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991B1 - 절삭공구 - Google Patents

절삭공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991B1
KR0136991B1 KR1019940003139A KR19940003139A KR0136991B1 KR 0136991 B1 KR0136991 B1 KR 0136991B1 KR 1019940003139 A KR1019940003139 A KR 1019940003139A KR 19940003139 A KR19940003139 A KR 19940003139A KR 0136991 B1 KR0136991 B1 KR 0136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tool
groove
concave groov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사 우에다
쇼오지 타키구치
아키라 카나보시
타케히로 오오니시
Original Assignee
후지무라 마사야
미쯔비시마테리알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무라 마사야, 미쯔비시마테리알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무라 마사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02Milling surfaces of revolution
    • B23C3/05Finishing valves or valve seats
    • B23C3/051Reconditioning of valve seats
    • B23C3/053Reconditioning of valve seats having means for guiding the tool carrying spindle
    • B23C3/055Reconditioning of valve seats having means for guiding the tool carrying spindle for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3Tool-support with means to move Tool relative to tool-support
    • Y10T408/85Tool-support with means to move Tool relative to tool-support to move rad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3Tool-support with means to move Tool relative to tool-support
    • Y10T408/85Tool-support with means to move Tool relative to tool-support to move radially
    • Y10T408/858Moving means including wedge, screw or cam
    • Y10T408/8588Axially slidable moving-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12Radially moving rotating tool inside bore
    • Y10T82/125Tool simultaneously moving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대략 원추 형상의 공구 본체(1)의 모선 방향을 따라 오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절삭날팁(5A)을 구비한 슬라이더(16)가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오목홈(11)의 벽면(11a)과 슬라이더(16)의 사이에는, 세레이션홈(12a)을 구비한 스페이서(12)가 탈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 슬라이더(16)의 측면에는 세레이션홈(16a)이 형성되어 있고, 또, 오목홈(11)의 벽면(11b)과 슬라이더(16)의 사이에는 슬라이더(16)를 눌러 양쪽 세레이션(12a)(16a)을 결합시키는 쐐기부재(13)가 탈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절삭부하 등에 의한 마모나 변형은 스페이서(12)나 쐐기부재(13) 등에서 발생되므로, 이들 부재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쉽게 슬라이더(16)의 부착정 밀도나 위치정밀도를 회복하여, 가공의 정밀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절삭공구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제 3 도는 제 1 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X-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제 4 도는 제 1 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절삭날팁(5A),(5B),(5C)의 축선(O)주의의 회전궤적이다.
제 5 도는 제 1 도에서의 X-X 선을 따르는 단면에 상당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 6 도는 제 1 도에서의 X-X 선을 따르는 단면에 상당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 7 도는 제 1 도에서의 X-X 선을 따르는 단면에 상당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 8 도는 종래의 절삭공구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 9 도는 제 8 도에 표시하는 종래예의 Z-Z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공구 본체5A, 5B, 5C : 절삭날팁
8 : 슬라이더축9 : 커플링부재
10 : 연결핀11 : 오목홈
11a,11b : 오목홈(11)의 벽면11c : 오목홈(11)의 저면
12 : 스페이서12a : 세레이션홈(결합부)
13 : 쐐기부재14 : 조정부재
16 : 슬라이더16a : 세레이션홈(피결합부재)
본 발명은 특히, 엔진의 실린더헤드에 있어서의 밸브공의 가공 등에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절삭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실리더헤드의 밸브공에서는, 밸브공의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밸브가 빈번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는 소결합금 등의 경질부재를 삽입하여 내구성을 얻도록 하고 있다. 그래서, 이 밸브공을 가공하는 절삭공구로서는, 밸브공 자체를 다듬질가공하는 건형(gun type) 리머 등의 구멍 가공 공구와 상기한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를 가공하는 절삭날팁을 구비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 상기한 개구부는 밸브헤드의 형상에 따라 테이퍼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일이 많고, 이 때문에, 그러한 면의 절삭이 가능하도록, 상기한 절삭날팁은 그 절삭공구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경사져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8 도 및 제 9 도는, 이와 같은 밸브공의 가공에 사용되고 있던 종래의 절삭공구의 일예를 표시한 것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공구 본체(1)는 대략 원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어댑터(2)를 설치하여,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은 공작기계의 주측의 끝에 장착되어서, 그 축선(O) 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절삭가공에 사용된다. 또, 이 공구 본체(1)의 선단에는 상기한 축선(O)을 따라서 푸쉬(3)가 장착되어 있고, 이 푸쉬(3)에 상술한 건형 리머 등의 구멍 가공공구(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의 자루(Shank)를 삽입하고, 공구본체(1)마다 회전시키면서 그 구멍 가공공구를 전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구멍 자체의 다듬질가공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멍 가공공구의 전진은 후술하는 슬라이드축의 내부에 동축(同軸)상태로 끼워진 축(4)에 의해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 공구 본체(1)의 선단부 외주에는 3 개의 절삭날팁(5)에 의해서 밸브공의 상기한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가 가공되도록 되어 있다. 단, 제 8 도에 있어서는, 1 개의 절삭날팁(5A)만 표시되어 있고, 다른 2 개의 절삭날팁(5B),(5C)은 도면에서의 표시가 생략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들 절삭날팁(5) 중의 상기한 2 개의 절삭날팁(5B),(5C)은 공구 본체(1)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한 1 개의 절삭날팁(5A)은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즉, 공구 본체(1)에는 그 자체가 형성하는 원추형상의 모선의 방향에 따라서, 즉, 축선(O)에 경사진 상태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제 9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T 홈(6)이 형성되어 있고, 이 T 홈(6)에는 슬라이더(7)가 슬라이더(7)가 미끄럼접촉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한 절삭날팁(5A)은 이 슬라이더(7)에 탈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공구 본체(1) 및 어댑터(2)의 내부에는 각각 축선(O)을 따라서 구멍(1a), (2a)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구멍(1a),(2a)에는 슬라이드축(8) 및 커플링부재(9)가 삽입되어 있다. 이 커플링부재(9)는 키이(9a)를 거쳐 상이한 구멍(1a)에 삽입되어 있고, 이에 의해서, 공구 본체(1)과 커플링부재(9)와는 상기한 축선(O)의 주위에서 일체로 회전가능하고, 또, 슬라이드축(8)을 진퇴시키므로써, 상기한 구멍(1a) 내에서의 진퇴작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공구 본체(1)의 상기한 T 홈(6)과 구멍(1a)은 ,T 홈(6)의 저면에서 개구하는 구멍(6a)을 거쳐 연이어 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7)에는 이 구멍(6)을 통하여 구멍(1a)으로 돌출하는 연결핀(10)이 부착되어 있고, 이 연결핀(10)의 선단이 커플링부재(9)에 형성된 경사공(9b)에 삽입되므로써, 슬라이더(7)와 커플링부재(9)가 연결되어서, 슬라이더축(8)을 거쳐 커플링부재(9)를 진퇴시키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7)가 T 홈(6)을 따라서 미끄럼 작동하여 절삭날팁(5A)이 축선(O)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미끄럼이동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절삭공구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밸브공을 가공할 때에는 상기한 푸쉬(3)에 건형 리머 등의 구멍 가공공구를 장착해서 축(4)에 의해 공구 본체(1)의 기단측으로 인입하고, 그 후에, 공구 본체(1)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축선(O) 방향을 따라 이송하며, 먼저, 상기한 2 개의 절삭날팁(5B),(5C)에 의해 밸브공의 개구부의 면따기를 행한다. 이어서, 공구 본체(1)를 약간 후퇴시킨 후, 공구 본체(1)를 회전시키면서 슬라이드축(8) 및 커플링부재(9)를 전지시켜서, 연결핀(10) 및 슬라이더(7)을 거쳐 절삭날팁(5A)을 미끄럼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밸브공의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에 상술한 것 같은 테이퍼면을 형성한다. 그 후에, 공구 본체(1)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축(4)에 의해 구멍 가공공구를 전진시켜서 그 밸브공의 내부(밸브가이드공)의 다듬질가공을 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의 절삭공구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공의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에 테이퍼면을 형성할 때에는, 절삭날팁(5A)에 작용하는 절삭부하(切削負荷)는 슬라이더(7)를 거쳐 공구 본체(1)의 T 홈(6)의 벽면(특히 공구의 회전 방향을 향하는 벽면)에 의해 정지되기 때문에, 장시간을 사용하는 중에는 이와 같은 절삭부하에 의해서 T 홈(6)의 벽면에 마모나 변형이 발생한다. 또, 슬라이더(7)가 T 홈(6)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것에 의해서도 벽면은 마모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마모에 의해서 슬라이더(7)에 흔들림이 발생하며, 이에 의해서, 절삭날팁(5A)에 의한 가공정밀도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7)가 똑바르게 미끄럼이동되지 않으며, 마모가 발생된 부분에서 오목하게 미끄럼이동하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테이퍼면도 정확한 원추면으로 되지 않고, 장구 형상으로 팽창된 곡면으로 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구성의 절삭공구에 있어서, 이와 같은 마모가 발생한 경우에는, T 홈(6)을 연마 등에 의해 폭을 확대하여 수정해서, 새로운 벽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새로운 T 홈(6)에 상응한 치수, 형상의 슬라이더(7)을 다시 제작하도록 하여, 공구 본체(1) 등의 재이용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단을 채용한 경우에는, 마모가 생길때마다 T 홈(6)의 수정이나 슬라이더(7)를 다시 제작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잡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또, 슬라이더(7)에 대하여는 다시 제작할때마다 그 치수, 형상이 변화하므로 설계도 고치지 않으면 아니된다. 그러므로, 공구 본체(1)를 다시 이용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비경제적인 사태로 되어버리는 우려가 있었다.
또, 상기한 구성의 절삭공구에서는, T 홈(6)과 이에 삽입되는 슬라이더(7)와의 결합에 의해서 절삭날팁(5A)의 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T 홈(6)이나 슬라이더(7)의 성형오차를 조정하는 여지가 없고, 소망하는 가공정밀도를 얻기 위하여는 이들 T 홈(6)이나 슬라이더(7)에 대하여도 높은 정밀도로 성형하지 않으면 안되고, 성형도 곤란하였다.
또, 슬라이더(7)의 부착강성을 높이는데도 한도가 있어서, 이것이 슬라이더(7)의 흔들림을 야기시키는 하나의 원인으로도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대략 원추 형상의 공구 본체에, 이 원추의 모선에 따라서 오목홈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 내에는 절삭날팁을 구비한 슬라이더가 그 오목홈을 따라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한 공구 본체의 내부에는, 그 공구 본체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고, 또한, 상기한 축선을 따라서 진퇴작동이 가능하며, 상기한 슬라이더에 결합하여 그 슬라이더를 미끄럼이동시키는 커플링부재가 장입되어서 이루어진 절삭공구에 있어서, 상기한 오목홈의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벽면 중 한쪽의 벽면과 상기한 슬라이더와의 사이에, 상기한 모선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구비한 스페이서를 탈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함과 아울러, 이 스페이서에 접촉되는 상기한 슬라이더의 측면에는, 상기한 결합부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한 한쌍의 벽면 중 다른쪽의 벽면과 상기한 슬라이더와의 사이에는, 상기한 오목홈의 저면쪽으로 압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슬라이더를 상기한 한쪽의 벽면쪽으로 눌러서 상기한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결합시키는 쐐기부재를 탈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절삭공구에서는,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가 미끄럼이동하는 오목홈의 벽면과의 사이에, 스페이서와 쐐기부재가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절삭날팁으로부터 슬라이더에 작용하는 절삭부하는, 이들 스페이서나 쐐기부재 중의 어느 한쪽을 거쳐 상기한 벽면에서 정지되기 때문에, 이러한 절삭공구에 의한 마모나 변형은 상기한 스페이서 또는 쐐기부재에 발생하게 된다. 또, 슬라이더의 미끄럼이동에 의한 마모도 스페이서 및 쐐기부재에 발생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마모나 변형이 생겨도, 오목홈을 다시 고쳐서 형성하던가 슬라이더를 다시 제작하는 일 없이, 이들 부재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극히 용이하고, 또, 경제적으로 가공정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한 구성의 절삭공구에서는, 쐐기부재와 오목홈의 저면과의 사이에, 쐐기부재의 압입하는 위치를 규정해서 오목홈의 한쪽의 벽면쪽으로의 눌림량을 조정하는 조정부재를 설치시키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가 미끄럼 이동하는 쐐기부재와 스페이서와 간극부의 폭 등을 슬라이더의 성형정도에 따라 조정할 수 있게 되고, 오목홈이나 슬라이더에 성형오차가 생기는 경우라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스페이서와 슬라이더가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상기한 모선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세레이션홈으로 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와 스페이서와의 접촉면적의 증대를 도모해서, 슬라이더의 공구 본체에 대한 부착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이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는 제 8 도에 표시한 종래의 절삭공구와 동일하므로,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간략화한다. 또, 이들의 도면에서, 어댑터(2)와 슬라이드축(8)은 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절삭공구의 공구 본체(1)에 형성된 T 홈(6)에 대신해서, 서로 평행한 한쌍의 대향하는 벽면(11a)(11b)과, 이들의 벽면(11a)(11b)에 직교하는 저면(11c)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홈(11)이, 대략 원추형상을 이루는 공구 본체(1)의 모선의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고, 이 오목홈(11) 내에서의 공구 회전방향(제 2 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T)을 향하는 한쪽의 벽면(11a)쪽에는 스페이서(12)가, 또, 공구 회전방향(T)의 후방쪽을 향하는 벽면(11b)쪽에는 쐐기부재(13)가 조정부재(14)를 거쳐 각각 고정나사(15)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스페이서(12)와 쐐기부재(13) 및 조정부재(14)와 오목홈(11)의 저면(11c)에 의하여 구획되는 간극부에, 상기한 모선 방향, 즉, 축선(O)에 대해서 경사지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슬라이더(16)가 삽입되어 있다.
스페이서(12)는 공구 본체(1)에 대한 장착상태에 있어서, 오목홈(11)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부재로써, 오목홈(11)의 상기한 벽면(11a) 및 저면(11c)에 밀착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오목홈(11)의 내측, 즉, 공구 회전방향(T)을 향하는 측면에는, 상기한 모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단면이 파형인 세레이션홈(1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결합부로 되어 있다.
또, 쐐기부재(13) 및 조정부재(14)도 스페이서와 동일하게, 공구 본체(1)에 대한 장착상태에 있어서, 오목홈(11)의 전장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쐐기부재(13)가 공구 본체(1)의 외주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조정부재(14)는 오목홈(11)의 저면(11c)쪽에 배치되고, 또한, 어느 것이나 상기한 벽면(11b)에 밀착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쐐기부재(13) 및 조정부재(14)의 오목홈(11)의 내측, 즉, 공구 회전 방향(T)의 후방측을 향하는 측면(13a)(14a)은 서로 동일한 면이 되도록, 또, 오목홈(11)의 저면(11c)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한 벽면(11b)에 밀착하는 측면쪽으로 향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슬라이더(16)는 제 1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형상으로 절곡하는 각주 형상 부재로써, 그 기단측이 오목홈(11) 내에 배치되며, 선단부에는 상기한 절삭날팁(5A)이 탈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16)의 기단부에는, 공구 본체(1)에 대한 부착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벽면(11a)측을 향하는 1 개의 측면에, 스페이서(12)의 세레이션홈(16)에 밀착하는 단면이 파형인 세레이션홈(16a)이 형성되어 있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결합부로 되는 한편, 상기한 한쪽 측면과는 반대쪽의 벽면(11b)쪽을 향하는 다른 한쪽의 측면(16b)은 쐐기부재(13) 및 조정부재(14)의 상기한 측면(13a) (14a)이 이루는 경사에 일치시켜서 오목홈(11)의 저면(11c)쪽으로 향함에 따라 상기한 세레이션홈(16a)이 형성된 1 개의 측면쪽으로부터 떨어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16)는 제 3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세레이션홈(16a)을 스페이서(12)의 세레이션홈(12a)에 합치시켜서 결합시키며, 또, 상기한 다른 한쪽의 측면(16b)을 쐐기부재(13) 및 조정부재(14)의 측면(13a)(14a)에, 또, 그 저면(16c)을 오목홈(11)의 저면(11c)에 각각 밀착시켜서, 상기한 간극부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공구 본체(1)의 선단에는 3 개의 절삭날팁(5)---이 부착되어 있고, 그 중의 1 개의 절삭날팁(5A)이 상기한 슬라이더(16)에 장착되어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다른 2 개의 절삭날팁(5B)(5C)은 제 2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공구 본체(1)의 선단부에 고정되어서, 3 개의 절삭날팁(5)---은 공구 본체(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또, 공구 본체(1)의 축선(O) 방향에는 서로 떨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4 도는 이들 절삭날팁(5A)(5B)(5C)이 그리는 축선(O) 주위에서의 회전궤적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 제 4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2 개의 절삭날팁(5B)(5C)은 그 절삭에 사용되는 절삭부분(5b)(5c)이 상기한 회전궤적에 있어서 서로 둔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절낙날팁(5A)은 상기한 회전궤적에 있어서, 슬라이더(16)를 미끄럼이동시키므로써, 그 절삭부(5a)가 그리는 이동궤적(R)이 절삭날팁(5B)(5C)의 둔각에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절삭공구에 있어서도, 공구 본체(1)는 그 선단에 건형 리머 등의 구멍 가공공구가 장착된 후에, 어댑터 등을 거쳐 공작기계의 주측단에 부착되어서 절삭가공에 제공된다.
즉, 먼저 상기한 구멍 가공공구를 기단측에 인입한 상태에서, 공구 본체(1)를 그 축선(O) 주위에서 회전시키면서 그 축선(O) 방향으로 이송하고, 절삭날팁(5B)(5C)에 의해 제 4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의 개구부에 면취(面吹)(C)(C)를 형성한다. 다만, 제 4 도에서 참조부호 (S)로 표시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공 등의 개구부 주위 가장자리에 삽입되는 소결합금 등의 경질부재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해서 면취(C)(C)가 형성된 후에, 공구 본체(1)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일단 공구 본체(1)를 약간 후퇴시키고, 이어서,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슬라이드축을 돌출시켜서 커플링부재(9)를 전진시키는 것에 의해, 연결핀(10)을 거쳐 슬라이더(16)를 상기한 모선 방향으로 미끄럼이동시켜서 절삭날팁(5A)을 이동궤적(R)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구멍의 개구부에 테이퍼면(P)을 형성한다.
그 후, 공구 본체(1)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건형 리머 등의 구멍 가공 공구를 전진시켜서 밸브공의 내부에 삽입하고, 이 밸브공 자체의 다듬질가공을 실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한 구성의 절삭공구의에서는, 테이퍼면(P)을 형성할때에 절삭날팁(5A)에 작용하는 절삭부하는, 슬라이더(16)를 거쳐, 주로 그 공구 회전방향(T)의 후방쪽에 위치하는 스페이서(12)에 의해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절삭부하에 의한 마모나 변형이 이 스페이서(12)에서 발생하게 되어, 오목홈(11), 즉, 공구 본체(1)가 마모 또는 변형되는 일은 없다. 또, 슬라이더(16)를 미끄럼이동시키므로써 발생되는 마모도, 이 스페이서(12)나, 쐐기부재(13) 혹은 조정부재(14)에서 발생되며, 공구 본체(1)가 손상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이들 스페이서(12), 쐐기부재(13) 및 조정부재(14)는, 어느 것이나 고정나사(15)에 의해서 공구 본체(1)에 탈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마모나 변형이 생긴 경우에는 이들의 부재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가공정밀도를 회복할 수 있다. 또, 교환하는 부재는, 교환전의 부재와 동일한 규격의 것을 준비하면 되고, 마모가 생길때마다 부재의 설계를 변경시킬필요가 없으므로, 극히 경제적이다. 이것은 슬라이더(16)를 교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 상기한 구성의 절삭공구에서는, 슬라이더(16)는 쐐기부재(13)에 의해서 오목홈(11)의 벽면(11a)쪽에 눌려서, 그 세레이션홈(16)이 스페이서(12)의 세레이션홈(12a)에 접촉, 결합되어 있고, 이에 의해서 양 세레이션홈(12a)(16a)의 결합도를 강하게 해서, 절삭날팁(5A)의 위치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쐐기부재(13)에 의한 슬라이더(16)의 눌림량은 본 실시예에서는 쐐기부재(13)와 오목홈(11)의 저면(11C)과의 사이에 설치된 조정부재(14)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이 조정부재(14)를 두께가 다른 것으로 교환하는 것에 의해, 쐐기부재(13)가 오목홈(11) 내에 압입되는 위치도 변화하고, 이것과 함께 슬라이더(16)를 누르는 경사진 측면(13a)의 위치도 동일한 경사를 유지한 상태로 변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스페이서(12)나 슬라이더(16)에 성형오차가 발생되며, 이에 의해서, 쐐기부재(13)와 스페이서(12)와의 사이의 간극부의 폭과 슬라이더(16)의 폭이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아서, 슬라이더(16)에 흔들림이 발생되는 경우에서도, 조정부재(14)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이에 대응할 수 있어서, 슬라이더(16)의 부착정밀도를 확보하고, 또, 원활하게 미끄럼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또,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12)의 결합부와 슬라이더(16)의 피결합부가 서로 밀착가능한 파형단면인 세레이션홈(12a)(16a)이고, 이에 의해서, 양자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슬라이더(16)의 부착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절삭날팁(5A)의 위치정밀도를 더욱 향상시켜서, 보다 정확한 절삭가공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 및 피결합부를 파형단면인 세레이션홈(12a)(16a)으로 하였는데, 예컨대, 이것을 단면이 톱날형인 세레이션홈으로 하여도, 접촉면적의 증대를 도모하여 슬라이더(16)의 부착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홈(11)의 대향하는 벽멱(11a)(11b)을 평행으로 하고, 쐐기부재(13) 및 조정부재(14)의 측면(13a)(14b)과 슬라이더(16)의 측면(16b)을 경사면으로 하여, 쐐기부재(13)에 의해 슬라이더(16)를 누르도록 하였는데, 이것을 제 5 도에 표시하는 본 실시예의 제 2 실시예와 같이, 오목홈(11)의 벽면(11b)을 저면(11c)쪽으로 향함에 따라 벽면(11a)쪽으로 접근하는 경사면으로 함과 함께 슬라이더(16)의 측면(16b)은 공구 본체(1)에 장착상태에 있어서 벽면(11a)에 평행으로 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절삭공구에서는, 슬라이더(16)에 경사면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제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 제 5 도에 표시하는 제 2 실시예에서는, 오목홈(11)의 벽면(11a)(11b)이 이루는 사이각(α)은 3°~ 2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5 도에 있어서, 제 3 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한편,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 4 도에 표시한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쐐기부재(13) 및 조정부재(14)와 슬라이더(16)와의 사이에 제 2 스페이서(21)가 설치됨과 함께, 이 제 2 스페이서(21)와 슬라이더(16)의 대향하는 측면에서서로 합치하여 밀착할 수 있는 제 2 의 세레이션홈(21a)(16d)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제 2 스페이서(21)의 제 2 의 세레이션홈(21a)과는 반대측의 측면(21b)은 쐐기부재(13) 및 조정부재(14)의 경사진 측면(13a)(14a)에 따른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구성의 절삭공구에서도,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절삭공구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슬라이더(16)는 그 양 측면의 세레이션홈(16a)(16d)이 결합되어서 공구 본체(1)에 부착되기 때문에, 그 위치 정밀도 및 부착강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 1 ~ 제 3 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것이나, 세레이션홈(12a)(16a) 등의 결합에 의해서 슬라이더(16)를 스페이서(12)를 거쳐 오목홈(11)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는데, 예컨대, 절삭날팁(5A)에 작용하는 절삭부하가 적은 경우 등에는 제 7 도에 표시하는 제 4 실시예와 같이, 스페이서(12)측의 결합부를 키이홈(12b)으로 하고, 슬라이더(15)측의 피결합부를 돌조(16e)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결합부 및 피결합부의 성형을 극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키이홈을 피결합부로 하고, 돌조를 결합부로 하여도 물론 상관이 없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절삭날팁으로부터 슬라이더를 거쳐 작용하는 절삭부하나 슬라이더의 미끄럼이동에 의한 마모나 변형은 슬라이더와 오목홈의 벽면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나 쐐기부재 등에 발생되며, 따라서, 그와 같은 경우에는 이들의 부재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슬라이더의 부착정밀도나 위치정밀도를 회복해서 가공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들 부재는 교환시마다 규격이 변경되는 것도 아니므로, 경제적이다.
또, 쐐기부재와 오목홈의 저면과의 사이에 조정부재를 설치시키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가 미끄럼이동하는 부분의 폭 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오목홈이나 슬라이더에 성형오차가 있어도 간단하게 이에 대처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의 결합부와 슬라이더의 피결합부를 세레이션홈으로 하므로써, 접촉면적의 증대를 도모해서 슬라이더의 부착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축선(O) 주위에서 회전되는 대략 원추 형상의 공구 본체(1)에, 이 원추의 모선을 따라서 오목홈(11)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 내에 절삭날팁(5A)을 구비한 슬라이더(16)가 그 오목홈(11)을 따라서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공구 본체(1)의 내부에는 그 공구 본체(1)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고, 또한, 상기한 축선(O)을 따라서 진퇴가능한 상태로 되어서, 상기한 슬라이더(16)에 결합해서 그 슬라이더(16)를 미끄럼이동시키는 커플링부재(9)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절삭공구에 있어서,
    상기한 오목홈(11)의 서로 대향하는 벽면중, 한쪽의 벽면과 슬라이더(16)와의 사이에는, 상기한 모선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구비한 스페이서(12)가 탈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페이서(12)에 접촉되는 상기한 슬라이더(16)의 한쪽 측면에는, 상기한 결합부에 결합하는 피결합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한 한쌍의 벽면중 다른쪽의 벽면과 상기한 슬라이더(16)와의 사이에는, 상기한 오목홈(11)의 저면측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슬라이더(16)를 상기한 한쪽의 벽면쪽으로 눌러서 상기한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결합시키는 쐐기부재(13)가 탈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쐐기부재(13)와 상기한 오목홈(11)의 저면(11c)과의 사이에는 그 쐐기부재(13)의 압입위치를 규정하여 상기한 한 쪽의 벽면쪽으로의 눌림량을 조정하는 조정부재(1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부와 피결합부가 상기한 모선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세레이션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
KR1019940003139A 1993-04-23 1994-02-22 절삭공구 KR0136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98172 1993-04-23
JP5098172A JP2779112B2 (ja) 1993-04-23 1993-04-23 切削工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6991B1 true KR0136991B1 (ko) 1998-05-15

Family

ID=1421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139A KR0136991B1 (ko) 1993-04-23 1994-02-22 절삭공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27479A (ko)
JP (1) JP2779112B2 (ko)
KR (1) KR0136991B1 (ko)
DE (1) DE441395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147B1 (ko) * 1994-03-07 2000-03-02 후지무라 마사지카 절삭공구
JP4097732B2 (ja) * 1996-09-06 2008-06-1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切削工具
DE19649568C2 (de) * 1996-11-29 1999-04-29 Mapal Fab Praezision Drehantreibbares Werkzeug zur spanabtragenden Bearbeitung von Werkstückoberflächen
DE10008071B4 (de) * 2000-02-23 2006-03-30 Vierling Electronics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ehlerortung mittels schaltbarer Prüfschleifen in einem digitalen Übertragungssystem
CN109262001B (zh) * 2018-10-30 2023-10-24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高精度镗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04295B (de) * 1953-09-30 1961-04-06 Ludwig Hunger Geraet zur Bearbeitung von Ventilsitzen
US3598499A (en) * 1969-04-09 1971-08-10 James A Dillon Jr Boring head assembly
FR2238553B1 (ko) * 1973-07-25 1976-06-18 Renault
DD118542A1 (ko) * 1975-04-24 1976-03-12
FR2383738A1 (fr) * 1977-03-15 1978-10-13 Renault Porte-outil d'alesage a operations multiples
JPS62176703A (ja) * 1986-01-30 1987-08-03 Toyoda Mach Works Ltd 面取りバイトを備えた中ぐり加工装置
US5044841A (en) * 1990-07-20 1991-09-03 Litton Industrial Automation Systems, Inc. Valve seat bushing machi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304804A (ja) 1994-11-01
DE4413955C2 (de) 1998-01-29
JP2779112B2 (ja) 1998-07-23
US5427479A (en) 1995-06-27
DE4413955A1 (de) 199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9630B2 (ja) 切屑を排除して切削加工するための回転工具
JP4741276B2 (ja) 切り屑除去加工のための回転工具
CA2565422C (en) Drill with releasably mounted cutting head
JP5932329B2 (ja) リーミング工具及びヘッド並びに切削インサート
WO2014175114A1 (ja) 切れ刃位置の調整機構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5419733B2 (ja) ドライバービット
KR0136991B1 (ko) 절삭공구
KR100241147B1 (ko) 절삭공구
US11000905B2 (en) Adapter sleeve
KR0136985B1 (ko) 절삭공구(Cutting Tool)
JPH0740141A (ja) リーマ
JP4280262B2 (ja) 切削工具及び加工方法
JP2826039B2 (ja) 切削工具
JP2748846B2 (ja) 切削工具
JP3740915B2 (ja) 切削工具
JP2748849B2 (ja) 切削工具
JP4304831B2 (ja) 切削工具
JP2748847B2 (ja) 切削工具
JPH09267201A (ja) 工具ユニット、なら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チップホルダ
JP3565074B2 (ja) 切削工具
JPH0592308A (ja) 回転切削工具のカツタ本体取付構造
JP2001353605A (ja) 切削工具
JP2748848B2 (ja) 切削工具
JP3009834U (ja) バルブシート加工工具
JPH03548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