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228Y1 - 개량 정미장치 - Google Patents

개량 정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228Y1
KR0137228Y1 KR2019960011677U KR19960011677U KR0137228Y1 KR 0137228 Y1 KR0137228 Y1 KR 0137228Y1 KR 2019960011677 U KR2019960011677 U KR 2019960011677U KR 19960011677 U KR19960011677 U KR 19960011677U KR 0137228 Y1 KR0137228 Y1 KR 0137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grinding
grinding roller
white
n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1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843U (ko
Inventor
서용교
Original Assignee
서용교
대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교, 대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용교
Priority to KR2019960011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228Y1/ko
Publication of KR9700608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8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2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일체형 정미장치에 관한 분야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 일체형 정미장치는 연삭로울러와 정백통이 분리구성되어 자연히 동체의 부피가 커펴 설치며적이 극대화되는 폐단이 따르고 각각의 연삭로울러, 정백통을 감싸고 있는 금망이 원통형이어서 가공시 피가공물이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1회가공으로 완전하게 가공할 수 없었을 뿐더러 정미효과가 크게 떨어지는등의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연삭로울러(9)와 정백통(10)을 직렬연결시키고 금망(11)은 이둘을 동시에 감싸도록 길게 형성하되 16각형으로 형성하여 정미장치의 규모를 소형화시켜주면서 정미효과는 극대화되게 한 것임.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정미장치로 사용됨.

Description

개량 정미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B-B'선 확대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요부확대사시도로서 금망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피가공물 공급이송부 C : 피가공물 가공부
1 : 정미장치 2 : 호퍼
3 : 이송스크류우 4 : 상승스크류우
5 : 회전축 6 : 풀리
7 : 배출휀 8 : 상승스크류우
9 : 연삭로울러 10 : 정백통
11 : 금망
본 고안은 개량 정미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연삭로울러와 정백통을 별도의 연결장치없이 수직으로 직렬연결시켜 피가공물의 연마후 바로 마찰공정으로 연이어 들어가도록 하고, 상기 연삭로울러와 정백통 외주에 설치되는 금망을 일체로 형성하여 16각형(또는 6-32각형으로 형성하여도 됨)으로 형성하여, 피가공물의 연마 및 마찰과정에서 금망의 각진부부에 의해 피가공물의 마찰 및 믹싱(Mixing) 효과를 극대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가공물이 1회가공으로 완전히 가공배출되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정미효율을 극대화시켜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연삭로울러와 정백통을 수직으로 직렬연결시킴으로써, 많은 부품이 불필요해져서 장치의 규모가 소형화되게 되고, 더불어 공정간단화와 설치면적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정미기는 그 방법에 따라 연삭식 정미기와 마찰식 정미기로 분류되고, 또 구조적 차이에 따라 수평형과 수직형으로 분류되기도 하나 지금은 주로 수평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위와같은 정미기들의 정미과정을 살펴보면, 1차적으로 연삭식 정미기에 의해 피가공물을 연삭하고, 이어서 피가공물들끼리의 마찰을 유도하는 마찰식 정미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실제로는 피가공물의 경도에 따라 연삭식 정미기와 마찰식 정미기를 수차례이상 거치게 하는등 여러형태의 방법이 행해지고 있는 것이다.
한편 위와같은 연삭식 정미기와 마찰식 정미기를 일체화시킨 일체형 정미기도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의 구성에 따른 유형을 살펴보면, 먼저 수평형의 경우 상측에 연삭식 정미장치를 높여서 설치하고, 하측에 이송스크류우와 마찰식 정미장치를 순차적으로 높여서 설치하여 피가공물이 연삭식 정미장치를 통과하면 이송스크류우가 연삭가공된 반가공물을 마찰식 정미장치로 이송공급시켜 가공토록 구성하였고, 수직형의 경우 마찰식 정미장치와 연삭식 정미장치를 일정간격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세워 설치하여, 연삭식 정미장치를 통하여 1차가공된 반가공물이 이송스크류우에 의해 정백통하부에 설치된 상승스크류우로 공급되면, 상승스크류우가 반가공물을 정백통으로 상승시켜 완전가공토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정미장치들은 다음과 같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즉, 분리형의 경우 연삭식 정미기와 마찰식 정미기를 각각 구비 및 설치하여야 하기에 첫째, 설치면적이 과다소요되고, 둘째 정미시 피가공물을 연삭 및 마찰시키는 과정을 수회이상반복 가공하여야만 함으로써, 인력 시간이 많이들면서 번거로운등 매우 비경제적이었던 것이며, 일체형의 경우 위와같은 폐단이 어느정도 해소는 되었으나 한대의 장치에 금강석으로된 연삭로울러와 정백통이 분리구성되어 있어 이들을 연결하는 구성(즉, 이송스크류우나 반가공물 이송통로등등...)이 필요하고 따라서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면서 장치의 규모가 커질 수 밖에 없으며, 특히 수평형의 경우는 수직형의 경우보다 피가공물을 수회이상 반복가공하여야만 하였기에 이또한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과다소요되는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그리고 수직형의 경우는 수평형보다는 가공물의 가공상태는 양호한 반면 이또한 연삭롤과 정백통이 분리구성된 것이어서 이송스크류우나 이송통로와 같은 연결수단이 반드시 필요하여 장치의 규모가 대형화될수밖에 없고 동력의 전달부위가 많아져 자연 장치구성이 복잡하며, 이에따라 기계의 원가가 매우 높아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한편, 분리형정미기나 일체형 정미기에 있어서, 연삭롤과 정백통을 감싸고 있는 금망을 보면, 종래는 연삭롤과 정백통을 감싸는 금망이 전부 원통이거나, 아니면 정백통의 금망은 각형이나 연삭롤을 감싸고 있는 금망은 전부가 원형의 금망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피가공물을 가공할때 피가공물 자체가 가공중에 미끄러지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밖에 없어 믹싱효과가 크게 떨어질 수 밖에 없고, 더불어 피가공물의 가공상태가 썩 좋지 못하여, 피가공물을 1회에 완전가공시키기 곤란한 등의 폐단이 따랐으며, 이에따라 가공시간이 많이들고, 기계의 신뢰성이 크게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 정미장치에 따른 제반문제점을 해결코져 안출된 것으로, 특히 연삭로울러를 감싸고 있는 금망을 각형으로 제작하고, 연삭로울러와 정백통을 별도의 연결구조없이 바로 직렬연결설치하고, 금망역시 연삭로울러와 정백통을 직렬연결한 크기로 하나로 구성하되, 16각형(또는 6각형-32각형내에서는 모두 가능함)으로 형성하여 피가공물이 1차적으로 연삭로울러를 통과할때 금망의 각이진 부분에 의해 충분히 믹싱되면서 피가공물의 연마작업(광택)을 최대한으로 할 수 있으며, 연삭로울러를 통과한 피가공물은 별도의 이송장치가 없이 바로 연결된 정백통에 의한 마찰작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연삭로울러와 정백통 이를 둘러싸고 있는 각형의 금망이 상하 일체형의 구성이기에 동체의 크기가 소형화되어 설치면적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1회통과로 피가공물의 강도에 관계없이 완전가공할 수 있게되어 가공시간 절감, 신뢰성극대화등을 이룰 수 있는 정미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가공물 공급이송부(A)와 피가공물 가공부(C)로 정미장치(1)를 구성하되, 상기 피가공물 공급이송부(A)는 종래의 구성과 같이 호퍼(2) 하부에 이송스크류우(3)를 설치하여 피가공물이 상기 이송스크류우(3)에 의해 피가공물 가공부(C)의 하부에 위치한 상승스크류우(4)의 일측하부로 공급되게하고, 피가공물 가공부(B)는 수직으로 세워설치된 회전축(5)의 하단부터 풀리(6), 배출휀(7), 상승스크류우(4), 연삭로울러(9), 정백통(10)을 순차적으로 축설하며, 연삭로울러(9)와 정백통(10) 외주연에는 16각형으로 형성된 금망(11)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2는 구동모타, 13은 외기공급실, 15는 바람상승용 원피치 스크류우 휀, 16은 고정캡, 17는 배출구, 18은 공간부, 19는 바람배출구멍, 20은 교반날개, 21은 통공.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피가공물 공급이송부(A)의 호퍼(2)에 피가공물을 공급시키면 구동모타(12)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우(3)가 피가공물을 피가공물 가공부(C)의 상승스크류우(4)로 이송공급하게되고, 상기 상승스크류우(4)는 피가공물을 상승시켜 연삭로울러(9) 및 정백통(10) 외주면으로 밀어 올리게 되며, 이때 피가공물의 가공이 완전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상승스크류우(4)에 의해 상승이송되는 피가공물은 연삭로울러(9)에 의해 표면껍질이 연삭되는데, 이때 금망(11)의 구성이 16각형의 원통형이므로 피가공물이 연삭롤(9)에 의해 표면가공이 이루어지면서 회전할때 금망(11)의 모서리부분에 의해 매우 원활하게 믹싱되게되고, 따라서 표면가공이 이루어진것과 이루어지지 못한것이 서로 위치이동을 하면서 가공되어 상승되므로 피가공물 대부분이 충분히 연마상승되게 되어 정백통(10) 위치로 공급되며, 정백통에서도 마찬가지로 금망(11)이 16각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피가공물이 충분히 믹싱되면서 가공되어 최종에는 배출구(17)로 가공물만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같이 피가공물이 연삭로울러(9)와 정백통(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껍질이나 이물질은 분리배출디어야 하는데, 이는 정미장치(10)의 상승스크류우(4) 내측에 설치된 원피치 스크류우 휀(15)이 회전축(5)과 함께 회전하면서 외기를 끌어당겨 상승공급시켜주고, 정백통(10)에는 바람배출구멍(19)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 바람에 의해 껍질 또는 이물질이 금망(11)의 통공(21)을 통하여 공간부(8)로 배출되어지기 때문에 순수한 가공물만이 배출구(17)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며, 금망(11)의 통공(21)을 통하여 공간부(18)로 배출된 껍질이나 이물질은 낙하되어 배출휀(7)에 의해 정미장치(1) 밖으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잠깐 본 고안의 핵심에 대하여 다시한번 짚어보면, 본 고안은 연삭로울러(9)와 정백통(10)을 직렬로(별도의 연결부재 없이)연결시켜 피가공물이 연삭과 마찰가공을 거의 동시에 자연스럽게 거칠 수 있게 하고, 이 과정에서 금망구조가 16각형으로 구성된 것이기에 피가공물의 믹싱 효과를 극대화시켜줌으로써, 피가공물이 골고루 완전하게 연삭공정과 마찰공정을 한번에 통과하여 완전하게 가공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1회통과로 최대의 정미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삭로울러(9)와 정백통(10)을 직렬로 바로 연결시킴으로써, 구성이 매우 간단해지고 이에따라 기계의 크기가 소형화되어 설치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종래에는 일체형 정미장치에 있어서도 연삭로울러와 정백통을 이원화시켜 분리구성하고, 이를 이송스크류우나 이송통로를 이용하여 연결구성시킨 것이기에 동력전달도 개별적으로 하여야 하고, 더불어 이에 따른 구성과 부품이 매우 복잡해짐과 동시에 많아져서 정미기를 소형화시키는데 한계가 따랐지만, 본고안에서는 하나의 회전축(5)에 연삭로울러(9)와 정백통(10)을 일체화시킨 것이기에 회전축(5)만 구동시키면, 동시에 연삭로울러(0)와 정백통(10)이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어서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더불어 동력전달에 따른 부품이 최소화되어 정미장치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앞의 설명부분이나 첨부된 도면이 모두 수직형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구성은 비단 수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축(5)을 수평으로 뉘어놓고 배출구(17)의 위치와 피가공물 공급이송부(A)만 적절한 위치로 변경시켜주면 수평형 정미장치로도 그 효과 및 작용이 손색없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점에 있어서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포함된다 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회전축(5)에 연삭로울러(9)와 정백통(10)을 직렬설치하고, 금망(11)의 형상을 16각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피가공물을 가공시 연삭과 마찰작용이 연이어 이루어지게하며, 더불어 금망(11)의 각이진 부분에 의해 피가공물의 믹싱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피가공물끼리의 마찰이 심하게 발생되어 정미효과를 극대화시킨것으로, 정미장치의 크기까지도 최소화시켜 설치면적을 극소화시킬 수 있고 1회가공으로 완전가공할 수 있어 정미장치의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연삭로울러와 정백통이 분리구성되어 따로 떨어져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 이송스크류우와 이송통로를 설치하여 피가공물을 연삭후 이송시켜 마찰가공하며, 각각의 연삭로울러와 정백통을 감싸도록 원통형 금망을 설치하여서된 통상의 일체형 정미장치에 있어서, 정미장치(1) 내부중앙부에 회전축(5)을 축설하되, 연삭로울러(9)와 정백통(10)이 직렬연결되어 동시구동되게 하고 금망(11)을 상기 연삭로울러와 정백통(10)을 동시에 감싸도록 구성하여 피가공물가공시 연마와 마찰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정미장치.
KR2019960011677U 1996-05-07 1996-05-07 개량 정미장치 KR0137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677U KR0137228Y1 (ko) 1996-05-07 1996-05-07 개량 정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677U KR0137228Y1 (ko) 1996-05-07 1996-05-07 개량 정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843U KR970060843U (ko) 1997-12-10
KR0137228Y1 true KR0137228Y1 (ko) 1999-03-20

Family

ID=1945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1677U KR0137228Y1 (ko) 1996-05-07 1996-05-07 개량 정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2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555B1 (ko) * 2005-01-28 2006-07-13 (주)참미래 배아미 도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843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2890A (en) Grain polishing and whitening machine
US5435917A (en) Rotary filter comprising a screen drum and internal screw member
CN210411542U (zh) 一种能够对谷物进行预处理的谷物色选机
US5036757A (en) Apparatus for shelling and de-germinating corn
KR0137228Y1 (ko) 개량 정미장치
CN112517106B (zh) 一种大米加工用抛光装置
CN210410538U (zh) 一种玻璃包边材料生产用预处理釜
CN107458826A (zh) 用于分流传输的输送机
CN208230014U (zh) 一种机械设备的加料装置
CN208912178U (zh) 一种具有多次除杂功能的面粉加工用磨粉装置
KR200287410Y1 (ko) 과실선별기
CN207745789U (zh) 药粉混合设备
CN112971184A (zh) 一种饲料添加剂制备方法
CN105289982B (zh) 一种滚筒式清选装置
CN220635544U (zh) 一种白酒酿造用物料清洗装置
CN219934577U (zh) 一种粮食干燥装置
CN220803605U (zh) 一种双驱研磨机
CN221026536U (zh) 一种用于对小麦精加工的面粉上料机
CN217221591U (zh) 一种糯米清洗装置
CN216613243U (zh) 一种药品合成用医药中间体上料装置
CN217189906U (zh) 一种面粉生产加工用研磨设备
CN221089580U (zh) 一种高效搅拌混色机
CN220919324U (zh) 一种碾米机的去糠装置
CN216499552U (zh) 原粮物料脱皮碾削设备
CN216856799U (zh) 一种具有旋筛装置的糙米开糙和碾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