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305B1 - 반도체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억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9305B1 KR0139305B1 KR1019940001561A KR19940001561A KR0139305B1 KR 0139305 B1 KR0139305 B1 KR 0139305B1 KR 1019940001561 A KR1019940001561 A KR 1019940001561A KR 19940001561 A KR19940001561 A KR 19940001561A KR 0139305 B1 KR0139305 B1 KR 01393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 sense amplifier
- word line
- memory cell
- colum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3—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with charge regeneration common to a multiplicity of memory cells, i.e. external refresh
- G11C11/4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with charge regeneration common to a multiplicity of memory cells, i.e. external refresh with one charge-transfer gate, e.g. MOS transistor, per cell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5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 G11C11/565—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using capacitive charge storage el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9)
- 복수비트의 정보를 비트단위로 격납할 수 있는 캐스케이드형의 메모리셀(MC0L∼MC32L, MC0R∼MC32R)이 행렬모양으로 배열되고, 동일 행의 메모리셀에 공통으로 접속된 워드선 및 동일 열의 메모리셀에 공통으로 접속된 비트선을 갖춘 메모리셀 어레이와,이 메모리셀 어레이에서의 복수개의 열마다 하나씩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열의 비트선 배선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 감지증폭기(SA),이 감지증폭기(SA)의 양측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열을 선택적으로 상기 감지증폭기 (SA)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 1 절환회로 (SWL) 및 제 2 절환회로 (SWR),상기 감지증폭기 (SA) 의 한 쪽측의 메모리셀로 부터의 독출시에 상기 감지증폭기 (SA)의 기준전위를 생성하는 제 1 더미셀회로 (DCL),상기 감지증폭기 (SA)의 다른 쪽측의 메모리셀로 부터의 독출시에 상기 감지증폭기 (SA)의 감지기준전위를 생성하는 제 2 더미셀회로 (DCR),상기 감지증폭기 (SA)의 한 쌍의 입력노드중 한 쪽과 상기 제 1 절환회로 (SWL)사이의 제 1 공통비트선 및 상기 감지증폭기의 한 쌍의 입력노드 중 다른 쪽과 상기 제 2 절환회로 (SWR) 사이의 제 2 공통비트선을 소정의 타이밍에서 소정의 전위로 선충전하는 비트선 선충전회로(PR),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에서의 동일 열내의 감지증폭기의 양측의 복수개의 메모리셀에 대하여 별도의 직렬로 어드레스지정을 수행하는 어드레스 지정회로(ADL, ADR),이 어드레스 지정회로(ADL, ADR) 에 의해 지정되는 어드레스의 메모리셀에 접속되어 있는 워드선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워드선 구동회로 (WDL, WDR),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의 열선택을 행하기 위한 열선택회로 (SW) 및,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의 임의의 열의 복수개의 메모리셀에 대한 직렬액세스시에 상기 감지증폭기의 한 쪽측에서의 기억정보를 격납하고 있는 메모리셀중 하나로 부터 복수비트의 정보를 시계열로 독출하고, 이 복수비트의 정보를 상기 감지증폭기(SA) 의 다른 쪽측에서의 하나의 사용하지 않은 상태인 메모리셀에 순차적으로 재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액세스 제어회로(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회로(10)는 상기 복수개의 열에서의 각각 복수개의 메모리셀에 대한 직렬액세스시에 상기 복수개의 열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복수개의 열에서 상기 감지증폭기 (SA)를 시분할적으로 공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은 캐스케이드접속된 3개이상의 MOS트랜지스터(Q1∼Q5)의 양단이 동일 비트선에 접속된 캐스케이드 게이트와, 상기 각 MOS트랜지스터(Q1∼Q5)의 상호간의 접속노드에 대응하여 각 일단이 접속된 복수개의 정보기억용의 캐패시터(C1∼C4)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MOS트랜지스터(Q1∼Q5)의 각 게이트가 별도의 워드선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열의 감지증폭기 (SA) 의 양단에서의 각각 복수개의 메모리셀은 연속적인 블록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n개의 메모리셀과, 직렬액세스의 최초에 상기 블록데이터의 최초의 기록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메모리셀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회로(10)는 상기 임의의 열에서의 2개의 메모리셀에 대한 복수비트의 정보의 독출/재기록을 독출과 재기록의 조합이 다른 2개의 메모리셀을 단위로 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임의의 열내의 2(n+1)개의 메모리셀에 대한 1회의 직렬액세스에서 2n개의 메모리셀에 격납되어 있는 연속적인 블록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독출함과 동시에, 이 독출전에 사용하지 않은 상태인 하나의 메모리셀을 포함하는 2n개의 메모리셀에 상기 블록데이터를 재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회로(10)는 상기 1회의 직렬액세스마다 다음 회에 액세스를 개시해야 할 메모리셀의 선두어드레스를, 상기 감지증폭기 (SA)의 한 쪽측으로 부터 다른 쪽측으로 교대로 변화시킴과 더불어 1메모리셀분만큼 시프트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회로(10)는 상기 직렬액세스가 기수회째인지 우수회째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플래그회로와, 상기 직렬액세스마다 상기 플래그회로를 참조하여 액세스를 개시해야 할 메모리셀의 선두어드레스가 상기 감지증폭기 (SA)의 한 쪽측인지 다른 쪽측인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지정회로(ADL, ADR)는 상기 감지증폭기 (SA)의 한 쪽측의 동일 열내의 복수개의 셀에 대하여 직렬로 행어드레스지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 1 어드레스 지정회로(ADL), 상기 감지증폭기 (SA)의 다른 쪽측의 동일 열내의 복수개의 셀에 대하여 직렬로 행어드레스지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어드레스 지정회로(ADR) 를 구비하고,상기 워드선 구동회로는 상기 제 1 어드레스 지정회로(ADL) 의 출력에 따라 선택제어되는 제 1 워드선 구동회로(WDL)와, 상기 제 2 어드레스 지정회로 (ADR)의 출력에 따라 선택제어되는 제 2 워드선 구동회로(WDR)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드레스 지정회로(ADL)는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의 감지증폭기 (SA)의 한 쪽측의 워드선수의 k(정수)분의 1에 대응하는 단수를 갖춘 제 1 시프트 레지스터 (SRL)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어드레스 지정회로(ADR)는 상기 메모리셀 어레이의 감지증폭기의 다른 쪽측의 워드선수의 k분의 1에 대응하는 단수를 갖춘 제 2 시프트 레지스터(SRR)로 이루어지며,상기 제 1 시프트 레지스터(SRL)의 각단 출력에 의해 상기 제 1 워드선 구동회로(WDL)의 k개를 1조로 하는 각조를 선택제어하고, 상기 제 2 시프트 레지스터(SRR)의 각단출력에 의해 상기 제 2 워드선 구동회로(WDR)의 k개를 1조로 하는 각조를 선택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프트 레지스터(SRL)의 각단출력과 상기 제 2 시프트 레지스터(SRR)의 각단출력은 서로 반사이클 어긋나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워드선 구동회로(WDL)는 각조의 k개가 순서적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 2 워드선 구동회로(WDR)는 각조의 k개가 순서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워드선 구동회로(WDL)의 각조의 k개중 최초에 구동되는 하나의 구동개시 타이밍과 상기 제 2 워드선 구동회로(WDR)의 각조의 k개중 최초에 구동되는 하나의 구동개시타이밍은 상기 제 1 시프트 레지스터(SRL)의 각단 출력의 반사이클분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워드선 구동회로(WDL)의 각조의 k개중 최초에 구동되는 하나의 구동종료 타이밍과 최후에 구동되는 하나의 구동개시 타이밍은 동일하므로, 상기 제 2 워드선 구동회로(WDR)의 각조의 k개중 최초에 구동되는 하나의 구동종료 타이밍과 최후에 구동되는 하나의 구동개시 타이밍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워드선 구동회로(WDL)의 각조의 k개중 최초에 구동되는 하나의 구동개시 타이밍은 상기 제 2 워드선 구동회로(WDR)의 각조의 k개중 최초에 구동되는 하나의 구동종료 타이밍보다 지연되어 있고,상기 제 2 워드선 구동회로(WDR)의 각조의 k개중 최초에 구동되는 하나의 구동개시 타이밍은, 상기 제 1 워드선 구동회로(WDL)의 각조의 k개중 최초에 구동되는 하나의 구동종료 타이밍보다 지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선 선충전회로(PR)는 상기 제 1 공통비트선 및 제 2 공통비트선을 전원전위로 선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셀회로(DCL)는 상기 제 1 공통비트선과 제 1 더미워드선 사이에 접속된 결합용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더미셀회로(DCR)는 상기 제 2 공통비트선과 제 2 더미워드선 사이에 접속된 결합용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액세스가 기수회째인지 우수회째인지의 여부에 따라 메모리셀로 부터 독출되는 복수비트의 정보가 본래의 논리레벨로 되어 있는지 역의 논리레벨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플래그회로와, 상기 직렬액세스마다 상기 플래그회로를 참조하여, 메모리셀로 부터 독출된 복수비트의 정보가 역의 논리레벨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논리레벨을 보정하는 보정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환회로(SWL) 및 제 2 절환회로 (SWR)는 열의 비트선과 감지증폭기 사이에 삽입된 전송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이 전송게이트중에서 상기 메모리셀로 부터 독출된 신호를 상기 감지증폭기로 전송할 때에 온상태로 제어된 전송게이트가 상기 전송직후에 오프상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에서의 모든 열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회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3-12734 | 1993-01-28 | ||
JP5012734A JP2823466B2 (ja) | 1993-01-28 | 1993-01-28 | 半導体記憶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39305B1 true KR0139305B1 (ko) | 1998-06-01 |
Family
ID=1181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01561A Expired - Fee Related KR0139305B1 (ko) | 1993-01-28 | 1994-01-28 | 반도체 기억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383160A (ko) |
JP (1) | JP2823466B2 (ko) |
KR (1) | KR013930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26428A (en) * | 1993-09-03 | 1994-07-05 | Micron Semiconductor, Inc. |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circuitry for operability and method of forming apparatus for testing semiconductor circuitry for operability |
EP0698884A1 (en) * | 1994-08-24 | 1996-02-28 | Advanced Micro Devices, Inc. | Memory array for microprocessor cache |
JPH08194679A (ja) * | 1995-01-19 | 1996-07-30 | Texas Instr Japan Ltd | ディジタル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メモリセル読出し方法 |
US5691956A (en) * | 1996-07-17 | 1997-11-25 | Chang; Edward C. M. | Memory with fast decoding |
KR100254568B1 (ko) * | 1997-06-25 | 2000-05-01 | 윤종용 | 반도체 독출 전용 메모리 장치 |
JP3281304B2 (ja) * | 1997-11-28 | 2002-05-13 | 株式会社東芝 | 半導体集積回路装置 |
JP3267259B2 (ja) * | 1998-12-22 | 2002-03-18 | 日本電気株式会社 | 半導体記憶装置 |
DE10204688C1 (de) * | 2002-02-06 | 2003-10-09 | Infineon Technologies Ag | Speicherbaustein mit verbesserten elektrischen Eigenschaften |
JP2003346489A (ja) * | 2002-05-24 | 2003-12-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半導体記憶装置 |
CN110989921B (zh) * | 2019-10-24 | 2023-05-26 | 西安艾可萨科技有限公司 | 可配置存储阵列系统及其控制方法、通信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17540A (en) * | 1991-03-14 | 1994-05-31 | Kabushiki Kaisha Toshiba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1993
- 1993-01-28 JP JP5012734A patent/JP282346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
- 1994-01-28 KR KR1019940001561A patent/KR013930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1-28 US US08/187,517 patent/US538316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383160A (en) | 1995-01-17 |
JPH06223559A (ja) | 1994-08-12 |
JP2823466B2 (ja) | 1998-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640977B1 (en) | Dynamic semiconductor memory with static data storing cell | |
US6603683B2 (en) | Decoding scheme for a stacked bank architecture | |
US6144615A (en) |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 |
EP0744073B1 (en) | A synchronous nand dram architecture | |
US6735135B2 (en) | Compact analog-multiplexed global sense amplifier for RAMs | |
US5463577A (en) | Semiconductor memory | |
JPS6118837B2 (ko) | ||
JP2002216473A (ja) | 半導体メモリ装置 | |
US20040240288A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0139305B1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US5317540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6023428A (en) |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a memory array with segmented bit lines and method of operation | |
US6229758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at can read out data faster than writing it | |
US5359566A (en) |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 |
US5392242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single data line pair shared between memory cell arrays | |
US5267212A (en) | Random access memory with rapid test pattern writing | |
US7215595B2 (en) | Memory device and method using a sense amplifier as a cache | |
US6330202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write data line | |
US5481496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data transfer therefor | |
JP2993671B2 (ja) | 半導体記憶装置 | |
US7110306B2 (en) | Dual access DRAM | |
JP2567177B2 (ja) | 半導体記憶装置 | |
US5859793A (en) |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JPH07147085A (ja) | メモリ装置 | |
US20250118353A1 (en)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ingle and multi memory cell architectu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1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1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