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039B1 - 차폐 케이블 컨넥터 - Google Patents

차폐 케이블 컨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039B1
KR0140039B1 KR1019940701958A KR19940701958A KR0140039B1 KR 0140039 B1 KR0140039 B1 KR 0140039B1 KR 1019940701958 A KR1019940701958 A KR 1019940701958A KR 19940701958 A KR19940701958 A KR 19940701958A KR 0140039 B1 KR0140039 B1 KR 0140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protrusion
retainer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졸탄 무슬레이
미카엘 산토스 피노나
Original Assignee
피터 어브루제세
아이티티 인더스트리스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어브루제세, 아이티티 인더스트리스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터 어브루제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03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02G15/105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connected to the cable shield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8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wherein each conductor is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01R4/646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for cables or flexible cylindrical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도체 하우징이 차폐 케이블의 실드에 확실하게 연결되고 케이블의 도체와 컨넥터의 접촉부가 결합되는 전기 컨넥터가 저가의 장치로 제공된다. 링(52, 제3도)이 케이블의 편조형 실드 아래에 설치되어 컨넥터 하우징의 전도성·케이블 수용면(76, 제4도)에 프레싱되는 돌출 차폐부(54)를 형성한다. 링은 탄성 중합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간단한 타이(100, 제6도)가 케이블과 컨넥터 하우징의 리테이너를 둘러싸서 안정하게 고정하며 상기 타이는 리테이너의 슬롯(81∼83)에 위치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차폐 케이블 컨넥터
[발명의 배경]
차폐 케이블에 부착된 컨넥터는 통상적으로 컨넥터의 전도성 하우징에 케이블 실드를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필요로 한다. 실드에 대한 이러한 접속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 중심 도체가 컨넥터의 접촉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컨넥터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기 자동차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케이블용으로 이용된다. 현재 각 케이블의 실드가 컨넥터의 하우징에 연결되고 각 케이블의 하나의 중심 도체가 컨넥터의 접촉부에 연결되는, 컨넥터쪽으로 연장된 세 개의 분리 차폐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컨넥터는 수리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 각 케이블에 신뢰성있게 결합되면서 저가로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컨넥터는 차폐 케이블에 부착되어 간단하고 저가이면서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구조로 케이블 실드와 컨넥터 하우징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신뢰성있게 보증해준다. 하우징과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는 돌출 차폐부를 형성하도록 케이블 차폐부 아래에 링이 배치된다. 돌출차폐부는 저저항 접속부에 고압을 공급하도록 하우징상에 형성된 전도성 케이블·수용면에 프레싱 된다.
링은 탄성 중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및 기타 유사 케이블은 리테이너의 해당 케이블 수용면에 프레싱될 수 있고, 타이(tie)는 대응 케이블 수용면을 향해 모든 케이블의 돌출 부분을 확실하게 프레싱하도록 케이블과 리테이너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는 케이블 수용면들 사이에 암(arm)을 갖고 있고 상기 암은 축에 따른 움직임을 방지하는 타이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다음의 설명을 읽을 때 가장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컨넥터 시스템으로 결합전의 리셉터클 컨넥터와 플러그 컨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도는 컨넥터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의 제1도의 컨넥터 시스템에 대한 부부 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와 제2도의 컨넥터 시스템에 대한 준비된 케이블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와 제2도의 컨넥터 시스템의 리셉터클 컨넥터 하우징에 대한 부분 후면도이다.
제5도는 제1도의 리셉터클 컨넥터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점선내에 완전히 설치된 케이블을 나타내며 제4도의 컨넥터 하우징에 대한 후면도이다.
제7도는 제5도의 7-7라인상에서 취해진 부분 단면도이다.
제8도는 제2도의 8-8 라인상에서 취해진 제2도의 플러그 컨넥터에 대한 후단면도이다.
제9도는 제8도와 유사하지만 수정된 케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
제1도는 플러그 컨넥터(14)와 결합하는 리셉터클 컨넥터(12)르 구비한 컨넥터 시스템(10)을 도시한다. 특별한 컨넥터(12)가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전기 전원을 이용하는 전기 기동 차량에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리셉터클 컨넥터(12)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해주는 이용라인으로부터 전력을 받아들이도록 설계된다. 세 개의 차폐 케이블(20,22,24)은 컨넥터의 전단부(32)에서 해당 핀 접촉부(30)에 연결된 케이블 도체를 구비하며, 리셉터클 컨넥터의 후단부(26)에서 후위 방향 R로 연장되어 있다. 핀접촉부는 플러그 컨넥터의 해당 소켓 접촉부(34)와 결합되도록 설계되며 플러그 컨넥터는 후단부에 연장되어 있는 세 개의 차폐 케이블(36)을 구비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차폐 케이블(20)은 중심 케이블 도체(40), 도체의 길이까지 연장되어 있는 절연체(42), 절연체까지 연장되어 있는 가요성 실드(44) 및 가요성 실드까지 연장되어 있는 외부 절연 자켓(46)을 구비한다. 핀 접촉부(30)는 케이블 도체(40)위에 클림핑되는 후위부(50)를 갖는다. 수리가 용이한 저 비용의 방법으로 전도성 컨넥터 하우징에 케이블의 가요성 실드(44)를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가요성 실드(44) 아래에 놓여있는 링 요소 또는 링(52)이 제공되어 링의 두 면중 한 면위의 실드에 돌출부(54)를 형성시킨다. 실드(44)는 다층 가락의 스텐인레스 스틸로 형성된 편조 형태이며 접지 전위로 유지된다. 링(52)은 여러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먼저 시드(44)위에 링을 미끄러져 끼우고 그리고나서 실드 후위부를 접어서 링과 실드위에 포갠다.
실드는 링 둘레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후위가 접혀진 부분을 제외하고는 케이블축(56)을 중심으로한 튜브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요성 실드의 돌출부(54)는 전도성 컨넥터 하우징에 대해 고압으로 프레싱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여 실드와 컨넥터 하우징간의 우수한 전기적 접촉을 이루게 한다.
제4도는 컨넥터(12) 하우징(60)의 후단부(26)를 도시한다. 컨넥터 하우징은 전도성 표면을 갖기 때문에 전도성을 띤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기 전도성이 높지 않은 주입 성형된 열가소성체(62)로 컨넥터 하우징(6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나서 구리와 니켈의 전기 전도도가 높은 금속 피복(64)으로 열가소성체를 도금한다. 전도성 피복은 전자 장벽(electromagnetic barrier)을 형성하여 전자기파의 방출을 최소로 한다. 물론 전체 컨넥터 하우징은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다. 컨넥터 하우진 후위부는 컨넥터 축(68)을 따라 도시된 것처럼 대체로 Y 모양의 리테이너(66)를 포함한다. 리테이너는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뻗친 세 개의 두꺼운 암(71,72,73)을 갖고 각 한 쌍의 인접 암 사이에서 그들과 함께 연장되어 있는 오목한 케이블 수용면(76,77,78)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케이블 수용면중의 한 면(76)위에 하나의 케이블(20)을 위치시키며 돌출부(54)가 면에 기대어 놓이도록 위치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리테이너상의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타이 랩(tie wrap)(100)을 이용한다. 타이 랩(100)은 케이블 수용면(76)에 대해 편조형 실드(44)의 돌출부(54)를 견고하게 프레싱한다. 타이 랩(100)에 의한 결속력으로 전도성 표면(71)에 차폐 돌출부(54)의 제 1 부분(81')을 프레싱함으로써 실드(44)와 전도성 표면(76) 사이에 압력은 높고 저항은 낮은 전기 접촉이 이루어진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랩은 가요성 밴드(102)와 밴드 래치(104)를 구비한다. 밴드의 한쪽 끝(106)은 밴드 래치(104)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은 밴드 래치(104)의 슬롯을 관통하여 통과되며, 여기서 탄력 핑거(resilient finger)(108)는 밴드위의 티스(teeth)(110)를 사용하여 밴드의 풀어짐을 방지한다. 이러한 타이 랩은 케이블 그룹을 함께 결속하는 자동차 산업에 폭넓게 사용되며, 저가로 이용 가능하고 이 타입 랩을 정밀하게 하기 위한 설계가 수년에 걸쳐 이루어져 케이블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매우 견고하게 결속한다. 상기 밴드를 사용하여 컨넥터 하우징에 케이블을 고정하고, 케이블 실드와 컨넥터 하우징 사이에 높은 접촉 압력을 제공하도록 케이블 수용면에 돌출부를 프레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컨넥터 하우징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저가의 방법을 제공한다. 컨넥터를 수리할 경우 타이 랩의 탄력 핑거(108)는 밴드의 티스로부터 쉽게 벗겨질 수 있어 타이를 제거하기 용이하다.
리테이너(66)(제4도)는 세 개의 슬롯(81,82,83)을 구비하고 상기 슬롯은 컨넥터 하우징 축(68)과 법선을 이루며 암(71,72,73)의 각각에 대해 방사형인 바깥면을 교차하며 뻗쳐있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랩의 밴드(102)는 슬롯(81,82,83)을 통과하여 연장되어 있고 리테이너의 길이에 따라서 고정된 위치로 밴드를 유지한다.
결속 장치가 가요성일지라도 고탄력성을 갖지는 못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부드러운 고무와 같은 탄력 재료로 링(52)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흔히 0-링이라고 불리는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링은 저가로 사용 가능하다. 0-링의 탄력성은 온도 및 그와 유사한 요소의 변화 때문에 타이 랩이 다소 느슨해진 경우에도 케이블 실드와 전도성 컨넥터 하우징 표면간에 확고한 압력을 지속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면(76)은 케이블 또는 돌출부(54)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수용면(76)은 돌출부(54)의 축에 따른 움직임을 방지하는 홈(85)(제5도)을 갖기 때문에 돌출부가 타이 밴드(102) 아래에서 이동하지 못한다.
케이블과 컨넥터를 결합하기 위해 본 장치는 먼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부분이 가공되고 링(52)이 설치되며 상기 링 둘레에 놓여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후면이 감싸여진 실드(44)를 갖는 케이블을 준비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122)가 핀 접촉부(30)위의 숄더 뒤에 끼워져 제위치에서 고정될 때가지 고무 그로밋(120)을 통과하여 케이블을 삽입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나머지 두 차폐 케이블에도 반복된다. 최종적으로 타이 랩(100)은 케이블 실드의 돌출부를 견고하게 감싸게 되어 리테이너 위에 케이블을 확실하게 고정하고 케이블 실드와 리테이너의 전도성 표면 사이에 우수한 전기 접촉을 이룬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컨넥터(14)는 차폐 케이블(20)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다른 차폐 케이블(36)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36)은후위가 접혀진 편조형 실드(44)와 함께 위치된 0-링(130)을 구비하여 리테이너(134)위에 위치된다. 그러나 타이 랩을 사용하는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스트류와 너트 죔새(146,148)에 의해 결속된 두 파트(140,142)(제8도)에 플러그 컨넥터 틀의 후위부(136)를 형성한다. 두 파트(140,142)가 함께 조여져 서로 근접한 경우에 상기 파트(140,142)의 서라운딩 장치(150,152)는 케이블(36)의 돌출부를 리테이너(134)에 프레싱하여 케이블을 제위치에 안정하게 고정하고 타이 랩 대신에 두 개의 단단한 컨넥터 하우징 파트가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리셉터클 컨넥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드와 우수한 전기적 결합을 이룬다.
제9도는 탄성 중합체로 형성된 링이 케이블 절연체(42)에 설치되고 편조형 실드(44A)가 링의 바깥면 둘레에만 놓여져 돌출부(54A)를 형성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5도와 유사한 또 하나의 조립체를 도시한다. 또한 리테이너(66A)의 케이블 수용면(76A)은 돌출부(54A)가 놓여지는 홈(90)을 갖는다. 타이 랩(100)에 의해 가해진 압력은 돌출부(54A)를 홈(88)안으로 접어넣고 홈의 외곽 모서리(86,88)와 실드(44A) 사이에서 접촉을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비용이 적게드는 방법으로 케이블의 실드와 컨넥터 하우징의 전도성 표면사이에 우수한 전기 접속을 이루는 전기 컨넥터와 차폐 케이블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링은 케이블 실드 아래에 놓여져 링 둘레에서 돌기부 또는 돌출부를 형성하며 실드와 컨넥터 하우징 정도성 표면의 고압 접촉을 용이하게 한다. 컨넥터 하우징은 케이블 수용면이 있는 리테이너를 구비한다. 케이블 특히 링 둘레의 둘출부가 케이블 수용면에 프레싱되어서 케이블 수용면과 실드 사이에 고압 접촉이 이루어진다. 복수의 그러한 케이블은 타이 랩에 의해 컨넥터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리테이너는 축에 따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 랩을 수용하는 홈을 갖는다.
케이블을 케이블 수용면쪽으로 프레싱하는 타이 랩이나 다른 장치의 느슨함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접촉을 이루게하는 탄력성을 얻기 위해 탄성 중합 재료로 각 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을 읽을 때 가장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전위 결합 단부(32) 및 후위 단부(26)를 갖는 하우징(60)과, 상기 전위 단부에 일부분이 있는 복수의 접촉부(30)와, 상기 접촉부증의 제1 접촉부에서부터 상기 하우징의 후위쪽으로 연장되며 도체(40), 상기 도체 둘레의 절연체(42) 및 상기 절연체 둘레의 가요성 실드(44)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케이블(20,22,24)을 구비하는 전기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도전성 케이블 수용면(76,77,78)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의 상기 절연체 둘레에 배치되는 링(52)을 구비하며, 상기 가요성 실드의 일부분이 상기 가요성 실드에 돌출부(54)를 형성하도록 상기 링에 대해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에 주변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가요성 실드에 원주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주변 영역상에 배치되며 상기 도전성 케이블 수용면에 대해 배치되는 상기 가요성 실드 원주 영역의 제1 부분(81')과; 상기 도전성 케이블 수용면과 접하지 않고 상기 돌출부 주변 영역의 상기 제1 부분과 본질적으로 대향하는 상기 돌출부의 제2 부분에 대해 프레싱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면상의 케이블을 고정하는 파트(1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이 탄성중합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는 상기 제1 케이블을 포함한 복수의 상기 차폐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축(68)을 갖고, 상기 케이블 각각이 하나씩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케이블 수용면을 포함한 리테이너(66)를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실드에 대해 프레싱되는 상기 파트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리테이너 둘레에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케이블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가요성 밴드(102)를 포함한 타이 랩을 구비하며, 상기 가요성 밴드는 대향 단부(106,110)를 갖고 상기 타이 랩은 상기 대향 단부와 맞물려 상기 케이블 둘레에 상기 케이블의 풀어짐을 방지하는 밴드 래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 컨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축에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암(71,72,73)을 형성하며, 인접 암의 각 쌍은 암과 암사이에 케이블 수용면(76,77,78)을 형성하고; 상기 암 각각은 상기 리테이너를 따른 상기 밴드의 축상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밴드를 수용하는 슬롯(81,82,83)이 형성된 방사형 외곽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축(68)을 갖고; 상기 하우징 후단부는 상기 축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에 대체로 방사형인 세 개의 암(71,72,73)을 형성하는 Y 형 단명의 리테이너(66)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각 쌍의 인접 암 사이에 함께 연장되어 있는 세 개의 오목한 케이블 수용면(76,77,78)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은 상기 제1 케이블(20)과 제2, 제3 케이블(22,24)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각각은 상기 케이블 수용면의 한 면에 배치되고 상기 리테이너를 따라 상기 하우징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케이블과 제3 케이블 위에 장착된 제2 링과 제3 링이 실드 아래에 놓여져 상기 실드내에 제2, 제3 돌출부를 형성하고, 프레싱되는 상기 파트(100)가 모든 상기 돌출부 둘레를 견고하게 조이며 연장되는 가요성 밴드(102)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면은 상기 수용면에 놓여 있는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에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있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7. 또 다른 컨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전위 단부와 복수의 전도 케이블 수용면(76,77,78)을 포함한 후위 단부(26)를 갖는 하우징(60)과; 상기하우징에 장착된 복수의 접촉부(30)와; 상기 접촉부중의 한 접촉부와 결합된 중심 도체(40)와 상기 중심 도체 길이의 거의 모든 둘레에 배치되는 절연체(42)와 상기 절연체(42)의 대부분 길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도전 실드(44)를 구비한 복수의 연장 차폐 케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 각각은 상기케이블 수용면중의 한 면에 배치되고; 각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절연체 둘레에 배치되는 탄성 중합 재료 링(52)을 구비하며, 상기 가요성 전도 실드에 돌출부(54)를 형성하도록 상기 가요성 전도 실드의 일부분이 각 상기 링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의 원주 영역의 제1 부분이 상기 케이블 수용면중의 한 면에 대해 배치되고; 각 돌출부의 주변 영역의 제1 부분을 해당 케이블 수용면에 대해 프레싱하여 이들 사이에 고압 접촉을 이루는 수단(100)을 구비하며, 상기 수단이 각 돌출부의 주변 영역의 제2 부분에 프레싱됨으로써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도전 케이블 면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돌출부의 주변 영역의 제1 부분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수단은 상기 돌출부 위에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에 대해 견고하게 감싸여지는 가요성 밴드(10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후위 단부는 축(68)을 갖는 리테이너(66)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방사형의 외곽 단부를 갖는 방사형으로 연장된 복수의 암(71,72,73)과 상기 케이블 수용면을 형성하고, 각 암은 상기 밴드의 축상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밴드를 수용하는 밴드 수용 슬롯(81,82,8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축(68)을 갖고; 상기 하우징 후위 단부는 상기 축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에 대해 방사형인 세 개의 암을 형성하는 Y 형 단면의 리테이너(66)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각 쌍의 인접 암사이에 함께 연장되어 있는 세 개의 오목한 케이블 수용면(76,77,78)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은 상기 제1 케이블(20)과 제2, 제3 케이블(22,24)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각각은 케이블 수용면의 한 면에 배치되고 상기 리테이너를 따라 상기 하우징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케이블과 제3 케이블 위에 장착된 제2 링과 제3 링이 상기 실드 아래에 놓여져 제2 돌출부와 제3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트.
  11. 축(68)과, 전위 단부(32)를 갖는 하우징(60)과, 상기 전위 단부에서 다른 컨넥터의 접촉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단부를 갖는 복수의 접촉부(30)를 구비하는 컨넥터와, 도체(40), 상기 도체 대부분의 둘레에 있는 절연체(42) 및 상기 절연체 대부분의 둘레에 있는 가요성 실드(44)를 구비하며, 상기 도체가 상기 접촉부들 중의 하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차폐 케이블(20)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상에 탄성 중합 재료 링(52)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가요성 실드에 돌출부(54)가 형성되도록 상기 링 둘레에 상기 케이블 실드의 일부분을 배치하는 단계와; 전기적 도전성 케이블 수용면(76,77,78)을 갖는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돌출부의 주변 영역의 제1 부분이 상기 케이블 수용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블 수용면상에 상기 케이블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우징 수단(100)상에 상기 하우징과 별개의 파트(100)을 장착하여 상기 케이블 수용면과 상기 돌출부 주변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고압의 접촉을 이루기 위해 해당 케이블 수용면에 대해 상기 돌출부 주변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을 프레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트(100)가 각 돌출부의 주변 영역의 제2 부분에 프레싱됨으로써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도전성 케이블 수용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돌출부의 주변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와 차폐 케이블의 조립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단계는 복수의 케이블 수용면(76,77,78)이 상기 축에 대해 이격되며 리테이너 암(71,72,73)이 상기 케이블 수용면쌍 사이에 배치되고 각 암이 슬롯(81,82,83)을 갖는 리테이너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케이블 수용면중의 다른 한 표면위에 복수의 케이블 각각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싱 단계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리테이너의 둘레에 가요성 타이(100)를 감싸는 단계와 상기 슬롯에 상기 타이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와 차폐 케이블의 조립 방법.
KR1019940701958A 1991-12-09 1991-12-09 차폐 케이블 컨넥터 KR0140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1/009209 WO1993012561A1 (en) 1991-12-09 1991-12-09 Shielded cable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0039B1 true KR0140039B1 (ko) 1998-07-01

Family

ID=2222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958A KR0140039B1 (ko) 1991-12-09 1991-12-09 차폐 케이블 컨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68504A (ko)
EP (1) EP0616735B1 (ko)
JP (1) JP2650782B2 (ko)
KR (1) KR0140039B1 (ko)
AU (1) AU1328892A (ko)
DE (1) DE69114524T2 (ko)
WO (1) WO199301256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438B1 (ko) * 2006-06-13 2008-02-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실드전극 연결수단
WO2010024633A2 (en) * 2008-08-29 2010-03-04 Ls Cable Ltd. Connector having connection portion with concavo-convex structure and method for coupling connector to bundle-type braided shield
KR101379928B1 (ko) * 2012-09-28 2014-04-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차폐 커넥터
KR101446539B1 (ko) * 2012-09-27 2014-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차폐 커넥터
KR101446540B1 (ko) * 2012-09-25 2014-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차폐 커넥터 및 고전압 차폐 커넥터의 조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939B2 (ja) * 1994-11-29 2000-04-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US6227881B1 (en) 1999-12-06 2001-05-08 The Jpm Company Cable management coupling and shielding interconnect system and method
US6540775B1 (en) * 2000-06-30 2003-04-01 Cordis Corporation Ultraflexible open cell stent
DE10121762C1 (de) * 2001-05-04 2003-02-20 Siemens Ag Steckverbinder zum Anschließen von Koaxialleitern
US20070037433A1 (en) * 2005-08-10 2007-02-15 Deutsch Engineered Connecting Devices Backshell device for a connector
US7419402B2 (en) * 2005-08-10 2008-09-02 Deutsch Engineered Connecting Devices, Inc. Backshell device for a connector
CH697606B1 (de) * 2005-08-26 2008-12-15 Multi Holding Ag Steckbare Kabelkupplung.
KR100780727B1 (ko) * 2005-12-13 2007-11-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폐 전선과 차폐쉘의 접속 장치
US7488196B2 (en) * 2006-11-02 2009-02-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Wire retention connector system
DE102008046235B3 (de) * 2008-09-08 2010-04-15 Fct Electronic Gmbh Miniaturisierter Hochstromstecker
US8221164B1 (en) * 2009-10-30 2012-07-17 The Boeing Company Modular cable clamp with high impedance surface
DE202017101060U1 (de) * 2017-02-24 2018-05-25 Fct Electronic Gmbh Steckverbinder, insbesondere für eine Hochstromanwendung
DE102018115560A1 (de) * 2018-06-28 2020-01-02 Airbus Operations Gmbh Anschlusssystem zum elektrischen Verbinden eines Einrichtungsgegenstands in einem Fahrzeug
RU189027U1 (ru) * 2019-02-19 2019-05-0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Элтерм-С" Розетка кабельного разъем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3200A (ko) *
US1647699A (en) * 1924-04-11 1927-11-01 American Steel & Wire Co Cable joint
US3603913A (en) * 1969-04-11 1971-09-07 Lockheed Aircraft Corp Strain relief clamp for electrical wiring connector
DE2051914A1 (de) * 1970-10-22 1972-04-27 Sel Kabelkupplung
DE2639237C2 (de) * 1976-08-27 1982-10-2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tarkstromkabel mit Gürtelisolation und montierter Kabelgarnitur
US4869690A (en) * 1987-05-07 1989-09-26 Amphenol Corporation Contact for crimp termination to a twinaxial cable
US4925404A (en) * 1988-10-14 1990-05-15 G & H Technology, Inc. Environmentally protected EMI shielded connector
US5046967A (en) * 1990-03-05 1991-09-10 Amphenol Interconnect Produc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hell including plastic and metal portions, and method of assembly
US5102351A (en) * 1990-11-29 1992-04-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Shielded electric cable and harness with strain relief
JP2537434B2 (ja) * 1991-03-08 1996-09-25 横河航空電機株式会社 グランディングコネクタ構造
US5246376A (en) * 1992-04-28 1993-09-21 Raychem Sa Electrical adapto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438B1 (ko) * 2006-06-13 2008-02-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실드전극 연결수단
WO2010024633A2 (en) * 2008-08-29 2010-03-04 Ls Cable Ltd. Connector having connection portion with concavo-convex structure and method for coupling connector to bundle-type braided shield
WO2010024633A3 (en) * 2008-08-29 2010-06-24 Ls Cable Ltd. Connector having connection portion with concavo-convex structure and method for coupling connector to bundle-type braided shield
KR101022874B1 (ko) * 2008-08-29 2011-03-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다중 요철 구조의 연결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커넥터와 일괄형 편조차폐선의 결합방법
KR101446540B1 (ko) * 2012-09-25 2014-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차폐 커넥터 및 고전압 차폐 커넥터의 조립 방법
KR101446539B1 (ko) * 2012-09-27 2014-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차폐 커넥터
KR101379928B1 (ko) * 2012-09-28 2014-04-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차폐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16735A1 (en) 1994-09-28
DE69114524D1 (de) 1995-12-14
DE69114524T2 (de) 1996-05-30
WO1993012561A1 (en) 1993-06-24
AU1328892A (en) 1993-07-19
JP2650782B2 (ja) 1997-09-03
JPH07504295A (ja) 1995-05-11
US5368504A (en) 1994-11-29
EP0616735B1 (en) 1995-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039B1 (ko) 차폐 케이블 컨넥터
CA1286376C (en) Connector shunt structure
US4243290A (en) Shield termination means for electrical connector
US3622952A (en) Shield termination for electrical connectors
US7635282B2 (en) Coaxial cable shielding terminal with improved press-clamping portion
US4674807A (en) Shielded connector
US7064266B2 (en) Shielded connector
US7189117B2 (en) Shielded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it with a shielded cable
US20090035974A1 (en) Cable 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5158640A (ja) 多極コネクタ
GB2249224A (en) Soldered connector for a shielded coaxial cable.
JPH0379830B2 (ko)
EP1160930A1 (en) Fitting structure of waterproof plug
US4808121A (en) Bond connector for service cable
GB2272804A (en) A seal for a waterproof connector
JP293722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6155847A (en) Grounding device
JP3231611B2 (ja) シールド構造
EP0991138A2 (en) An electrical connector and earthing element
JP2000100525A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3622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3174236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編組接続構造
JP2000515303A (ja) 電気コネクタのケーブル接続構造
KR20050084235A (ko) 케이블 커넥터 및 이러한 커넥터를 조합하기 위한 방법
JPH04306574A (ja) 多極コネクタにおける絶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