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774Y1 - 원터치형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774Y1
KR0139774Y1 KR2019940021604U KR19940021604U KR0139774Y1 KR 0139774 Y1 KR0139774 Y1 KR 0139774Y1 KR 2019940021604 U KR2019940021604 U KR 2019940021604U KR 19940021604 U KR19940021604 U KR 19940021604U KR 0139774 Y1 KR0139774 Y1 KR 0139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iameter portion
flange
casing
oper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319U (ko
Inventor
이종용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21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774Y1/ko
Publication of KR9600083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3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7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작동상태가 확실하고 록킹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원터치형 록킹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베이스 패널에 관통 고정되는 원통형 부재로서, 외측단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의 플랜지의 내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턱이 형성되는 케이싱과; 원통형 부재로서, 외측으로 받침턱이 형성되고, 내측단으로 플랜지가 형성되며, 내경부에 상측면이 2단면으로 형성되는 록킹돌기가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소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턱이 상기 케이싱의 내측단 관통공을 통과한 상태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플랜지와 케이싱의 내측벽 사이로 탄지되는 록킹부재와; 도어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의 내측단이 상기 록킹부재의 내경부를 관통할 수 있는 소경부와 대경부를 갖는 2단봉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의 선단에 상기 록킹돌기과의 상호 작용으로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작동봉과; 외측단 중앙으로 상기 작동봉의 소경부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갖는 스프링 시이트가 형성되어 도어의 닫음시 작동봉의 대직경부에 의하여 압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케이싱 내부로 배치되는 압축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터치용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터치형 록킹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록킹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 단면도.
제3도 (a)(b)(c)(d)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케이싱 4 : 록킹부재
6 : 작동봉 8 : 베이스 패널
12,20 : 플랜지 22 : i림 코일 스프링
24 : 록킹돌기 28,40 : 턱
30 : 도어 38 : 걸림돌기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원터칭형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상태가 확실하고 록킹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원터치형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예컨데, 자동차에 있어서는 많은 도어가 마련되어 있고, 이의 도어들에는 록킹장치가 구비된다.
일예로서, 글로브 박스 도어를 들면, 글로브 박스는 등록증 및 보험증권과 같은 차량을 운행하는데에 휴대하여야 하는 서류를 넣어둘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공간부로서, 운전석 옆좌석의 전방 크러시 페드에 마련되며, 그의 전면에는 하측으로 힌지부를 갖는 도어가 배치된다.
이의 도어에는 록킹 상태를 유시켜 줄 수 있는 록킹장치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의 록킹장치는 대개 노브에 의하여 동작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노브에 의하여 동작되는 록킹장치는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고,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미관상 좋치 않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따라 원터치형 록킹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들은 가전제품과 같은데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데, 이들 록킹장치는 내구성이 약하고 록킹력이 미약하여 진동을 많이 받는 자동차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안의 요약]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동상태가 확실하고 록킹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원터치형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이스 패널에 관통 고정되는 원통형 부재로서, 외측단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의 플랜지의 내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턱이 형성되는 케이싱과; 원통형 부재로서, 외측으로 받침턱이 형성되고, 내측단으로 플랜지가 형성되며, 내경부에 상측면이 2단면으로 형성되는 록킹돌기가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소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턱이 상기 케이싱의 내측단 관통공을 통과한 상태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플랜지와 케이싱의 내측벽 사이로 탄지되는 록킹부재와; 도어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의 내측단이 상기 록킹부재의 내경부를 관통할 수 있는 소경부와 대경부를 갖는 2단봉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의 선단에 상기 록킹돌기과의 상호 작용으로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작동봉과; 외측단 중앙으로 상기 작동봉의 소경부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갖는 스프링 시이트가 형성되어 도어의 닫음시 작동봉의 대직경부에 의하여 압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케이싱 내부로 배치되는 압축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터치형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 내지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조립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케이싱(2), 록킹부재(4), 작동봉(6)등의 주요 부품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케이싱(2)은 베이스 패널(8)에 관통 고정되는 원통형 부재로서, 외측단 둘레에는 플랜지(10)가 형성되고, 이의 플랜지(10)의 내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턱(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싱(2)의 내측단을 베이스 패널(8)의 관통공(14)을 삽입시켜 고정턱(12)을 넘게하면 이의 고정턱(12)와 플랜지(10)에 의하여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단은 중심부로 관통공(16)이 형성되어 이에 상기 록킹부재(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의 록킹부재(4) 또한 원통형 부재로서, 외측으로 받침턱(18)이 형성되고, 내측단으로 플랜지(20)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턱(18)이 관통공(14)을 통과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22)이 플랜지(20)와 케이싱(2)의 내측벽 사이로 탄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4)는 자연의 상태에서는 스프링(22)이 탄성력에 의해 항시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4)의 내경부에는 록킹돌기(24)가 형성되는데, 역삼각형 형태를 취하면서 상측부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이는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록킹부재(4)의 회전방향이 결정되며, 본 고안에서는 상단부를 도면에서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하였는 바, 록킹과정에서 록킹부재(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스프링(22)의 탄발력은 저장된다.
또한, 상기 록킹돌기(24)는 상면부를 중간부에 턱(28)을 두어 일측은 낮고 그 타측은 높게하여 2단면을 갖도록 하였으며, 도면에서는 이의 록킹돌기(24)를 2개 형성한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을 형성하여도 좋지만 너무 많으면 구성만 복잡해질 뿐이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4)의 내측으로 출입하면서 록킹 또는 록킹 해제가 이루어지는 작동봉(6)은 그의 외측단이 도어(30)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의 내측단 즉, 자유단이 상기 록킹부재(4)의 내경부를 관통할 수 있는 소경부(34)와 대경부(36)를 갖는 2단봉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경부(34)의 선단에는 상기 록킹돌기(24)에 걸릴 수 있는 걸림돌기(38)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걸림돌기(38)는 일측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대략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갖고 형성되며, 그의 하면은 상기 록킹돌기(24)의 상측면에 대응하도록 중간부에 턱(40)을 갖는 2단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 내부에는 압축 코일스프링(42)이 배치되는데, 그의 외측단에는 중앙으로 상기 작동봉(6)의 소경부(34)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44)을 갖는 스프링 시이트(46)가 형성되어 도어의 닫음시 작동봉(6)의 대직경부(36)에 의하여 압축이 이루어진다.
제3도는 본 고안 록킹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록킹돌기(24)와 걸림돌기(32)를 발췌하여 평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작동봉(6)이 록킹부재(4)에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이다.
이의 상태에서 도어(30)를 더욱 밀으면 작동봉(6) 선단의 걸림돌기(38)의 선단 모서리 부분이 (b)도에서와 같이 록킹돌기(24)의 저부 경사면(48)과 접촉되면서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록킹돌기(24)가 형성된 록킹부재(4)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22)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바, 록킹돌기(24)는 도면에서 좌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같은 동작으로 계속적으로 작동봉(6)이 진입하여 걸립돌기(38)의 하측면이 록킹돌기(24)의 상측면까지 진입하게 되면 록킹돌기(24)를 밀어주는 힘이 해지되는 바, 록킹돌기(24)는 스프링(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도면에서 우측으로 다시 밀리게 된다.
그러면 록킹돌기(24)의 턱(28)과 걸림돌기(38)의 턱(40)이 (c)도에서와 같이 서로 걸리면서 록킹부재(4)의 회전을 저지하면서 이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6)은 록킹부재(4)에 의한 록킹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록킹상태에서는 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하여 록킹 및 걸림돌기(24)(38)의 턱 (28)(40)이 상호 밀착이 이루어지므로 임의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록킹상태가 해지되지 않으며, 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록킹상태에서 도어(30)를 열고자 할 때에는 다시 도어(30)를 살짝 밀면 작동봉(6)이 더욱 진입하여 걸림돌기(38)가 (d)도에서와 같이 록킹돌기(24)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러면 록킹돌기(24)를 받치고 있던 힘이 해지되는 바, 록킹돌기(24)는 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한 록킹부재(4)의 회전으로 (e)도와 같이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이의 상태에서는 걸림돌기(38)의 록킹력이 해지되고, 이의 상태에서 도어에 가했던 힘을 해지하면 작동봉(6)의 대직경부(36)를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42)의 탄발력에 의하여 걸림돌기(38)가 록킹부재(4)로부터 빠져나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동작은 도어(30)을 열고 닫을 때마다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원터치형으로 도어를 개폐 록킹시킬 수 있는 바, 사용상에 편리함을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동상태가 확실하고 록킹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베이스 패널(8)에 관통 고정되는 원통형 부재로서, 외측단 둘레에는 플랜지(10)가 형성되고, 이의 플랜지(10)의 내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턱(12)이 형성되는 케이싱(2)과; 원통형 부재로서, 외측으로 받침턱(18)이 형성되고, 내측단으로 플랜지(20)가 형성되며, 내경부에 상측면이 2단면으로 형성되는 록킹돌기(24)가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소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턱(18)이 상기 케이싱의 내측단 관통공(14)을 통과한 상태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22)이 플랜지(20)와 케이싱(2)의 내측벽 사이로 탄지되는 록킹부재(4)와; 도어(30)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의 내측단이 상기 록킹부재(4)의 내경부를 관통할 수 있는 소경부(34)와 대경부(36)를 갖는 2단봉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34)의 선단에 상기 록킹돌기(24)과의 상호 작용으로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되는 걸림돌기(38)가 형성된 작동봉(6)과; 외측단 중앙으로 상기 작동봉(6)의 소경부(34)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44)을 갖는 스프링 시이트(46)가 형성되어 도어의 닫음시 작동봉(6)의 대직경부(36)에 의하여 압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케이싱 내부로 배치도는 압축 코일스프링(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터치용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록킹돌기(24)는 역삼각형 형태를 취하면서 상측부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하되, 상면부 중간부에 턱(28)을 두어 일측은 낮고 그 타측은 높게하여 2단면을 갖도록 형성하며, 걸림돌기(38)는 일측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대략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갖고 형성되며, 그의 하면은 상기 록킹돌기(24)의 상측면에 대응하도록 중간부에 턱(40)을 갖는 2단면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용 록킹장치.
KR2019940021604U 1994-08-25 1994-08-25 원터치형 록킹장치 KR0139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604U KR0139774Y1 (ko) 1994-08-25 1994-08-25 원터치형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604U KR0139774Y1 (ko) 1994-08-25 1994-08-25 원터치형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319U KR960008319U (ko) 1996-03-15
KR0139774Y1 true KR0139774Y1 (ko) 1999-04-01

Family

ID=1939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604U KR0139774Y1 (ko) 1994-08-25 1994-08-25 원터치형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7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319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45326A (en) Mouse with a damped pivoting back door, side clasp buttons and a movable carrier for a wireless receiver
KR0139774Y1 (ko) 원터치형 록킹장치
JP2001098830A (ja) ロック装置
JPH0913775A (ja) 閉扉保持装置
KR100404604B1 (ko) 자동차용 접힘식 열쇠 장치
JP4357683B2 (ja) 自動車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3669734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ロック装置
JP3763898B2 (ja) ロック装置
JPH102140A (ja) スライド扉のロック装置
JPH0241258Y2 (ko)
KR0116197Y1 (ko) 키 위치 설정용 와셔를 구비한 록킹장치
KR900007635Y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KR0119867Y1 (ko) 매립형 손잡이 겸 자물쇠
JPH0241259Y2 (ko)
JP2577084B2 (ja) 扉のロック装置
JPH082359Y2 (ja) ダイヤルロック装置のフック形状
KR0116682Y1 (ko) 특장차의 도어 록킹장치용 로커
JP2591404Y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KR200158513Y1 (ko) 글로브 박스 소음방지 장치
KR0115697Y1 (ko) 차량의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KR0117354Y1 (ko) 보관함을 갖는 자동차용 팔걸이
JPH0337101Y2 (ko)
JP2895720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920001868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JPH03433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