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220B1 - 판재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판재의 연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220B1
KR0136220B1 KR1019940026531A KR19940026531A KR0136220B1 KR 0136220 B1 KR0136220 B1 KR 0136220B1 KR 1019940026531 A KR1019940026531 A KR 1019940026531A KR 19940026531 A KR19940026531 A KR 19940026531A KR 0136220 B1 KR0136220 B1 KR 013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le member
hole
connector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864A (ko
Inventor
야스히코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오가사하가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하가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filed Critical 오가사하가 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95002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F16B21/075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the socket having resilient parts on its inside and out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4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and in full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판재의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암부재(40)와 수부재(50)가 플라스틱에 의하여 각각 일체적으로 성형됨과 아울러, 암부재(40)의 몸통부(70)는 그 선단부에 위치하여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탄성변형 가능한 선세부(71)를 구비하고, 상기 끼워맞춤부(73)의 돌기부(72)는 그 기단부가 상기 선세부(71)에 연달아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부가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지름이 작아지면서 턱부(60)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그 선단부에서 기단부측으로 깊게 넣어진 복수의 슬릿(74)에 의하여 복수로 분할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판재의 연결구
제1도는 판재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2도는 판재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판재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평면도.
제4도는 수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5도는 수부재를 나타내는 배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낸 수부재의 A-A선 단면도.
제7도는 암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8도는 암부재를 나타내는 배면도.
제9도는 제7도에 나타낸 암부재의 B-B선 단면도.
제10도는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제11도는 종래의 판재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구 20, 30 : 판
21, 31 : 관통구멍 40 : 암부재
50 : 수부재 60 : 턱부
61 : 탄성맞닿음부 70 : 몸통부
71 : 선세부 72 : 돌기부
73 : 끼워맞춤부 74 : 슬릿
80 : 머리부 81 : 탄성맞닿음부
90 : 축부 91 : 팽출부
92 : 단차부
본 발명은 판재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1도는 종래의 판재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종래 판재의 연결구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개진 2장의 판(100, 110)을 관통하는 관통구멍(101, 111)과, 하측판(110)의 관통구멍(111) 하측에서 삽입되는 금속으로 된 암부재(120)와, 상측판(100)의 관통구멍(101) 상측에서 삽입되며, 상기 암부재(120)와의 사이로 2장의 판(100, 110)을 눌러서 고정하는 금속으로 된 수부재(1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암부재(120)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101, 111)의 내경(內徑)보다 큰 외경(外徑)을 갖는 턱부(121)와, 이 턱부(121)에서 연장되며, 상기 관통구멍(101, 111)에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상기 수부재(130)가 끼워넣어지는 끼워맞춤부(122)를 갖는 몸통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부재(130)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101, 111)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131)와, 이 머리부(131)에서 연장되며, 상기 몸통부(123)의 끼워맞춤부(122)에 끼워넣어지는 축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암부재(120)의 끼워맞춤부(122)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부(132)가 밀어넣어지면 탄성변형에 의하여 지름이 확대되는 돌기부(12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부재(130)의 축부(132)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 돌기부(124)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팽출부(133)와, 이 팽출부(133)의 기단(基端)측에 위치하며, 상기 돌기부(124)가 걸리는 단차부(段差部)(134)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판재의 연결구에 있어서는, 암부재(120)의 몸통부(123)를 2장의 판(100, 110)에 형성된 관통구멍(101, 111)으로 삽입하기가 귀찮고 힘들다는 제1문제점이 있었다.
즉, 암부재(120)의 몸통부(123)의 외경이 2장의 판(100, 110)에 형성된 관통구멍(101, 111)의 내경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판(100, 110)의 관통구멍(101, 111)을 정확하게 정합(整合)시켜 두지 않으면, 암부재(120)의 몸통부(123)가 들어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면 제11도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일측판(110)의 관통구멍(111)에 대하여 그 상측에 위치하는 타측판(100)의 관통구멍(101)의 위치가 좌우 횡방향으로 어긋나 있으면, 상하 관통구멍(101, 111)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여 이 단차부에 암부재(120)의 몸통부(123)의 선단부가 닿아서 몸통부(123)의 삽입을 어렵게 했었다.
또 상기한 종래의 판재의 연결구에 있어서는, 몸통부(123)의 외경이 관통구멍(101, 11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부재(130)의 축부(130)를 암부재(120)의 끼워맞춤부(122) 내부로 삽입할 때에도 돌기부(124)의 기단부에만 응력(應力)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탄성변형을 할 수 없게 되어 돌기부(124)를 변형시키는데 큰 힘을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수부재(130)를 암부재(120)의 끼워맞춤부(122) 내부로 삽입하여 조립하는 작업이 힘들다는 제2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지니고 있는 제1문제점 및 제2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용이하게 조립작업을 할 수 있는 판재의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암부재의 턱부에 탄성맞닿음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목적에 덧붙여서, 판두께가 불균일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판재의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수부재의 머리부에 탄성맞닿음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목적에 덧붙여서, 판두께가 더욱 불균일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판재의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 그 내용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암부재(40)와 수부재(50)가 플라스틱에 의하여 각각 일체적으로 성형됨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40)의 몸통부(70)는 그 선단부에 위치하며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탄성변형가능한 선단이 좁은 부분{이하, 선세부(先細部)라 한다}(71)을 구비하고, 상기 끼워맞춤부(73)의 돌기부(72)는 그 기단부가 상기 선세부(71)에 연달아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부가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지름이 작아지면서 턱부(60)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그 선단부에서 기단부측으로 깊게 넣어진 복수의 슬릿(74)에 의하여 복수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암부재(40)의 턱부(60)에 그 주위에서 두께를 점차 감소시키면서 판(30)표면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몸통부(70)측에 반구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환상(環狀)의 탄성맞닿음부(6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수부재(50)의 머리부(80)에 그 주위에서 두께를 점차 감소시키면서 판(20)표면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축부(90)측에 반구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탄성맞닿음부(8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암부재(40)의 몸통부(70)는 그 선단부에 위치하며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선세부(71)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3도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일측판(30)의 관통구멍(31)에 대하여 그 상측에 위치하는 타측판(20)의 관통구멍(21)의 위치가 좌우 횡방향을 어긋나 있다 하더라도 암부재(40)의 몸통부(70)에 형성된 선세부(71)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상하판(20, 30)의 관통구멍(21, 31)이 가로로 어긋나 있을 때 뿐만 아니라, 양관통구멍(21, 31)이 형성된 위치의 피치가 어긋나거나 또는 양관통구멍(21, 31)의 내경오차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몸통부(70)의 선세부(71)에 의하여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몸통부(70)의 끼워맞춤부(73)는 그 기단부가 상기 선세부(71)에 연달아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부가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지름이 작아지면서 턱부(60)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그 선단부에서 기단부측으로 넣어진 복수의 슬릿(74)에 의하여 복수로 분할되어 있는 돌기부(72)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끼워맞춤부(73)에 축부(90)의 팽출부가 삽입되면, 팽출부(91)의 외주면으로 돌기부(72)의 내주면이 밀려서 탄성변형됨으로써 지름이 확대됨과 아울러 돌기부(72)의 기단부에 연달아 형성된 몸통부(70)의 선단부도 용이하게 탄성변형된다.
즉, 변형영역이 돌기부(72) 한곳에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돌기부(72)의 기단부와 연이어 형성되어 있는 선세부(71)도 탄성변형하므로, 변형영역이 확대되어 전체적으로 무리없이 변형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팽출부(91)가 용이하게 돌기부(72)의 선단부를 타고 넘을 수 있다.
그리고, 팽출부(91)가 돌기부(72)의 선단부를 타고 넘으면, 돌기부(72)의 지름이 작아지면서 팽출부(91)의 기단부에 형성된 단차부(92)에 걸린다.
따라서, 수부재(50)를 암부재(40)에서 빼내려고 하여도 돌기부(72)의 선단부가 단차부(92)에 걸려 있기 때문에 일단 조립한 연결구(10)는 수부재(50)가 암부재(40)에서 빠지지 않는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암부재(40)의 턱부(60)에 그 주위에서 두께를 점차 감소시키면서 판(30)표면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몸통부(70)측에 반구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탄성맞닿음부(61)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암부재(40)를 관통구멍(31)으로 약하게 밀어넣으면 탄성맞닿음부(61)의 선단부가 판(30)표면과 맞닿아서 정지한다.
한편, 암부재(40)를 관통구멍(31) 내부로 강하게 밀어넣으면 탄성맞닿음부(61)의 선단부가 판(30)표면으로 눌려서 탄성변형되므로 그 몸통부(70)가 관통구멍(31, 21)의 내부로 깊게 들어간다.
즉, 암부재(40)를 관통구멍(31, 21)으로 밀어넣는 힘을 변화시킴으로써 탄성맞닿음부(61)가 탄성변형되므로 몸통부(70)를 관통구멍(31, 21)으로 진퇴(進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판(20, 30)두께가 불균일하더라도 암부재(40)의 몸통부(70)를 관통구멍(21, 31) 내부로 자유롭게 진퇴시킴으로써, 관통구멍(31, 21)으로 삽입하는 몸통부(7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판두께가 불균일한 경우에도 부착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부재(50)의 머리부(80)에 그 주위에서 두께를 점차 감소시키면서 판(20)표면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축부(90)측으로 반구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탄성맞닿음부(81)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부재(50)를 관통구멍(21)으로 약하게 밀어넣으면 탄성맞닿음부(81)의 선단부가 판(20)표면과 맞닿아서 정지한다.
한편, 수부재(50)를 관통구멍(21)의 내부로 강하게 밀어넣으면 탄성맞닿음부(81)의 선단부가 판(20)표면으로 눌려서 탄성변형되므로 그 축부(90)가 관통구멍(31, 21)의 내부로 깊게 들어간다.
즉, 수부재(50)를 관통구멍(31, 21)으로 밀어넣는 힘을 변화시킴으로써 탄성맞닿음부(81)가 탄성변형되므로 축부(90)를 관통구멍(31, 21)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판(20, 30)두께가 불균일하더라도 수부재(50)의 축부(90)를 관통구멍(21, 31) 내부로 자유롭게 진퇴시킴으로써, 관통구멍(21, 31)으로 삽입하는 축부(9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판두께가 불균일한 경우에도 부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10도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판재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2도는 그 평면도, 제3도는 그 분해평면도, 제4도는 수부재의 정면도, 제5도는 수부재의 배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낸 수부재의 A-A선 단면도, 제7도는 암부재의 정면도, 제8도는 그 배면도, 제9도는 제7도에 나타낸 암부재의 B-B선 단면도, 제10도는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제10도에 있어서 10은 판재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스틱, 나무, 두꺼운 종이 또는 골판지 등으로 된 1장의 판의 상단 및 하단에 2개의 슬릿(도시생략)을 넣어 상자형상으로 조립한 후, 그 4모서리에서 포개진 판(20, 30)을 연결구(10)로 고정함으로써 하측으로 트인 상자(11)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상자(11)를 덮는 상자(12)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10)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개된 상하 2장의 판(20, 30)을 관통하는 동일지름으로 된 관통구멍(21, 31)과; 하측 관통구멍(31)에서 상측 관통구멍(21)을 향하여 삽입되는 암부재(40)와; 반대로 상측 관통구멍(21)에서 하측 관통구멍(31)을 향하여 삽입되며, 상기 암부재(40)와의 사이로 상하 2장의 판(20, 30)을 눌러서 고정하는 수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암부재(40)와 수부재(50)는 각각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갖는 예를 들면, POM 등과 같은 열가소성수지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암부재(40)는, 제1도 내지 제3도, 제7도 내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31)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턱부(60)와; 이 턱부(60)에서 연장되며, 상기 관통구멍(21, 31)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멍(21, 31)에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상기 수부재(50)가 끼워넣어지는 끼워맞춤부(73)를 갖는 몸통부(7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턱부(60)는, 제1도 내지 제3도, 제7도 내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주위에서 두께를 점차 감소시키면서 판(30)표면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몸통부(70)측에 반구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탄성맞닿음부(6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몸통부(71)는, 제1도 내지 제3도, 제7도 내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 위치하며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탄성변형 가능한 선세부(71)를 가지고 있다.
상기 끼워맞춤부(73)에는 제1도, 제7도 내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50)가 밀어넣어지면 탄성변형에 의하여 지름이 확대되는 돌기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72)는, 제1도, 제7도 내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기단부가 상기 선세부(71)에 연달아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부가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지름이 작아지면서 턱부(60)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선단부에서 기단부측으로 넣어진 3개의 슬릿(74)에 의하여 3개로 분할되어 있다.
여기서 슬릿(74)의 수를 3개로 하였으나, 이것으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 개수보다 적게 또는 많게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수부재(50)는, 제1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21, 31)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형 머리부(80)와; 이 머리부(80)에서 연장되며, 상기 몸통부(70)의 끼워맞춤부(73)에 끼워넣어지는 축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머리부(80)는, 제1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주위에서 두께를 점차 감소시키면서 판(20)표면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축부(90)측에 반구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탄성맞닿음부(8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부재(50)의 축부(90)는, 그 선단에 돌기부(7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단면이 원형인 팽출부(91)와; 이 팽출부(91)의 기단측에 위치하며, 상기 돌기부(72)가 걸리는 단차부(92)와; 팽출부(91)와 머리부(80)사이에서 축부(90)의 원주방향으로 90°간격을 두고 십자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리브(9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팽출부(91) 및 리브(93)는 상기 암부재(40)의 돌기부(72)를 제외한 몸통부(7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리브(93) 중 1개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출부(91) 근방의 외측단부 중 일부에 절결부(94)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한 구성을 구비한 판재의 연결구(10)의 조립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20, 30)의 관통구멍(21, 31)이 정합하도록 판(20, 30)을 배치한다.
이어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개진 판(20, 30) 중 판(30)의 관통구멍(31)측에서 관통구멍(21)을 향하여 암부재(40)의 몸통부(70)의 선단부를 삽입한다.
이 때, 제3도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일측판(30)의 관통구멍(31)에 대하여 그 상측에 위치하는 타측판(20)의 관통구멍(21)의 위치가 좌우 횡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하더라도 암부재(40)의 몸통부(70)에 형성된 선세부(71)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상하판(20, 30)의 관통구멍(21, 31)이 횡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양관통구멍(21, 31)이 형성된 위치의 피치가 어긋나거나 또는 양관통구멍(21, 31)의 내경오차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몸통부(70)에 형성된 선세부(71)에 의하여 이를 흡수할 수 있다.
이어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개진 판(20, 30) 중 판(20)의 관통구멍(21)측에서 관통구멍(31)을 향하여 수부재(50)의 축부(90) 선단부를 삽입한다.
그리고,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50)의 축부(90)에 형성된 팽출부(91)가 압부재(40)의 끼워맞춤부(73) 내부로 들어가면, 팽출부(91)의 외주면이 돌기부(72)의 내주면을 외측으로 밀어 넓힘으로써 돌기부(72)의 지름이 점차 확대된다.
이 때, 팽출부(91)의 외주면에 의하여 돌기부(72)의 내주면이 밀림으로써 탄성변형에 의하여 지름이 확대됨과 아울러, 돌기부(72)의 기단부에 연달아 형성된 몸통부(70)의 선단부도 용이하게 탄성변형한다.
즉, 변형영역이 돌기부(72) 한곳에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돌기부(72)의 기단에 연달아 형성되어 있는 선세부(71)도 탄성변형하므로, 변형영역이 확대되어 전체적으로 무리없이 변형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팽출부(91)가 용이하게 돌기부(72)의 선단부를 타고 넘을 수 있다.
그리고, 팽출부(91)가 돌기부(72)의 선단부를 타고 넘으면,「탁」하는 소리와 함께 돌기부(72)의 지름이 작아지면서 팽출부(91)의 기단측에 형성된 단차부(92)에 맞닿아 걸리게 된다.
따라서, 수부재(50)를 암부재(40)에서 빼내려고 하여도 돌기부(72)의 선단부가 단차부(92)에 걸려 있기 때문에 일단 조립한 연결구(10)는 수부재(50)가 암부재(40)에서 빠지지 않는다.
또 연결구(10)를 조립할 때, 암부재(40)를 관통구멍(31)으로 약하게 밀어넣으면 탄성맞닿음부(61)의 선단이 판(30)표면과 맞닿아서 정지한다.
한편, 암부재(40)를 관통구멍(31)의 내부로 강하게 밀어넣으면 탄성맞닿음부(61)의 선단이 판(30)표면으로 눌려서 탄성변형되므로 그 몸통부(70)가 관통구멍(31, 21)의 내부로 깊게 들어간다.
즉, 암부재(40)를 관통구멍(31, 21)으로 밀어넣는 힘을 변화시킴으로써 탄성맞닿음부(61)가 탄성변형되므로 몸통부(70)를 관통구멍(31, 21)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또한, 수부재(50)를 관통구멍(21)으로 약하게 밀어넣으면 탄성맞닿음부(81)의 선단이 판(20)표면과 맞닿아서 정지한다.
한편, 수부재(50)를 관통구멍(21)의 내부로 강하게 밀어넣으면 탄성맞닿음부(81)의 선단이 판(20)표면으로 눌려서 탄성변형되므로 그 축부(90)가 관통구멍(31, 21)의 내부로 깊게 들어간다.
즉, 수부재(50)를 관통구멍(31, 21)으로 밀어넣는 힘을 변화시킴으로써 탄성맞닿음부(81)가 탄성변형되므로 축부(90)를 관통구멍(31, 21)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판(20, 30)두께가 불균일하더라도 수부재(50)의 축부(90) 및 암부재(40)의 몸통부(70) 또는 그들중 일측을 관통구멍(21, 31)의 내부로 소정양만큼 진퇴시킴으로써, 관통구멍(31, 21)으로 삽입하는 축부(90) 및 몸통부(70) 또는 그들중 일측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판두께가 불균일한 경우에도 부착할 수 있다.
또 암부재(40)의 리브(93)중 하나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94)가 형성되어 있으며 성형시에 수부재(5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도시생략)가 연결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는 제조과정 중에 제거되는데, 그 때 미소한 흠집(burr)이 남아 있다 하더라도 절결부(94)가 내측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돌기부(72)의 내주면과 맞닿아서 조립불량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게 조립작업을 할 수 있는 판재의 연결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암부재의 턱부에 탄성맞닿음부를 가짐으로써 판두께가 불균일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판재의 연결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부재의 머리부에 탄성맞닿음부를 가짐으로써 판두께를 더욱 불균일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판재의 연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포개진 복수의 판재를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의 일측에서 삽입되는 암부재와, 상기 관통구멍의 타측에서 삽입되며, 상기 암부재와의 사이로 복수의 판재를 눌러서 고정하는 수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암부재는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턱부와, 상기 턱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상기 수부재가 끼워넣어지는 끼워맞춤부를 갖는 몸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는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몸통부의 끼워맞춤부에 끼워넣어지는 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암부재의 끼워맞춤부는 상기 축부가 밀어넣어지면 탄성변형에 의하여 지름이 확대가능한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의 축부는 그 선단에 돌기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팽출부와, 상기 팽출부의 기단측에 위치하며, 상기 돌기부가 걸리는 단차부를 구비한 판재의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는 플라스틱에 의하여 각각 일체적으로 성형됨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의 몸통부는 그 선단부에 위치하며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탄성변형 가능한 선세부를 구비하며, 상기 끼워맞춤부의 돌기부는 그 기단부가 상기 선세부에 연달아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부가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지름이 작아지면서 턱부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그 선단부에서 기단부측으로 넣어진 복수의 슬릿에 의하여 복수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암부재의 턱부는 그 주위에서 두께를 점차 감소시키면서 판재의 표면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몸통부측에 반구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탄성맞닿음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연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부재의 머리부는 그 주위에서 두께를 점차 감소시키면서 판재의 표면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축부측에 반구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탄성맞닿음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연결구.
KR1019940026531A 1994-01-27 1994-10-17 판재의 연결구 KR0136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7372A JPH07208424A (ja) 1994-01-27 1994-01-27 板材の連結具
JP94-7372 1994-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864A KR950023864A (ko) 1995-08-18
KR0136220B1 true KR0136220B1 (ko) 1998-04-30

Family

ID=1166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6531A KR0136220B1 (ko) 1994-01-27 1994-10-17 판재의 연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208424A (ko)
KR (1) KR01362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4417B (zh) 2002-04-30 2014-06-04 美克司公司 用装订夹装订活页纸的方法
DE102009009884B4 (de) * 2009-02-20 2019-06-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Innenbelüftete Scheibenbremse
JP5806570B2 (ja) * 2011-09-27 2015-11-10 日本スタッドウェルディング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用ハンドル
WO2015111231A1 (ja) * 2014-01-22 2015-07-30 ナックス株式会社 留め具
JP6405127B2 (ja) * 2014-06-16 2018-10-17 川上産業株式会社 留め具
JP6451970B1 (ja) * 2018-03-30 2019-01-16 有限会社しをり 衣服と衣服用留め具との組み合わせ
CN112460113A (zh) * 2019-09-09 2021-03-09 宾科精密部件(中国)有限公司 用于多个板材连接用的连接机构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08424A (ja) 1995-08-11
KR950023864A (ko) 199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21537Y2 (ja) 連結具
JP2578069Y2 (ja) グロメット
JPH0417859Y2 (ko)
US6896460B2 (en) Fastener
KR100210881B1 (ko) 클립
US6364586B1 (en) Multiple locking position clip with grommet and pin
JP4175868B2 (ja) ホールプラグ
JP3095967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用ベルト取付金具
KR0136220B1 (ko) 판재의 연결구
US4050120A (en) Fastener
US7104167B2 (en) Screw guides and cartridges
US6074231A (en) Connector structure holding central processing units of both cartridge type and card type
KR20040014269A (ko) 버클
WO2021117588A1 (ja) 留め具及び留め具を用いた部材取付構造
JP2559515Y2 (ja) 取付クリップの固定構造
JP4203153B2 (ja) 筆記具用部品の連結構造
KR960014744B1 (ko) 끈고정구
KR100225925B1 (ko) 클립
JPS6214409Y2 (ko)
KR100271719B1 (ko) 부착구조
JPH0999787A (ja) エンドキャップ
JPH0530947Y2 (ko)
JP4395421B2 (ja) 防振クリップ
JPS6137847Y2 (ko)
CN211158371U (zh) 一种弹扣组件以及呼啦圈节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