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681Y1 - 대문용 문짝의 수평간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대문용 문짝의 수평간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681Y1
KR0136681Y1 KR2019960004142U KR19960004142U KR0136681Y1 KR 0136681 Y1 KR0136681 Y1 KR 0136681Y1 KR 2019960004142 U KR2019960004142 U KR 2019960004142U KR 19960004142 U KR19960004142 U KR 19960004142U KR 0136681 Y1 KR0136681 Y1 KR 0136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fitting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020U (ko
Inventor
조희문
Original Assignee
조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문 filed Critical 조희문
Priority to KR2019960004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681Y1/ko
Publication of KR970055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0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6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46Clamp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 to the wall opening; Fastening frames by tightening or drawing them against a surface parallel to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 등의 담벽에 형성되는 문설주에 설치되는 대문의 문짝을 수평으로 간격조절시켜 주기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짝의 수직문틀에 다수개의 간격조절홈을 두고 이에는 문짝에 고정되는 별도의 조절구를 임의위치에 끼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문짝의 물림틈새가 적정치 않을 경우 매우 신속용이하게 문짝만을 수평으로 위치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대문용 문짝의 수평간격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적용시킨 대문을 보인 정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 수평간격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힌지구
3 : 대문 4 : 수직문틀
5 : 문짝 6 : 힌지축
7 : 고정간격조절부 7a : 끼움편
7b : 끼움홈 8 : 조절구
8a : 힌지축 고정공 8b : 가동간격조절부
8c : 끼움편 8d : 끼움홈
9 : 결속공
본 고안은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 등의 담벽에 형성되는 문설주에 설치되는 대문의 문짝을 수평으로 간격조절시켜 주기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짝의 수직문틀에 다수개의 간격조절홈을 두고 이에는 문짝에 고정되는 별도의 조절구를 임의위치에 끼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문짝의 물림틈새가 적정치 않을 경우 매우 신속용이하게 문짝만을 수평으로 위치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의 대문은 대개 상하단에 힌지축이 고정된 수직문틀에 직접 문짝이 결합고정되는 관계로 대문의 시공후에 양쪽문을 서로 닫았을 때 맞물리는 단부의 틈새가 적정이상으로 많이 벌어졌을때나 틈새가 너무 협소하여 문의 개폐가 원활치 않을 경우에는 이를 교정하기 위해 담벽에 형성되는 문설주의 프레임을 뜯어내어 재시공하여야 하는 큰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시간과 인력,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처음부터 정밀한 칫수측정이 요구되어 시공이 까다로워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구성에서 기인되는 제반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문짝의 수직문틀 내측면에 대칭으로 다수개의 간격조절홈을 두고 이에는 문짝과 결합되며 간격조절홈에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편을 구비시킨 조절구를 끼워고정토록하여 문짝의 물림틈새에 따라 문짝을 수직문틀내에서 적절히 수평으로 위치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재시공이 배제시킬 수 있으며 문짝의 틈새나 문설주의 간격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문설주에 고정되는 프레임(1)의 힌지구(2)에 문짝(5)과 수직문틀(4)을 포함하는 대문(3)의 힌지축(6)을 끼워 설치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문틀(4)의 전후내면에 일체로 종설되며 끼움편(7a)과 끼움홈(7b)으로 구성되는 연속요철상태의 고정간격조절부(7)과; 상기 문짝(5)의 내측단과 결합고정되며 중앙과 전후측에 각각 힌지축 고정공(8a)과, 고정간격조절부(7)에 대응되는 다수의 끼움편(8c)과 끼움홈(8d)으로 구성되는 가동간격조절부(8b)를 구비하는 조절구(8)와; 상기 끼움편(7a)(8c)에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며 피스(P1)를 이용하여 수직문틀(4)과 조절구(8)를 결속고정시켜 주기위해 상하다열로 천공되는 결속공(9)을 결합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H)는 힌지축 고정피스(P2)를 위한 나사공이고 (H')는 수직문틀에 천공되는 피스통과공을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은 소정길이의 조절구(8)를 문짝(5)의 내측상하단에 결합고정시킨다음 조절구(8)를 수직문틀(4)의 고정간격조절부(7)에 끼워 수직문틀(4)에 문짝(5)을 결합시키며 조절구(8)의 힌지축고정공(8a)에는 힌지축(6)을 끼워 힌지축고정피스(P2)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시켜 제2도에서와 같이 프레임(1)의 힌지구(2)에 끼워 대문(3)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3도에서와 같이 수직문틀(4)의 고정간격조절구(7)에 조절구(8)의 가동간격조절부(8b)가 서로 맞물리게 끼워진 상태에서 문을 닫았을 때 틈새가 너무많이 벌어진 경우에는 수직문틀(4)을 포함한 문짝(5)을 프레임(1)에서 분리시킨 뒤 조절구(8)를 수직문틀(4)에서 빼낸 뒤 제4도에서와 같이 적정간격 앞으로 이동시켜 끼워주면 이에 결합된 문짝(5)의 틈새를 조절구(8)의 이동간격만큼 줄어줄 수 있게 되어 적정틈새로 용이하게 세팅시켜 줄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문짝(5)의 간격조절이 끝나면 수직문틀(4)의 피스통과공(H')으로 피스톤(P1)를 집어넣어 각 끼움편(7a)(8c)에 형성된 결속공(9)을 통해 수직문틀(4)과 조절구(8)를 유동없이 경고하게 체결시키게 되며 또한 이와같은 결속공(9)은 수직문틀(4)에 끼워진 문짝(5)의 높낮이가 일치하지 않을 때 피스(P1)를 분리시킨 뒤 문짝(5)의 조절구(8)를 적절히 승강시켜 적정높이로 세팅시킨 뒤 피스(P1)를 상호일치되는 임의 열의 결속공(9)에 체결시키면 간단하게 문짝(5)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도 갖는다.
이상과 같이 동작되는 본 고안은 프레임의 위치 변동없이 수직문틀 내에서 문짝의 수평간격과 높낮이를 간편하게 임의로 조절시킬 수 있게 되므로 설치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작업성이 뛰어난 것이다.

Claims (1)

  1. 문설주에 고정되는 프레임(1)의 힌지구(2)에 문짝(5)과 수직문틀(4)을 포함하는 대문(3)의 힌지축(6)을 끼워 설치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문틀(4)의 전후내면에 일체로 종설되며 끼움편(7a)과 끼움홈(7b)으로 구성되는 연속요철상태의 고정간격조절부(7)과; 상기 문짝(5)의 내측단과 결합고정되며 중앙과 전후측에 각각 힌지축 고정공(8a)과, 고정간격조절부(7)에 대응되는 다수의 끼움편(8c)과 끼움홈(8d)으로 구성되는 가동간격조절부(8b)를 구비하는 조절구(8)와; 상기 끼움편(7a)(8c)에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며 피스톤(P1)를 이용하여 수직문틀(4)과 조절구(8)를 결속고정시켜 주기위해 상하다열로 천공되는 결속공(9)을 결합구성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문용 문짝의 수평간격 조절장치.
KR2019960004142U 1996-03-06 1996-03-06 대문용 문짝의 수평간격 조절장치 KR0136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142U KR0136681Y1 (ko) 1996-03-06 1996-03-06 대문용 문짝의 수평간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142U KR0136681Y1 (ko) 1996-03-06 1996-03-06 대문용 문짝의 수평간격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020U KR970055020U (ko) 1997-10-13
KR0136681Y1 true KR0136681Y1 (ko) 1999-04-01

Family

ID=1945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142U KR0136681Y1 (ko) 1996-03-06 1996-03-06 대문용 문짝의 수평간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6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902B1 (ko) * 1999-08-25 2001-11-01 구자홍 유도가열조리기의 절연 게이트 양극 트랜지스터 보호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020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3950A (en) Control cabinet with rack and mounting plate
US6651389B2 (en) Casement window with improved tie bar guide and striker
JP2868619B2 (ja) ヒンジ
CA1129253A (en) Knock-down expandable reversible door frame
JP3040482B2 (ja) 開閉装置キャビネット用のフレーム構造体
JPS5914151B2 (ja) スライデイングドア式戸棚
KR0136681Y1 (ko) 대문용 문짝의 수평간격 조절장치
US5970660A (en) Swing door pivot assembly
US3957102A (en) Bi-fold door assembly
JP2539684B2 (ja) 蝶 番
KR930005632B1 (ko) 경첩에의 문 연결 조립체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JP4035186B2 (ja) 共用ストライク
KR200393393Y1 (ko) 다용도실의 조립식 도어장치
KR200162672Y1 (ko) 냉장고의 상부힌지 고정구조
JPH11131954A (ja) 門 扉
JPH0338379Y2 (ko)
JPS5815572Y2 (ja) 門扉用三方向調整ヒンジ装置
JPH0650050A (ja) 扉体支持具
KR100438854B1 (ko) 접이문 장치
KR200203002Y1 (ko) 창문용 잠금장치의 위치조절판
WO2020152664A2 (en) An adjustable retention device and a frame assembly comprising the adjustable retention device
JP2000096966A (ja) 門 扉
KR850003281Y1 (ko) 대문의 상부축수
JP3289103B2 (ja) 折畳扉における吊元框の抜け止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