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303Y1 -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303Y1
KR910001303Y1 KR2019870017833U KR870017833U KR910001303Y1 KR 910001303 Y1 KR910001303 Y1 KR 910001303Y1 KR 2019870017833 U KR2019870017833 U KR 2019870017833U KR 870017833 U KR870017833 U KR 870017833U KR 910001303 Y1 KR910001303 Y1 KR 910001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switch
tape cassette
adapt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586U (ko
Inventor
모리오 미와
가즈노리 시부야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4918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0348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6041486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65187U/ja
Priority claimed from JP16041586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65188U/ja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85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5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3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
제1도는 본 고안으로 된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의 한 실시예가 언로딩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는 저판을 벗긴 상태의 저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로딩암이 구동되어 로딩 상태로 되었을 경우를 나타내는 저면도.
제3도는 록 캠 부재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제4도는 감기측의 록 레버 부근을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
제5도 내지 제8도의 본 고안으로 된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의 한 실시예의 조작 노브 및 스위치의 연결 구조 및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9도는 언로딩 상태에 있는 어댑터의 저판을 벗긴 상태의 저면도.
제10도는 로딩 상태에 있는 어댑터의 저판을 벗긴 상태의 저면도.
제11도는 어댑터의 평면도.
제12a도 내지 12g도는 로딩 및 언로딩의 각 동작 상태에 있어서의 전원 공급 회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댑터 2 : 소형 테이프 카세트
4, 5 : 로딩폴 6,7 : 로딩암
8 : 구동 기구 9,10 : 록레버
11 : 톱커버 15 : 자기 테이프
29 : 모터 32 : 릴 구조 기어
45 : 록 부재
본 고안은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딩 기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로딩시에 인출 폴을 확실하게 걸 수 있으며, 모터를 내장하여 이 모터로 테이프 로딩 기구를 동작시키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전에 소형의 테이프 카세트를 표준형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할 때 쓰이는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이하 어댑터라 한다)를 제안했다. 이 어댑터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수납하거나 또는 테이프 로딩을 행해서 어댑터내에 표준형 카세트의 전면측 테이프 패스에 대응하는 테이프 패스를 형성한 상태로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인은 모터를 내장하여 이 모터로 테이프 로딩 기구를 동작시키도록 해서 노브등을 수동으로 회전 운동시켜서 행하는 테이프 로딩 조작 및 테이프 언로딩 조작을 불필요하도록 보아 조작성의 향상을 꾀한 어댑터를 제안했다.
상기 테이프 로딩 기구에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내의 자기 테이프를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전면측 테이프 패스에 대응하는 테이프 패스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인출하는 로딩폴을 가지는 한쌍의 로딩암이 설치되어 있다.
또 로딩 위치에 있는 로딩폴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로딩 위치에 있어서 로딩폴을 걸어 이것을 어댑터 케이스에 형성된 스토퍼쪽으로 내리누름으로써 록(lock)하는 록암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 록암의 구동은 테이프 로딩 기구의 동작과 연동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록암과 테이프 로딩 기구 사이에 캠상 부재를 끼워 이 캠상 부재를 통해서 로딩 기구의 로딩 동작이 록암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록암과 테이프 로딩 기구 사이에 캠상 부재를 끼우는 것은 로딩 기구의 시동시와 록암의 시동시에 있어서의 시간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서이다 (특원소 58-l19524호, 제1도 참조).
상기 어댑터에는 모터를 회전 구동하는 전원회로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 전원 회로는 대략 3개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제1의 스위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장착을 검출하는 스위치이며 제2의 스위치는 로딩 기구의 로딩 동작 및 언로딩 동작의 종료를 검출하는 스위치이며 제3의 스위치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상면을 덮는 톱커버의 록 및 록 해제를 행하는 조작 노브에 연동하여 로딩 동작 개시의 기동 스위치였다. 종래, 이 제3의 기동 스위치로선 소위 리프 스위치(조작부가 요동됨으로서 개폐성이 행해지는 소형 스위치)가 쓰이고 있으며, 이것을 조작 노브의 조작 방향에 대해서 다른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서 절환을 행하고 있었다(실원소 59-10623호, 제5도 참조).
상기 구성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에 있어서, 가령 로딩 기구, 록암 및 캠부재에 성형 오차 및 장치 오차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이것은 록암의 로딩폴에 대한 내리누름력에 직접 영향을 끼친다. 즉, 내리누름력이 클때는 각 구성 부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이것이 작을 때에는 로딩폴에 요동이 발생하고 만다. 따라서 상기 각 오차를 흡수하기 위해서 댐퍼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댐퍼 수단은 상기 각 구성과 별개로 설치되고 있었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되고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일반으로 종래의 댐퍼 수단은 록암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실제로 로딩폴과 맞닿는 록암 댐퍼 수단간에는 여러가지의 구성 부품이 끼워지며, 댐퍼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고안에선 캠상 부재와 댐퍼 수단을 일체화함으로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에선 감기측의 로딩암을 변위시키기 위해 복수의 링크로된 특수 체인을 쓰고 있기 때문에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며 구조가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조립 작업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많은 부품을 통해서 로딩암이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동작 불량이 생기기 쉬우며 신뢰성이 결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고안에서 감기측의 인출 암에 캠구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어댑터에선 제3의 스위치로서 리프 스위치가 쓰이고 있으며, 그 조작 방향은 톱커버의 조작 노브의 조작 방향과 다르기 때문에 동작점의 위치를 적절히 결정해서 리프 스위치를 장치할 필요가 있었고 이 스위치를 장치하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리프 스위치는 조작 노브의 조작으로 조작 방향과 다른 하방향으로 변위하는 조작 부재에 내리눌려짐으로써 폐쇄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오동작이 생기기 쉽고, 어댑터의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선, 제3의 스위치로서 슬라이드 스위치를 쓰며 또한 그 조작 방향으로 톱커버의 조작 노브의 조작 방향과 일치시킴으로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는 케이스 체내에 수납된 소형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소정 전면 테이프 패스를 형성하는 로딩 위치쪽으로 자기 테이프를 인출하는 로딩폴을 구비하는 로딩 기구와, 상기 로딩 위치에 있는 로딩폴을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스토퍼를 향해 내리누름으로써 록하는 록 부재와, 일부에 탄성 부재로 된 소정 캠 형상을 구비하는 탄성 캠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로딩 기구와 록 부재의 연결 부분에 끼워져서 로딩 기구의 로딩 동작을 상기 탄성 캠구를 통해 록 부재에 전달하는 록 캠부재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내부에 수납된 소형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전면측 테이프 패스에 대응한 테이프 패스를 형성하는 위치로까지 자기 테이프를 인출하는 로딩폴을 구비하는 로딩암과 이 로딩암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에 있어서, 로딩암에 캠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캠구에 상기 구동 수단으로 변위하는 구동핀을 유동 가능하게 끼우고, 캠구내에서의 구동편의 상대적인 변위로 로딩암이 구동되도록 구성으로 했다.
또한, 조작 노브의 조작으로 개폐하는 개체를 개방하여서 수납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소정 전면 테이프 패스를 형성하도록 자기테이프를 인출하는 로딩 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것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회로를 구비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에 있어서, 이 전원 공급 회로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수납 검출을 행하는 제1의 스위치와, 로딩 기구의 로딩 종료 및 언로딩 종료를 검출하는 제2의 스위치와 상기 로딩 및 언로딩 동작을 기동시키는 제3의 스위치를 구성하고, 또한 제3의 스위치는 상기 조작 노브와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조작되는 슬라이드 스위치로 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스위치의 스위치 노브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조작 노브의 조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설정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언로딩 상태를 제2도는 로딩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각 도면 모두 어댑터(1)의 저판을 벗긴 상태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어댑터(1)는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와 실질적으로 같은 외형 치수를 가지며 내부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2)의 수납부(3) 선단에 인출폴(4,5)을 둔 로딩암(6,7)이 로딩 위치에서 로딩폴(4, 5)을 소정 위치에 록하는 록레버(9,10)등을 가지고 있다.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보다 소형인 소형 테이프 카세트(2)는 로딩암(6,7)이 제1도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언로딩 완료 상태로 수납부(2)내에 수납되며, 톱커버(어댑터(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음)가 닫히게 됨으로서 제1도에 나타내는 수납 완료 상태가 된다. 또 톱커버를 개폐할때 조작되는 조작 노브(톱커버와 마찬가지로 도면에 나타나지 않음)는 구동 기구(8)의 기동 스위치(11)와 연결되어 있으며 소형 테이프 카세트(2)가 수납부(3)에 수납되어 톱커버가 닫히므로써 기동 스위치(11)가 폐쇄되며 구동 기구(8)가 기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감기측의 로딩암(6)은 지축(12)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치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로딩폴(4)이 설치됨과 아울러 타단부에 돌기(13)가 나있다. 감기측에 있어선 소형 테이프 카세트(2)내의 자기 테이프(15)(도면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를 비교적 길게 인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감기측의 로딩암(6)은 공급측의 로딩암(7)에 비해서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로딩암(6)의 로딩폴(4)과 지축(12) 사이의 위치에는 캠구(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공급측의 로딩폴(7)은 선단부에 로딩폴(5)이 설치됨과 동시에 지축(1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치되어 있다. 상기 로딩암(6,7)은 레버 부재(17, 18, 19)로 구성되는 링크 기국에 연결되어 있으며 일체적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제, 이 링크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의 레버 부재(17)는 어댑터(1)의 하방 위치에서 그 길이 방향에 걸쳐서 연장하는 간상 부재이며 도면중 X1, X2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장치되어 있다. 이 제1이 레버 부재(17)의 좌단 근처 위치에는 구멍(20)이, 우단 근처 위치에는 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20)에는 로딩암(6)에 설치된 돌기(13)가 끼워져 있으며 돌기(21)는 제2의 레버 부재(18의 凹부(22)와 걸리도록 되어 있다.
제2의 레버 부재(18)는 <자형의 형상을 가지는 부재로써, 한쪽의 암부에 상기 凹부(22)를 형성함과 아울러 다른쪽의 암부에 구멍(23)을 형성하며, 지축(24)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치되어 있다. 제3의 레버 부재(19)는 어댑터(1)의 우측 위치에 있으며, 도면중 화살표 Y1, Y2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이 제3의 레버 부재(19)의 하단부에는 구멍(23)에 걸리는 돌기(25)가 또 상단부 근처의 소정 위치에는 제1 및 제2의 걸림핀(26,27)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1의 걸림핀(26)은 로딩암(7)의 기부(7a)하면에 형성된 홈부(도시하지 않음)에 걸린다. 또 제2의 걸림핀(27)은 본 고안의 요부가 되는 록캠 부재(28)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으로 된 링크 기구로 로딩암(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 제1의 레버 부재(17)가 X1방향으로 이동해서 제2의 레버 부재(1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3의 레버 부재(19)가 Y1, 방향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로딩암(7)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 록캠 부재(28)도 레버 부재(19)의 이동으로 걸림핀(27)을 거쳐서 지축(28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록레버(10)와 맞닿아 이것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구동 기구(8)에 대해 설명을 한다. 구동 기구(8)는 모터(29), 톱니 바퀴(30,31) 및 릴 구조 기어(32)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29)의 회전축에는 웜(33)이 장치되어 있으며 모터(29)의 회전은 톱니 바퀴(30,31)을 거쳐서 감속되면서 릴 구조 기어(32)로 전달되며 로딩시에는 시계 방향으로, 언로딩시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릴 구조 기어(32)의 회전에 따라 캠구(14)내를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로딩암(6)을 회전시킨다.
여기에서 모터(29)가 시동되며 로딩암(6, 7)이 소형 테이프 카세트(2)로부터 자기 테이프(15)를 인출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로딩시에 있어서 릴 구조 기어(32)는 모터(29)의 소정 방향 회전을 통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이에 따라서 구동핀(34)은 제1도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릴 구조 기어(32)의 회전에 따라 원호상의 이동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한다. 이때 구동핀(34)은 캠구(14)의 좌측 모서리를 쏠리게 하며 이 쏠림 힘으로 로딩암(6)을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개시한다.
이것에 따라 상기 각 레버 부재(17, 18, 19)를 거쳐서 로딩암(7)도 지축(16)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의 회전을 개시하며 따라서 자기 테이프(15)는 각 로딩암(6,7)에 설치된 인출 폴(4,5)로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와 전면의 소정 테이프 패스 위치를 향해 인출된다. 또 릴 구조 기어(32)가 소정 위치까지 회전하면 릴 구조 기어(32)에 설치된 제1의 캠(36)이 록 레버(9)에 설치된 본 고안의 요부를 이루는 록 캠부(37)에 걸려 이 록 캠부(37)를 내리누른다. 이에 따라서, 록 레버(9)는 지축(38)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회전 개시시에 있어선 로딩암(6)은 인출 폴(4)이 로딩 위치에 있을때 내리눌려 걸리게 되는 스토퍼(39)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이미 회전하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록 캠부재(28)도 제3의 레버 부재(19)의 Y1방향의 이동으로 즉시 록 레버(10)를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로딩암(7)이 스토퍼(40)에 가까운 위치까지 회전한 후 록레버(10)에 걸려 이 록레버(1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로딩폴(4,5)을 스토퍼(39,40)쪽으로 내리누름으로써 록하는 록 레버(9, 10)의 시동 타이밍을 택할 수 있음과 동시에 록 레버(9, 10)의 이동 궤적을 작게할 수 있으며 록레버(9, 10)를 구동하는 기구의 간소화 및 공간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상기 일련의 각 구성의 동작으로 자기 테이프(15)는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전면의 소정 테이프 패스 위치로 인출되어 제2도에 나타내는 로딩 위치에 이른다. 또한, 제2도에 나타내는 로딩 위치에 도달했을때 릴 구조 기어(32)에 설치된 제2의 캠(41)이 도시하지 않는 스위치를 개방하여 이에 따라서 모터(29)가 정지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요부가 되는 록 캠부재(28)를 제3도 및 제4도에 각각 확대하여 나타냈는바, 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3도 및 제4도 역시 모두 로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록 캠부재(28)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상기와 같이 록 캠부재(28)는 제3의 레버 부재(19)가 걸림핀(27)을 조작함으로써 지축(28a)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록레버(10)에 걸려 이 록레버(10)를 내리누르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나타낸다.
지금, 록 캠부재(28)를 주목하면, 록 캠부재(28)는 수지 등으로 형성된 본체 (28b)와 판 용수철로 형성된 탄성 캠부(28c)로 되는 간단한 구성이다. 탄성 캠부(28c)는 소정의 캠 형상(종래의 캠상 부재와 동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 (28b)로 고정된 단부와 다른 단부는 본체(28b)에 형성된 凹부(28d)내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 캠부(28c)가 외부로부터 내리눌려지면 도면중 화살표 A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변위한다.
이어서 록 캠부(37)를 주목하면, 록 캠부(37)는 록 레버(9)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홀더부(42)에 판용수철로 형성된 탄성 캠부(43)가 장치되며 이것도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탄성 캠부(43)도 소정의 캠 형상(종래의 캠상부와 동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있으며 외력이 인가됨으로서 도면중 화살표 B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변위한다.
상기 설명으로 분명하듯이 록 캠부재(28) 및 록 캠부(37)는 구동 기구(8)의 구동력이 록레버(9, 10)에 전달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록레버(9, 10)는 소정의 캠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부재(28c, 43)를 거쳐서 구동된다. 즉, 로딩 상태에 있어서 구동 기구(8)(구체적으로는 제3의 레버 부재(19) 및 릴 구조 기어(32)의 제1의 캠(36)과 록레버(9, 10)간에는 탄성 변형할 수 있는 탄성 캠부(28c,43)는 록레버(9, 10)를 변위시킴과 동시에 댐퍼로서도 기능하며 각 구성 부품에 성형 오차, 장치 오차가 생겨도 이것을 흡수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을 받았을 경우도 완충 효과를 나타내 보인다.
따라서 록레버(9. 10)는 성형 오차 및 장치 오차,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도 불구하고 늘 일정한 내리누름력으로 로딩폴(4,5)이 스토퍼(30,40)에 걸리게 하여 소형 테이프 카세트(2)의 안정된 재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로딩암(6)은 캠구(14)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진 구동핀(34)만으로 구동되므로 늘 안정된 이동 변위를 행한다. 또 구동핀(34)은 구동 기구(8)를 구성하는 하나의 부품인 릴 구조 기어(32)에 설치된다.
이같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로딩암(6)을 확실하게 높은 신뢰성을 갖고 로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어댑터(1) 내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9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어댑터(1)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9도는 언로딩 상태를 제10도는 로딩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각 도면 모두 어댑터(1)의 저판을 벗긴 상태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어댑터(1)는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와 실질적으로 같은 외형 치수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2)의 수납부(3)와, 선단에 인출 폴(4,5)을 둔 로딩암(6,7)과, 로딩암(6, 7)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8) 및 로딩 위치에서 인출 폴(4,5)을 소정 위치에 록하는 록 레버(9, 10)등을 가지고 있다.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보다 소형인 소형 테이프 카세트(2)는 로딩암(6, 7)이 제9도에 나타내는 회동 위치에 있는 언로딩 완료 상태로 수납부(3)내에 수납되며, 톱커버(11)(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7도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2)가 수납된 직후의 언로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가 닫혀지므로서 제5도에 나타내는 수납 완료 상태가 된다. 또한, 톱커버(11)를 개폐하는 경우 조작되는 조작 노브(12)(제10도에 나타낸다)는 후에 상술하는 바와같이 구동 기구(8)의 제3의 스위치인 기동 스위치와 연결되고 있으며 소형 테이프 카세트(2)가 수납부(3)에 수납된 톱커버가 닫혀짐으로서 구동 기구(8)가 기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감기측의 로딩암(6)은 지축(13)이 자유롭도록 장치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인출 폴(14)이 설치됨과 아울러 동시에 타단부에 돌기(14)가 나있다. 감기측에 있어선 소형 테이프 카세트(2)내의 자기 테이프(15)(도면중 2점 쇄선으로 나타냈다)를 비교적 길게 인출하기 위해 감기측의 로딩암(6)은 공급측의 로딩암(7)에 비해서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로딩암(6)에는 캠구(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공급측의 로딩폴(7)은 선단부에 인출 폴(5)이 설치됨과 아울러 지축(1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치되어 있다. 상기 로딩암(6, 7)은 레버 부재(17, 18, 19)로 구성되는 링크 기구로 연결되고 있으며 일체적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제 상기 링크 기구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제1의 레버 부재(17)은 어댑터(1)의 하방위치에 그 손길이 방향에 걸쳐서 연장되는 막대기형 부재로써, 도면 중 X1, X2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이 제1의 레버 부재(17)의 좌단 근처 위치에는 구멍(20)이, 우단 근처 위치에는 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20)에는 로딩암(6)에 설치된 돌기(13)가 끼워져 있으며 돌기(21)는 제2의 레버 부재(18)의 凹부(22)와 걸려 있다. 제2의 레버 부재(18)는 <자형의 형상을 가지는 부재이며 한쪽의 암에 전기 凹부(22)를 형성함과 동시에 다른 암부에 구멍(23)을 형성하며, 지축(24)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치되어 있다. 제3의 레버 부재(19)는 어댑터(1)의 우측 위치에 있으며 도면중 화살표 표지 Y1, Y2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이 제3의 레버 부재(19)의 하단부에는 구멍(23)이 걸리는 돌기(25)가, 또 상단부 근처의 소정 위치에는 제1 및 제2의 걸림핀(26, 27)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1의 걸림핀(26)은 로딩암(7)의 기틀부(7a)하면에 형성된 홈부에 걸려 있다. 또 제2의 걸림핀(27)은 캠부재(28)에 걸려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가지는 링크 기구를 로딩암(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 제1의 레버 부재(17)가 X1방향으로 이동해서 제2의 레버 부재(1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것으로 제3의 레버 부재(19)가 Y1방향으로 회전된다. 또 캠 부재(28)는 레버 부재(19)의 이동으로 걸림핀(27)을 거처서 지축(28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록 레버(10)와 맞닿아 이것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구동 기구(8)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 기구(8)는 모터(29) 톱니 바퀴(30, 31) 및 릴 구조 기어(32)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29)의 회전축에는 웜(33)이 장치되어 있으며 모터(29)의 회전은 톱니 바퀴(30,31)를 거쳐서 감속되면서 릴 구조 기어(32)로 전달되며 로딩시에는 시계 방향으로, 언로딩시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릴 구조 기어(32)의 상면 소정 위치에는 구동핀(34)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핀(34)은 상기 로딩암(6)에 형성된 캠구(14)에 유통 가능하게 끼워지며 릴 구조 기어(32)의 회전에 따라 캠구(14)내를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로딩암(6)을 회전시킨다.
이어서, 상기 구동 기구(8)의 모니터(29)에 대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회로(34)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우선 전원 공급 회로(34)의 구성에 대해 주로 제9도, 제12a도 및 12b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전원 공급 회로(34)는 상기한 모터(29), 3개의 스위치(35, 36, 37)및 전원(건전지)(38)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2a도는 어댑터(1)가 언로딩 상태이며 또한 소형 테이프 카세트(2)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의 스위치(35)는 노브(35a)가 수납부(3)내에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납부(3)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2)가 수납되면 소형 테이프 카세트(2)로 조작되어서 폐쇄되는 스위치이다. 즉, 제1의 스위치(35)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2)의 수납 검출을 행하는 스위치이다.
제2의 스위치(36)는 2접편(36a,36b)를 가지는 노멀크로스형인 소형 요동 스위치로써 릴 구조 기어(32)의 근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36)는 릴 구조 기어(32)의 축부(32a)로부터 돌출한 캠상 돌기(39,40)에 걸리고, 릴 구조 기어(32)의 회전에 따라 조작됨으로써 개폐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제9도에 나타내는 언로딩 상태에 있어선 스위치(36)는 시계 방향으로 캠상 돌기(35)로 쏠리게 되며, 이에 따라서 제12a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접편(36a)은 개방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릴 구조 기어(32)는 로딩시에는 시계 방향으로 또 언로딩시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로딩 동작이 개시되면 캠상 돌기(39)는 스위치(35)로부터 이간되어 접편(36a)은 폐쇄된다. 그리고 릴 구조 기어(32)가 소정의 로딩 종료 위치까지 각도 회전했을때, 다른 캠상 돌기(40)가 스위치(36)에 걸리며 접편(36a)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또 캠상 돌기(39)는 언로딩이 종료되었을때 스위치(36)의 접편(36a)을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스위치(36)는 로딩 동작 및 언로딩 동작의 종료를 검지하는 기능을 보이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요부를 이루는 제3의 스위치(37) 및 이 스위치(37)와 조작 노브(12)와의 연결 구조에 대해 설명을 한다. 제3의 스위치(37)는 2개의 스위치를 하나의 스위치 노브(37a)로 동시에 절환을 행할 수 있는 구성의 슬라이드 스위치로서 톱커버(11)를 개방할때 조작되는 조작 노브(12)(제11도에 나타낸다)에 연결되어 있다. 이 조작 노브(12)와 스위치(37)의 연결 상태를 제5도에 나타낸다. 제5도는 조작 노브(12) 근처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언로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 노브(12)는 어댑터(1)의 케이스(41)상부에 형성된 凹부(41a)내를 도면중 화살표 X1, X2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조작 노브(12)는 대략 상부 조작부(12a), 완부(12b, 12c), 하부 조작부(12d)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조작부(12d)는 케이스(41)의 내부에 있으며 완부(12a, 12b)를 거처서 상부 조작부(12a)와 일체적으로 변위한다. 이 하부 조작부(12d)의 제5도에 있어서의 좌방 단부에는 톱커버(11)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조(11a)에 걸려서 톱커버(11)의 개개를 규제하는 록(12e)가, 한쪽 우단부 근처에는 제3의 스위치(37)의 스위치 노브(37a)이 걸려서 이것을 조작하는 조작 완부(l2f, 12g)가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 조작부(12d)의 좌방 하부 위치에는 가동 부재(42)가 장치되어 있으며 이 가동 부재(42)는 통상 판 용수철(43)으로 도면중 A1방향으로 쏠려 있다. 다시 하부 조작부(12d)에는 하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구(12h)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 돌출부에는 코일 스프링(44)이 접속되어 있으며 따라서 조작 노브(12)는 도면중 화살표 X1방향으로 쏠려 있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요부가 되는 조작 노브(12)와 스위치(37)의 연결 상태를 주목하고 다시 상세히 말하면 조작 노브(12)의 조작 방향과 슬라이드 스위치인 제3의 스위치(37)의 스위치 노브(37a)의 조작 방향과 동일 방향(X1, X2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 스위치 노브(37a)는 조작 노브(1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조작 완부(l2f, 12g)에 의해 조작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스위치 노브(37a)는 조작 노브(12)의 X1, X2방향의 변위에 따라서 직접적으로 X1, X2방향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확실하고 원활한 절환 작업을 할 수 있다. 종래엔 스위치 노브의 조작 방향이 조작 노브의 조작 방향과 다르기 때문에 조작 노브로 스위치 노브를 직접 조작할 수 없었고 조작 노브의 조작으로 그 조작 방향과 다른 방향(스위치 노브의 조작 방향)으로 변위하는 다른 부재의 끼움이 필요하게 되며 따라서 스위치의 오동작 및 구조가 복잡화되었거나 상기와 같이 조작 노브(12)와 스위치 노브(37a)의 조작 방향을 일치 시키므로서 스위칭의 신뢰성을 높힐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 노브(12)와 스위치(37)의 연결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스위치 노브(37a)의 조작에 따르는 스트로크는 조작 노브(12)의 변위거리에 관계하며, 이것은 비교적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 스위치인 스위치(37)는 절환 동작점의 범위가 리프 스위치에 비교해서 넓으며 스위치의 타이밍을 그렇게 정도있게 규정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스위치(37)의 장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시 제5도에 나타내어지는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키로 한다. 상기한 하부 조작부(12d)의 상부에는 대체로 L자 형상을 이루는 록 부재(45)가 도면중 X1, X2방향으로 변위가 자유로운 구성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록 부재(45)의 제5도에서의 좌단부에는 완부(45a)가 두어지며, 이 완부(45a)에는 코일 스프링(46)이 접속되어 있으며 항상 X1방향으로 쏠려 있다. 다시 록 부재(45)의 소정 위치에는 하방으로 향해 돌출하고 록 부재(45)가 좌방으로 이동된 위치에 있을때 상기 걸림조(11a)가 걸려 톱커버(11)의 개방을 규제하는 록편(45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록 부재(45)는 상기한 레버 부재(17)에 설치된 레버부(17a)로 완부(45a)가 조작되므로서 변위한다. 또한, 레버부(17a)가 완부(45a)로부터 떨어져 있을때, 록 부재(45)는 케이스(41) 내부에 설치된 스토퍼(47)와 맞닿아서 그 이동이 정지된다. 단(48)은 케이스(41)내부에 설치되어 가동 부재(42)의 좌방 선단부에 걸려 조작 노브(12)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도면중 1점 쇄선으로 나타낸다)이며, (49)는 어댑터(1)의 저판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구성이 되는 어댑터(1)에 있어서의 로딩 및 언로딩 동작에 있어서의 각 구성부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소형 테이프 카세트(2)가 어댑터(1)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제5도 및 제12a도에 나타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조작 노브(12)를 X2방향으로 조작하고 톱커버(11)를 개방하며 소형 테이프 카세트(2)를 수납부(3)로 수납하고 다시 톱커버(11)를 폐쇄하면 제5도, 제9도, 제12b도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소형 테이프 카세트(2)의 수납으로 제2의 스위치(35)는 제12b도에 나타난 듯이 폐쇄되어 있으므로 전원(38)은 모터(29)와 접속되며 모터(29)는 순방향의 회전을 개시한다. 이것으로 릴 구조 기어(32)는 시계 방향의 회전을 개시하며 로딩암(6, 7)은 레버 부재(17, 18, 19)등에 의해 로딩 동작을 개시한다. 또한 릴 구조 기어(32)의 회전에 따라 캠상 돌기(39)는 스위치(36)로부터 떨어지게 되며 접편(36a)는 폐쇄되어 제12c도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곧 로딩암(6, 7)이 제10도에 나타내는 로딩 종료 위치에 도달하면 릴 구조 기어(32)에 설치된 캠상 돌기(40)가 캠상 돌기(39)와 반대 방향으로부터 제2의 스위치(36)를 내리누른다. 이것으로 전원 공급 회로(34)는 제12d도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며 접편(36b)은 개방되어 모터(29)가 정지되고, 어댑터(1)는 이 상태로 표준형의 비디오 레코더에 장착되어서 재생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로딩 상태에 있어선 레버 부재(17)의 X1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르는 레버 부재(17a)의 X1방향으로의 변위로 록 부재(45)도 X1방향으로 변위하며 스토퍼(47)와 맞닿은 상태(제6도에 나타낸다)로 되어 있다. 이 때, 록 부재(45)에 설치된 록편(45b)은 톱커버(11)의 걸림조(11a)에 걸려 있다.
다음으로 언로딩 동작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언로딩 동작은 조작 노브(12)를 X2방향으로 조작하므로서 기동한다. 즉, 조작 노브(12)의 조작으로 조작되는 제3의 스위치(37)의 절환으로 언로딩 동작이 기동한다.
제6도에 나타내는 상태로 조작 노브(12)를 X2방향으로 조작한 상태를 제7도 및 제12f도에 나타낸다. 이 조작 노브(12)의 조작으로 제3의 스위치(37)는 절환되는데, 상기와 같이 조작 노브(12)의 조작 방향과 스위치 노브(37a)의 조작 방향은 동일하기 때문에 확실하고 또한 원활히 절환이 행해진다. 또 조작 노브(12)의 X2방향 조작으로 가동 부재(42)는 판 용수철(43)의 탄성 복원력으로 A1방향으로 변위되며, 하부 조작부(12d)와 대체로 평행이 된다. 이 상태로 조작 노브(12)로부터 손을 떼면, 코일 스프링(44)으로 조작 노브(12)는 약간 X1방향으로 변위되는데 가동 부재(42)의 좌단부가 규제 부재(48)(도면중 1점 쇄선으로 나타낸다)와 맞닿아서 그 변위는 규제된다. 따라서 스위치(37)는 제12e도에 나타내는 상태를 유지하며, 모터(29)에는 로딩시와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언로딩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조작 노브(12)가 X2방향 위치에 록되어 있으므로 록조(12e)와 톱커버(11)와 걸림조(11a)의 걸림은 해제되어 있는데 록부재(45)의 록편(45b)이 걸림조(11a)와 걸려 있으므로 톱커버(11)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 캠상 돌기(40)는 제2의 스위치(36)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전원 공급 회로(34)는 제12f도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언로딩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서 레버 부재(17)는 X2방향으로 변위되며 곧 레버 부재(17a)는 록 부재(45)의 완부(45a)에 걸리어 이것을 X2방향으로 쏠리게 한다.
그리고, 언로딩 종료 직전에 있어서 록 부재(45)에 형성된 록편(45b)과 톱커버(11)의 걸림조(11a)의 걸림이, 제8도에 보인 바와같이 해제되며 톱커버(11)는 개방 수단(도시않됨)에 의해 개방된다. 한편, 언로딩 종료 상태에 도달하면 릴 구조 기어(32)에 형성된 캠상 돌기(39)가 재차 제2의 스위치(36)를 내리누르고 전원 공급 회로(34)는 제12g도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며 모터(29)는 정지되어 언로딩 동작은 종료된다.
상기 언로딩 종료 상태에 있어서 소형 테이프 카세트(2)를 어댑터(1)에서 끄집어내어 다시 톱커버(11)를 폐쇄하면 걸림조(11a)는 가동 부재(42)를 하방향으로 내리눌러 변위시키며 이것으로 가동 부재(42)와 규제 부재(48)의 걸림은 해제되어 조작 노브(12)는 X1방향으로의 코일 스프링(44)의 쏠림 힘에 의해 변위된다.
이 조작 노브(12)의 변위로 제3의 스위치(37)의 스위치 노브(37a)도 X1방향으로 조작되어 재차 제5도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상술과 같이 본 고안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에 의하면 일부에 탄성 부재로 되는 소정 캠 형상을 가지는 탄성 캠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로딩 기구와 록 부재의 연결 부분에 끼워 로딩 기구의 로딩 동작을 상기 탄성 캠부를 거처서 록 부재에 전달하는 록 캠부재를 설치함으로서 록 캠부재는 램으로서의 기능과 댐퍼로서의 기능을 하나의 부품으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어댑터내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또한 제품 코스트의 저감을 꾀할 수 있으며, 또 종래의 캠상 부재를 본원 구성인 록 캠부재와 교한하는 것만으로 다른 구성을 변경함이 없이 본원 어댑터는 실현될 수 있으며, 이것에 덧붙여서 댐퍼로서 기능하는 탄성 캠부는 록 부재와의 연결 부분에 설치되고 있으므로 댐퍼로서의 효율을 높힐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로딩암에 캠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캠구에 구동 수단으로 변위하는 구동핀을 유동가능하게 끼우고 이 캠구 내에서의 구동전의 상대적인 변위로 로딩암이 구동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로딩암을 구동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이동은 구동핀과 캠구의 걸림이라는 안정된 구동 전달을 걸쳐서 행해지기 때문에 로딩 및 언로딩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로딩 및 언로딩 동작을 이동시키는 스위치를 슬라이드 스위치로 하고 조작 노브와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조작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 슬라이드 스위치의 슬라이드 노브의 슬라이드 방향을 조작 노브의 조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함으로서 스위치의 절환 조작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동작 불량이 없어지며 어댑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스위치의 동작점을 비교적 여유를 가지고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간단해지며 또한 조작 노브로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기 때문에 어댑터내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Claims (3)

  1. 케이스 본체(28b) 내부에 수납된 소형 테이프 카세트(2)로부터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전면측 테이프 패스에 대응하는 테이프 패스를 형성하는 위치까지 자기 테이프(15)를 인출하는 로딩폴(4, 5)을 구비하는 로딩암(6, 7)가 이 로딩암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로딩암과 캠구(14)를 형성함과 아울러 캠구에 상기 구동 수단으로 변위하는 구동핀(34)을 유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캠구내에서의 상기 구동편의 상대적인 변위로 상기 로딩암이 구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내(28b)에 수납된 소형 테이프 카세트(2)로부터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소정 전면 테이프 패스에 대응하는 테이프 패스를 형성하는 로딩 위치를 향해 자기 테이프(15)를 인출하는 로딩폴을 가지는 로딩 기구와 상기 로딩 위치에 있는 그 로딩폴(4,5)을 그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스토퍼를 향해 내리누름으로써 록하는 록 부재(9, 10)와, 일부에 탄성 부재로 되는 소정 캠 형상을 가지는 탄성 캠부(28c,43)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로딩 기구의 로딩 동작을 상기 탄성 부재를 거쳐서 상기 록 부재에 전달하는 록 캠부재(28,3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
  3. 제1항에 있어서, 조작 노브(12)의 조작으로 개폐하는 개체(11)를 개방해서 수납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2)로부터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소정 전면 테이프 패스를 형성하도록 자기 테이프(15)를 인출하는 로딩 기구(6, 7)를 가짐과 아울러 이것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8)에 전원(38)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회로(34)를 가지고 있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1)이며.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수납 검출을 행하는 제1의 스위치(35)와 상기 로딩 기구의 로딩 종료 및 언로딩 종료를 검출하는 제2의 스위치(36)와 상기 로딩 및 언로딩 동작을 기동시키는 제3의 스위치(37)를 두고 있으며, 상기 제3의 스위치(37)는 상기 조작 노브(12)와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조작되는 슬라이드 스위치이며 또한 이 슬라이드 스위치의 스위치 노브의 슬라이드 방향은 그 조작 노브의 조작 방향과 동일 방향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
KR2019870017833U 1986-10-20 1987-10-20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 KR91000130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0415 1986-10-20
JP61249186A JPS63103488A (ja) 1986-10-20 1986-10-20 小型テ−プカセツト用アダプタ
JP16041486U JPS6365187U (ko) 1986-10-20 1986-10-20
JP16041586U JPS6365188U (ko) 1986-10-20 1986-10-20
JP249186 1986-10-20
JP160414 1986-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586U KR880008586U (ko) 1988-06-30
KR910001303Y1 true KR910001303Y1 (ko) 1991-02-28

Family

ID=2648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833U KR910001303Y1 (ko) 1986-10-20 1987-10-20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3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586U (ko) 198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6553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안착장치
KR940000648B1 (ko) 카세트로딩장치
KR910001303Y1 (ko)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
KR940005106B1 (ko) 카세트 로딩 장치
JPS6318260B2 (ko)
US4825312A (en) Cassette loading mechanism
JP3040919B2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のカセット蓋予備開放装置
JPH041715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212750A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US6201660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6441993B1 (en) Cassette Holder
KR920000448Y1 (ko) 카세트 테이프 이중삽입 방지장치
US6188541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KR0133256B1 (ko) 자기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
JPH0687351B2 (ja) 小型テープカセット用アダプタ
RU2125742C1 (ru) Кассетный блок магнитофона
JPS581887Y2 (ja) カセツトテ−プレコ−ダにおけるカセツト押え装置
JPS58100262A (ja) カセツト装着装置
JPH0831064A (ja) カセット収納装置
JPH0210635Y2 (ko)
KR890003494B1 (ko) 테이프 카세트 장착 장치
JPH02246046A (ja) デイスクカートリツジの脱着装置
JPH0313886Y2 (ko)
GB2067336A (en) Mechanism for mounting first and second movable members of a tape recorder
JPH06101171B2 (ja) テープカセットの排出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