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427B1 - 자동차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427B1
KR0140427B1 KR1019950053261A KR19950053261A KR0140427B1 KR 0140427 B1 KR0140427 B1 KR 0140427B1 KR 1019950053261 A KR1019950053261 A KR 1019950053261A KR 19950053261 A KR19950053261 A KR 19950053261A KR 0140427 B1 KR0140427 B1 KR 0140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flip
logic operation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3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7820A (ko
Inventor
장정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3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427B1/ko
Publication of KR97003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7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실내의 조명을 위하여 단일방향으로 조명하는 것을 각 좌석마다 선택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운전석의 일측에 장착하여 차실내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점/소등시키는 주스위치부(100)와, 상기 주스위치부(100)의 입력신호로 논리적인 신로를 출력하는 플립플롭부(200)와, 상기 플립플롭부(200)의 입력신호로 논리연산을 통해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300)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30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연산부(400)와, 상기 논리연산부(400)로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보조스위치부(500)와, 상기 논리연산부(40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신호를 스위칭하는 릴레이부(600)와, 상기 릴레이부(60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점/소등하는 실내등부(700)로 구성하여 실내등(701-705)을 차실내의 중앙 및 각 좌석의 좌측상단에 장착하여 도서나 지도 또는 집중광을 얻을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조명효용을 향상시켰으며, 운전석의 일측에 장착된 주스위치(100)를 통행 실내등(701-705)의 순차적인 점/소등과 각각의 보조스위치(101-104)를 통해 임의로 점/소등을 할 수 있어 편의를 증대 및 자동차의 편의장치의 폭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
제 1도는 종래의 자동차내에 장착된 실내등의 장착상태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선택형 실내등의 작동에 따른 블록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등의 장착위치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형 실내등의 작동을 위한 회로구성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PAL-IC)의 내부구조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PAL-IC)의 출력파장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주스위치200 : 플립플롭부
300 :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
400 : 논리연산부500 : 보조스위치부
600 : 릴레이부700 : 실내등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실내의 조명을 위하여 단일방향으로 조명하는 것을 각 좌석마다 선택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된 실내등은 루프(Roof)의 중앙이나 전방 또는 각 시트의 상부일측에 장착되어 야간에 실내를 조명하여 독서를 하거나 지도를 볼 경우 또는 자동차내에 장착된 물체 등을 인식하기 위한 것이 사용목적이다.
종래에는 실내등은 첨부된 제 1도의 장착상태도에서, 실내등(L3)의 온/오프시에는 실내등(L3)의 일측에 구비된 온/오프스위치(SW1)를 작동시켜 실내등(L3)을 점/소등하였다. 따라서, 실내등(L3)을 점등시키면 실내의 전체가 조명되므로 실내등(L3)이 점등되어 조명하는 부분만 밝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실내등(L3)에서 원거리의 구석부분은 제대로 조명되지 못하고, 주수석이나 뒷좌석에서 지도나 독서를 할 경우에는 집중적인 조명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차실내를 조명하기 위하여 중앙집중식으로 조명하는 경우가 많아 일부분이나 선택적으로 조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실내의 각 좌석 및 전체를 조명할 수 있는 실내등을 구성하고, 구성된 실내등을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게 함으로서 집중조명 및 전체조명을 선택할 수 있고, 자동차의 운용에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운전석의 일측에 장착하여 차실내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점/소등시키는 주스위치부와, 상기 주스위치부의 입력신호로 논리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Flip-Flop)부와 ,상기 플립플롭부의 입력신호로 논리연산을 통해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Programmable Array Integrated Circuit, PAL-IC)부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연산부와, 상기 논리연산부로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보조스위치부와,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신호를 스위칭하는 릴레이부와, 상기 릴레이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점/소등하는 실내등부으로 이루어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플립플로부는 하나 이상의 입력에 대하여 정해진 안정상태 또는 반전상태를 유지하는 다수의 J-K플립플롭을 채용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는 다수의 논리곱게이트 및 부정게이트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 상기 논리연산부는 다수의 논리곱게이트, 논리합게이트 및 부정게이트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스위치부가 일체형인 콘택트스위치나 온/오프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형 실내등을 작동하기 위한 블록도로, 운전석의 일측에 장착하여 차실내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점/소등시키는 주스위치부(100)와, 상기 주스위치부(100)의 입력신호로 논리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부(200)와, 상기 플립플롭부(200)의 입력신호로 논리연산을 통해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300)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30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연산부(400)와, 상기 논리연산부(400)로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보조스위치부(500)와, 상기 논리연산부(40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신호를 스위칭하는 릴레이부(600)와, 상기 릴레이부(60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점/소등하는 실내등부(700)로 구성하였다.
제 3도는 상기 실내등과 주스위치 및 보조스위치의 장착위치도로, 다수의 각 실내등(701-705)은 운전석(21), 조수석(22) 및 뒷좌석(23)(24)의 좌측상단의 루프(Roof, 30)일측에 장착하고, 루프(30)의 중앙일측에 장착하였다. 또한, 주스위치(100)는 운전석도어의 일측이나 제 1실내등(701)의 일측에 구성할 수 있고, 제 2 내지 제 5실내등(702-705)의 일측에 보조스위치(101-104)가 각각 구성되어 별도로 실내등(702-705)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실내등(702-705)은 운전자나 탑승자가 용이하게 지도를 보거나 독서를 할 수 있도록 왼쪽의 상단에 설치한다.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형 실내등의 작동을 위한 회로구성도, 주스위치(100)에는 저항(R1)과 콘덴서(C1)가 병렬로 접속되어 구동전원(Vcc)을 펄스파로 변화시켜 플립플롭부(200)로 입력된다. 플립플롭부(200)에는 다수의 플립플롭(201-205)이 직렬로 접속되고, 구동전원(Vcc)은 J단 및 K단, 클럭(CLK)단에 각각 입력된다. 각 플립플롭(201-205)의 출력단(Q)의 출력신호는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300)는 다수의 논리곱게이트와 부정게이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의 출력단에는 논리연산부(400)가 접속되고, 논리연산부(400)는 릴레이부(600)에 접속된다. 논리연산부(400)에는 다수의 논리합게이트(401-405)와 보조스위치(101-104)가 접속되고, 보조스위치(101-104)에는 부정게이트(421-424)가 접속된다. 또한, 논리합게이트(401-405)의 출력단에는 다수의 논리곱게이트(411-414)가 접속되고, 논리곱게이트(411-414)는 온 또는 오프기능을 갖는 스위치로 상기 논리합게이트(401-405)와 논리곱게이트(411-414)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300)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 6논리합게이트(406)의 입력단에는 상기 주스위치(100)가 접속된다. 제 6논리합게이트(406)의 출력단에는 상기 플립플롭(201-205)의 리세트단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릴레이브(600)의 각 릴레이(601-605)에는 각각의 실내등(701-705)이 접속되어 릴레이(601-605)의 스위칭으로 온/오프된다.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PAL-IC)의 내부구조로, 상기 플립플롭부(200)에서 출력된 신호가 입력되어 다수의 논리곱게이트(301-317) 및 부정게이트(321-324)의 논리연산을 수행후에 상기 논리연산부(400)의 입력단으로 각각 입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된 실내등(701-705)을 점등하기 위하여, 운전석의 일측에 구성된 주스위치(100)를 한번 눌러 온시키면, 구동전원(Vcc)이 제 1플립플롭(201)의 J단자 및 K단자에 각각 입력된 상태에서 클럭(CLK)단자를 통해 구동전원(Vcc)이 입력되면, 출력단(Q)은 처음의 하이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출력된 하이(High, 1)신호는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호로부(300)의 제 1입력단(a)으로 입력된다. 또한, 제 1플립플롭(201)의 출력단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 2플립플롭(202)의 클럭단으로 입력되고, 제 2플립플롭(202)은 하이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 2, 제 3, 제 4 및 제 5플립플롭(202-205)은 계속 하이상태를 유지하면서 출력단을 통해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각 플립플롭(201-205)의 출력단은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300)의 입력단(a-e)에 접속되어 현재 유지하고 있는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주스위치(100)를 한번 누른 상태에서는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300)의 제 1출력단(f)에는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논리연산부(400)의 제 1논리합게이트(401)의 한 입력단에 입력되고, 제 1논리합게이트(401)의 다른 입력단에는 구동전원(Vcc)이 입력되어 제 1릴레이(601)의 입력단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 1릴레이(601)는 온되고 제 1실내등(701)은 점등된다. 즉, 제 1논리합게이트(401)의 출력단은 제 1릴레이(601)의 코일에 접속되어 코일의 자장으로 릴레이스위치가 온되므로, 릴레이스위치에 접속된 제 1실내등(701)이 점등되는 것이다.
또한, 주스위치(100)를 한번 더 누르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300)의 제 2출력단(g)은 하이신호를 출력하므로, 제 2출력단(g)에 접속된 제 2논리합게이트(402)의 출력은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 2논리합게이트(402)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 1논리곱게이트(411)는 구동전원(Vcc)과의 논리연산을 통해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제 1논리곱게이트(411)의 출력신호는 제 2릴레이(602)를 구동시켜 제 2실내등(702)을 점등시킨다. 이때, 제 1실내등(701)이 점등된 상태라면, 제 1실내등(701)은 소등되고, 제 2실내등(702)이 점등된다. 이는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300)의 출력단(f-1)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선택적으로 출력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 2논리합게이트(402)의 입력단에는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300)의 제 2출력단(g)의 출력신호와 제 1보조스위치(101) 및 제 6출력단(k)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논리연산을 수행한다. 논리합게이트(401-406)는 입력중에 어느 하나이상의 입력이 하이신호이면, 출력신호는 하이신호로 출력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스위치(101-104)는 논리연산부(400)의 제 2 내지 제 5논리합게이트(402-405)의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고, 보조스위치(101-104)의 조작신호는 부정게이트(421-424)를 통해 입력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보조스위치(101-104)는 상기 논리합게이트(401-405)의 출력단에 접속된 논리곱게이트(411-414)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즉, 논리합게이트(401-405)의 입력단에 접속된 보조스위치(101-104)는 수동으로 실내등(701-705)을 점등시킬 때에 온신호를 출력하는 것이고, 논리곱게이트(411-414)의 입력단에 접속된 보조스위치(101-104)는 수동으로 실내등(701-705)을 오프시킬 때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보조스위치(101-104)를 수동으로 조작시에 실내등(701-705)을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즉, 상기 논리합게이트(402-405)의 입력단에 접속된 보조스위치(101-104)를 온시키면, 다른 입력신호에 무관하게 논리합게이트(402-405)의 출력단에 출력신호로 하이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고, 논리곱게이트(411-414)의 입력단에 접속된 보조스위치(101-104)는 다른 입력에 무관하게 로우신호를 출력하므로 점등된 실내등(701-705)을 소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300)의 제 7출력단(I)에 접속된 논리연산부(400)의 제 6논리합게이트(406)는 상기 제 7출력단(I)의 하이신호시에 논리연산을 통해 하이신호를 출력하므로, 제 6논리합게이트(406)의 출력단이 상기 플립플롭부(200)의 각 플립플롭(201-205)의 리세트(RST)단으로 입력되어 플립플롭(201-205)의 상태를 클리어(Clear)시켜 초기상태로 만든다. 따라서, 운전자가 주스위치(100)를 7번 누르면, 점등된 모든 실내등(701-705)은 소등된다. 이는 상기 제 6논리합게이트(406)의 입력단에는 주스위치(100)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이고, 주스위치(100)는 실내등(701-705)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키거나 모두 오프시킬 수 있는 스위치접점이 형성된다. 즉, 주스위치(100)는 온 또는 오프기능을 갖는 것으로, 세트스위치를 계속 누르면 실내등을 순차적 점등되거나 모두 점등시킬 수 있고, 리세트스위치를 누르면 모든 실내등(701-705)을 소등할 수 있다.
제 6도의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300)의 출력파형도로, 제 5도에 도시한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300)의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다수의 논리곱게이트(301-317) 및 부정게이트(321-324)의 논리연산으로 출력단을 통해 출력신호가 출력되는 출력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즉, 주스위치(100)를 통해 계속적으로 입력신호인 일정의 구형펄스파가 입력되면, 플립플롭부(200)를 통해 출력파형이 논리연산부(400)로 출력된다. 이는 주스위치(100)의 입력신호가 제 1플립플롭 내지 제 5플립플롭(201-205)의 각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출력파형을 보인 것으로, 제 1플립플롭(201)은 주스위치(100)로부터 2번의 입력이 발생하면 상태를 바꾸고, 제 2플립플롭(202)은 주스위치(100)로부터 3번의 입력이 발생하면 상태를 바꾸며, 제 3플립플롭(203)은 주스위치(100)로부터 5번의 입력이 발생하면 상태를 바꾸고, 제 4플립플롭(204)은 주스위치(100)가 8번 입력되면 상태를 전환한다. 또, 제 5플립플롭(205)은 상기 제 4플립플롭(204)이 상태를 전환한 후부터 다시 상태가 바뀌면 상태가 바뀐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내의 논리게이트들의 조합으로 원하는 출력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차실내에 장착된 다수의 실내등의 점/소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운전석의 일측에 장착된 주스위치를 통해 실내등의 순차적인 점/소등과 각각의 보조스위치를 통해 임의로 점/소등을 할 수 있어 편의를 증대시키고, 실내등을 차실내의 중앙 및 각 좌석의 좌측상단에 장착하여 독서나 지도 또는 집중광을 얻을 수 있으므로 실질직인 조명효용을 향상시켰으며, 자동차의 편의장치의 폭을 향상시킨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자동차에 장착되어 차실내를 조명하는 실내등에 있어서,
    운전석의 일측에 장착하여 차실내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점/소등시키는 주스위치부와,
    상기 주스위치부의 입력신호로 논리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부와,
    상기 플립플롭부의 입력신호로 논리연산을 통해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연산부와,
    상기 논리연산부로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보조스위치부와,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신호를 스위칭하는 릴레이부와,
    상기 릴레이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점/소등하는 실내등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플롭부는 하나 이상의 입력에 대하여 정해진 안정상태 또는 반전상태를 유지하는 다수의 J-K플립플롭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집적회로부는 다수의 논리곱게이트 및 부정게이트의 조합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연산부는 다수의 논리곱게이트, 논리합게이트 및 부정게이트의 조합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스위치 및 보조스위치는 일체형인 콘택트스위치 또는 온/오프스위치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
KR1019950053261A 1995-12-21 1995-12-21 자동차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 KR0140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261A KR0140427B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261A KR0140427B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820A KR970037820A (ko) 1997-07-24
KR0140427B1 true KR0140427B1 (ko) 1998-06-01

Family

ID=1944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261A KR0140427B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4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7820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3956A (en) Touch control switches for vehicles
GB1594843A (e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of a motor vehicle
KR0140427B1 (ko) 자동차의 선택형 실내등 작동장치
US20040184266A1 (en) Synchronized flashing lighting device
US6031452A (en) Turn signal and brake signal combination
WO2004001969A3 (de) Bedienelement für kraftfahrzeugkomponenten
US3774148A (en) Audio monitored vehicle headlight circuit
KR100488778B1 (ko) 자동차용 독서등 자동 소등장치
KR200413262Y1 (ko) 차량용 룸램프의 밝기조절장치
JPH08332840A (ja) 車両に用いられるサンバイザ
JPH11185560A (ja) 車載機器制御装置
KR0149630B1 (ko) 승용차의 독서등 조도조절 장치 및 방법
KR970003614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점등 제어장치
JPS6345381Y2 (ko)
KR0137891B1 (ko) 자동차용 실내등 작동장치
KR100683250B1 (ko) 차량용 비상스위치의 동작 표시장치
KR0147180B1 (ko) 자동차의 조도조절 가능한 실내등
KR0119178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조작패널
KR970011868B1 (ko) 유턴(U-Turn)신호 스위치회로
JPH0361136A (ja) 車両用メータ装置
JPH0360437U (ko)
JPH01293247A (ja) 車両用ランプ
KR19980031337U (ko) 자동차의 독서등과 테이블등 점등 장치
JPH09281255A (ja) 車載用アラームクロック
JPH01201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