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306Y1 -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 Google Patents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306Y1
KR0138306Y1 KR2019950000668U KR19950000668U KR0138306Y1 KR 0138306 Y1 KR0138306 Y1 KR 0138306Y1 KR 2019950000668 U KR2019950000668 U KR 2019950000668U KR 19950000668 U KR19950000668 U KR 19950000668U KR 0138306 Y1 KR0138306 Y1 KR 0138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ask
lens
frame
d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0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428U (ko
Inventor
다로 후지마
Original Assignee
요시자와 스스무
가부시키가이샤 다바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자와 스스무, 가부시키가이샤 다바타 filed Critical 요시자와 스스무
Publication of KR9600134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4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3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정화 밸브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에 그 시계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1)에 있어서, 정화 밸브(40)는 외주 프레임(8)의 정상부(11A)에서 좌우 양측부(11B)의 범위에 부착하고, 통형의 배수로(61)의 상단부 배출구는 본체 프레임(3)의 안쪽에 설치되어 배기·배수 가능하게 연결되고, 배수로(61)의 하단부 유입구는 본체 프레임(3)의 저부(11C)에 면하게 된다.

Description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제1도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마스크의 부분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마스크의 부분 파단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마스크의 부분 확대도.
제7도는 프레임 유지 부재의 중심선 단면도.
제8도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정면도.
제9도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0도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2 : 렌즈
3 : 본체 프레임 4 : 스트랩
5 : 렌즈 프레임 6 : 스커트
7 : 유지부 11A : 정상부
11B : 측부 11C : 저부(底部)
40,66 : 정화 밸브 61,63 : 배수로
본 고안은 스킨 다이빙(skin diving), 스쿠버 다이빙(scuba diving) 등의 다이빙에 있어서 다이버(diver)가 안면에 장착하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diving face mask)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내에 침입한 물과, 마스크내에 내뿜은 다이버의 배출 공기를 마스크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 밸브(purge valve)가 부착된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화 밸브가 부착된 이러한 마스크는, 대체로 마스크 앞면 중앙 부분에 전방으로 돌출하여 밸브실을 형성하는 원통부 또는 각통부(角筒部)를 구비하며, 이곳에 밸브가 부착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실개소 49-148700호 공보 및 미국 특허 제4,856,120호 공보에는 렌즈가 하나의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에 정화 밸브를 장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마스크 모두는 정화 밸브 후방에서 본체 프레임 부분을 안쪽으로 움푹 들어가게 함으로써 만든 코를 죄는 돌기를 지니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마스크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밸브실이 시계의 방해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착용자의 시선이 비스듬히 아래 방향으로 집중되면 그 밸브실이 시계로 들어온다. 또, 이 마스크가 밸브실의 바로 후방에 코를 죄는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라면 그 밸브실이 코를 죄는 조작에 방해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환언하면, 밸브실의 존재에 의하여 충분히 크고 조작하기 쉽게 코를 죄는 부분을 만들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화 밸브를 좌우 한쌍의 렌즈로 구성되는 마스크에도 부착시키고자 하는 다이버의 요구가 있다. 이렇게 부착시키려는 이유는, 이 밸브가 큰 효과를 달성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요구에 충분히 부응할 수 있는 기술은 여태까지 개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본체 프레임의 정상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이르는 범위에 정화 밸브를 설치하는 한편, 본체 프레임 안쪽에 통형의 배수로를 설치하고 이들 밸브와 배수로를 배기 및 배수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상기 종래 기술의 제문제를 해결하고 다이버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단은 아래와 같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정상부, 이 정상부의 양단에서 아래쪽으로 구부러지는 양측부, 이 정상부에 대향하고, 이 양측부에 연속하는 저부, 및 렌즈 유지부로 구성되는 렌즈 프레임과, 그 렌즈 유지부에서 후방으로 연재(延在)하는 통형의 스커트를 지니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렌즈 유지부에 유지되는 전면 렌즈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이것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해서 개방 가능한 정화 밸브를 설치한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를 전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제하에, 상기 정화 밸브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정상부에서 상기 양측부에 이르는 사이의 임의의 부위에 위치되며, 일단에 배출구를 타단에 유입구를 지니는 통형의 배수로를 상기 전면 렌즈의 안쪽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주를 따라 설치하고, 이 배출구를 상기 정화밸브로 연결하고 또한 이 유입구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저부에 임하게 하고 있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마스크가 한쌍의 전면 렌즈와 이 렌즈 사이에 개재하는 코를 죄는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마스크에는 상기 밸브를 정상부의 좌우 방향 중앙에 설치하고, 상기 렌즈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한 배수로 각각을 상기 밸브에 연결할 수 있다. 코를 죄는 부분 안쪽에는 상하 방향의 통상 배수로를 설치하고, 그 배수로의 상단부 배출구를 상기 정상부에 설치한 밸브에 연결하고, 하단부 유입구를 코를 죄는 부분의 저부 안쪽으로 면하게 할 수 있다. 이 고안의 마스크에는 또한 한쌍의 렌즈 각각에 대응하는 밸브와 배수로를 설치하여 그들 밸브와 배수로를 렌즈마다 연결할 수도 있다. 렌즈의 각각에 대응하는 밸브와 배수로를 설치한 이와 같은 마스크에서는 다시 정상부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밸브를 설치하는 동시에 코를 죄는 부분의 안쪽에 상하 방향의 배수로를 설치하고, 그 배수로의 상단부 배출구를 중앙부의 밸브에 연결하고 하단부 유입구를 코를 죄는 부분의 저부 안쪽으로 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하나의 전면 렌즈로 이루어지는 마스크일 수도 있다. 이러한 마스크에는 밸브를 마스크 본체 정상부의 좌우 방향 중앙에 설치하고, 배수로를 상기 렌즈의 좌우 어느 한쪽에 설치하여 그 상단부 배출구를 밸브에 연결하고, 하단부의 입구를 본체 저부 중앙으로 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스크는 또한, 밸브를 정상부의 좌우 각각에 하나씩 설치하고 배수로를 렌즈의 좌우 양쪽에 하나씩 설치하여 그 상단부 배출구를 아주 가까운 밸브에 연결하는 동시에 하단부의 유입구를 본체 저부의 좌우 각각에 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는 본체 프레임 안쪽에 저장된 물을 내뿜는 공기와 함께 배수로를 통하여 밸브에서 배출할 수 있다. 밸브는 본체 프레임의 정상부에서 좌우 양쪽에 이르는 범위내에 설치되어 있고, 환언하면 종래 기술과 같이 밸브실이 마스크 전면에 없으므로 밸브를 설치한 것에 의하여 착용자의 시계를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마스크가 좌우 한쌍의 렌즈를 지니는 경우에도 마스크의 기능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 없이 밸브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첨부 도면중 제1도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의 정면도이며, 제2도는 마스크의 좌측 프레임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1도와 같은 마스크의 정면도로서 좌측 프레임에는 외주 프레임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4도 및 제5도는 제1도의 A-A선,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제6도는 마스크 중앙부의 사시도로서, 프레임 유지 부재가 분리되어 있다.
제1도∼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는 좌우 대칭이며, 한쌍의 전면 렌즈(2)와, 렌즈(2)를 전방 부분에서 끼워 맞추고 그리고 후방 부분을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도록 채택된 본체 프레임(3)과, 본체 프레임(3)에 부착되어서 착용자의 머리에 걸 수 있는 스트랩(4)으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2)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만들어지고, 본체 프레임(3)에 대하여 전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수밀(水密)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3)은 경질 플라스틱제의 렌즈 프레임(5)과 유연한 고무 또는 플라스틱제의 통형의 스커트(6)로 이루어진다. 렌즈 프레임(5)은 좌우 한쌍의 렌즈 유지부(7)를 지니는 외부 프레임(8)과, 렌즈(2)를 지지하는 유지부(7)의 외주면에 전방에서 스냅식으로 계합하고 외주 프레임(8)으로부터 렌즈(2)의 탈락을 방지하는 좌우 한쌍의 내주 프레임(9)과, 외주 프레임(8)의 중앙부에 착탈이 가능하고 내주 프레임(9)이 외주 프레임(8)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프레임 유지 부재(10)로 구성된다.
외주 프레임(8)은 특히 제2도 및 제3도에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의 유지부(7)의 사이에 개재하는 중앙 연결부(12)와 유지부(7)의 주위를 이루는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벽(13)과, 주벽(周壁)(13)의 전단에서 약간 후방으로 접근한 위치의 내주면에서 돌출한 내측 플랜지부(14)를 지닌다. 플랜지부(14)는 그 전면의 전체 외부에 스커트(6)의 전연부를 압접하기 위한 환상 리브(15)를 지닌다. 이 리브(15)는 외부 프레임(8)의 정상부(11A)와 외측부(11B)를 따라 연재하는 1조의 리브(15A)와, 리브(15A)가 분기하여 2조가 되고, 외주 프레임의 저부(11C)와 내측부(11D)를 따라 연재하는 병행의 리브(15B,15C)로 구성된다. 리브(15B)와 (15C) 사이에 있어서 플랜지부(14)의 전면(16A)이 후방으로 움푹 파여 있고, 그들 리브(15B,15C)와 전면(16A)은 배수용의 홈(16)을 형성하고 있다. 홈(16)의 하단은 저부(11C)에 있어서 리브(15B)를 일부 절단함으로써 형성한 제1개구(17)를 통하여 본체 프레임(3)의 안쪽으로 통해 있고, 홈(16)의 상단은 연결부(12)에 설치한 마스크(1)의 밖으로 통하는 제2개구(18)에 연결되어 있다. 주벽(13)의 내주에 있어서, 플랜지부(14)에 전방 단부 가까기의 소요 부위에는 내주 프레임(9)을 계합시킬 수 있는 계합 오목부(19)와 마스크(1)의 전후 방향으로 뻗는 꼭지(20)가 형성되어 있다.
외주 프레임(8)의 중앙 연결부(12)는, 외부 프레임(8)의 정상부(11A)에 있어 후방을 향해서 활모양을 그리는 수평인 정면부(21)와, 하방을 향해서 역 V자형으로 퍼지는 거의 수직이고 평탄한 전면부(22)로 구성된다. 정면부(21)에는 그 중앙에 직사각형의 보스(21A)가, 그리고 보스(21A)의 좌우 양측에 좌우의 홈(16)으로 통하는 한쌍의 제2개구(18)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21A)에는 이것과 거의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인 투명한 구멍(41)을 중앙에 지니는 좌우 방향으로 긴 타원형의 정화 밸브(40)가 끼워 맞춰서 제2개구(18)를 덮고 있으며, 정화 밸브(40)의 하향의 주벽(42)은 정면부(21)에 수밀하게 맞닿아 있다. 정면부(21)의 좌우 양측 연부는, 프레임 유지 부재(10)의 측연부 형상에 맞추고, 또 주벽(13)보다 낮게 위치하고 있어 프레임 유지 부재(10)를 외주 프레임(8)에 부착하면 프레임 유지 부재(10)와 주벽(13)이 매끈한 면을 형성한다. 전면부(22)의 하단부에는 마스크(1)의 중심선 C-C 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꼭지(23)가 전방으로 돌출하고, 그 하단부의 양쪽은 좌우 각각의 주벽(13)에 연결되어 있다. 전면부(22)는 주벽(13)의 전방 단부 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외주 프레임(8)에 부착한 프레임 유지 부재(10)와 주벽(13)이 매끄럽게 연속한 면을 형성한다.
내주 프레임(9)은, 특히 제2도에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환상의 부재로서, 고리의 둘레 방향으로 잘린 부분(30)을 지니고, 이 잘린 부분(30)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1, 제2단부(9A,9B)가 고리의 안쪽으로, 즉 내부 프레임(9)의 지름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내부 프레임(9)의 외주면에는 외주 프레임(8)의 오목부(9)와 꼭지(20)에 각각 대응하는 계합 돌기(31)와 꼭지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꼭지 구멍(32)과 꼭지(20)는 서로 끼워 맞춤되어 내주 프레임(9)이 유지부(7)의 내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들(20,32)은 잘린 부분(30)의 근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주 프레임(9)에 있어서, 중심선 C-C 근처의 외주면으로 부터는 중심선 C-C까지 닿는 걸림부(33)가 연달아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33)의 후면(34)은 평탄하고, 연결부(12)의 전면부(22)에 맞닿는다. 걸림부(33)의 전면(35)에는 중심선 C-C에 평행인 단면 V자형의 홈(36)을 포함하고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융기부로 이루어지는 꼭지 형성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내주 프레임(9)을 유지부(7)에 끼워 맞춤시키면 좌우의 꼭지 형성부(37)의 측벽(38)이 중심선 C-C 상에서 서로 접합하고, 중앙 연결부(12)의 꼭지(23)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동일선(중심선 C-C) 상에 종방향으로 늘어서는 꼭지(39)를 형성한다(제6도 참조).
제7도는 중심선 C-C를 따라 취한 프레임 유지 부재(10)의 단면도이다. 제2도와 제7도에 있어서, 프레임 유지 부재(10)는 정상부(47), 전방부(48) 및 후방부(49)를 지닌다. 정상부(47)는 외주 프레임(8)에 있어서 좌우의 주벽부(13)의 정상부 측연(13A) 사이에 위치하여 중앙 연결부(12)의 정면부(21)를 덮고, 정화 밸브(40)에 이물질이 닿는 것을 방지한다. 정상부(47)의 내면에서는 정면부(21)의 보스(21A)를 향해서 보스(44)가 수직하게 정화 밸브(40)위에서 맞닿고, 정화 밸브(40)가 보스(21A)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보스(44)의 좌우 양쪽에는 투명한 구멍(46)이 형성되어 있고, 이것을 통해 프레임 유지 부재(10) 내외의 통기와 통수가 가능해진다. 전방부(48)는 정면도에 있어서 거의 T자형을 이루고(제1도 참조) 중앙 연결부(12)의 전면부(22)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전방부(48)의 내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꼭지 구멍(45)이 연재하고, 그 꼭지 구멍(45)은 중심선 C-C 위에 있어서 꼭지(23)과 (39)에 미끄럼 이동해서 착탈이 가능하다. 후방부(49)는 프레임 유지 부재(10)의 중심에서 좌우로 뻗을 정도의 낮은 벽으로서, 그 내면 형상이 정면부(21)의 후방의 윤곽에 거의 일치하고 있다. 프레임 유지 부재(10)가 꼭지(23)과 (39)에 끼워 맞춤되면, 전방부(48)와 후방부(43)로 정면부(21)와 내주 프레임(9)의 걸림면(33)을 마스크(1)의 전후 방향에서 협압(狹壓)할 수 있다.
제2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6)는 그 전방 중앙에 착용자의 코를 덮을 수 있는 코 피복부(50)를 지니고, 그리고 코 피복부(50)의 양쪽에는 착용자가 바깥쪽으로 손가락을 집어 넣을 수 있는 한쌍의 코를 죄는 부분(51)과, 착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또 렌즈(2)와 본체 프레임(5)을 수밀하게 간직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환상 시일부(52)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4도, 제5도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부(52)는 그 전단 부분을 바깥쪽으로 절곡한 상태의 플랜지 부분(54)의 전면(55)이 렌즈(2)의 후면에 접하고 플랜지 부분(54)의 후면(56)이 외주 프레임(8)의 리브(15A∼15C)에 맞닿는다. 따라서, 내주 프레임(9)이 외주 프레임(8)에 스냅식으로 맞물리면, 플랜지 부분(54)을 통하여 렌즈(2)와 리브(15)가 수밀 상태로 된다. 다만, 시일부(52)는 외주 프레임(8)의 제1개구(17)를 덮게 되는 부분이 잘려져 있고, 스커트(6)를 렌즈 프레임(5)에 부착한 뒤에 있어서도 홈(16)이 제1개구(17)를 통하여 본체 프레임(3)의 렌즈(2) 내측으로 통하고 있다. 또, 제1개구(17)에 있어서 렌즈(2)가 당접하는 일이 없는 리브(15B)의 잘린 부분에서는 시일부(52)와 리브(15B)를 서로 겹치고 협지 부재(53)에 의하여 그것들을 상하 방향에서 협압하므로써 당해 부위의 수밀 상태를 유지케하고 있다. 외주 프레임(8)의 정상부(11A)에서는 스커트(6)의 플랜지부(54)가 리브(15A)에 당접하고 플랜지부(54)의 외주연부(54A)가 유지부(7)의 내주면과 렌즈(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완충재로서 위치하고 있다. 또 플랜지부(54)의 또 하나의 외주연부(54B)가 유지부(7)의 내주면과 리브(15A)와의 사이 및 그 내주면과 리브(15C)의 사이에 위치하여 플랜지 부분(54)이 유지부(7)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 어긋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내주 프레임(9)은 그 돌기(31)가 외주 프레임(8)에 스냅식으로 맞물리고, 동시에 렌즈(2)를 후방으로 향해서 압압하고 있다.
특히, 제5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스커트(6)의 플랜지 부분(54)은 리브(15B)와 (15C)에 압압되어 있고, 홈(16)과 함께 단면이 직사각형인 통형의 배수로(61)를 이루고 있다. 이 통형의 배수로(61)는 렌즈(2)의 외주를 따라서 위로 연장하고, 상단부의 배출구가 연결부(12)의 정면부(21)를 관통하는 제2개구(18)에 연결되고, 하단부의 제1개구(17)가 유입구로서 작용한다(제3도 참조).
외주 프레임(8)의 양쪽에는 스트랩(4)을 돌리기 위한 상하 방향의 축(도시 생략)과 스트랩 조절기(59)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1)를 조립하는 순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데, 렌즈 프레임(5)의 후방에서 스커트(6)의 시일부(52)를 유지부(7)안에 넣고 전연의 플랜지 부분(54)의 후면을 리브(15A,15B,15C)에 맞닿게한 뒤, 부재(53)로 시일부(52)와 리브(15B)를 끼운다. 다음에 렌즈(2)를 전방에서 유지부(7)에 끼우고, 내주 프레임(9)을 렌즈(2)의 전방에서 외주 프레임(8)에 스냅식으로 걸어 맞춘다. 다시 정화 밸브(40)를 보스(21A)에 부착한 뒤, 프레임 유지 부재(10)의 꼭지 구멍(45)을 꼭지(39)와 (23)에 순차적으로 끼워 맞춤과 동시에 프레임 유지 부재(10)의 전 후부(48,49)로 중앙 연결부(12)의 정면부(21)와 내주 프레임(9)의 걸림부(33)를 끼운다. 렌즈(2)를 교환하든가 또는 홈(16)을 청소하기 위하여 마스크(1)를 분해할 때에는, 조립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또한, 렌즈(2)를 분리시킬 때에는, 내주 프레임(9)의 제1단부(9A)를 마스크(1) 전방으로 움직여서 꼭지(20)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한 뒤 제1단부(9A) 및/또는 제2단부(9B)를 내주 프레임(9)의 지름 방향 안쪽으로, 즉 내부 프레임(9)의 지름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면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스냅식으로 걸어 맞춤된 내주 프레임(9)을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마스크(1)에는, 착용중에 내부로 물이 모이면, 코에서 내뿜은 공기에 의해 마스크의 내압이 상승한다. 그러면 물은 공기와 함께 유입구인 제1개구(17)로 들어가고, 홈(16)과 스커트(6)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 통형의 배수로(61)를 거쳐 제2개구(18)의 정화 밸브(40)를 열고 마스크(1) 밖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마스크(1)의 부분 파단 정면도이다. 이 마스크(1)에서는 외주 프레임(8)의 양쪽 눈 각각에 있어서의 정상부(11A)에 제2개구(18)와 정화 밸브(40)를 설치하고, 상단부 배출구가 제2개구(18)에 배기·배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형의 배수로(61)가 외주 프레임(8) 외측부(11B)의 내주를 따라 연장하여, 저부(11C)에서 그 연장이 끝난다. 배수로(61)의 하단부 유입구인 제1개구(17)는 렌즈(2)의 내측으로서 본체 프레임(3)안에 근접하고 있다. 배수로(61)는 스커트(6)와 일체로 성형할 수 있는 이외에 스커트(6)와는 별개의 고무나 연질 플라스틱의 파이프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이 마스크(1)에서는 코 덮는부(50) 안쪽의 상하 방향으로 제2의 배수로(63)를 설치하고, 그 하단의 유입구(64)를 코 덮는부(50)의 전방 안쪽으로 면하게 하고, 그 상단의 배출구를 중앙 연결부(12)의 정면부(21)에 있어서 마스크(1) 밖으로 통하는 개구(65)에 배기·배수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개구(65)에는 바깥쪽을 향해서 열 수 있는 정화 밸브(66)를 설치하고, 내뿜은 공기에 의하여 마스크(1)의 내압을 상승시킬때 코 덮는부(50)의 안쪽에 고인 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이 마스크(1)에는 정화 밸브(40)나 (66)을 보호하기 위한 제1도에 도시한 프레임 유지 부재(10)에 해당하는 것이 없으나, 그것들은 필요에 따라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좌우 양측의 정상부(11A)에 설치한 제2개구(18)와 정화 밸브(40)는 착용자의 시계의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그 위치를 외주 프레임(8)의 외측부(11B)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마스크(1)의 부분 파단 정면도이다. 이 마스크(1)는 좌우의 눈을 덮는 하나의 큰 전면 렌즈(2)를 지니고, 제1도에 도시한 중앙 연결부(12)를 갖추고 있지 않다. 외주 프레임(8)의 좌우 양측(11B)의 내부를 따라 배수로(61)가 형성되어 있고, 배수로(6) 상단의 배출구는 외주 프레임(8) 정상부(11A)의 좌우 각각에 설치한 마스크(1) 밖으로 통하는 제2개구(18)(도시 생략)에 배기·배수가 가능하게 연결하고 제2개구(18)에는 밖을 향해서 열 수 있는 정화 밸브(40)가 부착되어 있다. 배수로(6)의 하단의 유입구인 제1개구(17)는, 좌우 눈 각각에 대응하는 외주 프레임(8) 저부(11C)의 가장 낮은 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10도는 제9도와 같은 마스크(1)에 있어서, 다른 형태의 배수로(71)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정면도이다. 다만, 이 마스크(1)에서는 외주 프레임(8)의 저부(11C)가 중심선 C-C 위에서 가장 낮게 되어 있다. 배수로(61)는 외주 프레임(8)의 정상부(11A) 중앙에서 좌우 측부(11B)의 어느 한쪽 내주를 따라 연장하고, 저부(11C)에서는 중심선 C-C 근방에 도달하고 있다. 배수로(61)의 배출구는, 정상부(11A)에 설치한 마스크(1) 밖으로 통하는 제2개구(18)(도시 생략)에 배기·배수가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개구(18)에는 밖을 향해서 열 수 있는 정화 밸브(40)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로(61)의 유입구인 제1개구(17)는 저부(11C)에 위치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에 있어서는 외주 프레임의 정상부에서 측부에 이르는 범위에 배기·배수용의 개구와 정화 밸브를 설치하여 본체 프레임안에 설치한 배수로의 상단부 배출구를 연결하는 한편, 배수로의 하단부 유입구를 외주 프레임 저부에 면하게 하였으므로 정화 밸브는 시계를 방해할 염려가 없게 된다.
마스크에 코를 죄는 부분을 설치할 경우에, 정화 밸브가 마스크 저부에는 위치하지 않으므로 그 부분을 비교적 크게 만들어서 그 조작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배수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였던 좌우 한쌍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마스크에 있어서도 그 기구를 채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정상부, 상기 정상부의 양단에서 아래쪽으로 구부러지는 양측부, 상기 정상부에 대향하고 상기 양측부에 연결되는 저부, 및 렌즈 유지부로 이루어지는 렌즈 프레임과, 상기 렌즈 유지부에서 후방으로 연재하는 통형의 스커트를 지니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렌즈 유지부에 유지된 전면 렌즈와, 그리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된 장착용 스트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측에 바깥쪽으로 향해 개방 가능하게 정화 밸브를 설치한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정화 밸브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정상부에서 상기 양측부 사이에 위치시키며, 일단에 배출구 그리고 타단에 유입구를 지니는 통형의 배수로를 상기 전면 렌즈의 안쪽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주에 걸쳐 설치하고, 이 배출구를 상기 정화 밸브에 연결하고, 그리고 이 유입구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저부에 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가 좌우 한쌍의 전면 렌즈 사이에 개재되는 코 덮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를 상기 정상부의 좌우 방향 중앙에 설치하고, 상기 렌즈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한 상기 배수로 각각을 상기 밸브에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 덮는부의 안쪽에 상하 방향으로 통형의 배수로를 설치하고, 이 배수로의 상단 배출구를 상기 밸브에 안쪽에서 연결하고, 그 하단부의 유입구를 상기 코 덮은부의 저부에 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밸브와 배수로를 설치하고, 그들 밸브와 배수로를 렌즈마다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부의 좌우 방향 중앙에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서 개방이 가능한 정화 밸브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단부의 배출구가 안쪽에서 배기·배수 가능하게 이 밸브에 연결되고, 하단부의 유입구가 상기 코 덮는부의 저부 안쪽으로 면하는 상하 방향의 통형 배수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가 하나의 전면 렌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를 상기 정상부의 좌우 방향 중앙에 설치하고, 상기 배수로를 상기 렌즈의 좌우 어느 한쪽에 설치하고 그 상단 배출구를 상기 본체 안쪽에서 배기·배수 가능하게 상기 밸브에 연결하고, 그 하단부의 유입구를 상기 본체 저부 중심에 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를 상기 정상부의 좌우 각각에 하나씩 설치하고, 상기 배수로를 상기 렌즈의 좌우 양쪽에 하나씩 설치하여 그 상단부 배출구를 바로 인접한 상기 밸브에 연결하는 동시에, 하단부의 유입구를 상기 본체 저부의 좌우 각각에 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KR2019950000668U 1994-10-07 1995-01-18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KR01383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44191A JP2665165B2 (ja) 1994-10-07 1994-10-07 ダイビングフェイスマスク
JP94-244191 1994-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428U KR960013428U (ko) 1996-05-17
KR0138306Y1 true KR0138306Y1 (ko) 1999-05-15

Family

ID=1711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0668U KR0138306Y1 (ko) 1994-10-07 1995-01-18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642529A (ko)
JP (1) JP2665165B2 (ko)
KR (1) KR0138306Y1 (ko)
CN (1) CN2234913Y (ko)
AU (1) AU701656B2 (ko)
DE (1) DE19537366C2 (ko)
FR (1) FR2725374B1 (ko)
IT (1) IT1280955B1 (ko)
MX (1) MX9504264A (ko)
MY (1) MY1117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7816E1 (en) 1991-08-28 2002-08-13 Jon Kranhouse Diving mask with lense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IT1288139B1 (it) * 1996-10-11 1998-09-10 Salvas Spa Maschera, o simili, in particolare per uso subacqueo, e metodo per la sua fabbricazione.
US6115848A (en) * 1997-12-01 2000-09-12 Key; Mark B. Snorkeling/scuba mask with liquid directing member
US6371109B1 (en) * 1998-07-10 2002-04-16 Zachary R. Taylor Dive mask pressure relief device
US5890234A (en) * 1998-08-20 1999-04-06 Lan; Shun-Nan One piece water drain unit in a diver mask
JP3393100B2 (ja) 2000-01-28 2003-04-07 株式会社タバタ ダイビング用フェイスマスク
US6978488B2 (en) * 2003-03-14 2005-12-27 Alexander Wolfson Diving goggles with a collapsible auxiliary air source chamber
US20050051164A1 (en) * 2003-09-05 2005-03-10 Peter Hutter Snorkeling apparatus
KR100787183B1 (ko) * 2006-08-28 2007-12-21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공기통로를 장착하여 착용감이 개선된 물안경
TWM317870U (en) * 2007-04-18 2007-09-01 Qbas Co Ltd Water valve of swimming mask
CN104474673A (zh) * 2014-08-29 2015-04-01 龙纬电子(东莞)有限公司 一种带pc近视镜片的潜水眼镜及其制作方法
CN104527950B (zh) * 2015-01-15 2017-02-08 王美金 一种基于浅潜水穿戴式眼镜的头戴救生设备及其使用步骤
US10160527B2 (en) * 2017-01-23 2018-12-25 Dongguan Longwell Sports Co., Ltd. Diving goggles having detachable camera bracket
IT201700090078A1 (it) * 2017-08-03 2019-02-03 Mestel Safety S R L Maschera per uso subacqueo, in particolare di tipo granfacciale dotata di dispositivo di comunicazione.
USD908785S1 (en) * 2019-09-16 2021-01-26 E. Home Outdoors Inc. Dive mask
USD919697S1 (en) * 2020-04-01 2021-05-18 HuaJin Lin Swimming gogg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34574A (en) * 1938-09-09 1941-03-11 Charles Henry Wil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oggles suitable for use under water
US3474782A (en) * 1966-03-22 1969-10-28 Automatic Sprinkler Corp Means for dispersing gases exhaled from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DE1913985A1 (de) * 1969-03-19 1970-10-01 Siemens Ag Einschmelzungen mit Draehten in Glas fuer Halbleiterbauelemente
US3710393A (en) * 1971-11-11 1973-01-16 D Douglas Headgear
US4467797A (en) * 1980-12-15 1984-08-28 Franke David M Breathing effort reduction device for scuba gear
US4856120A (en) * 1988-01-25 1989-08-15 Undersea Industries, Inc. Dive mask
US5479917A (en) * 1995-02-28 1996-01-02 Hsieh; Hsing-Chi Structure of diving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37366A1 (de) 1996-04-11
DE19537366C2 (de) 2002-06-20
KR960013428U (ko) 1996-05-17
AU3303395A (en) 1996-04-18
MY111726A (en) 2000-11-30
ITTO950798A1 (it) 1997-04-05
JP2665165B2 (ja) 1997-10-22
ITTO950798A0 (it) 1995-10-05
FR2725374A1 (fr) 1996-04-12
MX9504264A (es) 1997-01-31
CN2234913Y (zh) 1996-09-11
JPH08107947A (ja) 1996-04-30
AU701656B2 (en) 1999-02-04
FR2725374B1 (fr) 1999-01-29
US5642529A (en) 1997-07-01
IT1280955B1 (it) 199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306Y1 (ko) 다이빙용 안면 마스크
RU2724570C1 (ru) Маска для подводного плавания, имеющая корпус, оснащенный устройством удаления выдыхаемого воздуха, содержащим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US5638552A (en) Diving face mask
CA2227701C (en) Quick donning goggles for use with breathing mask
RU2374125C2 (ru) Клапан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подводного водолазного снаряжения
EP3727613B1 (fr) Masque de plongee permettant l'equilibrage des pressions au niveau des oreilles
JPH01209080A (ja) 潜水マスク
CN204473106U (zh) 具有一体式通气管的潜水面罩
US5860168A (en) Dive mask
WO1997026047A1 (en) Equalization system for a diving mask
CN113386928A (zh) 具有改进的水和呼吸空气排出系统的水下面罩
US20050128426A1 (en) Goggles with replaceable lens
EP1170205B1 (en) Face mask for diving
JPH05300871A (ja) 内視鏡の内外連通装置
KR100486891B1 (ko) 방독면의 취수구 결합구조
US3143739A (en) Face mask for divers
KR200331617Y1 (ko) 방독면의 취수구 결합구조
JP3027123B2 (ja) ダイビングフェイスマスク
JP2024004437A (ja) 呼吸を可能とするマスク
TW202413205A (zh) 雙鏡可呼吸面罩
WO2023126927A1 (en) Coupling arrangement for goggles
JPH06247383A (ja) ダイビングフェイスマスク
KR20210032696A (ko) 밀폐지퍼 및 밀폐지퍼 조립체
JPH06165797A (ja) レンズ交換可能なゴーグ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