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465B1 -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465B1
KR0138465B1 KR1019940022765A KR19940022765A KR0138465B1 KR 0138465 B1 KR0138465 B1 KR 0138465B1 KR 1019940022765 A KR1019940022765 A KR 1019940022765A KR 19940022765 A KR19940022765 A KR 19940022765A KR 0138465 B1 KR0138465 B1 KR 0138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region
traffic
displaying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760A (ko
Inventor
이병두
Original Assignee
김종길
주식회사 나래이동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길, 주식회사 나래이동통신 filed Critical 김종길
Priority to KR1019940022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465B1/ko
Publication of KR960011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별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가공하는 부가가치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무선통신사업자의 시설을 통해 송신하여 교통정보서비스가입자에게 지역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교통정보가 실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교통정보데이타를 출력하는 무선호출수신부(10); 수신된 교통정보 데이타를 지역별로 저장하는 메모리부(30); 지역별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40); 사용자가 누른 키를 입력하는 조작판넬(50); 및 상기 무선호출수신부(10)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판넬(50)로 특정지역의 교통정보를 요구하면 해당 지역의 교통정보를 상기 액정표시부(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 서비스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무선호출수신부의 상세 블럭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중앙제어부의 상세 블럭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의 외형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조작판넬의 세부 외형도.
제8도는 제6도에 도시된 액정표시부의 세부 외형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를 차량에 설치한 일예.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주화면의 예.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선택화면의 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교통정보제공시스템2:무선호출시스템
3-1∼3-N: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를 부착한 차량
10:무선호출수신부11:고주파 증폭기
12-1,12-2:대역통과여파기13-1,13-2:혼합기
14:중간주파증폭기15-1,15-2:국부발진기
16:저역통과여파기
17:데이타추출기20:중앙제어부
22:데이타정합부24:주제어부
26:주변장치인터페이스부30:메모리부
40:액정표시부50:조작판넬
60:전원부62:액정표시판
63:밝기조정스위치64:명암스위치
66:시스템주장치82:온/오프 스위치
84:액정지지대
본 발명은 무선호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원하는 지역의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는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차량보유수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정체구간이 빈발하고, 교통사고로 인해 교통체증이 심각해짐에 따라 진행 예정구간에 대한 교통정보를 미리 검색하여 정체구간에서는 우회로를 찾을 필요성이 점증하는 바, 종래에 있어서 교통정보를 입수할 수 있는 정보채널은 주로 교통방송에 의존하였다.
즉, 종래에는 진행예정방향에 대한 교통정보는 시경의 교통관제센타에 상주하는 교통방송의 통신원이나 각 지역 현장에 위치하는 교통방송의 통신원이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교통정보를 교통방송을 통해서 제공받는 것이었고, 따라서 교통방송을 통해 교통정보를 얻고자 하는 청취자는 계속 교통방송을 청취하면서 자신이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한 교통정보가 방송되길 기다려야 했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특정지역에 대한 교통정보가 방송된 다음 다시 해당지역에 대한 교통정보가 언제 제공될지 모르기 때문에 방송내용에 신경을 써야 하므로 정신집중이 안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며, 교통방송을 청취중에는 다른 방송이나 카세트 등을 들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호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역별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속 제공할 수 있는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통정보 서비스방법은, 교통정보제공시스템에 의해 지역별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가공하는 교통정보 수집단계(S1); 가공된 교통정보를 지역에 따라 캡코드로 구분하여 변조한 후 무선호출시스템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단계(S2); 송신된 무선신호를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로 수신하여 복조한 후 지역별 교통정보로 복원하여 저장하는 무선수신단계(S3); 및 저장된 지역별 교통정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표시하는 교통정보 표시단계(S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는, 지역별 교통정보를 수집/가공하여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무선호출시스템을 통해 송신하여 교통정보서비스 가입자에게 지역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정보 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교통정보가 실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교통정보데이타를 출력하는 무선호출수신부(10); 수신된 교통정보 데이타를 지역별로 저장하는 메모리부(30); 지역별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40); 사용자가 누른 키를 입력하는 조작판넬(50); 및 상기 무선호출수신부(10)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판넬(50)로 특정지역의 교통정보를 요구하면 해당 지역의 교통정보를 상기 액정표시부(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로서, 교통정보를 수집/가공하여 제공하는 교통정보제공시스템(1)과, 상기 교통정보제공시스템(1)으로부터 입력된 교통정보를 다수의 서비스 가입자에게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호출시스템(2) 및 무선호출시스템(2)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후 서비스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교통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교통정보단말기를 부착한 차량(3-1∼3-N)으로 이루어져 교통정보제공자가 제공하는 교통정보를 무선호출사업자의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여 교통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 서비스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지역별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가공하여 제공하는 교통정보수집단계(S1)와, 가공된 교통정보를 지역에 따라 캡코드(Cap code)로 구분하여 변조한 후 무선호출시스템의 송신기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단계(S2)와, 송신된 무선신호를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로 수신하여 복조한 후 교통정보데이타로 복원하여 지역별로 저장하는 무선수신단계(S3)와, 저장된 지역별 정보데이타를 독출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표시하는 교통정보 표시단계(S4)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예에서는 교통이 복잡한 서울, 인천 및 경기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별 교통정보를 다음 표 1과 같이 캡코드를 할당하여 구분한다.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서비스의 예에서는 서울경기지역을 64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각 지역에 고유의 캡코드를 할당하고, 할당된 캡코드에 해당지역의 교통정보를 실어 무선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교통정보제공시스템은 각 지역에 상주(또는 위치)하는 통신원(또는 장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각 지역별 교통정보(예를 들면, 정체구간, 사고지점 등과 같은)를 수집하여 가공하고, 가공된 교통정보를 무선호출시스템으로 전송하여 POCSAG 포맷과 같이 규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반송파에 실어 무선으로 송신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무선호출수신기의 원리와 컴퓨팅기술을 접목한 정보저장 단말기기인 바, 무선통신사업자가 송신한 교통정보가 실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교통정보데이타를 출력하는 무선호출수신부(10), 수신된 지역별 교통정보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0), 지역별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40), 사용자가 누른 키를 입력하는 조작판넬(50) 및 상기 무선호출수신부(10)의 출력을 입력하여 메모리(30)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조작판넬(50)로 교통정보를 요구하면 해당지역의 교통정보를 액정표시부(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0) 및 차량의 밧데리전원을 입력하여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장치는 개인용컴퓨터의 하드웨어에 페이져(PAGER) 기술을 응용한 무선호출수신부를 추가하고, 복잡한 키보드 대신에 기능키와 숫자 키패드로 구성된 콤팩트한 조작판넬을 사용하도록 된 것이다.
제3도에 있어서, 메모리부(30)는 일반 노트북 컴퓨터에 실장되는 HDD를 사용하고, 보조 메모리장치로는 3.5인치 FDD를 사용한다. 이때 보조메모리장치는 교통지도의 기능보완 및 프로그램보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60)는 자동차의 밧데리전원인 직류 24V 또는 12V 연결단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원부(60)에는 충전식 밧데리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전원이 들어올 경우에는 내장된 밧데리를 충전시키고, 자동차의 전원이 꺼질 경우에는 자동차의 밧데리 대신에 상기 내장된 밧데리로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자동차의 전원이 꺼(OFF) 있을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주장치는 계속 교통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된 데이타를 업데이트해야 하므로, 이때 주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Vcc)을 전원부(60)의 밧데리가 공급토록 한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무선호출 수신부의 상세 블럭도로서, 안테나(ANT)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증폭기(RF AMP:11)와, 고주파증폭기(11)의 출력에서 필요한 주파수대역만 통과시키는 제1대역통과여파기(B.P.F1:12-1)와, 제1국부발진기(L.O 1:15-1)와, 제1대역통과여파기(12-1)의 출력을 제1국부발진신호와 혼합하는 제1믹서(13-1)와, 제1믹서(13-1)의 출력에서 중간주파(IF)대역만 통과시키는 제2대역통과여파기(B.P.F2:12-2)와, 제2대역통과여파기(12-2)의 출력을 증폭하는 중간주파증폭기(14)와, 제2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제2국부발진기(L.O 2:15-2)와, 중간주파증폭기(14)의 출력을 제2국부발진신호와 혼합하는 제2믹서(13-2)와, 제2믹서(13-2)의 출력에서 기저대역만 통과시키는 저역통과여파기(L.P.F:16)와, 저역통과여파기(16)의 출력을 디지탈 데이타(Data)로 복원하는 데이타추출기(17)로 이루어진다.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중앙제어부의 상세블럭도로서, 무선호출수신부(10)로부터 복원된 디지탈 데이타를 입력하여 주제어부(24)에 적합하도록 매칭하는 데이타정합부(22)와, 데이타정합부(22)의 출력을 입력하여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6)를 통해 메모리부(30)에 저장토록 제어하거나 조작판넬(50)의 키입력에 따라 액정표시부(40)에 표시토록 제어하는 주제어부(2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중앙제어부(20)는 개인용컴퓨터의 주기판(Main Board)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호출수신부(10)로부터 인입되는 64개 지역의 교통정보 데이타를 메모리부(30)의 해당 저장장소에 저장하고, 조작판넬(50)을 통해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정보검색 요구에 따라 저장된 교통정보데이타를 그래픽으로 처리하여 액정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주제어부(24)는 인텔사의 i486프로세서나 모토롤라사의 MC68030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의 외형도로서, 액정표시부(40)의 화면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해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현된 밝기조정스위치(63)와, 화면의 명암을 조절하기 위해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현된 명암조정스위치(64), 이들 스위치들(63,64)을 포함하며 액정표시부(40)를 보호하는 액정표시판(62)과, 무선호출수신부(10), 중앙제어장부(20), 메모리부(30) 및 전원부(60) 등의 하드웨어기판을 내장하는 시스템주장치(66)와, 조작판넬(50)로 이루어진다.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조작판넬의 세부 외형도로서, 동작중 램프(LED1), 로우 밧데리 램프(LED2), 프로그램버튼(FC01∼FC06) 및 채널버튼(0∼9)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작판넬(50)은 초소형으로 설계되어 자동차의 옵션슬롯에 장착될 수도 있고, 액정표시판(62)의 밑면에 구성된 슬롯에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버튼(FC01∼FC06)은 초기화면의 설치과정과 화면확대 및 축소, 다음 화면으로 전환 및 주화면 복귀, 전화면 복귀 등과 같이 프로그램에서 정의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로 활용되며, 필요에 따라 임의로 기능을 설정할 수 있고, 채널버튼(0∼9)은 0∼9까지 10개의 숫자 키패드로 구성되어 교통정보를 얻고자 하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작중램프(LED1)는 자동차의 시동을 켠 후 본 발명의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연두색으로 점등되어 정상동작상태를 표시하고, 로우밧데리램프(LED2)는 본 발명의 전원부(60)에서 사용되는 밧데리의 충전전류가 모자랄 경우에 적색으로 점등되어 밧데리의 비정상 상태를 나타낸다.
제8도는 제6도에 도시된 액정표시판의 세부 외형도로서, 밝기조정스위치(63), 명암조정스위치(64), 중앙제어부(20)의 그래픽처리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표시해 주는 액정표시화면(40), 액정표시부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는 온/오프스위치(82) 및 액정표시화면을 지지하는 액정지지대(84)로 이루어진다.
제8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부(40)는 칼라액정 또는 모노액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노트북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정표시판의 사이즈는 8인치이고, 칼라 LCD를 사용하며 그래픽 처리된 화면을 보여준다. 또한, 액정지지대(84)는 조작판넬(50)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액정표시판(62)을 접었을 때는 보호용 커버로 사용될 수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를 차량에 설치한 일예로서, 액정표시부(40)가 포함되는 액정표시 케이스는 운전석 근처의 핸들 옆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LCD 화면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조작판넬(50)은 자동차의 옵션 슬롯이나 액정표시부의 지지대 케이스에 실장하고, 시스템주장치(66)는 뒷자리 근처나 운전석 밑에 설치한다.
제9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를 차량에 설치하는 방법의 예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자동차 후면부 또는 운전석 밑부분에 시스템주장치(66)를 장착한다. 이때 자동차 후면부에 설치할 경우 주장치(66)로부터 액정표시판(62) 및 조작판넬(50)로 연결되는 신호선은 자동차의 시트 밑으로 연결한다.
2) 자동차의 전원연결부에 시스템 주장치에서 제공하는 연결구를 접속한다.
3) 자동차의 운전석에서 운전을 방해받지 않고 화면이 잘 보이는 지점에 액정표시판(62)을 설치한다.
4) 자동차의 라디오 등을 설치하는 옵션슬롯을 활용하여 조작판넬(50)을 설치한다. 만약 옵션슬롯이 없을 때는 액정표시판 밑의 지지대에 조작판넬(50)을 장착한다.
5) 자동차 시동을 켜고, 시스템 주장치에 전원을 넣는다.
6) 액정표시판에 설치화면이 제공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잠금번호로 사용되는 자신의 비밀번호 및 차량번호를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차량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의 동작을, 표 1과 같이 캡코드를 할당하여 지역을 구분하고, 표 2와 같이 지역코드를 할당하여 특정지역의 교통정보를 검색하는 예를 들어 제10도의 흐름도에 따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제2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수신단계(S3)에서는 교통정보가 실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표 1과 같이 캡코드에 따라 할당된 각 지역별로 구분하여 메모리에 계속 저장 및 업데이트하고 있다가, 교통정보 표시단계(S4)에서는 사용자가 액정표시부의 전원스위치(82)를 온한 후 조작판넬(50)의 키패드를 통해 교통정보를 보기를 원하면 해당지역의 교통정보를 표시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표시단계(S4)는 전원이 온되면 주화면을 표시하는 단계(400∼406); 및 주화면의 지시에 따라 지역코드와 선택기능키가 입력되면 해당지역의 선택화면을 표시하는 단계(410∼4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축소키가 입력되면 이전의 주화면을 표시하는 단계(402,403)와, 확대키가 입력되면 다음 주화면을 표시하는 단계(404,405)와, 지역선택코드가 입력되면 해당 지역의 선택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406)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축소키가 입력되면 이전의 선택화면을 표시하는 단계(411,412와, 확대키가 입력되면 다음 선택화면을 표시하는 단계(413,414)와, 종료키가 입력되면 최초의 주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415)를 포함한다.
제10도에 있어서, 참조번호 400단계에서는 액정표시부의 전원이 온되었는지를 검사하여 온되었으면, 401단계에서 '주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이 온된 다음에 최초로 표시되는 '주 화면'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울지역부터 순서대로 지역선택코드를 보여주고, 프로그램버튼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다음 '주 화면' 또는 이전 '주 화면'을 보여준다. 402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주화면에서 지시하는 내용에 따라 이전화면을 보고자 축소키(FC03)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여 축소화면 기능키(FC03)가 입력되면, 403단계에서 이전의 '주 화면'을 선택하고, 401단계로 돌아가 선택된 '주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404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주 화면'에서 지시하는 내용에 따라 다음 화면을 보고자 확대키(FC02)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여 확대화면 기능키(FC02)가 입력되면, 405단계에서 다음의 '주 화면'을 선택하고, 401단계로 돌아가 선택된 '주 화면'을 표시한다. 406단계에서는 '주 화면'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가 지역선택코드와 선택키(FC01)를 입력하면, 410단계에서 선택된 지역의 교통정보를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화면'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다음 표 2와 같이 지역선택코드가 할당되었을 경우 조작판넬의 채널버튼으로 20과 선택키(FC01)를 입력하면, 제12도와 같이 종로구의 교통정보를 선택하여 보여준다. '선택화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화면이 표시하는 교통정보를 보고서 정체구간에서는 우회로를 택한다던지 하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411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화면'에서 지시하는 내용에 따라 이전화면을 보고자 전화면키(FC04)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여 전화면 기능키(FC04)가 입력되면, 412단계에서 이전의 '선택화면'을 선택하고, 410단계로 돌아가 해당 '선택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413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화면'에서 지시하는 내용에 따라 다음 화면을 보고자 확대키(FC02)를 입력하는 지를 판단하여 확대화면 기능키(FC02)가 입력되면, 414단계에서 다음의 '선택화면'을 표시한다. 415단계에서는 해당 지역에 대한 교통정보를 충분히 인지한 후, '주 화면'으로 돌아가고자 화면의 지시에 따라 종료키(FC06)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종료키(FC06)가 입력되면, 401단계로 돌아가 처음의 '주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서울지역은 001∼022까지의 지역선택코드를 할당하여 지역을 구단위로 구분하고, 인천지역은 101∼106까지의 지역선택코드를 할당하여 지역을 구단위로 구분하고, 경기지역은 201∼238까지의 지역 선택코드를 할당하여 시 및 군단위로 지역을 구분한다. 따라서 해당지역의 교통정보를 알고싶으면, '주 화면'의 지시에 따라 해당지역의 지역선택코드를 조작판넬의 숫자키로 입력하고, 선택키(FC01)를 누르면 된다.
제11도는 제10도에서 설명된 운용시 주화면의 일예로서, 참조번호 100은 프로그램버튼의 기능을 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바를 나타내고,110은 지역별 선택코드를 보여주는 윈도우이고, 120은 도움말 기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내용을 표시하는 윈도우이고, 130은 지역 선택코드 입력을 요구하는 도움말의 윈도우이고, 140은 사용자가 조작판넬을 통해 선택하는 지역선택코드를 표시하고, 150은 지역별선택코드에 대한 페이지 업 또는 페이지 다운의 스크롤을 보여주는 윈도우이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조작판넬의 FC01은 선택기능으로, FC02는 확대 기능으로, FC03은 축소기능으로, FC04는 전화면기능으로, FC05는 도움말기능으로, FC06은 종료기능으로 정의되었고, 이러한 기능키의 정의는 프로그램을 변경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120에서는 지역코드를 선택하십시요. 다음 지역을 보고 싶으시면 확대(FC02)버튼을, 전화면을 보고 싶으시면 축소(FC01)버튼을 누르십시요'라는 지시문을 표시하고, 130에서는 지역코드 3자리와 선택(FC01)버튼을 누르십시요라는 지시문을 표시하고, 140에서는 사용자가 누른 지역코드를 표시한다.
제12도는 제10도에서 설명된 선택화면의 예로서, 주화면상에서 조작판넬을 통해 지역코드와 선택버튼을 누르면 해당 지역의 선택화면이 표시된다. 이러한 선택화면은 각 지역별 주요건물을 표시한 도로망을 보여주고, 지금현재의 교통상황을 표시하게 된다.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선택된 지역의 도로상의 교통정보는 간략화된 지도(230)와 함께 현재의 교통상황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교통상황은 정체, 혼잡, 정상, 사고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바, '정체'는 자동차의 시속이 약 20Km/h 미만으로 움직임이 거의 없는 경우를 말하며 칼라모니터일 경우에는 붉은 색으로 표시되고, 흑색모니터인 경우는 검은색 실선으로 표시된다. 또한, '혼잡'은 자동차의 이동속도가 시속 약 20∼40Km/h를 의미하고, 칼라모니터에서는 파란색으로 표시하고 흑백모니터에서는 사선으로 나타낸다. '정상'은 도로상에서 약 40Km/h 이상의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간으로, 도로상에 별도의 표시를 하지 않고, '사고'는 교통사고가 발생한 지점에다 별표(★)로 표시하여 나타낸다. 화살표의 방향은 진행방향을 표시한다.
한편, 교통상황판(240)은 선택된 지역에 대한 주요 교통정보를 문자로 제공하고, 널리 알려진 주요건물과 같은 이정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며, 정체 및 사고지점을 표시한다. 또한, 교통상황판(240)은 현재시간으로부터 약 1시간 이내의 주요 교통정보를 표시한다.
제12도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00은 주화면과 동일한 선택 메뉴바를 나타내고, 210은 다음 화면의 선택을 원하시면 확대(FC02), 주화면으로 복귀하고 싶으시면 종료(FC06), 전화면의 선택을 원하시면 전화면(FC04)버튼을 누르십시요라는 지시문을 표시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도록 하고, 220은 종로구(1)의 교통정보를 보여주는 것을 나타내고, 230은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도로교통정보를 보여주고, 240은 해당지역에대한 주요교통정보를 문자로 표시하여 주는 '교통상황판'을 나타내고, 250에서는 사고지역을 나타내고, 260에서는 정체지역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12도에 도시된 화면으로부터 종로구(1)의 종로 3가 탑골공원앞에서 교통사고 발생하였고, 교보문고앞에서 정체가 심하다는 교통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호출시스템을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정보서비스분야에 사용되어 지역별 교통정보를 제공하므로써 원하는 교통 소통을 가능케 하여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지역별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가공하여 제공하는 교통정보 수집단계(S1)와; 가공된 교통정보를 지역에 따라 캡코드로 구분하여 변조한 후 무선호출사업자의 송신기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무선송신단계(S2); 송신된 무선신호를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로 수신하여 복조한 후 지역별 교통정보로 복원하여 저장하는 무선수신단계(S3); 및 전원이 온되면 주화면을 표시하는 단계(400∼406)와, 상기 주화면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지역코드와 선택 기능키가 입력되면 해당 지역의 교통정보를 보여주는 선택화면을 표시하는 단계(410∼415)로 이루어진 교통정보 표시단계(S4)를 구비한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 서비스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을 표시하는 단계(400∼406)는 축소키가 입력되면 이전의 주화면을 표시하는 단계(402,403)와, 확대키가 입력되면 다음 주화면을 표시하는 단계(404,405)와, 지역선택코드가 입력되면 해당 지역의 선택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4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 서비스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화면을 표시하는 단계(410∼415)는 축소키가 입력되면 이전의 선택화면을 표시하는 단계(411,412)와, 확대키가 입력되면 다음 선택화면을 표시하는 단계(413,414)와, 종료키가 입력되면 최초의 주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4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 서비스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화면은 해당지역의 교통지도를 그래픽으로 처리하여 정체구간은 적색 또는 실선으로 표시하고, 혼잡구간은 청색 또는 파단선으로 표시하고, 사고지점은 별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 서비스방법.
  5. 지역별 교통정보를 수집/가공하여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무선호출 시스템을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여 교통정보 서비스 가입자에게 지역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정보 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시스템을 통해 송신된, 교통정보가 실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교통정보 데이타를 재생하는 무선호출수신부(10); 상기 재생된 교통정보 데이타를 제어신호에 따라 지역별로 저장하는 메모리부(30); 제어신호에 따라 지역별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40); 사용자가 누른 키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판넬(50); 및 상기 무선호출수신부(10)로부터 교통정보 데이타를 입력받아 캡코드를 해석하여 지역별로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부(30)에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판넬(50)로 특정지역의 교통정보를 요구하면 해당 지역의 교통정보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부(30)로부터 읽어와 해당 지역의 교통상황을 그래픽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액정표시부(40)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중앙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동차량에 설치되어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검색용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검색용 단말기는 자동차의 밧데리전원으로 내장된 밧데리를 충전시키고, 이 충전된 밧데리에 의해 상기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수신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증폭기(11)와, 상기 고주파증폭기(11)의 출력에서 소정의 주파수대역만 통과시키는 제1대역통과 여파기(12-1)와, 소정의 제1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제1국부발진기(15-1)와, 상기 제1대역통과 여파기(12-1)의 출력을 상기 제1국부발진신호와 혼합하는 제1믹서(13-1)와, 상기 제1믹서(13-1)의 출력에서 중간주파수대역만 통과시키는 제2대역통과 여파기(12-2)와, 상기 제2대역통과 여파기(12-2)의 출력을 증폭하는 중간주파증폭기(14)와, 소정의 제2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제2국부발진기(15-2)와, 상기 중간주파증폭기(14)의 출력을 상기 제2국부발진신호와 혼합하는 제2믹서(13-2)와, 상기 제2믹서(13-2)의 출력에서 기저대역만 통과시키는 저역통과 여파기(16)와, 상기 저역통과 여파기(16)의 출력을 디지탈 데이타로 복원하는 데이타추출기(1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검색용 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판넬(50)은 기능이 정의된 프로그램버튼(FC01∼FC06)과, 지역선택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채널버튼(0∼9)과, 동작상태 및 배터리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ED1,LED2)로 구성되어 차량의 옵션슬롯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검색용 단말기.
KR1019940022765A 1994-09-09 1994-09-09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 KR0138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765A KR0138465B1 (ko) 1994-09-09 1994-09-09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765A KR0138465B1 (ko) 1994-09-09 1994-09-09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760A KR960011760A (ko) 1996-04-20
KR0138465B1 true KR0138465B1 (ko) 1998-06-15

Family

ID=1939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765A KR0138465B1 (ko) 1994-09-09 1994-09-09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920A (ko) * 1999-10-28 2001-05-15 이우식 실시간 교통상황 안내 시스템
KR20030020508A (ko) * 2001-08-29 2003-03-10 조성윤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KR100912347B1 (ko) * 2002-09-28 2009-08-14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단말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760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3667B2 (en) Mobile telephone with receive only mode
CA1314076C (en) Nationwide display pager with location readout
US6952643B2 (en) Road traffic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US5579535A (e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supplemental information mode
US5850190A (en) Traffic information pager
US20150339007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P05937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selectable quick data access in a selective call receiver
US20050231393A1 (en) Traffic data acquistion system and method
US6201524B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scrolling method for use therewith
KR0138465B1 (ko) 무선호출을 이용한 교통정보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교통정보검색용 단말기
US20020052189A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5835026A (en) Commuter information pager
JP4120126B2 (ja) 車載端末装置および通信機
JP2010149742A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3771970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3103690B2 (ja) 自動車用情報提供装置
JPH06188769A (ja) 画像表示型fm多重放送受信機
KR100347129B1 (ko) 데이터 무선채널 및 블루투스 송수신 기능을 겸비한개인용 통신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KR19990027526U (ko) 인터넷 기능을 가지는 네비게이션 및 카 티브이 시스템
KR100434475B1 (ko) 휴대폰의 무선 정보 서비스 수신장치와 방법
KR100304831B1 (ko) 교통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JP3288449B2 (ja) 道路交通情報表示装置
JP3586757B2 (ja) 地図表示装置及び地図状態報知方法
KR20020074038A (ko) 도로 정체 표시 시스템
JP3050935U (ja) 道路交通情報の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