 주입 완료후 계속 교반하면서 반응을 진행시킨다.
반응완료 후 2시간이 경과되면 반응 혼합물 내에 존재하는 여분의 암모니아는 질소가스를 불어 넣어 모두 날려버리고 생성된 흰색의 고체는 여과하여 제거한 뒤,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반응 용매인 톨루엔 및 클로로포름도 모두 제거해준다.
얻어진 농축된 반응혼합액은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이동상 : 에딜아세테이트)로 분리하여 2.07g의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가 얻어졌다(수율 86.3%).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의 물리적 성질
1H-NMR(CDC13, 200㎒), ppm(δ) ; 1.99(s, 3H), 3.52(q, 1H),
4.43(m, 4H), 5.25(br, 2H), 7.21(m, 2H), 7.68(m, 1H),
8.56(d, 1H)
실시예 5 :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
2.0g의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을 사용하는 대신에 2.0g의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다.
얻어진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는 1.95g으로 광학적 순도는 97%였다.(수율 81.2%)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의 물리적 성질:
[α]=-45.3° (0.42 in 아세톤)
1H-NMR(CDC13, 200㎒), ppm(δ) ; 1.99(s, 3H), 3.52(q, 1H),
4.43(m, 4H), 5.25(br, 2H), 7.21(m, 2H), 7.68(m, 1H),
8.56(d, 1H)
실시예 6 :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
2.0g의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을 사용하는 대신에 2.0g의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다.
얻어진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는 2.02g으로 광학적 순도는 96%였다.(수율 84%)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의 물리적 성질:
[α]=+45.3° (0.42 in 아세톤)
1H-NMR(CDC13, 200㎒), ppm(δ) ; 1.99(s, 3H), 3.52(q, 1H),
4.43(m, 4H), 5.25(br, 2H), 7.21(m, 2H), 7.68(m, 1H),
8.56(d, 1H)

Claims (30)

  1. 하기식(Ⅰ)로 표시되는 3-아세톡시-2-(2-피리딜)프로판올 카바메이트.
  2. 하기식(Ⅱ)로 표시되는 (R)-3-아세톡시-2-(2-피리딜)프로판올 카바메이트.
  3. 하기식(Ⅲ)로 표시되는 (S)-3-아세톡시-2-(2-피리딜)프로판올 카바메이트.
  4. 하기식(Ⅳ)로 표시되는 3-아세톡시-2-(2-피리딜)프로판올
  5. 하기식(Ⅴ)로 표시되는 (R)-3-아세톡시-2-(2-피리딜)프로판올
  6. 하기식(Ⅵ)로 표시되는 (S)-3-아세톡시-2-(2-피리딜)프로판올
  7. 하기식(Ⅶ)의 피리딜기를 갖는 1,3-디올과 하기식(Ⅶ)의 알킬 또는 알케닐 아새테이트를 무용매상태에서 효소를 촉매로 하여 반응시켜, 하기식(Ⅴ)로 표시되는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을 단시간내에 고수율과 높은 광학적 순도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의 제조방법.
    상기식(Ⅷ)에서, R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비닐기 중에서 선택된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돼지의 췌장에서 추출한 리파제(PLL), 칸디다 리파제(CCL), 또는 슈도모나스 리파제(PS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쎌라이트에 고정화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의 온도는 -10℃∼35℃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하기식(Ⅸ)의 피리딜기를 갖는 1,3-디올 디아세테이트를 완충용 액하에서 효소를 촉매로 반응시켜, 하기식Ⅵ)으로 표시되는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을 단시간내에 고수율과 높은 광학적 순도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돼지의 췌장에서 추출한 리파제(PPL), 칸디디리파제(CCL), 슈도모나스 리파제(PSL), 또는 돼지의 간에서 추출한 에스테리제(P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쎌라이트에 고정화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의 온도는 0℃∼35℃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액의 pH는 6 - 8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하기식(Ⅶ)의 피리딜기를 갖는 1,3-디올과 아세틱 안히드라이드를 유기용매 상태에서 피리딘을 촉매로 반응시켜, 하기식(Ⅳ)로 표시되는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을 단시간내에 고수율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의 제조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틱 안히드라이드의 양이 0.5-1.5당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온도는 -10℃∼35℃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하기식(Ⅵ)의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을 아민계 염기의 존재하에서 포스겐과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유기용매상태에서 반응을 진행시켜, 하기식(Ⅱ)로 표시되는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를 단시간내에 고순도와 높은 광학적 순도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겐을 반응시킬때의 온도는 -30℃∼-50℃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를 반응시킬 때의 온도는 -70℃∼-80℃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 액체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하기식(Ⅴ)의 (R)-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을 아민계 염기의 존재하에서 포스겐과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유기용매상태에서 반응을 진행시켜, 하기식(Ⅲ)으로 표시되는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를 단시간내에 고순도와 높은 광학적 순도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겐을 반응시킬때의 온도는 -30℃∼-50℃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를 반응시킬 때의 온도는 -70℃∼-80℃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가 액체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하기식(Ⅳ)의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을 아민계 염기의 존재하에서 포스겐과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유기용매상태에서 반응을 진행시켜, 하기식(Ⅰ)로 표시되는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를 단시간내에 고순도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아세톡시-2-(2-피리딜) 프로판올 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겐을 반응시킬때의 온도는 -30℃∼-50℃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를 반응시킬 때의 온도는 -70℃∼-80℃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니아가 액체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40023911A 1994-09-22 1994-09-22 2-(2-피리딜) 프로판디올로부터 유도되는 신규한 카바메이트 화합물 KR0141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911A KR0141286B1 (ko) 1994-09-22 1994-09-22 2-(2-피리딜) 프로판디올로부터 유도되는 신규한 카바메이트 화합물
ES95931454T ES2134491T3 (es) 1994-09-22 1995-09-21 Nuevos compuestos de carbamato y procedimientos para su preparacion.
PCT/KR1995/000124 WO1996009283A1 (en) 1994-09-22 1995-09-21 Novel carbamate compound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CA002176960A CA2176960C (en) 1994-09-22 1995-09-21 Novel carbamate compound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PCT/KR1995/000125 WO1996009284A1 (en) 1994-09-22 1995-09-21 Novel carbamate compound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EP95931454A EP0730575B1 (en) 1994-09-22 1995-09-21 Novel carbamate compound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DE69509745T DE69509745T2 (de) 1994-09-22 1995-09-21 Neue carbamatverbindung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CN95190935A CN1135751A (zh) 1994-09-22 1995-09-21 新氨基甲酸酯类化合物及其制法
CA002176968A CA2176968A1 (en) 1994-09-22 1995-09-21 Novel carbamate compound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US08/612,903 US5849772A (en) 1994-09-22 1995-09-21 Carbamate compound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EP95931455A EP0730576A1 (en) 1994-09-22 1995-09-21 Novel carbamate compound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JP8510765A JP2809884B2 (ja) 1994-09-22 1995-09-21 新規のカルバメート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8510764A JP2809883B2 (ja) 1994-09-22 1995-09-21 新規のカルバメート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95190934A CN1071315C (zh) 1994-09-22 1995-09-21 新氨基甲酸酯类化合物及其制法
CN001374621A CN1216858C (zh) 1994-09-22 2000-12-20 氨基甲酸酯类化合物及其制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911A KR0141286B1 (ko) 1994-09-22 1994-09-22 2-(2-피리딜) 프로판디올로부터 유도되는 신규한 카바메이트 화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626A KR960010626A (ko) 1996-04-20
KR0141286B1 true KR0141286B1 (ko) 1998-06-01

Family

ID=1939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911A KR0141286B1 (ko) 1994-09-22 1994-09-22 2-(2-피리딜) 프로판디올로부터 유도되는 신규한 카바메이트 화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2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5160B4 (de) * 2000-07-19 2004-06-0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Bar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626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308996A (ja) タキサン類の製造中間体として有用な化合物のエナンチオマー混合物の酵素分割法
Wallace et al. Resolution of a chiral ester by lipase-catalyzed transesterification with polyethylene glycol in organic media
KR0141286B1 (ko) 2-(2-피리딜) 프로판디올로부터 유도되는 신규한 카바메이트 화합물
JPWO2002070512A1 (ja) 2−アゼチジノン誘導体の製造方法
KR940005601B1 (ko) 2r-벤질-크로만-6-카르브알데히드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중간체
CA2240408C (en) Process for preparing intermediates for the synthesis of antifungal agents
KR0150288B1 (ko) 티오카바모일기를 포함하는 신규한 카바메이트 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0511534B1 (ko) 아미드 화합물의 새로운 제조방법
KR0139717B1 (ko) 피리딜기를 포함하는 신규한 카바메이트 화합물
EP0239122B1 (en) Process for the enzymatic resolution of racemic 2-amino-1-alkanols
EP0730575B1 (en) Novel carbamate compound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US5756830A (en) Process for preparing intermediates for the synthesis of antifungal agents
CN101003820A (zh) 用于制备光学活性环戊烯酮化物的方法及由其制得的环戊烯酮化物
KR0150239B1 (ko) 2-페닐-1,3-프로판디올로부터 유도되는 단일카바메이트 화합물
CA2176960C (en) Novel carbamate compound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KR0150287B1 (ko) 광학활성 2-페닐-1,3-프로판디올 유도체의 제조방법
EP0474854B1 (en) Alcohol-ester separation by recrystallization
KR101096918B1 (ko) 14번-위치에서 기능화된 탁산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H0523756B2 (ko)
Kitazume et al. An enzyme-assisted polymerization. Effect of the reaction medium for the controlled polymerization of fluoroamino acids
JPH0533995B2 (ko)
KR0163156B1 (ko) 광학활성 2-아실옥시메틸글라이시돌 및 그의 제조방법
JPH0191789A (ja) 光学活性β−置換グルタル酸モノエステルの製造法
JPH08285A (ja) 光学活性α−メチルアルカンジカルボン酸−ω−モノエステル及びその対掌体ジエステルを製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