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584Y1 -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584Y1
KR0136584Y1 KR2019950050715U KR19950050715U KR0136584Y1 KR 0136584 Y1 KR0136584 Y1 KR 0136584Y1 KR 2019950050715 U KR2019950050715 U KR 2019950050715U KR 19950050715 U KR19950050715 U KR 19950050715U KR 0136584 Y1 KR0136584 Y1 KR 0136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mounting plate
head mounting
plate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0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176U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50050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584Y1/ko
Publication of KR9700461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1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5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8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 G11B5/58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폰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헤드구동장치가 치수관리부가 많고 누적공차에 의해 원하는 대로 헤드위치를 규제하는 데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메인베이스(1)에 취부되어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캠기어(5)와, 헤드(7)가 취부되고 상기 캠기어(5)와 연동되는 헤드취부플레이트(10)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구동을 규제하여 헤드(7)위치를 규제하는 규제플레이트(20)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여 헤드취부플레이트가 캠기어에 의해 직접구동되고 헤드취부플레이트의 위치를 규제플레이트를 통해 규제하기 때문에 모드변환이 정확함과 동시에 캠에 걸리는 부하가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헤드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제3도의 저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구동장치의 요구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제4도의 A-A' 단면도.
(b)는 제4도의 B-B'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구동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메인베이스의 요부 평면도.
(b)는 헤드취부플레이트의 평면도.
(c)는 규제플레이트의 평면도.
(d)는 복귀부재의 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구동장치의 정방향재생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제8도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구동장치의 역방향재생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제9도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구동장치의 고속감기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구동장치의 헤드취부플레이트와 규제플레이트이 연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베이스 2, 2', 3 : 가이드슬롯
5 : 캠기어 6 : 회전축
7 : 헤드 10 : 헤드취부플레이트
11 : 지지안내공 12 : 캠연동돌기
13 : 가이드핀 14 : 연동턱
20 : 규제플레이트 23 : 초기규제턱
24 : 도어오픈규제훅 25 : 스프링
본 고안은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가 취부되어 메인 베이스상에서 가이드되는 헤드취부플레이트를 캠기어를 통해 직접구동하도록 구성하고 헤드취부플레이트의 위치를 규제플레이트를 통해 규제하여 모드변환이 정확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캠에 걸리는 부하가 줄어들게 한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에 과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고,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제3도의 저면도)이며, 제3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의한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는 평션플레이트(30), 연동레버(40), 헤드취부플레이트(50), 핀치롤러구동레버(60), 복귀수단(70)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평션플레이트(30)는 메인베이스(90)상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안내핀(91)(91')에 장공(33)(33')이 지지안내되도록 설치된 것으로 캠기어(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고 일측에 구동돌부(31)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돌부(31)에는 아래에서 설명한 연동레버(40)의 연동레그(42)가 끼워져 설치되도록 되는 것으로 레그접촉면(32)(32')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레버(40)는 메인베이스(90) 상에 힌지(4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구동돌부(31)와 연동되는 연동레그(42)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50)를 접촉구동하는 접촉구동면(45)(45')이 형성되어 있는 구동날개(44)(44')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핀치롤러구동레버(60)를 접촉구동하는 구동평면(47)이 형성되어 있는 구동헤드(46)가 상기 구동레그(42)의 반대편쪽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동레그(42)에는 상기 구동돌부(31)의 레그접촉면(32)(32')과 접촉연동되는 연동곡면(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50)는 헤드(80)가 취부되는 곳으로 메인베이스(90) 상의 안내지지핀(92)(92')(92)에 의해 안내지지되고 상기 연동레버(40)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연동레버(40)의 구동날개(44)(44')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구동면(45)(45')과 각각 접촉구동되는 연동접촉면(52)(52')이 형성된 연동지지레그(51)(51')가 복수개 형성되고, 메인베이스(90)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안내핀(92)(92')(92)에 의해 안내되어 헤드취부플레이트(50)를 지지안내하는 다수개의 장공(53)(53')(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귀수단(70)의 양단부가 걸려지는 걸림돌부(55)(55')가 연동지지레그(51)(51')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헤드(80)는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50)의 일측에 나사홀이 형성되어 힌지 결합된 핀(95)(95')이 헤드(8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홀(81)(81')과 함께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헤드취부플레이트(50)의 이동에 따른 상기 핀(95)(95')과 메인베이스(9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메인베이스(90)에 장공(미도시)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핀치롤러구동레버(60)는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50) 상에 힌지(61)설치되고 헤드취부플레이트(50) 상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지지핀(54)(54')에 의해 지지안내되어 핀치롤러(84)(84')를 캡스턴축(93)(93')에 압착시키도록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지지판(54)(54')이 삽입설치되어 안내되는 원호형장공(64)(64')이 구비되며, 상기 연동레버(40)의 구동헤드(46)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평면(47)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구동되도록 하는 회동경사면(65)(65')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되며, 핀치롤러스프링(85)(85')을 압축하는 압착면(63)(63')이 구비된 복수개의 핀치롤러구동암(62)(62')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치롤러구동레버(60)에 의해 구동되는 핀치롤러(84)(84')는 STOP/FF/REW시에 소비전력의 절감을 위해 테이프에 닿지 않도록 하는 데, 이를 위해 스프링(85)(85')의 일단은 핀치암의 가이드부(86)(86')에 타단은 메인베이스(90)에 형성된 돌기부(96)(96')에 탄지시켜주게된다.
이때, 상기 원호형장공(64)(64')은 상기 힌지(61)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귀수단(70)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5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동레버(40)의 힌지(41)에 설치되고 양단부가 헤드취부플레이트(50)의 걸림돌부(55)(55')에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복귀수단(70)은 일반적으로 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PLAY모드는 캠기어(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평션플레이트(30)가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되면, 평션플레이트(30)의 구동돌부(31)의 레그접촉면(32)(32')과 연동레버(40)의 연동레그(42)에 형성되어 있는 연동곡면(43)이 접촉연동되어 상기 연동레버(40)가 힌지(4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연동레버(40)의 회전에 의해 연동레버(40)의 일측 연동날개(44)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구동면(45)이 헤드취부플레이트(50)의 일측연동지지레그(51)에 형성되어 있는 연동접촉면(52)과 접촉되어 헤드취부플레이트(50)를 도면상의 하부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헤드취부플레이트(50)의 직선이동은 상기 지지안내핀(92)(92')(92)이 장공(53)(53')(53)에 의해 안내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헤드취부플레이트(5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헤드취부플레이트(50) 상에 힌지(61)설치되어 있는 핀치롤러구동레버(6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핀치롤러구동레버(60)의 직선이동은 상기 연동레버(40)의 구동헤드(46)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평면(47)에 일측 회동경사면(65)이 접촉되면서 힌지(6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핀치롤로구동레버(60)의 회전은 상기 힌지(61)를 중심으로 원호형장공(64)(64')에 헤드취부플레이트(50)상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지지핀(54)(54')이 안내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핀치롤러구동레버(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핀치롤러구동암(62')의 압착면(63')이 핀치롤러스프링(85')을 압착하여 핀치롤러(84')가 캡스턴축(93')에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PLAY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될 때에는 캠기어의 구동에 의해 평션플레이트(30)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연동레버(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헤드취부플레이트(50)를 하부로 밀어주던 연동날개(44)의 접촉구동면(45)이 헤드취부플레이트(50)의 연동지지레그(51)의 연동접촉면(52)에서 분리되어 상기 복귀수단(70)의 탄성력으로 헤드취부플레이트(50)가 도면상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핀치롤러 구동레버(60)도 헤드취부플레이트(50)와 함께 이동되면서 핀치롤러스프링(85')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헤드폰 스테레오 테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는 캠기어(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평션플레이트(30)와 이에 따라 회동되는 연동레버(40)에 의해 헤드(80)가 취부되어 있는 헤드취부플레이트(50)가 구동되는데 이와 같은 회동구조에서는 치수관리부가 너무 많고 이와 같은 치수관리부의 누적공차에 의해 원하는 상태로의 헤드위치 규제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모드 변환시 헤드(80)가 취부되어 있는 헤드취부플레이트(50)의 상하 이동량이 큼에 따라 캠기어(미도시)에 작용하는 부하 역시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헤드취부플레이트를 캠기어에 의해 직접 구동하여 원하는 헤드위치 규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규제플레이트를 두어 고속감기(FF/REW)시에는 규제플레이트에 의해 헤드위치가 규제되도록 하여 카세트도어 오픈키에 의해 고속감기 모드시에만 규제플레이트가 해제되어 테이프카세트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모드변환중에 캠기어에 작용하는 부하를 줄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메인베이스에 취부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캠기어와, 헤드가 취부되고 상기 캠기어와 연동되는 헤드취부플레이트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의 구동을 규제하여 헤드위치를 규제하는 규제플레이트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규제플레이트와 연동되는 연동턱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규제플레이트는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의 연동턱과 접촉되어 초기규제되는 초기규제턱이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초기규제턱이 구비된 일단 하부에는 도어오픈규제훅이 구비되며, 탄지부재에 의해 탄지되어 향상 헤드취부플레이트 방향으로 탄지된다.
상기 규제플레이트의 도오오픈 규제혹은 재생모드시에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의 연동턱의 내측에 걸려 도어오픈을 방지하도록 되고,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의 가이드핀의 몸체부가 삽입설치되고, 양측 단부안이 상기 메인베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를 메인 베이스의 상부로 탄지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의 일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구동장치의 요구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제4도의 A-A' 단면도, (b)는 제4도의 B-B'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구동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메인베이스의 요부 평면도, (b)는 헤드취부플레이트의 평면도, (c)는 규제플레이트의 평면도, (d)는 복귀부재의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의 일실시례는 메인베이스(1)에 취부되어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캠기어(5)와, 헤드(7)가 취부되고 상기 캠기어(5)와 연동되는 헤드취부플레이트(10)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구동을 규제하여 헤드(7)위치를 규제하는 규제플레이트(20)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취부되는 메인베이스(1)는, 제6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슬롯(2, 2', 3)이 형성되고, 복귀수단이 지지되는 지지돌부(1')가 상단 양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캠기어(5)는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를 구동하기 위한 캠곡선부(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메인베이스(1)에 회전축(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에는 헤드(7)가 취부핀(7P, 7'P)에 의해 취부되는데, 상기 취부핀(7P, 7'P)은 메인베이스(1)의 안내장공(2, 2')내에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와 헤드(7)는 상기 메인베이스(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는 상기 캠기어(5)의 회전축(6)에 의해 지지안내되는 지지안내공(11)과 상기 메인베이스(1)의 안내장공(3)에 삽입되어 지지안내되는 가이드핀(13)에 의해 메인베이스(1)에 지지안내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캠기어(5)의 캠곡선부(5')와 연동을 위한 캠연동돌기(12)가 상기 지지안내공(11)과 가이드핀(13)의 중간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상기 규제플레이트(20)와 연동되는 연동턱(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규제플레이트(20)는 상기 메인베이스(1)에 힌지설치된 복수개의 지지안내핀(9, 9')에 각각 지지안내장공(21, 21')이 안내되면서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연동턱(14)과 접촉되어 초기규제되는 초기규제턱(23)이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초기규제턱(23)이 구비된 일단 하부에는 도오오픈규제혹(24)이 구비되며, 탄지부재(26)에 의해 탄지되어 항상 헤드취부플레이트(10) 방향으로 탄지된다. 그리고, 상기 규제플레이트(20)는 카세트도어 오픈키(미도시)등에 의해 상기 탄지부재(26)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규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규제플레이트(20)의 도어오픈규제훅(24)은 재생모드시에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연동턱(14)의 내측에 걸려 도어오픈을 방지하도록 되며, 상기 탄지부재(26)는 메인베이스(1)에 돌출된 핀(4)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규제플레이트(20)의 걸림돌부(22)에 타단부가 메인베이스(1)상의 걸림돌부(4')에 걸려져 지지된다.
상기 복귀수단으로는 스프링(25)이 사용되는데, 몸체부(25B)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가이드핀(13)에 삽입설치되고, 양측 단부암(25A, 25'A)이 상기 메인베이스(1)의 지지돌기(1')에 지지되어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를 메인베이스(1)의 상부로 탄지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복귀수단이 헤드취부플레이트(10)를 상부로 탄지함에 의해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캠연동돌기(12)는 항상 캠기어(5)의 캠곡선부(5')와 연동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해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가 구동되기 이전의 초기상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탄지부재(26)에 의해 향상 캠기어(5)쪽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상기 규제플레이트(20)는 그 초기규제턱(23)이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연동턱(14)에 의해 규제되어 있고, 헤드(7)가 취부되어 있는 헤드취부플레이트(10)는 초기 카세트삽입시에 카세트와 헤드(7)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복귀수단인 스프링(25)과 캠기어(5)의 캠곡선부(5')에 의해 메인베이스(1)의 상단에 위치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7도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정방향 재생모드로 이동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캠기어(5)의 회전에 상기 캠연동돌기(12)가 연동되어 헤드취부플레이트(10)가 상기 복귀수단인 스프링(2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강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규제플레이트(20)의 초기규제턱(23)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연동턱(14)으로부터 해제되어 규제플레이트(20)가 도면상의 오른쪽으로 이동되어 지지안내핀(9. 9')이 지지안내장공(21, 21')의 일축 단부에 위치되다. 즉,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가이드장공(11)의 상단에 상기 캠기어(5)의 회전축(6)이 위치하게 될 때 까지 헤드취부플레이트(10)가 하강하고, 이와 같은 하강은 헤드취부플레이트(10)에 취부되어 있는 헤드(7)를 재생시의 위치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헤드(7)를 헤드취부플레이트(10)에 취부하는 핀(7P, 7'P)은 상기 메인베이스(1)에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슬롯(2, 2')을 따라 안내된다.
그리고, 정방향 재생모드에서,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역방향재생모드로의 이동은 캠기어(5)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역방향 재생모드에서의 헤드취부플레이트(10) 및 규제플레이트(20)의 위치는 캠곡선부(5')와 캠연동돌기(12)의 연동에 의해 상기 정방향 재생모드의 위치에 그대로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9도에 도시되어 있는 고속감기모드로의 이행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정방향 및 역방향재생모드에서는 헤드(7)가 테이프와 밀착되도록 하강되어 있었으나, 고속감기모드에서는 고속으로 감겨지는 테이프에서 헤드(7)가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캠기어(5)의 구동에 의해 모드변환이 이루어지고, 캠기어(5)의 구동에 따라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캠연동돌기(12)와 캠곡선부(5')의 연동 및 복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 헤드취부플레이트(10)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승은 상기 규제플레이트(20)의 초기규제턱(23)의 하단에 상기 연동턱(14) 상단이 걸려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위치가 규제된다.
그리고, 정방향재생모드로의 모드변환은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캠기어(5)의 회전에 의해 캠곡선부(5')와 캠연동돌기(12)가 연동되어 헤드취부플레이트(10)가 재생모드의 위치에 있도록 하강된다.
한편, 상기 규제플레이트(20)는 도어오픈 키의 동작에 의해 도면상의 왼쪽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재생모드(제10도의 상태 참조)에서는 만일 상기 규제플레이트(20)가 왼쪽으로 이동되더라도 규제플레이트(20)의 도어오픈규제훅(24)이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연동턱(14)의 후단에 걸려 지게 되므로 도오어픈 키가 작동되지 않게 된다.(이때, 규제플레이트(20)는 제10도에 도시된 'K'만큼만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헤드취부플레이트(10)가, 제9도의 고속감기상태에 있게 되면,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가 재생모드시에 비해 상승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도어 오픈키의 작동에 의해 상기 규제플레이트(20)는 왼쪽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상기 연동턱(14)이 상기 도어오픈규제훅(24)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는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헤드취부플레이트(10)의 복귀는 상기 복귀수단의 복원력 및 캠기어(5)의 캠곡선부(5')와 캠연동돌기(12)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헤드취부플레이트(10)가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10)에 취부되어 있는 헤드(7)는 카세트착탈시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는 초기 위치에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는 헤드가 취부되어 있는 헤드취부플레이트를 캠기어와 직접 연동되도록 하여 헤드위치를 설정하므로 캠기어에 작용되는 부하가 적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도어오픈키에 의해 작동되는 규제플레이트를 두고 상하 이동되는 헤드취부플레이트와 연계하여 고속감기모드 및 이젝트모드를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모드변환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캠기어에 의해 헤드취부플레이트를 직접 구동함으로써 치수관리부가 줄어들게 되어 누적공차가 적어지므로 헤드위치 구현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메인베이스에 취부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캠기어와, 헤드가 취부되고 상기 캠기어와 연동되는 헤드취부플레이트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의 구동을 규제하여 헤드위치를 규제하는 규제플레이트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규제플레이트와 연동되는 연동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플레이트는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의 연동턱과 접촉되어 초기규제되는 초기규제턱이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초기규제턱이 구비된 일단 하부에는 도오오픈규제훅이 구비되며, 탄지부재에 의해 탄지되어 항상 헤드취부플레이트 방향으로 탄지됨을 특증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플레이트의 도오오픈규제혹은 재생모드시에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의 연동턱의 내측에 걸려 도어오픈을 방지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의 가이드핀의 몸체부가 삽입설치되고, 양측 단부암이 상기 메인베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헤드취부플레이트를 메인베이스의 상부로 탄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
KR2019950050715U 1995-12-28 1995-12-28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 KR0136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715U KR0136584Y1 (ko) 1995-12-28 1995-12-28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715U KR0136584Y1 (ko) 1995-12-28 1995-12-28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176U KR970046176U (ko) 1997-07-31
KR0136584Y1 true KR0136584Y1 (ko) 1999-04-15

Family

ID=1944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0715U KR0136584Y1 (ko) 1995-12-28 1995-12-28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5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176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6584Y1 (ko)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헤드구동장치
US4825312A (en) Cassette loading mechanism
KR100438656B1 (ko) 스위칭장치를구비한오토리버스테이프테크
US3572606A (en) Device for controlling tape drive in tape recorder of magazine type
JPH0233297Y2 (ko)
KR860001255B1 (ko) 테이프 레코오더
KR100207699B1 (ko) 휴대용 오디오 로직데크의 이젝트장치
JPH0581978B2 (ko)
KR900010406Y1 (ko)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JPH0535465Y2 (ko)
KR840000424Y1 (ko) 누름 버턴
JPH0411246Y2 (ko)
KR920003386Y1 (ko) 테이프레코더의 자동반전장치
JPS60135831U (ja) 磁気テープカセツト装置の切換装置
US4597024A (en) Tape recorder having soft-touch control of an erase head
JPH056578Y2 (ko)
KR100267230B1 (ko) 테이프레코더의소형카세트록킹해제장치
KR940001121Y1 (ko) 카세트 데크의 핀치로울러 장치
KR910001303Y1 (ko)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
KR100214585B1 (ko) 헤드폰 스테레오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KR94000111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정지용 스위치 작동장치
JPS5914885Y2 (ja) カセツト収納ドアの開閉機構
KR930000692Y1 (ko) 로직데크의 카세트도어 록킹장치
JP2571718B2 (ja)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モード切換装置
JPS5914886Y2 (ja) カセツト収納ドアの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