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481Y1 -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 Google Patents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7481Y1 KR0127481Y1 KR2019940023744U KR19940023744U KR0127481Y1 KR 0127481 Y1 KR0127481 Y1 KR 0127481Y1 KR 2019940023744 U KR2019940023744 U KR 2019940023744U KR 19940023744 U KR19940023744 U KR 19940023744U KR 0127481 Y1 KR0127481 Y1 KR 012748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p
- arm
- bent
- fastening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3—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entering the enclosur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규한 구성의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을 개시한다.
종래의 클립은 양 아암부에 측방력을 가해 헤드부의 폭을 좁힌 상태에서 체결해야 하므로 체결 작업이 어렵고 자동화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아암부에 네크부의 절곡부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변곡부를 구비하여, 아암부에 수직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클립이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제1도는 일반적인 인너시일드의 조리 구조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 클립을 보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클립의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 클립에 수직력을 인가했을 때의 변형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제3도 및 제4도의 대응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head)부 2 : 네크(neck)부
2a, 2b : 절곡부 3, 4, 3', 4' : 아암(arm)부
5, 6 : 변곡부(變曲部)
본 고안은 칼라 브라운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인너시일드(inner shield)를 마스크 프레임(mask frame)에 체결하는 클립(clip)에 관한 것이다.
흑백 브라운관의 경우에는 위도에 따른 지자계의 변화나 자성체의 근접시 전체적인 화상의 위치가 이동할 뿐 화상의 표시에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칼라브라운관의 경우에는 제조지역과 사용지역간의 위도 차이가 커져 지자계의 방향이 변화되거나 자성체가 근접되면, 전자빔이 해당 색선별구멍을 통과할 수 없게 되므로 색순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칼라브라운관에서는 외부자계의 영향을 차단시키기 위해 전자빔의 편향경로를 인너시일드로 둘러싸 차페시켜 주게된다.
일반적으로 인너시일드(I)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 몸체 또는 분할된 몸체의 깔때기 형태를 가지게 되며 그 하측에 플랜지부(flange 部 ; Fi)를 형성하여 이에 슬롯(slot : Si)을 형성하고, 마스크 프레임(F)의 플렌지(Ff)에 이에 대응하는 슬롯(Sf)을 형성한뒤, 양 슬롯(Si, Sf)을 관통하는 클립(clip ; K)을 삽입함으로써 인너시일드(I)를 마스크 프레임(F)에 대해 탄성적으로 결합지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조립구조에 사용되는 클립(K)는 일반적으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태의 박판을 절곡하여 한 헤드(head)부(11)와 두 아암(arm)부(13)의 사이에 네크(neck)부(12)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클립(K)은 작업자가 두 아암부(13)의 외측으로부터 화살표와 같이 외력을 가하여 헤드부(11)의 폭을 좁힌 상태로 인너시일드(I)와 마스크프레임(F)의 슬롯(Si, Sf)을 관통시킨뒤, 외력을 해제하면 클립(K)이 탄성복원되면서 인너시일드(I)를 마스크프레임(F)에 탄성적으로 체결해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클립(K)은 양 아암부(13)를 내측으로 누르는 측방력을 가한 상태에서만 체결이 가능하므로 체결작업이 어렵고, 체결을 자동화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2축 방향의 액튜에이터(actuator)의 구비가 필요해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클립 삽입방향으로의 수직력만으로 체결이 가능한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인너시일드체결용 클입은 헤드부와 두 아암부, 그리고 헤드부와 아암부 사이에 형성되는 네크부를 구비하는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에 있어서, 두 아암부중의 적어도 어느 한 아암부가 외측으로 연장되다가 변곡부(變曲部)에서 변곡되어 다시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의하면 이 변곡부의 강성(鋼性)은 네크부를 형성하는 절곡부의 강성보다 크며, 이는 달리 표현하면 변곡부의 절곡각도가 절곡부의 절곡각도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두 아암부는 클립의 중심축 근방까지 대칭으로 연장되거나, 한 아암부가 다른 아암부의 소정간격만큼 상방으로 연장된다. 후자의 경우 두 아암부 사이의 간격은 상측의 아암부가 변형할 수 있는 거리에 해당하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제3도에서, 본 고안에 의한 클립은 일반적인 클립과 같이 헤드부(1)와 두 아암부(3, 4), 그리고 그 사이의 두 절곡부(2a, 2b)에 의해 형성되는 네크부(2)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두 아암부(3, 4)는 외측으로 연장되다가 변곡부(5, 6)에서 다시 내측으로 변곡되어 연장된다. 두 아암부(3, 4)의 선단은 클립의 중심축선 부근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본 고안 클립은 판재 또는 선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변곡부(5, 6)는 네크부(2)의 절곡부(2a, 2b)보다 큰 강성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변곡부(5, 6)의 절곡각도(θ2)가 절곡부(2a, 2b)의 절곡각도(θ1)보다 작게 된다.
이와같이 변곡부(5, 6)가 절곡부(2a, 2b)보다 큰 강성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제4도를 참조한 본 고안 클립의 작동원리 설명으로 명확해 질 것이다.
제4도에서, 두 아암부(3, 4)의 선단에 상측으로부터 수직력(P)이 가해지면 본 고안 클립은 소정의 변형을 하게된다. 이러한 변형은 절곡부(2a, 2b)와 변곡부(5, 6)의 절곡각도(θ1, θ2)가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변곡부(5, 6)의 강성이 절곡부(2a, 2b)의 강성보다 크므로 수직력(P)이 인가되면 변곡부(5, 6)는 그 형태를 유지하고 절곡부(2a, 2b)는 그 절곡각도(θ1)가 커지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점선과 같이 클립은 내측으로 오므라들게 된다.
즉 헤드부(1)의 폭이 작아져 클립이 슬롯(제1도의 Si, Sf)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슬롯(Si, Sf)의 통과후 수직력(P)을 해제하면 클립은 다시 실선상태와 같이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인너시일드(I)와 마스크프레임(F)을 탄성적으로 체결해주게 된다.
제5도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한 아암부(3')가 다른 아암부(4')의 상방으로 소정간격(d)을 두고 연장된다. 이 간격(d)은 상측의 아암부(3')의 선단이 변형할 수 있는 거리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상측의 아암부(3') 및 그 변곡부(5)만이 삽입작용을 수행하고 하측의 아암부(4') 및 그 변곡부(6)는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기능만을 한다. 따라서 하측 아암부(4')에는 변곡부(6)가 형성되지 않아도 기능상 전혀 차이가 없다.
이러한 제5도의 실시예는 수직력(P)의 인가시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 아암부(3')만이 기능하는 외에는 그 작동원리는 제3도 및 제4도의 실시에와 동일하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직력(P)만에 의해 클립의 체결이 가능하므로 체결 작업이 훨씬 용이해지고, 클립의 체결 자동화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게된다. 또한 클립의 크기나 형태도 종래보다 단순하고 작아지므로 그 재료와 제조원가의 절감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 헤드부와 두 아암부, 그리고 상기 헤드부와 아암부 사이의 절곡부에 의해 형성되는 네크부를 구비하는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두 아암부(3, 4)(3', 4')중의 적어도 어느 한 아암부(3, 3')가 외측으로 연작되다가 변곡부(5, 6)에서 변곡되어 다시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3, 4)(3', 4')의 변곡부(5, 6)의 강성이 상기 네크부(2)의 절곡부(2a, 2b)의 강성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3, 4)(3', 4')의 변곡부(5, 6)의 절곡각도(θ2)가 상기 네크부(2)의 절곡부(2a, 2b)의 절곡각도(θ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아암부(3', 4')중 한 아암부(3')가 다른 아암부(4')와 소정간격(d)만큼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23744U KR0127481Y1 (ko) | 1994-09-14 | 1994-09-14 |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23744U KR0127481Y1 (ko) | 1994-09-14 | 1994-09-14 |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2579U KR960012579U (ko) | 1996-04-17 |
KR0127481Y1 true KR0127481Y1 (ko) | 1998-10-15 |
Family
ID=1939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40023744U KR0127481Y1 (ko) | 1994-09-14 | 1994-09-14 |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7481Y1 (ko) |
-
1994
- 1994-09-14 KR KR2019940023744U patent/KR012748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2579U (ko) | 1996-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10473A (en) | Color cathode-ray tube | |
EP0121023A1 (en) | Improved CRT shadow mask assembly | |
JPH0156498B2 (ko) | ||
KR0127481Y1 (ko) |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 |
US5751098A (en) | Structure of color selecting electrode assembly for color cathode ray tubes | |
JPH08167385A (ja) | カラーブラウン管用色選別電極構体 | |
JP2592826B2 (ja) | カラー受像管 | |
KR0136756Y1 (ko) |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 |
JPH0550646U (ja) | カラー陰極線管用シャドーマスク組立体 | |
US20010002352A1 (en) | Shadow mask structure and color CRT | |
JPH03184239A (ja) | カラー映像管 | |
KR0127482Y1 (ko) |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 |
JP2000011908A (ja) | シャドウマスク組立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 | |
JP2529956B2 (ja) | カラ−受像管 | |
JP2523729B2 (ja) | カラ―受像管 | |
KR950002048Y1 (ko) |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 시일드 장착클립 | |
KR0127484Y1 (ko) |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 |
KR0127480Y1 (ko) |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 |
GB2251265A (en) | Clip for coupling inner shield with frame of electron mask, in cathode ray tube | |
KR0127483Y1 (ko) | 인너시일드 조립구조 | |
JPH0272545A (ja) | シヤドウマスク形カラー受像管 | |
JPS6310436A (ja) | カラ−受像管 | |
JP3334677B2 (ja) | カラーブラウン管 | |
JPH07220645A (ja) | カラー受像管 | |
US20010009349A1 (en) | Shadow mask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614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