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687Y1 -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 - Google Patents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687Y1
KR0138687Y1 KR2019950029220U KR19950029220U KR0138687Y1 KR 0138687 Y1 KR0138687 Y1 KR 0138687Y1 KR 2019950029220 U KR2019950029220 U KR 2019950029220U KR 19950029220 U KR19950029220 U KR 19950029220U KR 0138687 Y1 KR0138687 Y1 KR 0138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frame
door
sliding do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9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034U (ko
Inventor
김환근
Original Assignee
박유재
주식회사에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재, 주식회사에넥스 filed Critical 박유재
Priority to KR2019950029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687Y1/ko
Publication of KR9700160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0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6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주방가구 및 일반가구등의 캐비넷에 있어서, 캐비넷 본체(31)와,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마찰에 의한 캐비넷 본체(31)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캐비넷 본체(31)의 내측에 배설된 고정프레임(33)과, 상기 고정프레임(33)의 내측에 개폐가능하도록 배설된 이동프레임(3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어의 설치를 간단히 함과 동시에 유리의 파손을 방지한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
제1도는 종래 캐비넷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도어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종래 캐비넷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도어가 적용된 캐비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고정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4도의 고정프레임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
제7도는 제4도의 이동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8도는 제4도의 이동프레임의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캐비넷 본체 33 : 고정프레임
33e : 체결부 33k : 고정돌기
33h : 걸림턱 33m : 레일
35 : 이동프레임 35e : 손잡이부
35f : 돌설부 39 : 방음패킹
본 고안은 주방가구 및 일반가구등의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을 캐비넷에 간단히 조립하므로써, 도어의 설치를 간단히 함과 동시에 유리의 파손을 방지하는 캐비넷(CABINET)의 미닫이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주방가구 및 일반가구등의 캐비넷은 일실시예로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하측판넬(1a)(1b) 및 좌.우측판넬(1c)(1d)이 각각 결합된 캐비넷 본체(1)와, 상기 캐비넷 본체(1)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재치된 도어(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캐비넷 본체(1)의 내부일측에는 상기 도어(3)의 개폐가 용이하게 실시되도록 가이드하는 오목홈(1e)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판넬(1b)에 형성된 오목홈(1e)의 내측에는 상기 도어(3)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레일(5)이 못 또는 기타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도어(3)의 일측면에는 유리(8)가 삽입되도록 유리홈(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어(3)의 하부면에는 캐비넷 본체(1)의 레일(5)에 재치되도록 오목홈(3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유리홈(3a)에 삽입된 유리(8)는 유리고정수단(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3도는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여닫이문과 미닫이문이 동시에 배설되는 주방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캐비넷 본체(11)의 전면부 양측에는 여닫이문(13)(15)이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캐비넷 본체(11)의 하측판넬(부호도시없음)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홈(11a)에는 슬라이딩가능하도록 미닫이문(17)이 삽입재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캐비넷은 본체(1)(11)의 하측판넬 상부면에 직접 홈가공을 하고, 그 홈가공에 의해 형성된 오목홈(1e)(11a)에 도어(3)(17)를 각각 재치하므로써, 상기 도어(3)(17)가 수 회 반복하여 개폐동작을 하면, 캐비넷 본체(1)(11)와 도어(3)(17)의 마찰에 따른 마모현상이 두드러져 캐비넷의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과, 상기 도어(3)(17)의 개폐시 발생하는 소음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캐비넷 본체(11)의 전면부에 힌지결합된 여닫이문(13)(15)은 미닫이문(17)에 대하여 상기 여닫이문(13)(15)의 두께(t) 만큼 돌출되어 고정되므로 미관을 해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을 캐비넷에 간단히 조립하므로써, 도어의 설치를 간단히 함과 동시에 유리의 파손을 방지하는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는 주방가구 및 일반가구등의 캐비넷에 있어서, 캐비넷 본체와,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마찰에 의한 상기 캐비넷 본체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캐비넷 본체의 내측에 배설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개폐가능하도록 배설된 이동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넷 본체(31)와, 상기 캐비넷 본체(31)의 내측에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된 고정프레임(33)과, 상기 고정프레임(33)의 내측에서 개폐가능하도록 삽입재치된 이동프레임(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3)을 구성하는 좌측 및 우측부재(33c)(33d)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캐비넷 본체(31)의 내측에 각각 당접됨과 동시에, 체결나사(37)에 의해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나사구멍(33f)이 형성된 체결부(33e)와, 상기 체결부(33e)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캐비넷 본체(31)의 선단부에 외측일면을 당접시키고 내측에 구형(矩形)공간을 형성하는 걸림턱(33h)이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측부재(33a)는 캐비넷 본체(31)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나사구멍(33f)이 형성됨과 동시에 미닫이 도어(35)를 가이드하도록 절곡된 체결부(33q)가 상기 상측부재(33a)의 일측면에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측부재(33a)의 양측선단부에는 상기 상측부재(33a)와 좌측 및 우측부재(33c)(33d)를 각각 결합시키는 체결나사(39)가 나합되도록 2개의 너트돌기(33k)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측부재(33b)의 상부면에는 캐비넷 본체(31)의 내측에 체결나사(37a)에 의해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나사구멍(33f)이 형성됨과 동시에, 미닫이 도어(35)가 재치되어 가이드 되도록 2개의 레일(33m)이 각각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한편, 캐비넷 본체(31)의 내측에 삽입재치되어 미닫이문을 형성하는 이동프레임(35)은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출가공에 의해 형성된 상.하측부재(35a)(35b) 및 좌.우측부재(35b)(35c)가 각각 체결나사(35s)에 의해 각각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35)를 형성하는 좌측 및 우측부재(35b)(35c)에는 유리(47)가 삽입되도록함과 동시에 도어의 개폐시에 용이하게 파지되도록자형으로 절곡된 손잡이부(35e)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손잡이부(35e) 및 좌.우측부재(35b)(35c)의 전면부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파지하기에 더욱 용이하도록 돌설부(35f)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측부재(35a)의 상측면에는 이동프레임(35)이 개폐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도록 방음패킹(39)이 삽입되어 있고, 그 하측면에는 유리(47)가 삽입되도록 유리홈(35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측부재(35d)의 하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도르레가 삽입고정되도록 오목홈(35h)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의 조립순서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상.하측(33a)(33b) 및 좌.우측부재(33c)(33d)가 체결나사(39)에 의해 각각 결합되어 구성된 고정프레임(33)을 캐비넷 본체(31)의 내측에 삽입한 다음, 상기 상.하측(33a)(33b) 및 좌.우측부재(33c)(33d)의 체결부(33q)(33e)에 형성된 나사구멍(33f)을 관통하는 각각의 체결나사(37)로써 고정시킨다.
다음에, 상.하측(35a)(35b) 및 좌.우측부재(35c)(35d)가 체결나사(35s)에 의해 각각 결합되어 구성된 이동프레임(35)을 상기 고정프레임(33)의 내측에 삽입하여 개폐가능하도록 레일(33m)위에 재치시킨다.
이와같이 조립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에 의하면, 캐비넷 본체 내측에 AL, PVC, ABS등 기타의 압출소재로써 압출가공된 고정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는 개폐가능한 이동프레임을 삽입재치하므로써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도르레 및 방음패킹을 장착하여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수회 반복되는 도어의 개폐시에도 마찰에 의한 마모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여닫이문과 미닫이문이 동시에 배설되는 수납장에 있어서, 여닫이문의 두께 만큼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설부가 고정프레임의 걸림턱에 의해 커버되어 상기 여닫이문 내지 미닫이문의 전면부가 동일선상의 본체선단부를 형성케 하므로써, 미려한 외관을 형성케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나사에 의한 조립식 구조이므로 종래의 캐비넷 본체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가구교체의 느낌을 가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캐비넷 본체(31)와, 상기 캐비넷 본체(31)의 내측에 배설된 고정프레임(33)과, 상기 고정프레임(33)의 내측에 개폐가능하도록 배설된 이동프레임(35)을 구비한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3)은 상,하측부재(33a)(33b) 및 좌.우측부재(33c)(33d)가 체결나사에 의해 나합됨과 동시에, 캐비넷 본체(31)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나사구멍(33f)이 형성된 체결부(33g)(33e)와, 상기 캐비넷 본체(31)의 전면부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설되도록 상기 체결부(33e)에 수직으로 형성된 걸림턱(33h)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프레임(35)은 도르레가 장착되도록 하측에 오목홈(35h)이 형성된 하측부재(35b)와, 상기 이동프레임(35)의 개폐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도록 방음패킹(39)이 배설된 상측부재(35a)와, 상기 이동프레임(35)의 개폐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35e)가 형성된 좌측, 우측부재(35c)(35d)가 체결나사에 의해 각각 나합되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
KR2019950029220U 1995-10-18 1995-10-18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 KR0138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220U KR0138687Y1 (ko) 1995-10-18 1995-10-18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220U KR0138687Y1 (ko) 1995-10-18 1995-10-18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034U KR970016034U (ko) 1997-05-23
KR0138687Y1 true KR0138687Y1 (ko) 1999-04-01

Family

ID=1942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9220U KR0138687Y1 (ko) 1995-10-18 1995-10-18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6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203B1 (ko) * 2008-04-29 2008-11-25 현대종합목재 주식회사 조립식 라운드 수납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203B1 (ko) * 2008-04-29 2008-11-25 현대종합목재 주식회사 조립식 라운드 수납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034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9130A (en) Door edge debris block and air seal
US4087141A (en) Door pull handle assembly
CA2351288C (en) Actuator for a tilt-latch for a sash window
US6253492B1 (en) Housing for automatic door mechanisms having a hinged connection
JP3964428B2 (ja) 冷蔵庫
FR2779763B1 (fr) Porte sectionnelle de fermeture
KR0138687Y1 (ko) 캐비넷의 미닫이 도어
KR101753315B1 (ko) 문틀 조립구조
US6550524B2 (en) Shutter
JPH09228733A (ja) 折り畳み扉及び収納キャビネット
US5682715A (en) Two piece center mull for multiple door assembly
KR200252525Y1 (ko) 가구용 손잡이
KR100398501B1 (ko) 냉장고의 도어핸들
US11603701B2 (en) Door for mobile living quarters
USD546971S1 (en) Toilet partition assembly
KR910008463Y1 (ko) 장식장용 조립식 개폐문
JP3261257B2 (ja) 扉の戸当り構造
GB2348233A (en) Shutter door alignment aid
JP4858383B2 (ja) 手掛け取っ手構造
AU618398B2 (en) Connection system
KR920002137Y1 (ko) 개폐가 용이한 조립식 장롱
US5921059A (en) Door fit for a hollow core panel door
JP3916065B2 (ja) 戸当り及び戸当り構造
KR0127448Y1 (ko) 쇼케이스
KR200296128Y1 (ko) 창문 또는 슬라이드식 도어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