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271Y1 -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271Y1
KR0137271Y1 KR2019950044907U KR19950044907U KR0137271Y1 KR 0137271 Y1 KR0137271 Y1 KR 0137271Y1 KR 2019950044907 U KR2019950044907 U KR 2019950044907U KR 19950044907 U KR19950044907 U KR 19950044907U KR 0137271 Y1 KR0137271 Y1 KR 0137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astening
window
knob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826U (ko
Inventor
김효동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2019950044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271Y1/ko
Publication of KR9700398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8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2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0Mechanisms by which a handle moves the bar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은 자동차용 도어의 내측에 구비된 레귤레이터의 축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에는 경사테(14)를 경계로하여 상부에 형성되는 제1관토공(12)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16)이 형성되는 윈도우 조절핸들(10)과, 상기 윈도우 조절핸들(10)의 타측상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12)으로부터 제2관통공(16)으로 삽입되며 + 홈(22)이 형성된 걸림턱(24)이 끼워지는 노브(20)와, 상기 제1관통공(12)과 제2관통공(16)을 통과한 노브(20)의 +홈(22)으로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탄성편(32)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체결부(30)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체결부(30)의 각각의 탄성편(32)의 단부에는 체결편(32a)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 조절핸들(10)의 경사턱(14)은 제1관통공(12)을 향하며 상기 체결부(30)의 각각의 탄성편(32)의 체결편(32a)이 체결되는 경사면(1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노브의 이탈을 방지하고 그것의 회전을 원할하게 함은 물론, 체결작업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라 결합된 조절핸드의 요부를 절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윈도우 조절핸들 12 : 제2관통공
14 : 경사테 16 : 제2관통공
20 : 노브 22 : + 홈
24 : 걸림턱 30 : 체결부
32 : 탄성편 32a : 체결편
본 고안은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용 윈도우를 상ㆍ하로 조절할 수 있는 윈도우 조절핸들에 구비된 노브의 회전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노브의 이탈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고 체결작업이 용이한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양측에는 개폐가능한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도어의 상부에는 차량의 실내에 앉아 있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외부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체의 재질로 이루어진 윈도우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용 윈도우를 상ㆍ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차량의 실내에 앉아 있는 탑승자가 도어의 내측에 구비된 윈도우 조절핸들을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시킴으로써, 상기 윈도우를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의 도어내측에 설치되어 윈도우를 상ㆍ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윈도우 조절핸들의 구조를 보면, 윈도우 조절핸들의 일측은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어 윈도우와 결합하고 있는 레귤레이터(Regulator)의 축과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 조절핸들의 타측은 차량의 실내에 앉아 있는 탑승자가 윈도우를 상ㆍ하로 조절하기 편리하도록 노브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노브는 윈도우 조절핸들의 반대편으로부터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윈도우 조절핸들의 노브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노브를 장시간 사용을 할 경우에는 볼트가 풀리게 되어 노브가 상기 윈도우 조절핸들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다시말해서, 상기와 같이 볼트에 의해 체결된 윈도우 조절핸들의 노브를 차량의 실내에 앉아 있는 탑승자가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시킴에 따라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된 윈도우는 상ㆍ하로 이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노브가 정ㆍ역회전함에 따라 노브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도 같이 회전을 하게 되는 과정에서 볼트가 체결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윈도우 조절핸들이 회전을 할 경우에는 노브에 체결되어 있던 볼트는 조금씩 풀리면서 상기 윈도우 조절핸들의 일측에 구비된 노브가 이탈이 됨에 따라 상기 윈도우 조절핸들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레버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노브에는 그 가이드홈에 계합되는 게지편이 형성되는 축부를 형성하여 이를 상호 체결하는 방식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노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홈이 굴곡된 구성을 지니기 때문에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아니라 체결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핸들의 축부를 이등분하여 체결을 용이하게 하고 원할한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 같은 방식은 상술된 바와 같이 여전히 노브의 이탈이 빈번하게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윈도우 조절핸들에 구비된 노브로 탄성력을 갖는 체결부를 결합함으로써 윈도우 조절핸들의 회전을 부드럽게 함과 아울러 노브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체결작업이 용이한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은 자동차용 도어의 내측에 구비된 레귤레이터의 축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에는 경사테를 경계로하여 상부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윈도우 조절핸들과, 상기 윈도우 조절핸들의 타측상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으로부터 제2관통공으로 삽입되며 + 홈이 형성된 걸림턱이 끼워지는 노브와,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통과한 노브의 + 홈으로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탄성편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각각의 탄성편의 단부에는 체결편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 조절핸들의 경사턱은 제1관통공을 향하며 상기 체결부의 각각의 탄성편의 체결편이 채결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 고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윈도우 조절핸들(10)의 일측은 도어(미도시)의 내측에 구비된 레귤레이터의 축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의 상부는 경사테(14)을 갖는 제1관통공(12)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2관통공(16)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 조절핸들(10)의 타측에 형성된 제1관통공(12)으로는 차량의 실내에 앉아 있는 탑승자가 윈도우를 상ㆍ하로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20)가 개재되는데, 상기 노브(20)의 하부는 +홈(22)이 형성된 걸림턱(24)이 구비된다. 즉, 상기 노브(2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24)은 상기 제1관통공(12)의 경사테(14)에 밀착이 되면서 중심쪽으로 탄성력이 발생되어 가압됨에 따라 상기 걸림턱(24)은 윈도우 조절핸들(10)의 타측하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16)으로 결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윈도우 조절핸들(10)의 타측에 형성된 제1관통공(12)과 제2관통공(16)을 통과한 노브(20)의 +홈(22)으로는 체결부(30)의 상부에 형성된 탄성편(32)이 끼워지면서 상기 노브(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체결부(30)의 상부에 형성된 탄성편(32)은 노브(20)의 +홈(22) 사이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윈도우 조절핸들(10)의 타측상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12)의 경사테(14) 부위에 걸리게 되면서 상기 노브(20)읠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노브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회전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30)의 각각의 탄성편(32)의 단부에는 체결편(32a)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테(14)는 제1관통공(12)을 향하며 상기 체결부(30)의 각각의 체결편(32a)이 접촉체결되는 경사면(14a)과, 제2관통공(16)을 향하며 상기 노브(20)의 걸림턱(24)이 접촉체결되는 평탄면(14b)을 구비한다.
물론, 상기 노브(20)는 윈도우 조절핸들(10)의 타측하부에 구비된 체결부(30)에 의해 윈도우 조절핸들(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상기 윈도우 조절핸들(10)을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시킴에 있어서 상기 노브(20)는 제1관통공(12)과 제2관통공(16)에서 부드럽게 회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윈도우 조절핸들(10)의 타측에 구비된 노브(20)를 차량의 실내에 앉아 있는 탑승자가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노브(20)는 윈도우 조절핸들(10)의 타측하부에 구비된 체결부(30)에 의해 윈도우 조절핸들(10)로 부터 상기 노브(20)가 이탈되지 않음과 아울러 상기 노브(20)는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구조는 노브의 하부에 +홈을 갖는 걸림턱을 윈도우 조절핸들의 타측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으로 결합을 시킨 후 저면부에 구비된 체결부의 탄성편을 상기 +홈으로 결합하여 그 탑성편의 체결편을 경사테의 경사면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노브가 윈도우 조절핸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노브를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들 각각의 부품의 제조 및 구성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체결작업이 간단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은 자동차용 도어의 내측에 구비된 레귤레이터의 축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에는 경사테(14)를 경계로하여 상부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12)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16)이 형성되는 윈도우 조절핸들(10)과, 상기 윈도우 조절핸들(10)의 타측상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12)으로부터 제2관통공(16)으로 삽입되며 + 홈(22)이 형성된 걸림턱(24)이 끼워지는 노브(20)와, 상기 제1관통공(12)과 제2관통공(16)을 통과한 노브(20)의 +홈(22)으로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탄성편(32)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체결부(30)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0)의 각각의 탄성편(32)의 단부에는 체결편(32a)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 조절핸들(10)의 경사턱(14)은 제1관통공(12)을 향하여 상기 체결부(30)의 각각의 탄성편(32)의 체결편(32a)이 체결되는 경사면(1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
KR2019950044907U 1995-12-21 1995-12-21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 KR0137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907U KR0137271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907U KR0137271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826U KR970039826U (ko) 1997-07-29
KR0137271Y1 true KR0137271Y1 (ko) 1999-04-01

Family

ID=1943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907U KR0137271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2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722B1 (ko) * 2019-12-27 2021-07-16 한상현 버튼용 방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826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0423A (en) Adjustable windshield for vehicle
JPS60230487A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フレームにおける屋根のための錠止装置
WO2006009205A1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4822965A (en) Lid locking mechanism in automobile switch panel device
EP0382187A2 (en) A slidable roof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5431461A (en) Sliding window lock for automotive vehicles
KR0137271Y1 (ko) 자동차용 윈도우 조절핸들의 체결구조
US5015020A (en) Vehicular door locking device
US4785382A (en) Retractable lamp device for vehicles
JP2000192695A (ja) 自動車の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H0316733Y2 (ko)
JP3134065B2 (ja) 引戸錠用係止装置
JPH0643409Y2 (ja) ドアロック装置
JP2009299264A (ja) 車両用操作装置
JPS6137544A (ja) サイドサポ−ト調整装置
KR200160617Y1 (ko)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JPH10317767A (ja) スライドドアの全開ロック装置
KR0115643Y1 (ko) 차량의 시트벨트 높이조절장치
KR100435892B1 (ko)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KR200149109Y1 (ko) 자동차의 도어용 암 레스트 고정구조
JPH08270013A (ja) キャブの前下窓のロック装置
JPH09136574A (ja) 車両用ミラー
JPH0632427Y2 (ja) サンルーフのデフレクター取付構造
KR97000773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Tilt)장치
KR100211514B1 (ko) 자동차의 틸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