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375B1 - 서브코드 큐(q)채널을 이용한 문자정보 기록 및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서브코드 큐(q)채널을 이용한 문자정보 기록 및 표시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375B1
KR0138375B1 KR1019920020332A KR920020332A KR0138375B1 KR 0138375 B1 KR0138375 B1 KR 0138375B1 KR 1019920020332 A KR1019920020332 A KR 1019920020332A KR 920020332 A KR920020332 A KR 920020332A KR 0138375 B1 KR0138375 B1 KR 0138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code
information
character information
channel
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035A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2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375B1/ko
Publication of KR940010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정보를 기록 및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브코드(sub code) Q채널을 이용하여 문자정보를 기록 및 표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컴팩트 디스크(CD)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코드중 서브코드 큐(Q)채널의 데이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방법이 서브코드 큐채널의 동기신호의 검출여부를 판단하는 동기신호 검출단계; 상기 동기신호 검출단계에서의 동기신호의 검출에 따라 서브코드 큐채널에 기록된 제어정보 데이타를 판독하는 제어정보 판독단계; 판독된 제어정보중 어드레스가 소정의 특정모드를 표시하는 가의 여부와 카운트가 일정범위내인가를 판단하는 제어정보 판단단계; 상기 제어정보 판단단계에 따라 서브코드 큐채널에 기록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판독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문자정보 저장단계; 및 상기 문자정보 저장단계에서 데이타의 저장이 종결되면 해당 문자정보 데이타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문자정보 데이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코드 큐채널의 문자정보 표시방법과 컴팩트 디스크의 서브코드 큐채널에 부호화된 모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코드 큐채널에 소정의 특정모드를 표시하는 어드레스정보, 상기 해당 어드레스정보의 카운트의 실행을 표시하는 카운트정보 및 이에 따른 문자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코드 큐채널의 문자정보 기록방법이다.

Description

서브코드 큐(Q)채널을 이용한 문자정보 기록 및 표시방법
제1도는 서브코드 프레임포맷을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서브코드의 구성도.
제3도는 서브코드 큐(Q)채널의 데이타 포맷.
제4A,4B도는 서브코드 Q채널의 모드1의 데이타 포맷.
제5도는 서브코드 Q채널의 모드2의 데이타 포맷.
제6도는 서브코드 Q채널의 모드3의 데이타 포맷.
제7A 내지 7E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코드 Q채널의 데이타 포맷.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정보 표시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k; 이하 CD라함)의 문자정보를 기록 및 기록된 문자정보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힐 서브코드(sub code) Q채널을 이용하여 문자정보를 기록 및 표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CD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서 CD에는 일정한 형식의 신호포맷이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CD방식의 신호에 서브코드라고 부르는 8비트로 구성되는 하나의 심볼이 1프레임에 붙어 한개 기록되어 있으며 이 8비트의 목적은 크게 2가지이다. 첫째, 곡의 서두나 새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재생하는 프로그램 기능을 가지게하고, 2) CD에 기록된 정보의 디스플레이등 이제까지의 LP에서는 불가능했던 각종 다양한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8비트의 데이타를 P, Q, R, S, T, U, V, W라하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이와같은 8비트의 데이타들의 첫번째의 목적에는 P, Q의 2비트가 두번째의 목적에는 S에서 W가지의 6비트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컴팩드 디스크는 디스크 1장을 99부분으로 분할되어있어서 짧은 곡을 99곡까지 기록할 수 잇게 되어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이것을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지시받은 그대로 프로그램의 연주가 되도록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상기의 서브코드중에서 서브코드 P와 Q채널이다. P채널(제1도의 서브코드라고 씌여진 8비트 데이타 왼쪽끝의 1비트열)은 단순히 곡의 머리 부분만을 나타내는데 머리 부분은 1, 그이외는 0으로 부호화 되어있다. 이 1의 시간은 적어도 2초가 필요하다. 단순히 P신호만을 보는 것으로 픽업을 빨리 보내면서 머리부분 검출을 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리고, Q채널(제1도의 서브코드 왼쪽에서 2비트째의 1열)의 사용은 플레이어에 보다 고도의 기능을 갖추게할 수가 있다. 이러한 Q채널의 일반적인 포맷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Q채널을 구성하는 각 비트들의 성질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Q채널중 앞의 2비트를 차지하는 So 와 S1은 서브코드의 동기신호로서 다음과 같은 패턴을 가진다.
So = 0 0 1 0 0 0 0 0 0 0 0 0 0 1
S1 = 0 0 0 0 0 0 0 0 0 1 0 0 1 0
그리고 콘트롤비트는 4비트로 표시하는데 이곳은 오디오의 채널수, 엠퍼시스(emphasis)의 유무등을 나타낸다. CD방식에서는 프리 엠퍼시스(pre-emphasis)는 특성이 이미 결정되어 있고 디엠퍼시스(de-emphasis)는 물론 프리엠퍼시스의 역특성이다. 플레이어는 엠퍼시스가 걸려있는 음악에는 디엠퍼시스의 회로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되어있으며,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이 회로를 끊도록 되어있다. CD방식에서는 서브코드의 Q채널의 신호를 검출하여 이 디엠퍼시스의 온/오프를 자동적으로 행한다. 참고로 큰트롤데이타의 4비트를 살펴보면, 4비트는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다.
0 0 0 0 : 프리 엠퍼시스가 걸려있지 않은 2채널의 음향신호
1 0 0 0 : 프리 엠퍼시스가 걸려있지 않은 4채널의 음향신호
0 0 0 1 : 프리 엠퍼시스가 걸려있는 2채널의 음향신호
1 0 0 1 :프리 엠퍼시스가 걸려있는 4채널의 음향신호.
그리고 어드레스데이타는 4비트로 표시되며, 현재 사용되는 것은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3가지의 경우가 있다. 이중에서 제4A, 4B도는 모드1을 표시하는 것으로 리드인(LEAD_IN)트랙과 음악, 리드아우트(LEAD_OUT)트랙에서의 데이타포맷을 도시하는 것이고 제5도는 모드2의 데이타포맷을, 제6도는 모드3의 데이타포맷을 도시한 도이다.
상기와 같은 모드를 표시하는 다음과 같은 값이 어드레스의 위치에 나타난다.
모드 1 -- 0 0 0 1모드 2 -- 0 0 1 0
모드 3 -- 0 0 1 1
상기의 모드중에서 대개의 경우는 모드 1의 형태로 부호화되어 있으며 기록정보의 내용은 뮤직번호(TNO), 디스크의 목차(POINT, PMIN(분), PSEC(초), PFRAME(프레임)), 현재의 기록번호(FRAME), 곡의 연주시간(MIN, SEC, FRAME), 인덱스(X)등이 표시이고, 이것은 Q채널의 구성이 10개 계속되어 있는 것중 적어도 9개 이상이 이 패턴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안되도록 되어있다.
다른 두가지의 경우는 즉 모드 2의 경우에는 디스크의 카탈로그넘버, 모드 3의 경우에는 국가코드, 사용자코드, 녹음연도, 녹음의 시리얼 코드등이 표시되어있다.
이와 같이 현재에 사용되고 있는 큐채널의 모드1, 모드2 와 모드3은 플레이어에 있어서 기록된 내용과의 실질적인 관계를 가지는 않는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그리고 데이타의 내용은 위에서 언급된 이 어드레스(모드)에 따라 달라지므로 여기서는 어드레스가 0 0 0 1인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면, 이 경우의 72비트의 내용은 제3도와 같이 된다. 최초의 8비트는 몇곡째인가를 표시하고 2디지트의 BCD로 나타나며 표현할 수 있는 최대값은 99이다. 다음의 8비트는 앞의 8비트에서 표시된 한곡에 대해 더욱 분할할때 쓰여지며 역시 한곡을 99가지 분할할 수 있다. 다음의 24비트는 그 1곡의 몇분 몇초, 몇 프레임째인가가 각각 2디지트의 BCD로 표시되어 있다.
그 다음의 8비트는 0이 아니면 안된다. 그 바로 뒤에는 24비트로 이것은 디스크 1매에서의 절대적인 타임코우드이다. 8비트 각각 분, 초, 프레임이 표시되는데 0은 물론 디스크의 가장 안에 있는 원둘레로 음악이 시작되는 곳이다.
지금까지의 내용은 프로그램 에리어라고 부르는, 음악이 들어가 있는 곳이었으나, 이 앞의 리드인(lead in)이라고 부르는 곳의 누계로서의 타임 코우드가 들어있는 24비트의 내용는 TOC(Table Of Contents)라고 부르는 디스크의 색인 기록되어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디스크에 들어있는 전체의 곳에 대해, 차례로 그 곡이 시작되는 타임 코우드의 값(몇곡째는 몇분 몇초, 몇 프레임에서 부터 시작한다는 식으로)
(2) 디스크의 최초의 곡과 최후의 곡의 번호(예를들면, 1곡째에서 부터 시작하여 6곡째가 마지막이라는 식으로)
(3) 곡이 완전히 끝나는, 즉 최후의 곡의 최후타임 코우드(예를 들면, 55분 41초, 12프로엠에서 끝난다는 식으로)
플레이어는 최초로 이 TOC의 내용을 읽을 수 있으며, Q채널에 주어진 상세한 타임 코우드를 사용하여 픽업을 동작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처리는 CD방식의 플레이어에 탑재되어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행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CD의 서브코드의 Q채널에 부호화된 모드 1, 모드 2 및 모드 3을 이용하여 기록한 데이타 포맷에 의하여 제한된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코드의 Q채널에 부호화된 문자정보를 일정한 형식의 데이타 포맷으로 디스크에 기록하고 CD시스템에서 이 문자정보를 읽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트랙에 대한 문자정보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정보의 기록 및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CD상에 기록될 수 있는 문자정보들은 예를 든다면, 곡의 명칭, 작사, 작곡, 연주, 노래하는 사람등의 명칭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각 트랙에 대한 제한된 정보의 전달을 해결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문자정보를 전달하고자 새로운 데이타포맷을 이용하여 정보의 효율적인 사용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브코드 Q채널을 이용한 문자정보의 표시방법은 컴팩트 디스크(CD)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코드중 서브코드 큐(Q)채널의 데이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방법이 서브코드 큐채널의 동기신호의 검출여부를 판단하는 동기신호 검출단계;
상기 동기신호 검출단계에서의 동기신호의 검출에 따라 서브코드 큐채널이 기록된 제어정보 데이타를 판독하는 제어정보 판독단계;
판독된 제어정보중 어드레스가 소정의 특정모드를 표시하는가의 여부와 카운트가 일정범위내인가를 판단하는 제어정보 판단단계;
상기 제어정보 판단단계에 따라 서브코드 큐채널에 기록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판독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문자정보 저장단계; 및
상기 문자정보 저장단계에서 데이타의 저장이 종결되면 해당 문자정보 데이타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문자정보 데이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브코드 큐채널의 기록방법은 컴팩트 디스크의 서브코드 큐채널에 부호화된 모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코드 큐채널에 소정의 특정모드를 표시하는 어드레스정보, 상기 해당 어드레스정보의 카운트의 실행을 표시하는 카운트정보 및 이에 따른 문자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서브코드 Q채널의 일반적인 데이타 포맷상의 어드레스(ADDRESS)(ADR)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4비트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콘트롤비트에 의하여 몇가지의 모드로 나뉘어지게 된다. 이 모드는 현재는 1, 2, 3 모드로 이루어져 있어서, 시간, 기록정보, 트랙번호 및 인덱스번호등의 일련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모드 9 (비트 1001)라는 고유의 영역을 형성하여 이 모드안에 새로운 기록정보를 데이타 포맷화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드 9에 의하여 기록되는 데이타 포맷은 제7A 내지 제7E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제7도에 도시된 포맷의 구성은 2비트로 구성되는 서브코드의 동기신호(So,S1), 4비트로 구성되는 제어비트(CONT), 4비트로 구성되어 모드를 지정하는 어드레스비트(ADR), 8비트로 구성되며 카운트값을 나타내는 카운트비트(COUNT), 총 48비트로 문자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분, 각각이 0의 값을 가지는 총 8비트의 제로비트, 기록번호를 기록하는 8비트의 프레임(AFRAME) 및 오류검출용의 16비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포맷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1) 이 모드는 디스크상에서 75개의 연속적인 서브코딩 블럭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블럭을 채택한다.
2) 이 모드는 뮤직트랙에서 유일한 문자정보를 부여하여 사용한다. 이때의 문자정보는 아스키(ASCII)코드를 이용하여 사용되어진다.
3) 아스키 코드로 이루어진 문자 데이타는 1트랙에 최대 30문자까지 기록한다.
4) 이 모드는 리드인(LEAD_IN)과 리드아우트(LEAD_OUT)부분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5) 카운트는 1서브코딩 블록에 1씩 카운트되며, 6개의 문자정보를 수록할 수가 있다.
6) 문자가 사용되지 않는 영역은 16진수 값 FF로 채워진다.
7) C1에서 C30까지의 기호는 아스키 코드에 의해서 8비트의 형태로 부호화된다.
이러한 모드는 상기의 데이타포맷의 규정에 의하여 CD상에 문자정보를 기록하고 제8도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동작하며 CD에 기록된 문자정보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록된 문자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전체적인 동작흐름은 서브코드 동기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210단계, 서브코드 Q채널의 일정데이타를 판독하는 제 220내지 제230단계, 판독된 서브코드 데이타가 본 발명에서의 모드9를 표시하는 가를 판단하는 제 240단계, 서브코드 큐채널중의 문자데이타를 판독 및 저장하는 제250 내지 제280단계, 및 판독된 문자데이타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제290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각각의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D로 부터 읽어들인 데이타에서 서브코드 Q채널의 동기신호(So,S1)가 발생하는 가를 판단한다(제210단계). 서브코드 Q채널의 동기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루틴에서 빠져 통상의 루틴을 처리하고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서브코드 Q채널의 데이타중 10비트를 판독한다(제220단계). 데이타의 판독후에는 해당 서브코드 Q채널의 데이타의 판독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한다(제230단계). 상기 제230단계에서 데이타의 판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타의 판독이 완료될때까지 제 220단계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데이타의 판독이 완결되면 해당 데이타의 어드레스비트를 검사하여 어드레스가 9(이진비트 1001)인가를 판단한다(제240단계). 어드레스 데이타가 9가 아닌 1,2 또는 3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이는 종래의 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문자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처리루틴과 관련이 없으므로 제300단계로 진행한다.
제240단계에서 어드레스가 9를 나타내는 경우 데이타포맷중에서 4비트로 구성되는 카운트의 값이 본 발명에서 설정하고 있는 1 내지 5의 값을 가지는 가를 판단한다(제250단계). 카운트값이 상기 값의 범위내가 아닌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의 문자정보 기록방법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본 처리 루틴에서 빠지고 해당 카운트가 상기 값의 범위내이면 문자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버퍼에 저장한다(제260단계).
판독된 데이타의 문자정보의 값이 종료를 표시하는 아스키코드중 FF인 경우(제270단계)에는 해당 버퍼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디스플레이에 전송하여 표시한다(제290단계).
그러나, 제270단계에서 문자정보의 값이 FF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타의 종료가 아니므로 카운트의 값이 5인가를 판단한다(제280단계). 제280단계에서 카운트의 값이 5인 경우를 체크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정보의 표시방법이 서브코드 Q채널을 5개의 포맷으로 나누어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카운트의 값이 5이면 지금까지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문자정보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전송하고(제290단계), 만약 카운트의 값이 5가 아닌 경우에는 제210단계로 복귀하여 지금까지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서브코드 Q채널을 이용한 문자정보 기록 및 표시방법은 종래의 서브코드 Q채널에 새로운 모드를 지정하여 문자정보를 기록 및 표시하여 더욱 많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컴팩트 디스크(CD)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코드중 서브코드 큐(Q)채널의 데이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방법이
    서브코드 큐채널의 동기신호의 검출여부를 판단하는 동기신호 검출단계;
    상기 동기신호 검출단계에서의 동기신호의 검출에 따라 서브코드 큐채널에 기록된 제어정보 데이타를 판독하는 제어정보 판독단계;
    판독된 제어정보중 어드레스가 소정의 특정모드를 표시하는 가의 여부와 카운트가 일정범위내인가를 판독하는 제어정보 판단단계;
    상기 제어정보 판독단계에 따라 서브코드 큐채널에 기록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판독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문자정보 저장단계; 및
    상기 문자정보 저장단계에서 데이타의 저장이 종결되면 해당 문자정보 데이타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문자정보 데이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코드 큐채널의 문자정보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서브코드 큐채널에 기록되는 제어정보 데이타중 어드레스는 9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코드 큐채널의 문자정보 표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서브코드 큐채널에 기록되는 제어정보 데이타중 카운트는 1 내지 5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코드 큐채널의 문자정보 표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문자정보의 종결을 위한 데이타는 아스키코드중 FF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코드 큐채널의 문자정보 표시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브코드 큐채널은 서브코드의 동기신호를 나타내는 2비트, 오디오의 채널수, 엠퍼시스의 유무등을 나타내는 4비트,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어드레스의 4비트, 카운트값을 표시하기 위한 8비트의 카운트비트, 문자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48비트, 각각이 0값을 가지는 8개의 제로비트, 기록번호를 기록하는 8비트의 프레임 및 오류검출부호(CRC)용의 16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코드 큐채널의 문자정보 표시방법.
  6. 컴팩트 디스크의 서브코드 큐채널에 부호화된 모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코드 큐채널에 소정의 특정모드를 표시하는 어드레스정보, 상기 해당 어드레스정보의 카운트의 실행을 표시하는 카운트정보 및 이에 따른 문자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코드 큐채널의 문자정보 기록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정보는 4비트로 형성되어 9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코드 큐채널의 문자정보 기록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정보는 4비트로 형성되어 1내지 5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코드 큐채널의 문자정보 기록방법.
KR1019920020332A 1992-10-31 1992-10-31 서브코드 큐(q)채널을 이용한 문자정보 기록 및 표시방법 KR0138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332A KR0138375B1 (ko) 1992-10-31 1992-10-31 서브코드 큐(q)채널을 이용한 문자정보 기록 및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332A KR0138375B1 (ko) 1992-10-31 1992-10-31 서브코드 큐(q)채널을 이용한 문자정보 기록 및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035A KR940010035A (ko) 1994-05-24
KR0138375B1 true KR0138375B1 (ko) 1998-05-15

Family

ID=1934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332A KR0138375B1 (ko) 1992-10-31 1992-10-31 서브코드 큐(q)채널을 이용한 문자정보 기록 및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3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035A (ko) 199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9596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KR100416874B1 (ko) 디스크형기록매체및이를재생하는방법및장치
JP3484838B2 (ja) 記録方法及び再生装置
EP0547218B1 (en) Audio record carrier and players for playing said record carrier
EP0165320A1 (en) Disk-shaped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same
USRE37808E1 (en) Disc recording medium having subsidiary data in which is stored an identifier
JP3915228B2 (ja) 再生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3796944B2 (ja) 再生方法、記録媒体およびコンピュータ
KR20040077447A (ko) 디스크의 데이터 액세스 제어 방법 및 디스크의 판별 방법
KR0138375B1 (ko) 서브코드 큐(q)채널을 이용한 문자정보 기록 및 표시방법
JP2857246B2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記録装置
JPH0877681A (ja) 複数記録媒体の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2808854B2 (ja) ディスク編集装置
JP3716514B2 (ja) 再生システム
KR19990007151A (ko) 사용자의 모국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재생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JP3419296B2 (ja) 光ディスク
JPH08227577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装置
JP2586603B2 (ja) 光ディスク
KR0129948B1 (ko) 고속시크를 위한 컴팩트 디스크 기록 및 고속시크방법
JPH11120707A (ja) ディスク媒体、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ディスク再生方法
KR100234258B1 (ko) 압축된 오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 방법
JPH02193317A (ja) 光ディスク
JPH0982035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US20050281165A1 (en) Copy protection of optical discs
KR0138144B1 (ko) 디스크 인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