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025B1 - 수크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의 염소화방법 및 수크랄로오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크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의 염소화방법 및 수크랄로오스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025B1
KR0137025B1 KR1019890013396A KR890013396A KR0137025B1 KR 0137025 B1 KR0137025 B1 KR 0137025B1 KR 1019890013396 A KR1019890013396 A KR 1019890013396A KR 890013396 A KR890013396 A KR 890013396A KR 0137025 B1 KR0137025 B1 KR 0137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rose
sucralose
thionyl chloride
pyridin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754A (ko
Inventor
리아즈 아메드 칸
죠오지 헨리 상키
필립 존 심프슨
니콜라스엠 베르논
Original Assignee
데릭 윌리암 퓨케스
태이트 앤드 라일 퍼블릭 리미티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888821804A external-priority patent/GB8821804D0/en
Priority claimed from GB888822673A external-priority patent/GB8822673D0/en
Application filed by 데릭 윌리암 퓨케스, 태이트 앤드 라일 퍼블릭 리미티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데릭 윌리암 퓨케스
Publication of KR900004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5/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in which the hetero bonds to oxygen have been replaced by the same number of hetero bonds to halo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H5/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in which the hetero bonds to oxygen have been replaced by the same number of hetero bonds to halo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4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attached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8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cycl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수크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의 염소화방법 및 수크랄로오스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클로로데옥시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당류(sugars)의 염소화(chlorination)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크랄로오스(sucralose : 4,1',6' - 트리클로로 - 4,1',6' - 트리데옥시 갈락토수크로오스)제조시 수크로오스 유도체의 염소화에 관한 것이다. 수크랄로오스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많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4-,1'-및6'-위치에서 수크로오스 분자를 염소화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성취시키기 위해서는 수크로오스 분자상의 6-위치를 보호해야만 하는데, 그 이유는 1차 히드록시기인 6-히드록시기가 염소화시약에 대해 반응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미합중국특허 제 4380476호 및 영국특허 제 2079749호의 방법에서는 수크로오스의 6-위치를 2-,3-,3'- 및 4'-위치의 보호되지 않은 히드록시 존재하에 아실화시킨후, 4-,1'- 및 6'-위치를 염소화시킨다. 이와 관련된 공정이 영국 특허 제 2181734A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 공정에서 6-치환 수크로오스는 수크로오스의 6-α-D-갈락토피라노실 유도체인 트리시카라이드 라피노스이다. 이 공정에 있어서 이 유도체의 사용은, 이것이 염소화되어서 편의상 TCR이라 불리우는 6, 4, 1', 6'-테트라클로로 - 6, 4, 1', 6' - 테트라데옥시칼락토 - 라피노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하여 예기된 것이다. 이후 TCR을 적합한 α-갈락토시다제 존재하에 절단하여 수크랄로오스를 제조할 수 있다. 수크로오스 6-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 동시계류중인 1988. 7. 18일자 출원 미합중국 출원번호 제 220,641호에 기술되어 있다. 수크로오스를 1,3- 디히드로카르빌옥시 - 1,1,3,3 - 테트라(히드로카르빌) 디스탄옥산과 반응시키면 1,3 - 디 - (6-0-수크로오스) - 1,1,3,3, - 테트라(히드로카르빌) - 디스탄옥산이 생산되며, 이것을 아실화제와 레지오 선택적으로 반응시키면 수크로오스 6-아실레이트가 제조될 수 있다. 영국특허 제 2181734A호에 기술된 라피노스의 염소화 방법에서는 트리아릴포스핀 산화물 또는 황화물 존재하에서 피라딘내의 염화티오닐을 사용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원하는 클로로 유도체가 제공되고, 특히 염소원자가 4-위치에 삽입되기는 하나, 이 방법은 상당한 단점들을 갖고 있다. 우선 이 방법에서는 제거하기 곤란하고 필요에 따라서(산화물의 경우)재순환시키기 곤란한 트리아릴포스핀 산화물 또는 황화물이 3몰당량으로 사용된다. 둘째로, 그 반응조건은 다량의 불용성 흑색 부산물을 생성시킴으로써 작업상에 많은 곤란을 야기한다. 또한 이 반응에서는 다량의 염화티오닐이 사용되며, 수율도 단지 중간정도에 불과하다. 모든 6-치환 수크로오스 유도체의 염소화에 있어 대두되는 또하나의 문제점은 정확한 정도로 염소화를 시키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즉 1차 6'-히드록시기에 염소화가 됨은 물론 2차(그리고 다소 입체장해된)4-위치 및 1차 1'-위치에서도 염소화가 일어난다(다른 위치에선 일어나지 않음). 이제 본 발명자들은 원하는 염소화 생성물을 우수한 수율로 얻기 위하여, 오랫동안 알려져온 염소화 기술에 대한 수정만을 밝혀내었다. 피리딘과 염화티오닐을 사용하여 알콜을 염소화시키는 것이 오랜기간동안 알려져 왔다(Darzens, Comptes Rundues, 1911, 152, 1314, 1601; 및 1912, 154, 1615). 이 공정의 메카니즘은 게라드에 의해 설명되었다(Gerrad, J. Chem. Soc. 1939, 99; 1940, 218; 및 1944, 85). 첫 번째 단계에서는 두 알콜분자 ROH를 염화티오닐과 반응시켜 슬파이트 P2SO3및 두분자의 염화수소를 형성시킨다. 상기 염화수소는 피라딘과 반응시켜 피라딘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형성시킨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슬파이트를 또다시 염화티오닐과 반응시켜 두분자의 클로로슬파이트 RSO2CI을 얻는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클로로슬파이트를 피라딘 히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2분자의 염화물 RCI 및 2분자의 이산화황을 얻는다.
이처럼 다르쩽의 방법에 있어 피라딘은 반응물에 대한 용매로서, 그리고 처음에 염화티오닐을 알콜과 반응시켜 슬파이트를 형성시키는 중 방출되는 염화수소에 대한 산 수용체로서, 그리고 피라딘 히드로클로리아드 형태로 쓰일때엔 반응 마지막 단계를 위해 염화물 이온을 방출시키는 촉매로서 작용한다. 다량의 염화수소가 분리되는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의 경우, 산 수용체로서의 피라딘의 작용은 폴리스파이트의 열화(劣化)를 방지한다.
이공정이 당과같은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에 작용될 때, 분자내 슬파이트의 생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그로인해 실질상 항상 과도하게 복잡한 혼합생성물이 형성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같은 이유로 인해 당을 성공적으로 염소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염화티오닐-피리딘 시약 시스템의 예로써 공지된 것은 아마도 없으리라 추정된다. 가장 최근의 시도를 영국특허 제 2181734A호의 방법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 방법에서는 라피노스를 염소화시키기 위해 산화포스핀과 더블어 염화티오닐 및 피리딘이 사용되지만 그 결과를 전혀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다. 이제 본 발명자들은,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한, 6-위치가 보호된 수크로오스 또는 수크로오스 그자체를 염화티오닐 및 피리딘 또는 알킬-치환 피리딘같은 염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원하는 염소화 생성물을 우수한 수율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우선, 염화티오닐의 양과 피리딘의 양은 당분자내의 유리 히드록시기 하나에 대해 약 1몰당량(ME)이어야 한다. 따라서 7개의 유리히드록시기(그중 3개는 염소화되어야 할 것임)를 갖는 수크로오스 6-에스테르는 약 7ME의 염화티오닐 및 약 7ME의 피라딘과 반응시켜야 한다. 마찬가지로 11개의 유리히드록시기(그중 4개는 염소화되어야 할 것임)를 갖는 라피노스는 약 11ME의 염화티오닐 및 약 11ME의 피라딘과 반응시켜야 한다. 실제로 그 양은 어느정도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개의 유리히드록시기를 갖는 수크로오스 유도체의 경우엔 0.9n내지 1.2n ME의 염화티오닐 및 n내지 1.4n약 ME의 피라딘, 특히 n내지 1.1n의 염화티오닐 및 n내지 1.3n의 피리딘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더 적은 양의 피리딘이 사용될 경우, 6-위치가 보호된 (6-보호) 수크로오스 중간체는 완전히 용해되지 못하여서 반응 혼합물을 초기에 휘저어 저을 때 어려움이 많고, 반응이 첫 번째 단계중에 분리된 염화수소를 중화시킬 염기의 양이 불충분하게 된다. 더많은 양의 피라딘이 사용될 경우엔 염화티오닐과 과량의 피리딘 사이의 불필요한 부반응에 의하여, 제거하기 힘든 바람직하지 못한 부산물이 생성된다. 둘째, 이 반응은 클로로슬파이트가 쉽게 용해될 수 있으며 중간정도의 극성, 예컨대 5-15의 유전율을 갖는 비(非)반응성 용매속에서 실시해야 한다. 바람직한 용매는 부분염소화된 에틴과 같은 염소화 탄화수소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1,1,2-트리클로로메탈인데, 그 이유는 이것이 더 짧은 반응시간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예컨대 112℃의 환류온도하에 2시간 이하), 1,2-디클로로에탄은 낮은 비점(환류 83℃ ; 반응시간 9-12시간)을 가지므로 덜바람직하다. 반응은 피라딘내의 수크로오스 유도체 용액을 화학적으로 비활성인 용매내의 염화티오닐 용액속에 점차로 첨가해 줌으로써 유리하게 실시된다. 처음에 이 반응은 낮은 온도, 예컨대 -5C 이하, 또는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주위온도정도에서 실시하고, 이후 고온 주기에서 반응을 실시해야 한다. 이때의 고온이란, 반응을 대기압하에 실시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혼합물의 환류온도를 말하는 것이다(1,2-디클로로에탄/피리딘의 경우 약 83℃ ; 1,1,2-트리클로로에탄/피리딘의 경우엔 112℃). 피리딘 또는 알킬-치환 피리딘의 사용에 대해 검토해 보기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유기용매의 사용이 필수적임을 발견하였다. 염기는 초기 클로로슬파이트 및 염화수소를 생성하리라 생각되는 염화티오닐과 히드록시기와의 초기 반응에서 방출되는 염화티오닐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하다. 염기의 부재하에서는 염화수소가 6-치환 수크로오스분자(비교적 산에 불안정함)의 분해를 야기한다. 가장 적합한 것은 방향족 질소염기라고 생각된다. 피리딘 및 알킬-치환 피리딘은 당 유도체에 대한 우수한 용매이기 때문에 특히 적합한 것이다. 알킬-치환 피리딘 중에서 3-피콜린과 4-피콜린 및 이들의 혼합물이 가장 적합하다. 반응의 두 번째 단계에서 염기 히드로클로라이드는, 초기에 형성된 슬파이트 또는 클로로슬파이트와 치환되는 염화물 이온의 공급원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정도의 극성을 갖는 비반응성 용매내에서 수크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 특히 6-에스테르나 6-에테르 같은 6-보호유도체(예:라피노스 같은 글리코실 유도체)와 염화티오닐 및 질소염기를 수크로오스 또는 유도체내 유리 히드록시기 1몰당량에 대하여 염화티오닐 약 1몰당량 및 염기 약 1몰당량의 비율로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수크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의 염소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수크랄로오스의 제조시 사용되는 수크로오스 6-에스테르의 효율적이고도 선택적인염소화 방법을 제공해 준다. 6-에스테르라는 용어속에는 6-에스테르기 뿐만아니라 어딘가에 또 에스테르기를 갖는 수크로오스 유도체도 포함된다. 그 예로써, 1988. 9. 27일자 출원된 영국특허출원 8822673.3호에 기재되고 청구된 바와같은 수크로오스 6,4'-디에스테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특색에 따르면, 6-보호 수크로오스 유도체를 염소화제와 반응시켜 수크랄로오스를 제조함에 있어서, 중간정도의 극성을 갖는 비활성 용매내에서 수크로오스 유도체내에 유리히드록시 1몰당량에 대해 염화티오닐 약 1몰당량 및 염기 약 1몰당량과의 반응에 의해 염소화반응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하기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노리트(Norit), 멤버라이트(Amberlite), 래드 팩(Rad Pak), 듀울라이트(Duolite) 및 PREP-PAK는 상표명이다.
실시예 1 : 수크로오스 6-아세테이트의 염소화 피리딘(7.89㎖ : 약 7ME)내 결정성 수크로오스 6-아세테이트(5g ; 순도 79.8%, 하기 참조)의 용액을 30분의 기간에 걸쳐서 1,2-디클로로에탄(25㎖)내의 염화티오닐(7.09㎖ : 약 7ME, 하기 참조)에다 적가한다. 이때 온도는 -5℃ 미만으로 유지시킨다. 혼합물을 주위온도로 까지 가온되게 한 후 1시간에 걸쳐 환류온도(83℃)로 가열한다. 45℃까지는 어떠한 침전물이라도 완전 용해된다. 용액을 12시간동안 환류시킨 후 부피가 절반으로 될 때까지 농축시킨다. 농축물을 0.880 암모니아(20㎖)와 메탄올(20㎖)의 차가운 혼합물속에 첨가하고 45분간 45℃에서 가열한다. 용액을 묽은 시럽으로 농축시키고 이것을 부탄온(50㎖)과 포함된 수성염화나트륨(50㎖)사이에 분배시킨다. 수성층은 부탄온(50㎖)으로 추출시킨다. 유가상들을 합하여 활성탄(노릿 GB2)으로 탈색시키고, 듀울라이트 DMF(H+/OF-)이온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탈이온 시키고 농축건조시킨다. 잔사를 HPLC로 분석해보면(스티일 리졸브 C 18 5 미크론 컬럼이 장치된 굴절지수 검출기가 있는 액체 크로마토 그래피를 사용하고, 아세토니트릴; 물 28 : 72로 용출시킴), 수크로오스 6-아세테이트가 수크랄로오스 및 수크랄로오스 6-아세테이트로 도합 72% 전환되었음을 알게된다.수크로오스 6-아세테이트의 분석과 SOCI2의 계산이 필요시된다.
Figure kpo00001
실시예 2 : 라피노스의 염소화
피리딘(17.6㎖ : 11ME)내 라피노스(10g, 무수물)의 용액을 1,2-디클로로에탄(50㎖)내의 염화티오닐(15.9㎖ : 11ME)에다 30분에 걸쳐 -5℃ 하에 적가한다. 혼합물이 주위온도로까지 가온되도록 한 후 1시간에 걸쳐 환류온도(83℃)로 가열한다. 9시간동안 환류시킨 후 용액의 부피가 절반으로 될 때까지 농축시킨다. 농축물을 0.880 암모니아(50㎖)와 메탄올(50㎖)의 차가운 혼합물속에 첨가한후 45℃에서 1시간동안 가열한다. 용액을 묽은 시럽으로 농축시키고 이것을 부탄온(75㎖)과 포함된 수성염화나트륨(75㎖)사이에 분배시킨다. 수성상은 부탄온(4x50㎖)으로 추출시킨다. 유기상들을 합하여 활성탄(노릿 GB2)으로 탈색시키고, 듀울라이트 DMF(H+/OH-)이온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탈이온 시키고 농축건조시킨다. 잔사를 HPLC로 분석해보면(PREP-PAK 500/C18 컬럼이 있는 액체 크로마토 그래피를 사용하고, 아세토니트릴 ;물, 20:80 으로 용출시킴), 라피노스가 테트라클로로라피노스로 58% 전환되었음을 알수 있다.
실시예 3 : 라피노의 염소화
1,2-디클로로에탄 대신 1,12-트리클로로에탄을 사용하고 112℃에서 1.5시간동안 환류시킴으로써 실시예2의 조건을 수정해준다. 생성물을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같이 HPLC에 의해 분석한다. 이로써, 라피노스가 테트라클로로라피노스로 60% 전환되었음을 알수 있다.
실시예 4 : 수크랄로오스 펜타아세테이트(TOSPA)의 제조
수크로오스 6-아세테이트(500g : 슈도 약 80%)를 60℃에서 피리딘(920㎖ : 8.2ME)속에 용해시키고 주위온도로 냉각시킨후 1,1,2-트리클로로에탄(TCE)(2000㎖)내 염화티오닐(730㎖ : 7.2ME)의 교반용액속에 90분에 걸쳐 첨가한다. 이때 온도는 20℃ 미만으로 유지시킨다. 첨가후 반응용액을 2시간에 걸쳐 환류온도(112℃)로 가열하고 90분간 환류하에 유지시킨다. 혼합물을 20℃미만으로 냉각시키고 물(1000㎖) 속의 암모니아(S.G. 0.880;2000㎖)용액을 75분에 걸쳐 첨가한다. 이때 30℃ 미만으로 유지시킨다. 혼합물을 침전시켜서 밑의 유기상(약 3300㎖)은 분리제거하고 수성상(2700㎖)은 TCE(500㎖)로 역추출시킨다. 추출물들을 합하여 55℃에서 시럽으로 농축시킨다.
초산무수물(500㎖)과 초산나트륨(50g)을 첨가하고, 혼입물을 75℃에서 1시간동안 가열한후 톨루엔(2000㎖)을 첨가한다. 이후 혼합물을 약 30℃로 냉각하고 물(1000㎖)을 첨가한다. 5℃에서 2시간 동안 결정화가 일어나도록 한 후 조 TOSPA를 수거하여 톨루엔(500㎖)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주위온도하의 유체베드). 축출한 상태의 수득량은 약 610g,건조상태의 수득량은 약 420g이며, 몰수율은 56%이다. 5미크론의 래드 팩 A칼럼(C18)이 장치된책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고 아세토니트릴/메탄올/물(3/3/4)을 사용하여 HPLC에 의해 분석한 결과는 82.4% 이다.
실시예 5 : 수크랄로오스의 제조
실시예 4에서 얻은 TOSPA의 샘플(50g)을 메탄올(125㎖)속에 집어넣고 나트륨메톡사이드(0.5g)를 첨가한다.
혼합물을 진공하에 1.5시간동안 실온에서 휘저어 섞는다. 생성된 용액을 맴버라이트 IRC 50(H+)수지와 함께 휘저어 섞음으로써 중화시킨후 수지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메탄올(25㎖)로 세척한다. 여액과 세척액을 탈색용 목탄(2g) 및 셀라이트(2g)와 함께 15분간 휘저어 섞은후 용액을 여과에 의해 정화시키고 진공하에 거품으로 농축시킨다. 거품을 초산에틸(100㎖)속에 집어넣고 여과한후 초산에틸(25㎖)로 세척하고 40℃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킴으로써 결정성 수크랄로오스를 분리한다. 수득량(23.1g)(94%)이다.
실시예 6
1,1,2-트리클로로에탄내의 염화티오닐과 피리딘을 사용한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의 염소화, 피리딘(16.3㎖, 9.00ME)내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10.0g, 1.00ME)의 용액을 1,1,2-트리클로로에탄(80㎖)내 염화티오닐(12.3㎖ : 7.50ME)의 교반냉각용액속에 적가한다.이때의 속도는 온도를 10℃ 미만으로 유지시키기에 충분하도록 한다.
이때, 흰색 침전물이 생성된다. 첨가단계에는 20분이 소요된다. 슬러리를 1시간에 걸쳐 환류온도로 온화하게 가열한다. 고체는 약 40℃에 이르기까지 모두 용해되어 오렌지색 용액을 형성한다. TIc(하기참조)로 조정하면서 혼합물을 2시간동안 환류시킨다(112℃). 혼합물을 주위온도로 냉각하고 메탄올(20㎖)내 농축수산화암모늄(20㎖)의 용액을 냉각과 더불어 서서히 첨가한다. 발열반응에 의해 온도가 60℃ 로 올라가면 혼합물을 1시간동안 그 온도에서 휘저어 섞는다. 물(40㎖)을 첨가하고, 60℃에서 20분간 휘저어 섞은 후 상(相)들을 분리한다. 유기상을 농축건조시켜서 12.9g의 수크랄로오스-6-벤조에이트를 황갈색 고체형태로 얻고 이것을 직접 수크랄로오스로 전환시킨다(실시예 7).
TIc 시스템
반응 혼합물의 샘플(0.5㎖)을 1:1 농축 수산화암모늄/메탄올로 구성된 용액 1.0㎖ 속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60℃에서 30분간 휘저어 섞는다. 샘플(2㎕)을 실리카겔 tlc 플레이트 위에 반점으로 찍고 20 : 5 : 0.2의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초산을 사용하여 전개시킨다. UV선에 의해, 그리고 5%의 에탄올성 황산으로 분무하고 챠링
(charring)함으로써 관찰을 한다.
실시예 7
조(粗) 수크랄로오스 - 6 - 벤조에이트로부터 수크랄로오스의 제조 및 분리.
조 수크랄로오스 - 6 - 베조에이트(12.9g:실시예 6에서 제조된 것)를 나타륨메톡사이드(0.40g)가 함유된 메탄올(100㎖)과 함께 실온하에 휘저어 섞는다. 1시간후엔 어두운 갈색의 맑은 용액이 형성되며 2시간 후 tlc (실리카겔, 용출제는 20 : 5 : 0.2의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초산)에 의해 반응이 완결된다. 5.0g의 맴버라이트 IRC 50H+이온교환수지와 함께 휘저어 섞음으로써 PH를 7.2로 조정하고, 수지를 여과한 후 메탄올로 세척한다.
여액을 활성탄 분말(1.0g)로 처리하고 주위온도에서 1시간동안 휘저어 섞은후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한다. 여액을 갈색오일(14.2g)로 농축시킨다. 오일을 초산에틸(150㎖)과 물(250㎖)사이에서 분배하면서 8-단계의 역류액체-액체추출공정을 따르게 한다. 덜 극성인 불순물을 초산에틸 속으로 추출시키고, 수크랄로오스 및 보다 더 극성인 불순물을 수성 상속으로 추출시킨다. 수성상을 강압하에 25㎖로 농축시키고 2-부탄온(30㎖)과 물(10㎖)사이에 분배시키면서 4-단계역류액체-액체추출공정을 따르게 한다. 2-부탄온상들을 농축시켜 고체 수크랄로오스를 얻고 이를 진공하에 건조시킨다. 수득량 ; 5.0g 분석 ; 수크로오스 92.4% 염소화된 탄수화물 불순물 2%미만 HPLC 분석방법
수크랄로오스 샘플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분석한다. 샘플 성분들은 12% 아세토니트릴/88% 물의 이동상 및 0.6에서 1.8㎖/분으로 증가하는 흐름 구배를 사용하여 역상의 옥타데실실란 HPLC 컬럼상에서 분리한다. 차동 굴절계에 의해 검출을 한다. 샘플을 공지의수크랄로오스 표준 및 다섯 불순물의 표준에 대해 분석하여 조성의 백분율을 결정한다.
실시예 8
1,1,2-트리클로로에탄내의 염화티오닐과 3-피콜린을 사용한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의 염소화, 3-피콜린(17.6㎖, 8.0ME)내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10.0g, 1.00ME)의 용액을 1,1,2-트리클로로에탄(40㎖)내 염화티오닐(12.3㎖ : 7.50ME)의 교반냉각용액속에 적가하며, 이때 속도는 온도를 20±2℃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것이 되도록 한다. 이로써, 담황색의 혼탁한 용액이 얻어진다. 혼합물을 1시간 걸쳐 환류온도(110℃)로 서서히 가열하고 환류온도에서 1시간 더 유지시킨다. 반응을 tlc에 의해 조정한다.(방법은 실시예 5을 참조). 혼합물(약 70㎖)로 30℃로 냉각하여 적하깔때기로 옮기고, 암모니아의 포화 수용액(40㎖)속에 휘저어 섞으면서 적가한다(냉각과 아울러). 첨가단계에 10분이 소요되며, 이때의 온도는 30℃ 미만으로 유지시킨다. 혼합물을 20분간 60℃로 가열후 상 등을 분리한다. 유기상을 고 진공속에서 농축건조시킨 12.6g의 조생성물을 얻는다. 이 생성물을 HPLC로 분석해보면 57.4%의 수크랄로오스-6-벤조에이트가 함유되었음을 알수 있다(수율;63.3%).
HPLC 분석방법
수크랄로오스-6-벤조에이트 샘플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하여 분석한다. 샘플 성분들은 24% 메탄올/76% 0.01M K2HPO4(PH7.5) 완충액에서 69.5% 메탄올/30.5% 완충액에 이르기까지의 구배식 용출액을 사용하여 역상 옥타데실실란 HPLC 컬럼상에서 분리한다. 254nm에서 자외선 흡수에 의한 검출을 한다.
샘플을 공지의 조정 및 속도를 갖는 수크랄로오스-6-벤조에이트 표준에 대하여 분석한다. 또한, 총 크로마토그래피 피이크 분포로부터 크로마토그래피적 순도를 계산한다.
반응 프로우필
제1도에 나와있는 그래프는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의 SOCI2-TCE-피콜린 염소화에 대한 반응 프로우필이 연구되었다. 이 반응은 앞서 요약했던 과정의 기본원리를 따라 50.0g(1.0ME)의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 88.0㎖(8.0ME)의 3-피콜린, 60.6㎖(7.5ME)의 SOCI2및 200㎖의 TCE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이따금씩 반응부분표본들을 회수하여 클로로데옥시수크로오스 유도체에 대한 HPLC 분석을 한다. 1시간의 가열 기간이 사용될 때 환류온도에서 1시간 유지시킨후 수크랄로오스-6-벤조에이트(토스벤)의 생성이 최대치로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가열시간을 연장시키면 수크랄로오스-6-벤조에이트가 손실되고 다른 염소화합물의 생성이 초래된다.
실시예 9
1,1,2-트리클로로에탄내의 염화티오닐과 피리딘을 사용하는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의 염소화; 결정성 수크랄로오스-6-벤조에이트의 50g 규모의 분리,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50.0g, 1.00ME)를 가온하면서 피리딘(72.5㎖ : 8.00ME)속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주위온도로 냉각시기고, 얼음물 냉각법을 사용하여 온도를 30℃로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속도로 1,1,2-트리클로로에탄(20㎖)내의 염화티오닐(60.6㎖, 7.5ME)용액 속에다 휘저어 섞으면서 적가한다. 첨가에 소요되는 시간은 17분이다. 생성된 오렌지색 용액을 40분에 걸쳐 109℃로 가열한다. 가스 방출은 90℃에서 개시된다. 혼합물을 70분간 환류시킨후 40℃로 냉각시킨다. 염소화 혼합물(약 325㎖)을 적하 깔대기에 옮기고, 얼음 냉각법을 이용하여 온도를 30℃ 미만으로 유지시키면서 농축 수성암모니아(190㎖)속에 적가한다. 2상(相) 혼합물을 결력하게 휘저어 섞으면서 6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다. 상들을 분리하여 수성상을 1,1,2-트리클로로에탄(25㎖)으로 세척한다. 우기상들을 합하여 여과해서 현탁 고형물들을 제거하고 진공하에 거품으로 까지 농축시킨다. 수득량은 55.6g이고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로 부터의 보정 수율은 58.3%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57.8%의 수크랄로오스-6-벤조에이트, 5.8%의 디클로르화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 및 16.3%의 테트라클로로화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가 생성되었음을 알수 있다. 조생성물의 일부분(25.0g)을 디클로로메탄(100㎖)속에 용해시키고 환류하에 30분간 활성탄으로 처리한다. 셀라이트 배드를 통해 용액을 여과하고 케이크 디클로메탄(50㎖)으로 세척한다. 여액을 약 80㎖로 농축시키고, 주위의 조건하에 두고서 2일에 걸쳐 증발시킨다. 생성된 고무질 결정을 차가운 디클로로메탄(40㎖)속에 슬러리화시킨후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20㎖)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수득량 ; 8.62g 분석 ; 89.5% 수크랄로오스-6-벤조에이트, 5.7% 디클로르화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 4.0% 테트라클로로화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실시예 10
1,2-디클로로에탄에 염화티오닐과 피라딘을 사용하는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의 염소화, 피리딘(30.8㎖ : 8.50ME)내 품질이 나쁜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20.0g, 1.00ME ; 분석 ; 80.5%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 18.5% 수크로오스)의 용액을 1,2-디클로로메탄(80㎖)내 염화티오닐(24.6㎖, 7.50ME)의 냉각교반 용액속에다 20분에 걸쳐 적가한다. 이때 온도는 15℃미만으로 유지시킨다. 진한 백색 페이스트가 생성되면 15분에 걸쳐 가온시킨후 30분에 걸쳐 환류온도로 서서히 가열한다. tlc에 의해 반응과정(실시예 5참조). 따라 13시간동안 환류를 계속한다. 반응 혼합물을 10℃로 냉각하고 온도를 30℃미만으로 유지시키면서 1 : 1 농도의 수성 암모니아 - 메탄올(80㎖)을 첨가한다. 혼합물을 50℃에서 1시간동안 가열한후 물(40㎖)을 첨가한다. 상들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50℃에서 1,2-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시킨다. 유기상들을 합하여 물(40㎖)로 추출시킨 후 진공하에서 오일(31.0g)로 농축시킨다. 표준과정에 따라 메탄올성 나트륨 메톡사이드속에서 탈이실화시킴으로써 오일을 수크랄로오스로 전환시켜서, 8.25g의 수크랄로오스가 함유된 갈색 거품을 얻는다(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로 부터의 수율은 57.5%)
실시예 11
1,1,2-트리클로로에탄내의 염화티오닐과 피리딘을 사용한 수크로오스의 염소화 수크로오스(1g)와 피리딘(2.3㎖, 10ME의 성분 혼합물을 0℃에서 1,1,2-트리클로로에탄(4㎖)내의 염화티오닐(1.7㎖, 8ME)로 처리한다. 반응물의 온도를 주위온도로 올린후 95℃에서 16시간동안 가열한다. 용액을 메탄올성 암모니아로 중화시키고 시럽이 되도록 농축시킨후 초산무수물과 피라딘을 사용하여 주위온도에서 6시간 동안 아세틸화시킨다. 용액을 농축시켜 에테르속에 접어넣고 물로 세척하여 건조시키고 (Na₂SO₄)농축시켜 시럽(1.5g)을 얻는다. 61c 분석에 의하면, 이것이 6,6'-디클로로-6,6'-디데옥시수 크로오스(17.0%)4,6,6'-트리클로로-4,6,6'-투리데옥시갈락토 수크로오스(8.3%) 및 4,6,1',6'-태트라클로로-4,6,1',6'-테트라데옥시갈락토 수크라오스(26.4%)의 피아세테이트의 혼합물임을 알수 있다.
실시예 12
수크로오스-6-아세테이트의 염소화
수크로오스 6-아세테이트(500g : 순도 약 80%)를 피리딘(950㎖)속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1,2-트리클로로에탄(TCE 2000㎖)내 염화티오닐(730㎖)의 교반용액속에 90분에 걸쳐 첨가하고 온도를 20℃ 미만으로 유지시킨다.
반응혼합물을 2시간에 걸쳐 환류온도로 가열하고 환류하에(112℃) 90분간 유지시킨다. 이후 혼합물을 10℃로 냉각하고 물(1000㎖)을 30분에 걸쳐 첨가한다(온도는 20℃미만으로 유지시킴). 온도를 30℃미만으로 유지시키면서 암모니아(S.G. 0.880, 1700㎖)와 물(500㎖)의 혼합물을 60분에 걸쳐 첨가한다. 혼합물을 침전시키고 유기상을 분리제거한후, 수성상을 TCE와 파라딘의 혼합물(1 : 1, 500㎖)로 역추출시킨다. 유기 추출물들을 합하여 증류물 약 1.5ℓ가 수거될 때까지 55℃하에 농축시킨후 약 20℃로 냉각시킨다.
초산무수물(500㎖)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0℃로 가온한다. 용매(1000㎖)를 더 증류제거하고 크실렌(2000㎖)을첨가한후, 증류물 1000㎖가 더 제거될 때까지 증류를 계속한다. 크실렌(1000㎖)을 더 첨가하고 혼합물을 약 25℃로 냉각시킨후 물(1000㎖)을 첨가한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5℃로 냉각시킨다. 생성물을 수거하여 크실렌(500㎖)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40℃에서의 유체베드). 수득량 ; 570g(축축한 상태), 524g(건조상태), 몰수율 ; 65%, 분석 ; 78.5%(실시예 4에 기재된 바와같이 HPLC에 의해분석) 13% 크실렌 결정화
실시예 13(a) ; 4'6-디-0-아세틸수크로오스의 제조
피리딘(65㎖)내의 수크로오스-6-아세테이트(10g) 용액속에 이소프로페닐아세테이트(30㎖)와 리파제 P 아미노(20g)를 첨가하고, 반응혼합물을 60℃에서 6일간 유지시킨다. TLC에 의하면, 6-0-아세틸수크로오스 및 4'6-디-0-아세틸수크로오스의 1 : 1 혼합물과, 수크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라 생각되는 더 빨리 이동하는 성분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효소를 여과제거하고, 여액을 부피가 절반이 될 때까지 농축시킨다. 신선한 효소(15g)와 피리딘(20㎖)울 첨가하고 반응혼합물 6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다. TLC에 의하면(초산에틸 : 아세톤 : 물, 8 : 6 : 1), 4'6-디-0-아세틸수크로오스의 수율이 약 80%이고, 6-0-아세틸수크로오스 및 더 빨리 이동하는 두 성분들은 소량임을 알수 있다. 효소를 여과제거하고 여액을 톨루멘으로 동시 증류시킴으로써 시럽이 될 때까지 농축시킨후, 실리카겔 칼럼으로부터 용출시켜(용출액 : 처음엔 아세톤, 그다음엔 물 1%를 함유하는 아세톤) 4'6-디-0-아세틸수크로오스(5.2g, 47%)를 얻는다.
실시예 13(b) ; 수크로오스 6,4'-디아세테이트의 수크랄로오스로의 전환
피리딘(0.5㎖)내 수크로오스-6,4'-디아세테이트(100mg)의 용액을 처음엔 0℃에서 0.5시간동안, 그후엔 95℃에서 4시간동안, 1,1,2-트리클로로에탄(1.5㎖)내의 염화티오닐(0.2㎖)로 처리한다. 반응혼합물을 염화메틸렌(20㎖)으로 희석시키고, 차가운 수성 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한 다음, 물로 세척한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Na2SO4) 톨루엔과의 동시증류에 의해 농축시킨후 실온하에 4시간동안 메탄올(PH10.0)내의 1M 나트륨메톡사이드로 처리된다.
T.I.c(초산에틸 : 아세톤 : 물, 8 : 6: 1)에 의하면 수크랄로오스가 주된 생성물임을 알수 있다. 이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고 1H-Nmr분광법에 의해 특성화한다.
비교실시예 1
1,2-디클로로에탄내의 피리딘을 사용한 수크로오스-6-아세테이트의 염소화(수크로오스 6-아세테이트 1ME에 대해 9ME의 염화티오닐과 5ME의 피리딘 사용)
수크로오스 6-아세테이트(5g : 순도 약 80%)를 피리딘(5.6㎖ ; 5ME)속에 집어넣고, 1,2-디클로로에탄(25㎖)내 염화티오닐(9.1㎖ ; 9ME)의 교반용액속에다 30분에 걸쳐 적가한다. 이때 온도 -5℃ 로 유지시킨다. 혼합물을 주위온도로 까지 가온시킨후 1시간에 걸쳐 환류온도(83℃)로 가열한다. 용액을 20시간동안 환류시킨후 부피를 절반으로 농축시킨다. 농축물을 암모니아(S.G. 0.880 ; 20㎖)와 메탄올(20㎖)의 차가운 혼합물속에 첨가하고 45분간 45℃하에 가열한다. 용역을 묽은 시럽이 될 때까지 농축시키고 부탄온(50㎖)과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50㎖)사이에 분배시킨다. 수성층을 부탄온(50㎖)으로 추출시키고, 유기상들을 합하여 듀울라이트 DMF(H+/OH-)이온교환 수지로 탈색시키고 농축건조시킨다.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 사용하여 잔사를 HPLC로 분석해보면, 수크로오스 6-아세테이트가 수크랄로오스 및 수크랄로오스 6-아세테이트로 도함 약 5% 전환되었음을 알게된다.
비교실시예 2
1,1,2-트리클로로에탄내에서 히드록시기 1ME에 대해 1.07ME의 염화티오닐과 0.1NE의 3-피콜린을 사용한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의 염소화,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2.5g, 0.10ME)를 3-피콜린(4.40㎖, 0.8ME)속에 용해시키고 15℃하에 5분에 걸쳐 1,1,2-트리클로로에탄(100㎖)내 염화티오닐(30.3㎖ : 7.50ME)의 용매속에 적가한다. 그런다음 고형의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22.5g, 0.90ME, 즉 총1.0ME의 헵타히드록시 물질)를 15℃하에 30분간에 걸쳐 그 용액속에 일부분씩 첨가한다. 온도상승은 관찰되지 않는다.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는 쉽게 용해되어 맑은 담황색 용액을 제공해준다(많은 가스방출을 수반). 혼합물 50분에 걸쳐 환류속도(110℃)로 가열하고 총 7.2시간동안 환류시키면서 tic(실시에 4의 방법참조)에 의해 반응과정을 조정한다. 상당한 분해가 일어나며, 이로인해 반응은 7.2시간후 정지된다. 염소혼합물을 20℃로 냉각하고, 진한 수성 암모니아(100㎖)를 1시간에 걸쳐 적가하면서 혼합물 30℃로 냉각한다.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더 휘저어 섞은후 물(100ml)을 첨가하고 상 등을 분리한다. 유기상을 진공하에 흑색오일(11.1g)로 농축시킨다. 이 오일은 22.1%의 수크로오스-6-벤조에이트와 더불어 잔류량의 피콜린과 각종 분해 생성물을 함유한다.

Claims (13)

  1. 수크로오스 또는 그의 유도체와 염화티오닐 및 질소염기를 중간정도의 극성을 갖는 비반응성 용매 속에서 유리히드록시 1몰당량(ME)에 대해 염화티오닐 약 1ME의 비율로 반응시켜서, 수크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를 염소화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염화티오닐 대 유리히드록시의 ME비율이 0.9 : 1 내지 1.2 : 1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E비율이 1 : 1 내지 1.1 : 1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염기 대 유리히드록시의 ME비율이 1 : 1 내지 1.4 : 1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이 1 : 1 내지 1.3 : 1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소염기가 피리딘 또는 알킬 피리딘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가 염소화된 탄화수소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용매가 부분적으로 염소화된 에탄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용매가 1,1,2-트리클로로에탄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크로오스 유도체가 6-보호 수크로오스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6-보호수크로오스가 6-에스테르 또는 6-에테르 또는 6,4'-디에스테르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6-보호수크로오스가 수크로오스 6-아세테이트, 수크로오스 6-벤조에이트 또는 라피노스인 방법.
  13. 6-보호수크로오스 유도체를 질소 염기존재하에 염소화제와 반응시키고 뒤이어 6-치환제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6-치환유도체를 유도체내 유리 히드록시기 1ME 에 대해 약 1ME의 염화티오닐 및 약 1ME의 염기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크랄로오스의 제조방법.
KR1019890013396A 1988-09-16 1989-09-16 수크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의 염소화방법 및 수크랄로오스의 제조방법 KR0137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821804.5 1988-09-16
GB888821804A GB8821804D0 (en) 1988-09-16 1988-09-16 Chemical process
GB8822673.3 1988-09-27
GB888822673A GB8822673D0 (en) 1988-09-27 1988-09-27 Selective acylation of sugars
GB8822673.5 1988-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754A KR900004754A (ko) 1990-04-12
KR0137025B1 true KR0137025B1 (ko) 1998-04-25

Family

ID=2629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396A KR0137025B1 (ko) 1988-09-16 1989-09-16 수크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의 염소화방법 및 수크랄로오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EP (1) EP0364100B1 (ko)
JP (1) JP2923310B2 (ko)
KR (1) KR0137025B1 (ko)
AR (1) AR246744A1 (ko)
AU (1) AU615574B2 (ko)
CA (1) CA1320722C (ko)
DE (1) DE68903624T2 (ko)
DK (1) DK170931B1 (ko)
ES (1) ES2052923T3 (ko)
FI (1) FI92323C (ko)
GB (1) GB2222827B (ko)
GR (1) GR3006838T3 (ko)
IE (1) IE62404B1 (ko)
IL (1) IL91657A (ko)
LV (1) LV10103A (ko)
MX (1) MX172062B (ko)
NO (1) NO171916C (ko)
NZ (1) NZ230678A (ko)
PT (1) PT91726B (ko)
RU (1) RU183637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2673D0 (en) * 1988-09-27 1988-11-02 Tate & Lyle Plc Selective acylation of sugars
US7049435B2 (en) * 2002-03-08 2006-05-23 Tate & Lyle Public Limited Company Extractive methods for purifying sucralose
WO2005090376A1 (en) * 2004-03-19 2005-09-29 Pharmed Medicare Private Limited An improved process for producing chlorinated sucrose
CN101098972A (zh) * 2004-12-10 2008-01-02 法马德医疗保险私人有限公司 硅烷化硅胶色谱纯化6-乙酰基-4,1',6'三氯半乳蔗糖和4,1',6'三氯半乳蔗糖的改良方法
US20100222568A1 (en) * 2005-08-30 2010-09-02 Rakesh Ratnam Removal of pyridine and pyridine analogs from reaction mass containing sucrose esters
US8436156B2 (en) * 2008-01-04 2013-05-07 Tate & Lyle Technology Limite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ralos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62467D1 (en) * 1979-12-20 1983-04-28 Tate & Lyle Pl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4,1',6'-trichloro-4,1',6'-trideoxy-galactosucrose
ATE9355T1 (de) * 1980-07-08 1984-09-15 Tate & Lyle Public Limited Company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1',6'-trichlor4,1',6'-trideoxygalactosucrose (tgs).
GB8525871D0 (en) * 1985-10-21 1985-11-27 Tate & Lyle Plc Chemical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91657A (en) 1994-01-25
RU1836376C (ru) 1993-08-23
AR246744A1 (es) 1994-09-30
DK170931B1 (da) 1996-03-18
FI92323B (fi) 1994-07-15
DK455889D0 (da) 1989-09-15
NO893688L (no) 1990-03-19
NZ230678A (en) 1991-11-26
PT91726B (pt) 1995-05-31
GR3006838T3 (ko) 1993-06-30
MX172062B (es) 1993-12-01
GB2222827B (en) 1992-08-19
CA1320722C (en) 1993-07-27
NO171916C (no) 1993-05-19
AU615574B2 (en) 1991-10-03
EP0364100B1 (en) 1992-11-25
GB2222827A (en) 1990-03-21
FI894359A (fi) 1990-03-17
AU4143789A (en) 1990-03-22
FI894359A0 (fi) 1989-09-15
DE68903624T2 (de) 1993-05-13
KR900004754A (ko) 1990-04-12
IL91657A0 (en) 1990-04-29
EP0364100A3 (en) 1991-09-11
JP2923310B2 (ja) 1999-07-26
IE892955L (en) 1990-03-16
IE62404B1 (en) 1995-01-25
NO893688D0 (no) 1989-09-15
DE68903624D1 (de) 1993-01-07
ES2052923T3 (es) 1994-07-16
PT91726A (pt) 1990-03-30
LV10103A (lv) 1994-05-10
GB8920600D0 (en) 1989-10-25
NO171916B (no) 1993-02-08
FI92323C (fi) 1994-10-25
DK455889A (da) 1990-03-17
EP0364100A2 (en) 1990-04-18
JPH02167293A (ja) 1990-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1651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4,1',6'-trichloro-4,1',6'-trideoxy-galactosucrose
US5136031A (en) Chlorination of sugars
KR950007922B1 (ko) 수크로스 유도체
EP0409549B1 (en) Improved sucrose-6-ester chlorination
US4826962A (en) Tetrachlororaffinose and its use in the preparation of sucralose
US5298611A (en) Sucralose pentaester production
CA1273918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6-DICHLORO-1,6- DIDEOXY-.beta.-D-FRUCTOFURANOSYL-4-CHLORO-4-DEOXY-.alpha.- GALACTOPYRANOSIDE
JP3055910B2 (ja) 糖類の塩素化方法
US5440026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crose 6-esters
Binch et al. Chemical synthesis of GDP-L-galactose and analogues
Montgomery et al. 7-Glycosylpurines. I. the Synthesis of the Anomeric 7-D-Ribofuranosyladenine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Nucleoside from Pseudovitamin B121, 2
KR0137025B1 (ko) 수크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의 염소화방법 및 수크랄로오스의 제조방법
Seibel et al. Biocatalytic and chemical investigations in the synthesis of sucrose analogues
Saksena et al. Studies toward a conjugate vaccine for anthrax.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nthrose [4, 6-dideoxy-4-(3-hydroxy-3-methylbutanamido)-2-O-methyl-D-glucopyranose] and its methyl glycosides
FI71159B (fi) 4'-halogensubstituerade sackarosderivat
Sinha et al. Synthesis of 4-deoxy-D-xylo-hexose and 4-azido-4-deoxy-D-glucose and their effects on lactose synthase
Hirsch et al. Improved synthesis of an aldobiouronic acid related to hardwood xylans, and preparation of a derivative thereof suitable for linking to proteins
Andrews et al. Synthesis of a dithio analogue of n-propyl kojibioside as a potential glucosidase I inhibitor
Mizuno et al. Protecting groups. 7. A novel type of neighboring group participation involving pyridine N-oxides in acylation and phosphorylation. 1
Wang et al. A highly convergent and effective synthesis of the phytoalexin elicitor hexasaccharide
Popsavin et al. Conversion of D-xylose to protected D-lyxose derivatives and to D-lyxose, via the corresponding 1, 2-anhydride
Kakinuma et al. Synthesis of 1′, 6′-disubstituted sucroses and their behavior as glucosyl donors for a microbial α-glucosyltransferase
Andrews et al. The isolation of oligosaccharides from gums and mucilages. Part III. Golden apple gum
FR2635326A1 (fr) Procede pour la preparation de 4,1(prime),6(prime)-trichloro-4,1(prime),6(prime)-tridesoxy-galactosaccharose
Kováć et al. Synthesis of Methyl O-β-D-Ouactopyrmosyl-(1+ 6)-(3-Deoxy-3-Fluoro-β-D-Galactopyranosyl)-(1→ 6)-β-D-Galactopyranoside. Confirmation of the Location of Subsite D in the Monoclonal IgA J539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