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213Y1 -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와셔액 펌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와셔액 펌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213Y1
KR0138213Y1 KR2019940021603U KR19940021603U KR0138213Y1 KR 0138213 Y1 KR0138213 Y1 KR 0138213Y1 KR 2019940021603 U KR2019940021603 U KR 2019940021603U KR 19940021603 U KR19940021603 U KR 19940021603U KR 0138213 Y1 KR0138213 Y1 KR 0138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valve
washer fluid
cas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750U (ko
Inventor
배한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21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213Y1/ko
Publication of KR960007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7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전동 모터에 의한 펌프를 배제하고 피스톤 왕복에 의한 펌핑작용으로 와셔액을 강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하고, 응답속도를 빠르게 할 목적으로; 상면이 원추형 형태로 형성되어 그의 중앙에 토출공 형성되어 호스로서 후드 또는 카울 톱커버에 배치된 분사노즐과 연통되며, 하면에 밸브를 갖는 입구가 마련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면 중앙부가 돌출되어 상승시 상기 토출공을 폐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뚫려져 이의 통공 상측으로 밸브가 배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중앙부 하측에 배치되어 전원 인가시 상기 피스톤을 빠른 속도로 하강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피스톤의 하부 양측으로 입설되는 지지봉의 외측으로 탄지되어 항시 강한 탄성력으로 피스톤을 밀어주는 탄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와셔액 펌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와셔액 펌핑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펌프의 단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펌프의 작동 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케이스 5 : 피스톤
7 : 솔레노이드 15 : 통공
17,35 : 밸브 19 : 지지봉
21 : 지지구 31 : 입구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와셔액 펌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통 모터에 의한 펌프를 배제하고 피스톤 왕복에 의한 펌핑작용으로 와셔액을 강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와셔액 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전면유리의 오염으로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비 또는 눈이 올 때 전면유리를 닦아내는 윈드 시일드 와이퍼 장치와, 전면유리의 오염시 필요에 따라 저면유리에 와셔액을 분사시켜 주어 와이퍼로 전면유리를 깨끗이 닦아낼 수 있도록 하는 와셔액 분사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전면 유리의 세척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은 후자인 와셔액 분사장치에 관계하는데, 이 와셔액 분사장치는 엔진룸에 장착되어 있는 와셔액 리저버 탱크에 전동모터에 의하여 동작되는 펌프를 장착하고, 이의 펌프에 호스를 연결하여 후드 또는 카울 톱 커버에 장착되어 있는 분사노즐과 연결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에따라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운전석에 마련된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펌프가 구동되면서 와셔액을 펌핑하고 이에 펌핑된 와셔액은 분사노즐을 통해 전면유리로 분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와셔액 분사장치에 있어서는 와셔액 펌핑수단으로 상기와 같이 전동모터를 동력원으로 한 펌프를 이용하게 되는 바, 펌핑력이 미약하여 저면유리의 상부측까지 와셔액이 분사되지 못함은 물론 응답속도가 늦다는 단점이 있다.
[고안의 요약]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동 모터에 의한 펌프를 배제하고 피스톤 왕복에 의한 펌핑작용으로 와셔액을 강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하고, 응답속도를 빠르게 한 자동차의 와셔액 펌핑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이 원추형 형태로 형성되어 그의 중앙에 토출공 형성되어 호스로서 후드 또는 카울 톱커버에 배치된 분사노즐과 연통되며, 하면에 밸브를 갖는 입구가 마련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면 중앙부가 돌출되어 상승시 상기 토출공을 폐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뚫려져 이의 통공 상측으로 밸브가 배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중앙부 하측에 배치되어 전원 인가시 상기 피스톤을 빠른 속도로 하강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피스톤의 하부 양측으로 입설되는 지지봉의 외측으로 탄지되어 항시 강한 탄성력으로 피스톤을 상측으로 밀어주는 탄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와셔액 펌핑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펌프의 단면도로서, 부호 1은 펌프를 총칭한다.
상기 펌프(1)는 케이스(3)의 내부 상측으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피스톤(5)이 배치되고, 이의 피스톤(5)은 솔레노이드(7)에 의하여 승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3)는 상면이 원추형 형태로 형성되어 그의 중앙에 토출공(9)이 형성되어 호스(11)로서 후드 또는 카울 톱커버에 배치된 분사노즐(13)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의 내부로 배치되는 피스톤(5)은 상면 중앙부가 돌출되어 상승시 상기 토출공(9)을 폐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다수의 통공(15)이 뚫여져 이의 통공(15) 상측으로는 밸브(17)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밸브(17)는 하측에서 상측으로의 흐름은 허용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흐름은 제한하는 일종의 첵 밸브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5)의 하부 양측으로는 지지봉(9)이 하양 입설되어 케이스(3)의 내측 중간부로 돌출 형성하는 지지구(21)에 관통 지지되며, 상기 지지구(21)와 피스톤(5) 사이에는 항시 피스톤(5)을 상측으로 밀어주는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23)가 탄지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5)의 중앙부 하측에는 이의 피스톤(5)을 승강시키는 솔레노이드(7)가 배치되는데, 상기 솔레노이드(7)는 공지와 같이 필드코일(23)과 플런져(25), 그리고 상기 플런저(25)를 항상 상측으로 밀어주는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저(25)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동작봉(29)의 상단부가 피스톤(5)가 연결된다.
상기에서 필드코일(23)은 미도시된 스위치를 통해 배터리와 연결되어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플런저(25)를 하강시킴으로써, 피스톤을 하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필드코일(23)로 인가되는 전원을 일정하게 인가되는 것이 아니라 미도시된 타이머와 파워 트랜지스터에 의해 파형으로 인가됨으로써, 일정한 주기로 승강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의 하측에는 와셔액 입구(31)가 형성되어 이에 호스(33)를 통해 미도시된 와셔액 리저버와 연통되어지며, 상기 와셔액입구(31)에도 와셔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밸브(35)가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입구(31)를 2개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숫자로 형성하여도 좋으며, 이의 입구마다 밸브(35)를 장착하여야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7은 자동차의 전면유리이고, 39는 피스톤(5)과 케이스(3)의 기밀을 유지시켜 주는 시일링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초기상태에서는 탄발부재(23)의 탄발력에 의하여 피스톤(5)은 최상단으로 올라간 상태가 유지되며, 이의 상태에서 와셔액을 분사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솔레노이드(7)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플런저(25)의 하강으로 피스톤(5)이 탄발부재(23)의 탄발력을 극복하면서 하강한다.
그러면 피스톤(5)의 하측에 저장되어 있던 와셔액은 밸브(17)의 열림동작에 의하여 제2도에서와 같이 피스톤(5)의 상측에서 유입된다.
이의 상태에서 솔레노이드(7)에 인가되었던 전원이 차단되면 지지봉(19)의 외측으로 탄지되어 있는 탄발부재(23)의 축적된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되며, 이때에는 피스톤(5)의 밸브(17)가 제3도와 같이 닫히게 되어 피스톤(5) 상측으로 유입된 와셔액은 하측으로 흐르지 못하고 피스톤(5)이 강하게 올라오는 압력에 의하여 토출공(9)을 통해 분사노즐(13)로 공급되어 전면유리(37)로 분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5)이 상승하는 동안에는 피스톤 하부에 부압이 발생되므로 입구(31)를 차단하고 있던 밸브(35)가 열리면서 리저버 탱크내의 와셔액이 유입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피스톤(50)은 동작은 빠른 반복동작으로 이루어지며, 와셔액의 분사가 피스톤(5)이 하강하기 시작하면서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응답성이 빠르게 된다.
또한, 많은량의 와셔액이 순간적으로 좁은 호스(11)와 분사노즐(13)을 통해 토출됨으로써, 매우 강하게 분사되어 고속으로의 주행시 사용하여도 전면유리의 상단부까지 미칠수 있게 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상면이 원추형 형태로 형성되어 그의 중앙에 토출공(9)이 형성되어 호스(11)로서 후드 또는 카울 톱커버에 배치된 분사노즐(13)과 연통되며, 하면에 밸브(35)를 갖는 입구(31)가 마련되는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의 내부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면 중앙부가 돌출되어 상승시 상기 토출공(9)을 폐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다수의 통공(15)이 뚫여져 이의 통공(15) 상측으로 밸브(17)가 배치되는 피스톤(5)과; 상기 피스톤(5)의 중앙부 하측에 배치되어 전원 인가시 상기 피스톤(5)을 빠른 속도로 하강시키는 솔레노이드(7)와; 상기 피스톤(5)의 하부 양측으로 입설되는 지지봉(19)의 외측으로 탄지되어 항시 강한 탄성력으로 피스톤(5)을 상측으로 밀어주는 탄발부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와셔액 펌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17)(35)는 하측에서 상측으로의 흐름은 허용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흐름은 제한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와셔액 분사장치.
KR2019940021603U 1994-08-25 1994-08-25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와셔액 펌핑장치 KR0138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603U KR0138213Y1 (ko) 1994-08-25 1994-08-25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와셔액 펌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603U KR0138213Y1 (ko) 1994-08-25 1994-08-25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와셔액 펌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750U KR960007750U (ko) 1996-03-15
KR0138213Y1 true KR0138213Y1 (ko) 1999-04-15

Family

ID=1939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603U KR0138213Y1 (ko) 1994-08-25 1994-08-25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와셔액 펌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2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750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40260A (ko) 차량용 와셔 노즐 작동장치
KR0138213Y1 (ko) 자동차의 윈드 시일드 와셔액 펌핑장치
KR200238724Y1 (ko) 와셔액이 와이퍼에서 분사되며 와이퍼의 진행방향쪽으로만 와셔액이 분사되는 차량용 와이퍼.
KR100896921B1 (ko) 와이퍼분사노즐
KR200339187Y1 (ko) 자동차용 에어분사장치
KR100387568B1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 노즐 막힘 방지 장치
KR200149671Y1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장치
KR101262945B1 (ko) 차량용 워셔노즐
KR19980056029A (ko) 출입식 워셔액 분사 노즐
KR100461108B1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장치
KR0145233B1 (ko) 승강식 와셔액 노즐구조
KR100419522B1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노즐
KR19980044204U (ko) 자동차용 와셔 노즐
KR19980030739U (ko) 주입구 높이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워셔 탱크
JPH07196017A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制御装置
KR200173015Y1 (ko) 차량용 워셔액 분사장치
KR19980035452U (ko) 차량의 워셔액 분사장치
KR200144924Y1 (ko) 와이퍼 스위칭수단이 내설된 워셔액 노즐
KR19980051958U (ko) 와셔 노즐 어셈블리
KR19980035799A (ko) 후드 내장형 와셔 노즐 장치
KR19980047255U (ko) 여유공간을 갖는 워셔 리저버
KR20000017223U (ko) 차량용 윈드 실드 와셔노즐
KR20070045587A (ko) 차량용 윈드 실드 와셔 노즐 장치
KR19980074755A (ko) 공압식 와셔 분사장치
KR19980047554U (ko) 첵크밸브통합형 자동차와이퍼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