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751Y1 -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751Y1
KR0140751Y1 KR2019940021966U KR19940021966U KR0140751Y1 KR 0140751 Y1 KR0140751 Y1 KR 0140751Y1 KR 2019940021966 U KR2019940021966 U KR 2019940021966U KR 19940021966 U KR19940021966 U KR 19940021966U KR 0140751 Y1 KR0140751 Y1 KR 0140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tate
terminal
switch
shif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743U (ko
Inventor
김형렬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21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751Y1/ko
Publication of KR9600077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7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7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6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vehicl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도난위험이 발생할 경우에 시동동작뿐만 아니라 변속레버 변속동작과 연료펌프의 동작을 차단시켜 좀더 안전하게 자동차의 도난방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전원(B+)에 연결되어, 시동동작을 위한 운전자에 의해 접속상태가 가변되는 시동 스위치(SW1)와; 상기 시동 스위치(SW1)와 연결되어, 자동차 도어의 개폐방법에 따라 도난방지 제어장치의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제1릴레이(RY10)와; 상기 제1릴레이(RY10)와 연결되어, 제1릴레이(RY10)의 동작상태에 따라 출력신호의 상태가 가변되어 연료펌프로 인가되는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스위칭 수단과;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접속상태가 가변되는 변속레버 위치 감지 스위치(SW2)와; 상기 변속레버 위치 감지 스위치(SW2)와 연결되어, 제1릴레이(RY10)의 동작상태에 따라 접속상태가 가변되어 시동모터로 인가되는 전류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2릴레이(RY20)와; 상기 전원(B+)에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상태에 따라 접속상태가 가변되는 브레이크 페달 동작 감지 스위치(SW3)와; 상기 브레이크 동작 감지 스위치(SW3)와 제1릴레이(RY10)에 연결되어, 제1릴레이(RY10)의 접속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변속레버의 라킹동작을 제어하는 제2스위칭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의 회로도이다.
이 고안은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도난상태로 판단되면 시동동작뿐만 아니라 연료의 펌핑동작과 변속레버의 이동동작을 차단시켜 더욱 안전하게 자동차의 도난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자동차 앞뒤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의 상태와 엔진룸 도어나 트렁크 도어의 개폐상태를 판단하여 시동키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방법으로 각 해당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자동차 도난동작을 위한 상태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상태가 도난동작을 위한 상태로 판단되면, 시동모터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시켜 정상적인 주행동작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한다.
이하,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종래의 자동차 도난방지동작을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의 회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기술의 구성은 시동 스위치(S1)와, 상기 시동 스위치(S1)에 연결되어 있는 제1릴레이(RY1)와, 상기 제1릴레이(RY1)와 연결되어 있는 변속단 위치 감지 스위치(S2)와, 전원(B+)과 변속단 위치 감지 스위치(S2)에 연결되어 있는 제2릴레이(RY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종래의 기술은 운전자에 의해 시동키가 작동하여 시동키의 위치가 스타트 단자에 위치할 경우에 시동 스위치(S1)가 온상태로 가변된다.
그러므로 시동키에 의한 정상적인 방법으로 자동차 문이 열릴 경우엔 도난 방지 제어장치는 제1릴레이(RY1)와 연결되어 있는 단자의 상태를 저레벨인 L상태로 가변시키므로 제1릴레이(RY1)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릴레이(RY1)의 동작으로 제1릴레이(RY1)의 스위치(S11)의 고정단자(A)는 제1단자(B)와 접속된다.
그리고 변속단 위치 감지스위치(S2)는 운전자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는 변속레버의 위치가 파킹동작을 위한 파킹단(P)이나 중립단(N)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엔 온상태를 유지하고, 그외의 변속단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엔 변속단 위치 감지 스위치(S2)는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출발시엔 변속레버의 위치가 중립단(N)이나 파킹단(P)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변속단 위치 감지 스위치(S2)가 온상태로 가변된다. 그러므로 전원(B+)의 전류가 시동 스위치(S1)와 제1릴레이(RY1)의 스위치(S11) 및 변속단 위치 감지스위치(S2)를 통해 제2릴레이(RY2)의 코일(L21)로 흐른다.
따라서 상기 제2릴레이(RY2)의 동작으로 시동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제2릴레이(RY2)의 스위치(S21)가 온상태로 가변되므로, 전원(B+)의 전류가 시동모터로 인가되어 자동차의 시동장치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정상적인 방법으로 자동차의 시동동작이 이루어질 경우엔,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릴레이(RY1,RY2)의 동작에 의해 시동키가 스타트 단자에 접속할 경우에 시동모터의 동작에 필요한 전류가 공급되므로 자동차의 정상적인 주행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시동키를 이용한 정상적인 방법으로 자동차 도어가 열리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자동차 도어가 열린 상태로 판단되면, 도난 방지 제어장치는 제1릴레이(RY1)와 연결되어 있는 단자의 상태를 고레벨인 H상태로 가변시킨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한 시동키의 동작으로 인한 시동 스위치(S1)의 온동작이 이루어질 경우에, 제1릴레이(RY1)는 비동작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제1릴레이(RY1)의 스위치(S11)는 어느 단자와도 연결되지 않는 제2단자(C)와의 접속상태를 유지하므로 변속단 위치 감지 스위치(S2)가 온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도 제2릴레이(RY2)는 비동작상태가 된다.
상기 제2릴레이(RY2)의 비동작으로 인하여 제2릴레이(RY2)의 스위치(S21)가 오프상태로 가변되므로 시동모터로 인가되는 전원(B+)의 전류는 차단된다.
그러므로 정상적으로 자동차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엔 시동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므로 자동차의 시동동작을 방지하여 자동차의 도난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릴레이(RY1,RY2)의 동작을 제어하여 시동 모터의 동작만을 제어하여 자동차의 도난문제를 방지할 경우, 자동차의 내부구조를 알고 있는 사람들은 직접 전원(B+)의 단자를 시동모터로 연결시켜 자동차의 시동동작을 실현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시동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손쉽게 자동차가 도난당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 도난사고의 위험은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도난위험이 발생할 경우에 시동동작뿐만 아니라 변속레버 변속동작과 연료펌프의 동작을 차단시켜 좀더 안전하게 자동차의 도난방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전원에 연결되어, 시동동작을 위한 운전자에 의해 접속상태가 가변되는 시동 스위치와; 상기 시동 스위치와 연결되어, 자동차 도어의 개폐방법에 따라 도난방지 제어장치의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와 연결되어, 제1릴레이의 동작상태에 따라 출력신호의 상태가 가변되어 연료펌프로 인가되는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스위칭 수단과;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접속상태가 가변되는 변속레버 위치 감지 스위치와; 상기 변속레버 위치 감지 스위치와 연결되어, 제1릴레이의 동작상태에 따라 접속상태가 가변되어 시동모터로 인가되는 전류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2릴레이와; 상기 전원에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상태에 따라 접속상태가 가변되는 브레이크 페달 동작 감지 스위치와; 상기 브레이크 동작 감지 스위치와 제1릴레이에 연결되어, 제1릴레이 접속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변속레버의 라킹동작을 제어하는 제2스위칭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의 회로도이다.
먼저, 제2도는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원(B+)에 고정단자(A)가 연결되어 있는 시동 스위치(SW1)와, 상기 시동 스위치(SW1)에 연결되어 있는 제1릴레이(RY10)와, 상기 제1릴레이(RY10)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1)과, 상기 저항(R1)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저하(R2)과, 상기 저항(R1)의 타측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시동 스위치(SW1)의 제1단자(IG1)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연료 펌프에 에미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1)와, 상기 저항(R1)의 일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변속레버 위치 감지 스위치(SW2)와, 상기 변속레버 위치 감지 스위치(SW2)의 타측단자와 상기 전원(B+)에 연결되어 있는 제2릴레이(RY20)와,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정지 스위치(SW3)와, 상기 저항(R1)의 타측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정지 스위치(SW3)의 타측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변속레버 시프트 제어장치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릴레이(RY10)는 시동 스위치(SW1)의 제2단자(ST)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코일(L101)과, 상기 시동 스위치(SW1)의 제2단자(ST)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저항(R1)의 일측단자에 타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10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릴레이(RY20)는 변속레버 위치 감지스위치(SW2)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코일(L201)과,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시동모터에 타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20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고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 앞/뒤와 트렁크 및 엔진룸의 도어가 모두 닫혀있을 경우엔 도난 방지 제어장치는 자동차의 상태가 도난동작을 위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그러므로 각 해당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시동키 삽입구로 정확하게 맞는 해당 키가 삽입되어 각 해당 도어가 열릴 경우엔, 도난 방지 제어장치는 제1릴레이(RY10)와 연결되어 있는 단자의 상태를 저레벨인 L상태로 가변시킨다.
그러나 시동키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별도의 도구등을 이용하여 각 해당하는 도어를 개폐한 상태로 판단되면, 도난 방지 제어장치는 제1릴레이(RY10)와 연결되어 있는 단자의 상태를 고레벨인 H상태로 가변시킨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각 해당하는 시동키를 이용하여 각 해당 도어를 개폐하고, 시동동작을 위해 시동 스위치(SW1)를 제1단자(ST)와 접속시킬 경우엔, 도난 방지 제어장치의 동작에 의해 제1릴레이(RY10)의 코일(L101)로 전류가 인가되어 자화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릴레이(RY10)가 동작하여 스위치(S101)의 접속상태는 제1단자(B)와 접속된다.
상기 제1릴레이(RY10)의 동작에 의해 저항(R1,R2)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 단자로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1)는 턴온상태로 가변된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T1)의 턴온동작에 의해 시동 스위치(SW1)의 제2단자(IG1)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B+)의 전류가 턴온된 트랜지스터(T1)를 거쳐 연료펌프로 인가되어, 연료펌프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변속레버의 위치가 자동차의 주행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중립단(N)이나 파킹단(P)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엔, 변속레버 위치 감지 스위치(SW2)의 접속상태는 온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정차나 주차되어 있는 자동차의 시동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시동 스위치(SW1)를 온시킬 경우 전원(B+)의 전류가 온상태를 유지하는 변속레버 위치 감지 스위치(SW2)를 통해 제2릴레이(RY20)의 코일(L201)로 흐르므로, 상기 제2릴레이(RY20)가 동작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2릴레이(RY20)의 동작으로 스위치(S201)가 온상태로 가변되어 시동모터로 전원(B+)의 전류가 인가되므로, 시동모터가 동작하여 자동차의 시동동작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자동차의 주/정차상태에서 변속레버의 위치가 중립단(N)이나 파킹단(P)에 위치하고 있지 않고, 다른 주행단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변속레버 위치 감지부(SW2)의 오프상태로 인해 상기 제2릴레이(RY20)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시동모터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시동동작과 함께 갑작스런 출발동작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료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 단자로 인가되는 해당 전압이 변속레버 시프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단자로 동시에 인가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T2)의 상태로 턴온상태로 가변된다.
또한 브레이크 동작 감지스위치(SW3)의 동작상태는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상태에 따라 가변되므로, 출발동작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이 동작상태일 경우엔 상기 브레이크 동작 감지스위치(SW3)는 온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브레이크 동작 감지 스위치(SW3)와 트랜지스터(T2)의 동작상태로 인하여 변속레버 시프트 제어부로 고레벨인 H신호가 인가되므로, 상기 변속레버 시프트 제어부는 주/정차가 변속레버의 라킹동작을 해제하고 운전자에 의한 변속레버의 정상적인 위치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모든 도어가 시동키에 의한 정상적인 방법으로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경우엔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연료펌프와 시동모터의 동작과 변속레버의 이동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도난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상태가 해제되어 정상적인 주행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중 어느 하나라도 시동키에 의한 정상적인 방법으로 개폐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엔, 도난 방지 제어장치는 상기 제1릴레이(RY10)와 연결되어 있는 단자의 상태를 저레벨인 L상태로 가변시킨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도어가 개폐된 후, 시동 스위치(SW1)가 작동될 경우에, 도난 방지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1릴레이(RY10)의 단자가 저레벨인 L상태이므로, 상기 제1릴레이(RY10)는 비동작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1릴레이(RY10)의 스위치(S10)가 제2단자와 접속되어, 트랜지스터(T1)의 상태는 턴오프상태가 되어 연료펌프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시켜 연료펌프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제1릴레이(RY10)의 비동작상태로 인하여 변속레버 위치 감지스위치(SW2)로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되므로 제2릴레이(RY20)의 상태도 비동작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릴레이(RY20)의 비동작으로 인하여 제2릴레이(RY20)의 스위치(S201) 상태는 오프상태가 되어 시동모터로 인가되는 전류도 역시 차단된다.
또한 상기 제1릴레이(RY10)의 비동작상태로 인하여 변속레버 시프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단자로 인가되는 저레벨인 L신호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T2)는 턴오프상태로 되어 변속레버 시프트 제어부는 계속해서 변속레버의 이동동작을 락킹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고안의 효과는 자동차의 도어가 시동키를 이용하지 않고 비정상적인 방법을 통해 개폐동작이 이루어진 상태로 판단되면, 시동모터뿐만 아니라 연료펌프 및 변속레버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더욱 안전하게 자동차의 도난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4)

  1. 전원(B+)에 연결되어, 시동동작을 위한 운전자에 의해 접속상태가 가변되는 시동 스위치(SW1)와; 상기 시동 스위치(SW1)와 연결되어, 자동차 도어의 개폐방법에 따라 도난방지 제어장치의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제1릴레이(RY10)와; 상기 제1릴레이(RY10)와 연결되어, 제1릴레이(RY10)의 동작상태에 따라 출력신호의 상태가 가변되어 연료펌프로 인가되는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스위칭 수단과;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접속상태가 가변되는 변속레버 위치 감지 스위치(SW2)와; 상기 변속레버 위치 감지 스위치(SW2)와 연결되어, 제1릴레이(RY10)의 동작상태에 따라 접속상태가 가변되어 시동모터로 인가되는 전류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2릴레이(RY20)와; 상기 전원(B+)에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상태에 따라 접속상태가 가변되는 브레이크 페달 동작 감지 스위치(SW3)와; 상기 브레이크 동작 감지 스위치(SW3)와 제1릴레이(RY10)에 연결되어, 제1릴레이(RY10)의 접속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변속레버의 라킹동작을 제어하는 제2스위칭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릴레이(RY10)는, 시동 스위치(SW1)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코일(L101)과; 상기 시동 스위치(SW1)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제1스위칭 소자에 타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W101)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릴레이(RY20)는, 변속레버 위치 감지스위치(SW2)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코일(L201)과,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시동모터에 타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W201)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 수단은, 트랜지스터(T1,T2)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KR2019940021966U 1994-08-29 1994-08-29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KR0140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966U KR0140751Y1 (ko) 1994-08-29 1994-08-29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966U KR0140751Y1 (ko) 1994-08-29 1994-08-29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743U KR960007743U (ko) 1996-03-15
KR0140751Y1 true KR0140751Y1 (ko) 1999-05-01

Family

ID=1939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966U KR0140751Y1 (ko) 1994-08-29 1994-08-29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7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456A (ko) * 1997-05-07 1998-12-05 박병재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20040051894A (ko) * 2002-12-13 2004-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난 방지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743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6868A (en) Remote vehicle starter for a standard transmission vehicle
KR0140751Y1 (ko)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US4709777A (en) Vehicle power door locks, ignition key interlock system therefor
US4745897A (en) Automatic electronic and mechanical system to avoid vehicle theft
US7221065B2 (en) Power window system for vehicle
KR0126075Y1 (ko)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가속페달 고정장치
JP3044739U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KR200388796Y1 (ko) 시프트잠김장치가 구비된 자동차도난방지장치
KR100214727B1 (ko) 자동차의 안전 시스템 제어방법
KR100496685B1 (ko) 시프트록장치가 구비된 차량도난방지장치
KR100783864B1 (ko) 경사로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의 안전차단장치
KR200313244Y1 (ko) 자동차에서 시동 오프 시에 윈도우 자동 닫힘 장치
JPH0338043Y2 (ko)
KR0145661B1 (ko) 주차시 자동차 창문의 자동 닫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617648Y2 (ja) 自動車用盗難防止装置
KR19990019392A (ko) 차량용 윈도우 클로우즈장치 및 방법
KR100264597B1 (ko) 자동차의 안전 시스템 제어 방법
KR0126157Y1 (ko) 윈도우 자동 폐쇄장치
KR200173184Y1 (ko) 자동차 윈도우 및 도어록 해제장치
JPH042100Y2 (ko)
KR19990021361U (ko) 차량의 윈도우 클로우징장치
JPH07242157A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KR100222248B1 (ko) 도어 잠금장치를 이용한 밧데리 방전방지 회로
KR19990021415A (ko) 도난방지장치 장착용 차량의 비상시동방법
JPH0825998A (ja) 自動車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