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756Y1 -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 Google Patents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756Y1
KR0136756Y1 KR2019940023742U KR19940023742U KR0136756Y1 KR 0136756 Y1 KR0136756 Y1 KR 0136756Y1 KR 2019940023742 U KR2019940023742 U KR 2019940023742U KR 19940023742 U KR19940023742 U KR 19940023742U KR 0136756 Y1 KR0136756 Y1 KR 0136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arm portion
arm
presen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3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493U (ko
Inventor
권혁창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2019940023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756Y1/ko
Publication of KR9600124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4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7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3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05Mounting arrangement of assembly to vessel
    • H01J2229/0711Spring and plate (cli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규한 구성의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을 개시한다.
종래의 클립은 양 아암부에 측방력을 가해 헤드부의 폭을 좁힌 상태에서 체결해야 하므로 체결 작업이 어렵고 자동화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한 아암부가 원호를 그리도록 연장하여 이 아암부에 수직력을 가하면 헤드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력만으로 클립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제1도는 일반적인 인너시일드의 조립 구조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클립을 보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클립의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 클립에 수직력을 인가했을때의 변형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 클립의 체결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 : 인너시일드(inner shield) F : 마스크 프레임(mask frame)
1 : 헤드부 2 : 네크부
2a, 2b : 절곡부 3, 4 : 아암부
본 고안은 칼라 브라운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인너시일드(inner shield)를 마스크 프레임(mask frame)에 체결하는 클립(clip)에 관한 것이다.
흑백 브라운관의 경우에는 위도에 따른 지자계의 변화나 자성체의 근접시 전체적인 화상의 위치가 이동할뿐 화상의 표시에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칼라브라운관의 경우에는 제조지역과 사용지역간의 위도 차이가 커져 지자계의 방향이 변화되거나 자성체가 근접되면, 전자빔이 해당 색선별구멍을 통과할수 없게 되므로 색순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따라 칼라 브라운관에서는 외부자계의 영향을 차단시키기 위해 전자빔의 편향경로를 인너시일드로 둘러싸 차폐시켜 주게된다.
일반적으로 인너시일드(I)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 몸체 또는 분할된 몸체의 깔때기 형태를 가지게 되며 그 하측에 플랜지부(flange 部; Fi)를 성형하여 이에 슬롯(slot; Si)을 형성하고, 마스크 프레임(F)의 플랜지(Ff)에 이에 대응하는 슬롯(Sf)을 형성한뒤, 양 슬롯(Si, Sf)을 관통하는 클립(clip; K)을 삽입함으로써 인너시일드(I)를 마스크 프레임(F)에 대해 탄성적으로 결합지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조립구조에 사용되는 클립(K)은 일반적으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띠형태의 박판을 절곡하여 한 헤드(head)부(11)와 두 아암(arm)부(13)의 사이에 네크(neck)부(12)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클립(K)은 작업자가 두 아암부(13)의 외측으로부터 화살표와 같이 외력을 가하여 헤드부(11)의 폭을 좁힌 상태로 인너시일드(I)와 마스크프레임(F)의 슬롯(Si, Sf)을 관통시킨뒤, 외력을 해제하면 클립(K)이 탄성복원되면서 인너시일드(I)를 마스크프레임(F)에 탄성적으로 체결해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클립(K)은 양 아암부(13)를 내측으로 누르는 측방력을 가한 상태에서만 체결이 가능하므로 체결작업이 어렵고, 체결을 자동화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2축 방향의 액튜에이터(actuator)의 구비가 필요해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클립 삽입방향으로의 수직력만으로 체결이 가능한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은
헤드부와 두 아암부, 그리고 헤드부와 아암부 사이에 형성되는 네크부를 구비하는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에 있어서,
한 아암부가 클립의 중심축을 통과하여 그 선단이 다른 아암부의 선단의 상방에 이르도록 원호를 그리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아암부를 상방으로부터 누르면 헤드부의 폭이 감소되어 슬롯에 진입될수 있으므로 수직력의 인가만으로 클립을 체결할수 있게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서,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은 일반적인 클립과 같이 헤드부(1)와 두 아암부(3, 4), 그리고 그 사이에 각 아암부(3, 4)로 연장되는 두 절곡부(2a, 2b)에 의해 형성되는 네크부(2)를 구비한다. 본 고안 특징에 따라 한 아암부(3)는 그 선단이 다른 아암부(4)의 선단 상방에 위치하도록 클립의 중심축(X)을 통과하여 원호형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본 고안 클립은 그 기본적 구성이 비대칭이므로 중심축(X)은 대칭축의 의미가 아니라 삽입시 수직력의 작용축을 의미한다. 한편 원호형이라는 의미도 완만한 곡률을 가지고 연장된다는 의미이지 정원(正圓)의 외주선을 따른다는 의미는 아니다.
한편 본 고안의 클립은 바람직하기로 띠모양의 판재로 구성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강선(steel wire)등의 선재로 구성될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클립은 그 중심축(X)선상에 제4도와 같이 수직력(P)이 인가되면 점선과 같이 변형되어 헤드부(1)의 폭이 감소됨으로써 슬롯(Si, Sf)에 삽입될수 있게된다.
여기서 원호형의 아암부(3)에 수직력(P)을 가할때 헤드부(1)의 폭이 좁아지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고 사료된다. 즉 원호형의 아암부(3)는 다른 부분에 비해 강성(剛性)이 작으므로 쉽게 변형되어 그 선단이 다른 아암부(4)에 접촉할때까지 변형을 계속하게 된다. 이때 원호형의 아암부(3)에 연결되는 절곡부(2a) 및 그 하측의 헤드부(1)에는 이 수직력(P)이 그대로 전달되는데, 이에따라 클립은 이 수직력(P)에 흡수에너지가 가장 작은 방향, 즉 가장 쉽게 저항할수 있는 방향으로 변형하게 된다. 클립이 변형할수 있는 방향은 외측, 즉 헤드부(1)의 폭이 넓어지는 방향과 점선과 같이 좁아지는 두 방향이다. 그런데 클립이 외측으로 변형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강성이 큰 절곡부(2a)의 공간각을 변화시켜야 하므로, 결국 클립이 변형할수 있는 방향은 점선과 같이 내측방향이 된다. 이에따라 헤드부(1)의 폭이 좁아지게 되어 클립은 슬롯(Si, Sf)내로 진입하게 된다.
클립의 진입이 완료된후 수직력(P)을 해제하면, 인너시일드(I)와 마스크 프레임(F)의 슬롯(Si, Sf) 외단이 두 아암부(3, 4)의 절곡부(2a, 2b)가 형성하는 네크부(2) 외단에 걸려 양자가 클립에 의해 탄성적으로 체결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직력(P)만에 의해 클립의 체결이 가능하므로 체결 작업이 훨씬 용이해지고, 클립의 체결 자동화도 용이하게 달성할수 있게된다. 또한 클립의 크기나 형태도 종래보다 단순하고 작아지므로 그 재료와 제조원가의 절감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헤드부와 두 아암부, 그리고 상기 헤드부 및 아암부 사이에 형성되는 네크부를 구비하는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두 아암부(3, 4)중 한 아암부(3)가 상기 클립의 중심축을 통과하여 그 선단이 다른 아암부(4)의 선단의 상방에 이르도록 원호를 그리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KR2019940023742U 1994-09-14 1994-09-14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KR0136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742U KR0136756Y1 (ko) 1994-09-14 1994-09-14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742U KR0136756Y1 (ko) 1994-09-14 1994-09-14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493U KR960012493U (ko) 1996-04-17
KR0136756Y1 true KR0136756Y1 (ko) 1999-02-18

Family

ID=1939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3742U KR0136756Y1 (ko) 1994-09-14 1994-09-14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7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493U (ko) 199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96885A (ja) 高圧コネクタ
JPH0156498B2 (ko)
US5241727A (en) Clip for coupling inner shield with frame
KR0136756Y1 (ko)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CA2029556C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shadow mask-frame assembly support
KR0127481Y1 (ko)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JPH04102149U (ja) 偏向装置
KR0136755Y1 (ko)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KR0127482Y1 (ko)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GB2251265A (en) Clip for coupling inner shield with frame of electron mask, in cathode ray tube
KR100439638B1 (ko) 편향 요크 장치
KR0127484Y1 (ko)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KR0124569Y1 (ko) 음극선관용 판넬
US5128585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mproved corner support for a shadow mask-frame assembly
KR100201127B1 (ko) 인너실드 프레임 결합방법 및 그 클립과 그 결합공구
KR0127478Y1 (ko)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KR950002048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 시일드 장착클립
JP3334677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
KR200144540Y1 (ko) 음극선관
KR0127483Y1 (ko) 인너시일드 조립구조
KR950003478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취부구조
KR100396497B1 (ko) 편향요크
KR0177705B1 (ko) 칼라수상관의 새도우마스크 프레임
KR200158819Y1 (ko) 인너쉴드의 결합구조
JP2812144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の内部磁気シールド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