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553B1 - 로봇트 완구 - Google Patents

로봇트 완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553B1
KR0136553B1 KR1019930006289A KR930006289A KR0136553B1 KR 0136553 B1 KR0136553 B1 KR 0136553B1 KR 1019930006289 A KR1019930006289 A KR 1019930006289A KR 930006289 A KR930006289 A KR 930006289A KR 0136553 B1 KR0136553 B1 KR 0136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arm portion
arm
wais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620A (ko
Inventor
세이지 무라까미
Original Assignee
야마시나 마꼬도
가부시끼 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시나 마꼬도, 가부시끼 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야마시나 마꼬도
Publication of KR940006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2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imitating natural actions, e.g. catching a mouse by a cat, the kicking of an animal
    • A63H13/04Mechanical figures imitating the movement of players or workers
    • A63H13/06Mechanical figures imitating the movement of players or workers imitating boxing or fighting

Abstract

복수의 모터를 사용해서 구동 장치를 구성하고, 이 구동장치를 동력으로 하는 아암부를 설치해, 이 통역 장치를 원격 조작하여 아암부를 간접적으로 조작하여 현실적으로 권투의 움직임을 하는 로봇트 완구를 제공한다.
허리부(11) 위에 돌출하는 지주(2)를 중심으로, 복귀 스프링(43)에 대항해서 통부(3)를 소정의 각도로 선회시키는 구동 장치(5)가 형성되고, 어깨부의 지축(31)에 아암부(6)가 형성되고, 어깨부의 지축(31)에 아암부(6)가 측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받침되어, 지축(31)에는 통부(3)의 선회에 따르는 이동 위치에 있어서, 아암부(6)의 축받침부의 하부를 작동부재(62)가 설치된 구성이다.
아임부(7)를 팔꿈치(71)에서 굴곡이 가능하게 형성하여, 위 아암부(72b)를 전방으로 향했을 때에는 위 아암부(72a)와 아래 아암부(72b)가 거의 직선 형상으로 되는 링크(73)가 구성되어, 위 아암부(72a)를 하방에서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8)가 설치된 구성이다.

Description

로봇트 완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로봇트 완구의 중요부를 잘라내어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로봇트 완구의 좌측 아암의 조작 도중의 중요부를 잘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로봇트 완구의 좌측 아암의 작동시의 중요부를 잘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로봇트 완구의 우측 아암의 중요부를 잘라내어 도시하는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로봇트 완구의 우측 아암의 작동시의 중요부를 잘라내어 도시하는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로봇트 완구의 배면쪽의 중요부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리 2 : 지주
3 : 몸통부 4 : 머리부
5 : 구동장치 6,7 : 아암부
8 : 구동장치 9 : 배선 기판
9a,9b,9c,9d : 플러그 9e,9f,9g,9h : 커넥터
11 : 허리부 13 : 표적부재
21,22 : 축 받침판 23 : 스톱퍼
24 : 고정기어(고정부) 31 : 지축
32 : 축 받침 41 : 설치 워셔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권투를 하는 로봇트 완구 및 각부에 구동 장치를 설치한 로봇트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에 권투 놀이를 하는 로봇트 완구는 양쪽 아암이 뱀의 배 형성으로 형성되고, 뱀의 배를 신축시키므로서 권투 놀이를 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로봇트 완구는 몸통부내에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가 설치되어, 이 구동 장치의 제어 수단을 거친 모터의 접속선이 몸통부분에서 아암부, 다리등의 관절부를 통과해서 직접 배선되도록 되어 있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따라서, 종래의 권투 놀이를 하는 로봇트 완구는 몸통부를 선회시켜서 아암을 휘두르는, 말하자면 훅 펀치나,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아암을 꺽고 뻗는, 말하자면 스트레이트 펀치를 반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것은 아니었다.
또한 종래의 로봇트 완구는 몸통부측에서 아암부, 다리 등의 관절부를 통과해서 모터의 접속선이 직전 배선되도록 되어 있었으므로, 각부만을 별도로 조립하거나 할 수 없고, 조립이 번거로운 등의 결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실적인 권투의 움직임을 할 수가 있는 로봇트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리 등의 각부를 독립된 부품으로서 별개로 조립할 수가 있고, 조립 횟수를 대폭적으로 간소화할 수가 있는 로봇트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로봇트 완구는 후술하는 요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즉, (a) 본체는 다리를 갖는 허리부와, 허리부 위에 돌출된 지주에 선회가 자유롭게 설치된 몸통부를 갖는 것. (b) 몸통부는, 지주에 탄성부재를 거쳐서 연계(連係)되어, 내부에 몸통부를 탄성부재에 대항해서 소정의 각도로 선회시키는 구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 (c) 몸통부의 최소한 한쪽의 어깨부에는 지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축의 단부에는 아암부가 측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것. (d) 상기 지축에는 작동부재가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작동부재의 일단은 지주의 고정부에 연계되어, 작동부재의 타단은 몸통부의 선회에 수반되는 이동에 의해 아암부의 한쪽을 측방으로 가압하도록 형성이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로봇트 완구는 후술하는 요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즉, (a) 본체는 몸통부와, 몸통부의 최소한 한쪽의 어깨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1 개의 아암부를 갖는 것. (b) 아암부는 팔꿈치에서 꾸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된 위 아암부와 아래 아암부로 형성되며, 아래 아암부와 어깨부는, 위 아암부를 아래 방향으로 향하였을 때에 아래 아암부와 위 아암부가 꾸부러진 상태로 되어, 위 아암부를 전방으로 향하게 하였을 때에 위 아암부와 아래 아암부가 거의 직선 형성으로 되는, 링크에 의해 연계되어 있는 것. (c) 몸통부내에는, 위 아암부를 하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로봇트 완구는 후술하는 요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즉, (a) 본체는 허리부를 갖는 몸통부와, 몸통부의 어깨부에 설치된 아암부와, 허리부에 설치된 다리로 형성이 되는 것. (b) 몸통부와, 아암부 혹은 다리 또는 쌍방에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것. (c) 몸통부 또는 허리부의 한쪽에는 복수의 커넥터를 구비한 배선 기판이 설치되어 있는것. (d) 상기 구동 장치의 모터의 접속선에는,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플러그가 설치되어 있을 것이다.
[작용]
상기 구성에 있어서, 몸통부는 지주를 중심으로 선회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부세(附勢)되어 있으며, 구동 장치를 작동 하면, 이 탄성부재에 대항해서 몸통부를 선회시킬 수가 있고, 구동 장치에 의해 일정한 각도의 선회 후에 자유롭게 되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순식간에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주에 일단을 연계한 작동부재가 몸통부의 선회에 따라 작동끝이 몸통부의 어깨로부터 돌출하는 지축에 따라서 밀어내지므로, 상기 지축에 축 받침된 아암부의 축 받침부의하측이 이 작동단에 가압되어, 상기 아암부를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회전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몸통부의 선회 동작에 연동하여 아암부의 한쪽을 밀어올리는 형상이 되어, 권투의 훅 타격과 같은 동작을 시킬 수가 있다.
몸통부에는 다른쪽의 어깨부를 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 받침되어, 그 어깨부에 연계된 구동 장치에 의해, 그것의 조작으로 아암부를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 회전시켜, 순식간에 복귀시킬 수가 있다. 여기에서 팔굼치에서 굴곡이 가능하게 형성됨과 함께, 아암부의 축 받침부에 대해서, 위 아암부가 링크 기구에서 연계되므로서, 위 아암부를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하였을 때에 아래 아암부와 뒤 아암부가 구부러진 상태로 되어, 아암부가 전방으로 회전 동작할 때, 위 아암부와 아래 아암부가 거의 직선 형상으로 되어, 앞 아암부가 거의 수평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되므로, 권투의 스트레이트 타격과 같은 동작을 시킬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체의 몸통부에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가 구성되고, 또한 다리에도 주행을 위한 복수의 구동 장치를 구성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동 장치의 모터에는 각각 접속선이 접속되어, 그것의 접속선의 단부는 외부 접속의 커넥터에 직접 접속하는 일이 없고 각각 플러그가 접속된다. 또한, 본체의 몸통부 또는 허리부의 한쪽에는 상기 외부의 컨트롤러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외에, 복수의 커넥터를 구비한 배선 기판을 설치하므로서, 상기 모터의 접속선의 플러그를 각각 속정의 커넥터에 접속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배선을 위한 커넥터와 함께, 본체의 각 모터에 대한 배선에 대해서도 일체화하는 일이 없이 각각 플러그를 거쳐서 분리할 수가 있게 되어, 본체의 몸통부 및 다리를 부품으로 하여 별개로 조립할 수가 있어, 조립 횟수를 대폭적으로 간소화할 수가 있다.
[실시예]
다음은 본 발명을 도면으로 도시하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설명을 하면, 제1도에 있어서, 부호 1은 로봇트 완구를 구성하는 다리로서, 상기 다리(1)의 허리부(11) 위에는 지주(2)가 돌출 설치되어, 이 지주(2)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축 받침판 (21,22)이 설치되어, 이 축 받침판(21,22)을 전후로부터 끼우는 형으로 2개로 나눈 몸통부(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2)를 중심으로 몸통부(3)가 축 박침판(21,22)을 거쳐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이 되어 있다.
상기 지주(2)의 상단에는 머리부(4)의 설치 와셔(41)가 설치되어, 이것에 마주하는 축 받침판(21) 위에는 리브 형상의 스톱퍼(23)가 돌출 설치되어, 설치 와셔(41)의 저면에는 스톱퍼 (23)의 측면에 맞대이는 결합 테두리(42)가 형성이 되어 있다.
상기 축 받침판(21)은 스톱퍼(23)와 마주하는 결합 테두리(42)에 의해 이동범위가 규제되어 있으며, 이 축 받침판 (21)과 일체의 몸통부(3)도 회전 범위가 규제된다. 한편, 설치 와셔(41)의 측부에 나사 고정된 복귀 스프링(43)의 일단이 축 받침판(21)의 일단에 고정되므로서, 위에서 보아서 몸통부(3)는 항상 결합 테두리(42)의 시계 방향으로 복귀하도록 부세되어 있다.
상기 지주(2)에는 고정 기어(24)를 설치하는 한편, 축 받침판(21,22) 사이에는, 축 받침판(22)에 설치된 모터(51)의 피니언(52)에 이 맞물리는 기어(53), 상기 기어(53)와 일체로 된 피니언(54), 상기 피니언(54)에 이 맞물리는 기어(55), 이 기어(55)와 일체로 된 피니언(56), 이 피니언(56)에 이 맞물리는 기어(57), 상기 기어(57)와 일체인 피니언(58), 상기 피니언(58)과 이 맞물리는 기어(59)로 형성되는 감속 기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어(59)의 상부에는 잘라낸 기어(5a)가 형성되어, 이 잘라낸 기어(5a)를 상기 고정기어(24)에 이 맞물리게 하므로서, 상기 모터(51)와 감속 기어 장치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5)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장치(5)의 기어(59)에는 축 받침대(22) 위에 축으로 지지된 판 스프링 형상의 유지부재(26)의 결합단이 맞대여서, 상기 유지부재(26)의 타단은 몸통부(3)의 내벽에 접촉해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3)에는 어깨에서 가로 방향으로 지축(31)이 돌출 설치되어, 이 지축(31)의 단부에는 축(61)에 의해 아암부 (6)가 측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지축(31)에는 이동이 가능하게 작동부재(62)가 장치되어, 그 한쪽의 결합단(63)은 상기 지주(2)의 고정 기어(24) 위에 돌출된 결합돌기(25)에 연계되어, 다른쪽의 작동단(64)은 몸통부(3)의 선회에 따라 아암부(6)의 축받침부의 하부를 가압하도록 형성이 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3)의 다른쪽 어깨에는 축받이(32)가 형성되어, 이 축받이(32)에 아암부(7)의 상부에 돌출 설치된 돌출축이 축 받침되어 있다. 이 아암부(7)는 팔굼치(71)에서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위 아암부(72a)와 아래 아암부(72b)로 형성이 되며, 축 받이(32)에 형성된 돌기 판(32a)과 아래 아암부(72b)에 형성된 돌기판(72c)이 링크(7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7)의 어깨에는 기어(74)가 형성되는 한편, 축 받침판(22)에 설치되는 모터(81)의 피니언(82)에 이 맞물림되는 크라운 기어(83), 이 크라운 기어(83)와 일체로 된 피니언(84), 어깨에 축 받침되어 이 피니언(84)에 이 맞물리는 평기어(85)와 이 평기어(85)의 회전축에 형성된 잘라낸 기어(86)로 형성되는 감속 기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잘라낸 기어(86)를 상기 기어(74)에 이 맞물게 하므로서, 상기 모터(81)와 감속 기어 장치를 포함하는 아암(7)의 구동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리(1)의 양다리(1a,1b)가 허리부(11)에 축받침된 회전축(12)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 회전축(12)과 평행하게 축받침되어, 복귀 스프링을 구비한 거의 L 자형의 표적(標的)부재(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적부재(13)의 하부에 돌출 설치된 결합단(14)이 회전축(12)의 홈에 결합됨으로써, 평상시는 허리부(11)가 회전하지 아니하도록 유지되어 있다. 이 표적부재(13)는 상부의표적이 타격되면, 상기 결합단(14)이 벗어나서 허리부(11)가 회전이 가능해져, 상기 허리부(11)와 일체로 몸통부(3)가 후방으로 넘어지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6도와 같이 몸체의 몸통부(3)에는 복수의 모터(51,81)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5,8)가 구성되는 한편, 다리부(1)의 양다리(1a,1b)에는 각각 전후에 차바퀴를 설치하고, 그 차 바퀴에 각각 복수의 감속 기어를 설치해, 이 감속 기어 장치의 중앙부에 크라운 기어를 설치하고, 각각의 크라운 기어에 이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한 모터(91,92)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동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 장치의 모터(51,81,91,92)에는 각각 접속선이 접속되어, 각 접속선의 단부에는 각각 플러그(9a,9b,9c,9d)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체의 허리부(11)의 뒤측에는 상기 외부의 컨트롤러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93)외에, 복수의 커넥터(9e,9f, 9g,9h)를 구비한 배선기판(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선 기판(9)에 대해서, 상기 모터(51,81,91,92)의 각 접속선이 인출되어, 그것의 단부의 플러그(9a,9b,9c,9d)는 각각 소정의 커넥터(9e,9f,9g,9h)에 접속이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몸통부(3)는 지주(2)를 중심으로 복귀 스프링(43)에 의해 소정의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원격 조작 장치를 조작하여 구동장치(5)를 작동하면, 모터(51)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52), 기어(53), 피니언(54), 기어(55), 피니언(56), 기어(57), 피니언(58), 기어(59), 잘라낸 기어(5a)를 거쳐서 상기 고정 기어(24)에 대한 위치를 바꾸어, 제2도와 같이, 상기 복귀 스프링(43)에 대항해서 몸통부(3)를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가 있다. 이때, 몸통부(3)의 선회에 수반하여, 작동부제(62)는 지축(31)에 따라서 좌측 방향으로 인장되는 형으로 되어, 아암부(6)는 몸통부(3)와 평행하게 밑으로 늘어 떨어진형으로 된다.
이 구동 장치(5)의 잘라낸 기어(5a)의 회전에 의해, 몸통부(3)는 일정한 각도의 선회 후에 자유롭게 되어, 제3도와 같이 복귀 스프링(43)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서 순시간에 원래의 상태로 북귀시킬 수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주(2)의 고정기어(24)의 결합단(25)에 결합단(63)을 연계한 작동부재 (62)가 몸통부(3)의 선회에 수반하여 작동단(64)이 몸통부(3)에 어깨로부터 돌출하는 지축(31)에 따라서 우측 방향을 압출되므로, 상기 지축(31)에 축 받침된 아암부(6)의 축 받침부의 하측이 작동단(64)에서 압출되어, 상기 아암부(6)를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회전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서, 몸통부(3)의 선회 동작에 연동해서 아암부(6)의 팔굼치를 올리는 형으로 되어, 권투의 훅 타격과 같은 동작을 시킬 수가 있다.
상기 구동 장치(5)의 기어(59)에는 축 받침판(22) 위에 축자지된 유지부재(26)가 맞대여져 있으므로, 이 유지부재(26)의 판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해서, 구동 장치(5)의 작동시에는 저항이 없으나, 이것을 도중에서 정지시킨 경우에는 기어(59)의 되돌아감을 정지시켜, 그때의 자세를 보존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서 몸통부(3)를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킨 부세 상태에서 일시 정지시켜서, 재시동하면 권투의 훅 타격과 같은 일련의 동작을 순발적으로 동작시킬 수가 있고, 권투의 움직임을 보다 복잡하게 하여 재미있게 할 수가 있다.
상기 몸통부(3)에 설치되는 다른쪽의 아암부(7)는 어깨부에서 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받침되어 있으며, 그 아암부(7)의 어깨에 형성된 기어(74)에 대해서, 원격 조작 장치를 조작하여 구동 장치(8)를 조작하면, 제4도의 상태에서 모터(81)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82), 크라운 기어(83), 피니언(84), 평기어(85), 잘라낸 기어(86)를 거쳐서 상기 기어(74)를 회전시킬 수가 있다.
상기 구동 장치(8)의 잘라낸 기어(86)의 회전에 의해, 제5도와 같이, 아암부(7)를 전방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 후, 상기 잘라낸 기어(86)의 톱니가 없는 부분에서 아암부(7)를 그것의 무게로 순식간에 복귀시킬 수가 있다. 여기에서 팔꿈치부(71)에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함과 함께, 아암부(7)의 축받침(32)에 대해서, 아래 아암부(72b)가 링크(73)에서 연결이 되어 있으므로, 아암부(74)가 전방으로 회전 동작할 때, 이것에 연동해서 아래 아암부(72b)가 거의 수평으로 보존된 채로 돌출되는 형으로 되므로, 권투의 스트레이트 타격과 같은 동작을 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원격 조작에 의해 구동 장치(5)를 작동시켜서, 몸통부(3)의 선회 동작에 연동해서 아암부(6)의 팔꿈치를 들어, 권토의 훅 타격과 같은 동작을 시킬 수가 있고, 또한 구동 장치(8)를 작동시켜서, 아암부(7)의 전방으로 회전동작에 연동해서 아래 아암부 (72b)를 거의 수평으로 돌출시켜, 권투의 스트레이트 타격과 같은 동작을 시킬 수가 있따. 이들의 동작과 다리부(1)의 주행, 후퇴에 수반해서, 본체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로봇트 완구를 2개를 마주시켜서 각각 원격 조작하므로서 권투 놀이를 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상대의 로봇트 완구의 허리부(11)에 설치된 표적부재(13)에 권투의 타격이 맞으면, 상기 걸림단(14)이 벗어나서 허리부(11)가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허리부(11)와 일체로 몸통부(3)를 후방으로 넘어뜨릴 수가 있다.
상기 본체의 몸통부(3)의 모터(51,81), 다리부(1)의 양다리(1a,1b)의 모터(91,92)의 접속선의 단부에는 각각 플러그(9a,9b,9c,9d)를 설치하는 한편, 본체의 허리부(11)의 뒤측에는 컨트롤러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93) 외에, 복수의 커넥터(9e,9f,9g,9h)를 구비한 배선 기판(9)을 설치하므로서, 상기 몸통부(3) 및 다리부(1)의 각 모터에 대한 배선에 대해서도 일체화하는 일없이 플러그(9a,9b,9c,9d)를 거쳐서 분리할 수가 있으며, 본체의 몸통부(3) 및 다리부(1)를 각각 독립된 부품으로서 별개로 조립시킬 수가 있고, 따라서, 조립 횟수를 대폭적으로 간소화할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봇트 완구에 의하면, 몸통부의 선회 동작에 연동해서 아암부의 팔꿈치를 올리는 형으로 되어, 권토위 훅 타격과 같은 동작을 시킬 수가 있다. 또한, 다른쪽의 아암부의 전방의 회전 동작에 연동해서 앞 아암부가 거의 수평으로 유지된 채로 돌출되어, 권투의 스트레이트 타격과 같은 동작을 시킬 수가 있고, 현실적인 권투의 움직음으로 시킬수가 있다. 이들의 동작을 행하는 로봇트 완구를 2 개를 마주시켜서 각각 원격조작하므로서 권투 놀이를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각각의 부분은 원격조작에 의해 복잡한 움직임을 시킬수가 있어, 고도의 조작을 수반하는 놀이를 할 수가 있다. 또한 본체의 구송에 있어서, 복수의 구동 장치의 모터에는 외부 접속의 커넥터에 직접 접속하는 일없이, 본체의 한쪽에 외부의 컨트롤러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외에, 복수의 커넥터를 구비한 배선기판을 설치하므로서, 상기 모터의 리이드선의 플러그를 소정의 커넥터에 접속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체의 각 모터에 대한 배선을 연속시키는 일없이, 플러그를 거쳐서 분리할 수가 있게 되어, 본체의 몸통부 및 다리부를 독립된 부품으로 하여 별개로 조립할 수가 있어, 조립 횟수를 대폭적으로 간소화할 수가 있다.

Claims (3)

  1. 본체는, 다리(1)를 갖는 허리부(11)와, 허리부(11) 위에 돌출된 지주(2)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몸통부(3)를 갖고, 몸통부(3)는, 지주(2)에 탄성부재(43)를 거쳐서 연계되고, 내부에서 몸통부(3)를 탄성부재(43)에 대항해서 소정의 각도로 선회시키는 구동 장치(5)가 설치되어 있으며, 몸통부의 한쪽 이상의 어깨부에는 지축(3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축(3)의 단부에는 아암부(6)가 측방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축(31)에는 작동부재(62)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작동부재(62)의 일단은 지주(2)의 고정부(24)에 연계되고, 작동부재(62)의 타단은 몸통부(3)의 선회에 따른 이동에 의해 아암부(6)의 한쪽을 측방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트 완구.
  2. 본체는, 몸통부(3)와 몸통부(3)의 한쪽 이상의 어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1 개의 아암부(6)를 갖고, 상기 아암부(6)는 팔꿈치부(71)에서 굴곡 가능하게 형성된 위 아암부(72a)와 아래 아암부(72b)로 형성되며, 아래 아암부(72b)와 어깨부는 위 아암부(72a)를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하였을 때에 아래 아암부(72b)와 위 아암부(72a)가 굴곡 상태로 되고, 위 아암부를 전방으로 향하였을 때에 위 아암부(72a)와 아래 아암부(72b)가 거의 직선 형상으로 되는 링크(73)에 의해 연계되고, 상기 몸통부(3)내에는 위 아암부(72a)를 하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트 완구.
  3. 본체는 허리부(11)를 갖는 몸통부(3)와 , 몸통부(3)의 어깨부에 설치된 아암부(6)와, 허리부(11)에 설치된 다리(1)로 형성되고, 몸통부(3)와, 아암부(3) 혹은 다리(1) 또는 쌍방에는 모터(51,81,91,92)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5)가 설치되어 있으며, 몸통부(3) 또는 허리부(11)의 한쪽에는, 복수의 커넥터(9e, 9f, 9g, 9h)를 구비한 배선기판(9)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장치(5)의 모터(51,81,91,92)의 접속선에는 상기 커넥터(9e,9f,9g,9h)에 접속되는 플러그(9a,9b,9c,9d)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트 완구.
KR1019930006289A 1992-09-03 1993-04-15 로봇트 완구 KR0136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68048 1992-09-03
JP1992068048U JP2528756Y2 (ja) 1992-09-03 1992-09-03 ロボット玩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620A KR940006620A (ko) 1994-04-25
KR0136553B1 true KR0136553B1 (ko) 1998-10-15

Family

ID=1336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289A KR0136553B1 (ko) 1992-09-03 1993-04-15 로봇트 완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90185A (ko)
EP (1) EP0592760B1 (ko)
JP (1) JP2528756Y2 (ko)
KR (1) KR0136553B1 (ko)
DE (1) DE6931030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25A (ko) * 2014-10-20 2016-04-29 김기현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2941A (en) * 1999-02-04 2000-05-16 Mattel, Inc. Hand held doll having whip-cracking motion
AU2001276019A1 (en) * 2000-07-20 2002-02-05 Brainstorm Productions Remote controlled toy robot with animated arms
US6296543B1 (en) * 2000-08-03 2001-10-02 Mattel, Inc. Toy figure having enhanced punching feature
US20020193045A1 (en) * 2001-05-08 2002-12-19 Lee James S. W. Toy robot apparatus and method
US6626731B2 (en) * 2001-05-14 2003-09-30 Mattel, Inc. Cable and rotor/linkage actuation system for animated toy mechanized movable limb
US6736693B1 (en) * 2001-12-28 2004-05-18 Lund And Company Rolling and standing toy doll
US6962518B2 (en) * 2004-02-04 2005-11-08 Chain Fong Toys Co., Ltd. Motion toy
GB2434555B (en) * 2006-01-30 2010-11-24 Ian Coker A toy which is mobile, remotely controlled and has an attack facility
US7654881B2 (en) * 2006-06-12 2010-02-02 Mattel, Inc. Action figure with movable appendages
CN203620240U (zh) * 2012-01-31 2014-06-04 株式会社多美 机器人玩具
JP5504380B1 (ja) * 2013-04-23 2014-05-28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バトル玩具
US9259659B2 (en) * 2013-04-30 2016-02-16 Mattel, Inc. Twist-waist punching figure
US8764510B1 (en) * 2013-06-03 2014-07-01 Silverlit Limited Fighting toy
CN204932837U (zh) * 2014-01-24 2016-01-06 株式会社多美 玩具
CN104524778A (zh) * 2014-12-04 2015-04-22 谢博 一种机器人用手臂连接装置
TWI583284B (zh) * 2015-02-06 2017-05-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保護殼
CN104759103A (zh) * 2015-04-07 2015-07-08 黑龙江大学 多驱动遥控拳击模型机器人系统及该机器人系统的控制方法
CN105013185A (zh) * 2015-07-22 2015-11-04 黑龙江大学 单驱动自主网络拳击模型机器人系统及该机器人系统的控制方法
CN104971503A (zh) * 2015-07-22 2015-10-14 黑龙江大学 单驱动自主遥控网络拳击模型机器人系统及该机器人系统的控制方法
CN104971501A (zh) * 2015-07-22 2015-10-14 黑龙江大学 多驱动自主拳击模型机器人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031933A (zh) * 2015-07-22 2015-11-11 黑龙江大学 单驱动遥控拳击模型机器人系统及该机器人系统的控制方法
CN105013186A (zh) * 2015-07-22 2015-11-04 黑龙江大学 多驱动自主遥控网络化拳击模型机器人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971502A (zh) * 2015-07-22 2015-10-14 黑龙江大学 多驱动自主网络化拳击模型机器人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426206A (zh) * 2016-10-31 2017-02-22 南京魔塔智能科技有限公司 格斗机器人、控制设备及游戏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37672C (de) * 1950-07-08 1952-05-02 Georg Goetz Boxerspielzeug
US3235259A (en) * 1963-06-14 1966-02-15 Marvin Glass & Associates Toy boxers
US3648405A (en) * 1970-10-13 1972-03-14 Topper Corp Doll twistable at the waist
US3947994A (en) * 1973-11-15 1976-04-06 Marvin Glass & Associates Figure toy with means for executing arm thrusting movement
US4003158A (en) * 1974-09-03 1977-01-18 Mego Corporation Fighting doll
US4279099A (en) * 1979-12-10 1981-07-21 Mattel, Inc. Figure toy
GB2040708A (en) * 1979-12-29 1980-09-03 Lin Pin Houn Remote controlled combat toy robots
JPS6131494U (ja) * 1984-07-31 1986-02-25 一夫 齋藤 ボクシング人形
US4623318A (en) * 1984-12-14 1986-11-18 Mattel, Inc. Figure with rotatable torso and vertically swinging arms
US4605382A (en) * 1985-02-08 1986-08-12 Cpg Products Corp. Figure wherein leg movement produces wing-like movement of arms
US4608026A (en) * 1985-02-08 1986-08-26 Cpg Products Corp. Figure wherein manipulation of one limb causes motion of another
JPS622985A (ja) * 1985-06-27 1987-01-08 株式会社 タカラ 組み合せ玩具
US4614504A (en) * 1985-07-15 1986-09-30 Mattel, Inc. Walking toy vehicle with ramp
US4828530A (en) * 1987-09-30 1989-05-09 Lee Yeong R Apparatus for activating doll's limbs
JPH076950Y2 (ja) * 1988-05-16 1995-02-22 株式会社タカラ 戦闘人形
US4995610A (en) * 1989-05-16 1991-02-26 Paoletti George J Electric boxing game
US5046987A (en) * 1989-09-05 1991-09-10 Simeon Djordjevic Toy boxer ar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25A (ko) * 2014-10-20 2016-04-29 김기현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10307D1 (de) 1997-06-05
EP0592760A1 (en) 1994-04-20
KR940006620A (ko) 1994-04-25
EP0592760B1 (en) 1997-05-02
JP2528756Y2 (ja) 1997-03-12
DE69310307T2 (de) 1997-12-11
JPH0626992U (ja) 1994-04-12
US5290185A (en) 199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6553B1 (ko) 로봇트 완구
US4623318A (en) Figure with rotatable torso and vertically swinging arms
US3132864A (en) Wheeled toy target with ball retaining and sounding means
US20140124275A1 (en) Walking machine
US4801285A (en) Figure toy having a three-position switch and two modes of operation
WO1989005180A1 (en) A toy wash
US4231182A (en) Toy vehicle having reversing mechanism
US4752272A (en) Drive mechanism for toy
US3587191A (en) Toy robot
JPH0325815Y2 (ko)
US5975979A (en) Sound-emitting doll with mouth and arm movement and capable of removing its pacifier by itself
US4573936A (en) Driving toy
JPH076950Y2 (ja) 戦闘人形
US5295893A (en) Driving structure for a toy animal
JPH0519120Y2 (ko)
JP2701121B2 (ja) ロボット玩具
JP2538493B2 (ja) ロボット玩具
JP2881673B2 (ja) ロボット玩具等の腕部の揺動装置
GB1448922A (en) Manually-manipulated animated figure toy
KR200175228Y1 (ko) 축구게임용 완구로봇의 패싱장치
WO2002007843A1 (en) Remote controlled toy robot with animated arms
US4127963A (en) Toy drawing doll
US6149494A (en) Toy with a moving body movable on a platform
CN210874080U (zh) 一种可点头智能玩具
JPS6468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