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934B1 - 수동식 체인블럭 - Google Patents

수동식 체인블럭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934B1
KR0135934B1 KR1019940023125A KR19940023125A KR0135934B1 KR 0135934 B1 KR0135934 B1 KR 0135934B1 KR 1019940023125 A KR1019940023125 A KR 1019940023125A KR 19940023125 A KR19940023125 A KR 19940023125A KR 0135934 B1 KR0135934 B1 KR 0135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braking
cover
ratchet
hand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342A (ko
Inventor
요시오 우에노
야스오 와다
무네노부 혼다
Original Assignee
쯔다 슈우사꾸
조오지루시 체인 블록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928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09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9282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0913B2/ja
Application filed by 쯔다 슈우사꾸, 조오지루시 체인 블록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다 슈우사꾸
Publication of KR95000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6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operated by an endless chain passing over a pulley or a spro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 B66D5/1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embodying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핸드휠과 메카니칼브레이크를 구성하는 제동용래칫의 한쪽에 다른쪽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라이닝판을 덮는 원형주면을 가지는 커버부를 설치하고, 상기 핸드휠과 제동용래칫의 다른쪽에 상기 원형주면에 대향하는 원형대향주면을 설치하여, 이들 원형주면의 대향주면을 근접시킨 시일재를 개장하여, 핸드휠의 휠커버내에 진개나 빗물이 침입해도 이들 진개나 빗물이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Description

수동식 체인블럭
제1도는 본 발명의 수동식 체인블럭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2실시예의 요부단면도이며,
제3도는 제3실시예의 요부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4실시예의 요부단면도이며,
제5도는 제5실시예의 요부단면도이고,
제6도는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제7도는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8도는 제8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9도는 제8실시예를 변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10도는 같은 제9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핸드휠을 가지는 구동부재 및 메카니칼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상기 핸드휠의 조작으로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를 통해 로드시이브를 구동하도록 한 수동식 체인블럭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동식 체인블럭은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62-16477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쌍의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로드시이브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고, 또 상기 로드시이브의 중심축부에 구동축을 끼우고, 이 구동축의 축방향 일측에는 핸드휠을 나착하고, 이 핸드휠과 구동축과의 사이에 메카니칼브레이크를 개장하고, 또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 다른쪽에 기어감속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핸드휠의 조작으로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를 통해 구동축을 구동하고, 상기 기어감속기구를 통해 로드시이브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사이드플레이트 사이에 훅을 설치하는 동시에, 한쪽의 사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 및 핸드휠을 덮는 휠커버를 설치하고, 다른쪽의 사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기어감속기구를 덮는 기어커버를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수동식 체인블럭은 공장등의 실내에서 사용될 수 도 있는데, 건설현장등에서는 옥외에서 사용되고, 또 한쪽 상기 수동식 체인블럭에는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 및 핸드휠을 덮는 휠커버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휠커버의 측부에는 상기 핸드휠에 걸어 설치되는 핸드체인을 삽통하기 위한 체인 도통구멍이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식 체인블럭을 옥외에서 사용하는 경우, 우천작업시에 있어서는 빗물이 상기 체인 도통구멍으로부터 휠커버내로 침입하게 되고, 또 맑은 날씨나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특히 모래나 진개가 있는 분위기중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래나 진개등이 상기 체인에 도통구멍으로부터 휠커버에 침입하게 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빗물이나 진개가 상기 휠커버내로 침입하면, 이들 빗물이나 진개가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를 구성하는 라이닝판, 즉 상기 핸드휠과 제동용래칫과의 사이에 개장되는 라이닝판 및 상기 제어용 래칫과 종동부재와의 사이에 개장되는 라이닝판과, 이들 라이닝판이 대향하는 상기 핸드휠, 제어용래칫 및 종동부재의 각 제동면과의 사이에 개입함으로써, 이 개입에 의해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의 제동특성이 변화하기도 하고, 제동해제특성이 변화하는 불합리한 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체인블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핸드휠측에 과부하방지기구를 설치한 것도 제안되고 있다.
이 과부하방지기구는 상기 구동축상에 구동부재와 핸드휠과의 사이에 개장된 로드시이브과, 탄성부재 및 하중설정 조절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하중설정 조절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탄성부재의 라이닝판에 대한 압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핸드휠이 구동부재에 대하여 슬립하는 하중을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화물을 인양할 때에는 상기 핸드휠에 걸어 설치된 엔드레스상의 핸드체인을 인장 조작하여 상기 핸드휠을 정전구동시키면 상기 구동부재가 구동축에 대하여 나진되고,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를 갖는 전동기구를 통해 상기 구동축이 구동되고, 이 구동축의 구동에 동반하여 상기 감속기어기구를 통해 상기 로드시이브가 회전되어, 상기 로드시이브에 걸어 설치된 로드체인에 의해 화물의 인양이 행해진다.
또, 화물의 인양시에 부하측, 즉 상기 로드체인측에 상기 과부하방지기구의 하중설정 조절부재로 설정하는 슬립하중을 초과하는 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핸드휠은 구동부재에 대하여 슬립하여, 그 이상의 하중이 중지되고 이때의 화물인양 위치는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의 작용으로 지지된다.
또, 인양된 하물을 내리는 경우는 상기 핸드체인을 조작하여 상기 핸드휠을 역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부재가 구동축에 대하여 나퇴되고,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의 작용·비작용의 반복으로 상기 로드시이브가 역전되어 화물의 내림작업이 서서히 행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의 종래구조에 있어서도, 상기 과부하방지기구나 전동기구는 상기 핸드휠의 외주외에 설치한 휠커버로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이 휠커버에는 상기 체인 도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체인도통구멍을 통해, 상기 휠커버내에 진개가 들어가기도 하고, 또 옥외에서 사용하게 될 때에는 진개 뿐만이 아니라 빗물이 들어오기도 하여, 이들 진개나 빗물 등이 상기 과부하방지기구나 전동기구의 각 구성부재에 침입하는 일이 있다.
그리고 진개나 빗물이 상기 과부하방지기구에 침입하게 되면, 상기 과부하방지기구를 구성하는 상기 라이닝판의 마찰계수등이 변하여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로 설정된 슬립하중이 제멋대로 변동하여, 예를 들면 진개가 침입했을 때는 상기 라이닝판의 마찰계수가 커져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로 설정하는 슬립하중을 초과한 하중이 상기 로드시이브에 작용하여도 상기 핸드휠이 구동부재에 대하여 슬립되는 일 없이, 그 이상의 하물 인양작업이 계속되거나, 또는 빗물이 침입했을 때는 상기 라이닝판의 마찰계수가 작아져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로 설정하는 슬립하중을 초과하기 이전에, 상기 핸드휠이 구동부재에 대하여 슬립하여 화물의 인양작업이 중지되기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휠의 휠커버 내부에 진개나 빗물이 들어가는 일이 있어도, 메카니칼브레이크의 침입을 억제하고, 이 메카니칼브레이크의 제동 및 제동해제특성이 변화하는 불합리한 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또다른 목적은 상기 진개등이 과부하방지기구에 침입하여 슬립하중이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동식 체인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플레이트(1, 2) 사이에 지지되는 로드시이브(3)와, 이 로드시이브(3)를 구동하는 구동축(7)과, 이 구동축(7)에 결합되는 종동부재(22)와, 상기 구동축(7)에 나착되는 핸드휠(8)과, 외주부에 치부(齒部)(4a)를 가지는 제동용래칫(24)과, 이 제동용래칫(24)의 치부(24a)에 계합하는 제동용포올(28) 및 라이닝판(25, 26)을 구비한 수동체인블럭에 있어서, 상기 핸드휠(8)과, 상기 제어용래칫(24)과의 한쪽에, 다른쪽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축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라이닝판(26)을 덮는 원형주면(30a)을 가지는 커버부(30)를 설치하고, 상기 핸드휠(8)과 제동용래칫(24)과의 다른쪽에, 상기 커버부(30)의 원형주면(30a)에 대향하는 원형대향주면(30b)을 설치하고, 상기 커버부(30)의 원형주면(30a)을 상기 원형대향주면(30b)에 근접시킨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30)의 원형주면(30a)과, 이 원형주면에 대향하는 원형대향주면(30b)과의 사이에 시일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외주부에 보스부(24b)에 대하여 축방향 내방으로 연장하고, 종동부재(22)와 제동용래칫(24)과의 사이에 개장하는 라이닝판(25)을 덮는 통상부(31)를 설치하고, 이 통상부(31)의 외주면에 제동용포올(28)이 계합하는 치부(24a)를 설치하는 것이 좋고, 또 상기 제동용래칫(24)의 통상부(31)가 종동부재(22)의 외주면(22b)을 덮고, 이 외주면(22b)과 상기 통상부(31)의 내주면(31a) 사이에 시일재(53)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제6도 내지 제10도와 같이, 이상의 메카니칼브레이크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구동부재(23)와 핸드휠(8)과의 사이에 라이닝(30, 31)과 탄성부재(33) 및 하중설정 조절부재(34)로 이루어지는 과부하방지기구(21)를 설치한 수동식 체인블럭에 있어서, 상기 핸드휠(8)의 보스부(8a)에 상기 구동부재(23)의 턱부 및 하중설정 조절부재(34)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내주면을 가지고, 상기 과부하방지기구(21)를 덮는 커버(90)를 설치한 점에도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커버(90)를 통상부재로 형성하고, 그 축방향 일단측을 상기 핸드휠(8)의 보스부(8a)에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커버(90)의 축방향 외측단부에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34)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과부하방지기구(21)의 축방향 외측을 덮는 단판(9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7)의 과부하방지기구측 축단부를 상기 과부하방지기구(21)의 외측에 연장하여 상기 휠커버(15)측에 베어링하고, 상기 구동축(7)의 연장부에 상기 핸드휠(8)의 축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휠멈춤(61)을 설치하고, 또 상기 커버(90)의 축방향 외측단부에 상기 하중설정 조정부재(34)의 축방향 외측을 덮는 단판(92)을 설치하고, 이 단판(92)에 상기 휠멈춤(40)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내주면(92a)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 상기 단면(92)의 내주면(92a)과 상기 휠멈춤(40)의 외주면(41a) 사이에 시일재(93)를 개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커버(90)에 상기 핸드휠(8)의 보스부(8a)에 대하여 축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90A)를 설치하고, 이 연장부(90A)의 연장단부 내주면을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외주부에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즉, 상기 핸드휠(8)과 제동용래칫(24)과의 한쪽에 상기 커버부(30)를 설치하고, 이 커버부(30)의 원형주면(30a)과, 핸드휠(8)과 제동용래칫(24)의 다른쪽에 설치하고, 상기 원형주면(30a)에 대향하는 원형대향주면(30b)을 근접시켰기 때문에, 빗물이나 진개가 상기 제동용래칫(24)과 핸드휠(8) 사이에 개장되는 라이닝판(26)과, 이 라이닝판(26)이 대향하는 상기 제동용래칫(24) 및 핸드휠(8)의 제동면과의 사이에 침입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빗물, 진개의 침입에 의한 메카니칼브레이크의 제동 및 제동해제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커버부(30)의 원형주면(30a)과, 이 원형주면(30a)이 대향하는 상기 원형대향주면(30b)과의 사이에 시일재(50) 또는 (52)를 설치함으로써, 메카니칼브레이크의 제동특성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빗물이나 진개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외주부에, 그 보스부(24b)에 대하여 축방향 내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종동부재(22)와 제동용래칫(24)과의 사이에 개장되는 라이닝판(25)을 덮는 통상부(31)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라이닝판(25)과, 이 라이닝판(25)이 대향하는 상기 종동부재(22) 및 제동용래칫(24)의 제동면과의 사이에도 빗물이나 진개가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메카니칼브레이크의 제동특성이나 제동해제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제동용래칫(24)의 통상부(31)가 상기 종동부재(22)의 외주면(22b)을 덮도록 하여, 이 외주면(22b)과 통상부(31)의 내주면(31a) 사이에 시일재(53)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라이닝판(25)과 이 라이닝판(25)이 대향하는 상기 제동용래칫(24) 및 종동부재(22)의 제동면과의 사이로 빗물, 진개의 침입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과부하방지기구를 구비한 체인블럭에 있어서, 상기 핸드휠(8)의 보스부(8a)에 상기 구동부재(23)의 턱부 및 하중설정 조절부재(34)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내주면을 가지고, 상기 과부하방지기구(21)를 덮는 커버(9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핸드휠(8)의 휠커버(15)내로 먼지나 빗물이 들어가는 일이 있어도, 이 진개나 빗물이 상기 과부하방지기구(21)의 각 구성부재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상기 과부하방지기구(21)를 구성하는 상기 라이닝판(31)의 마찰계수등이 변동하여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34)에 의한 슬립하중이 변동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하중설정 조절부재(34)에 의해 미리 설정된 슬립하중을 기초로 상기 로드시이브(3)를 구동시켜 안정적인 화물 인양을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커버(90)를 통상부재로 형성하고, 그 축방향의 일단측을 상기 핸드휠(8)의 보스부(8a)에 일체 결합함으로써 핸드휠(8)을 이용하여 시일구조를 구성할 수 있고,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상기 과부하방지기구(21)의 각 구성부재에 진개나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커버(90)의 축방향 외측단부에,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34)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과부하방지기구(21)의 축방향 외측을 덮는 단판(91)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커버(90)와 상기 단판(91)으로 상기 과부하방지기구(21)를 효과적으로 피복할 수 있고, 따라서 이 과부하방지기구(21)의 각 구성부재내에 진개 뿐만이 아니라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상의 작용에 있어서 진개가 침입했을 때에는 상기 라이닝판(31)의 마찰계수가 커지고,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34)로 설정하는 슬립하중을 초과한 하중이 상기 로드시이브(3)에 작용하여도, 상기 핸드휠(8)이 상기 구동부재(23)에 대하여 슬립되는 일없이, 그 이상의 화물인양이 계속되는 것이고, 한편 빗물이 침입했을 때에는 상기 라이닝판(31)의 마찰계수가 작아지고,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34)로 설정하는 슬립하중을 초과하기 이전에 상기 핸드휠(8)이 상기 구동부재(23)에 대하여 슬립하여 화물인양이 중지되기도 하는 일이 있는데, 진개나 빗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34)로 미리 설정된 슬립하중을 기초로 상기 로드시이브(3)를 구동시켜 안정적인 화물인양을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구동축(7)의 과부하방지기구측 축단부를, 상기 과부하방지기구(21)의 외측에 연장하고, 상기 휠커버(15)측에 베어링함으로써, 구동축(7)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핸드휠(8)의 구동조작시, 부하가 커져도 축이 휘는 것을 적게할 수 있고, 또 축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구동력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핸드휠의 조작성도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구동축(7)의 연장부에 상기 핸드휠(8)의 축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휠멈춤(40)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커버(90)의 축방향 외측단부에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34)의 축방향 외측을 덮는 단판(92)을 설치하고, 이 단판(92)에 상기 휠멈춤(40)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내주면(92a)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축(7)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이 얻어지면서, 상기 커버(90)와 상기 단판(92) 및 휠멈춤(40)과의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과부하방지기구(21)의 각 구성부재내에 진개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판(92)의 내주면(92a)과 상기 휠멈춤(40)의 외주면(41a) 사이에 시일재(93)를 개장시켰기 때문에, 상기 단판(92)의 내주면(92a)과, 상기 휠멈춤(40)의 외주면(41a) 사이의 극간을 상기 시일재(93)로 시일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과부하방지기구(21)의 각 구성부재내에 진개나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에 나타낸 것은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한쌍의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1, 2) 사이에는 로드시이브(3)가 베어링(5, 6)을 통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로드시이브(3)의 축구멍에는 구동축(7)이 삽감되고, 이 축방향 일단측에는 핸드휠(8)을 나착하고, 이 핸드휠(8)과 구동축(7) 사이에 메카니칼브레이크(9)를 갖는 전동기구(10)를 설치하고, 또 상기 구동축(7)의 축방향 타단측에는 복수의 감속기어를 가지는 기어감속기구(11)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핸드휠(8)의 구동조작에 의하여 그 구동력이 상기 전동기구(10), 기어 감속기구(11)를 거쳐 로드시이브(3)에 전달되고, 이 로드시이브(3)에 걸어 설치되는 로드체인을 권상 또는 권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 2)는 복수의 스테이볼트(12)에 볼트에 소정간극을 두고 고정되어 있고, 이들 양 사이드플레이트(1, 2) 사이에 있어서의 로드시이브(3) 접섭방향 일측 상방에는 훅(13)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축(14)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1)에는 상기 전동기구(10) 및 핸드휠(8)을 덮는 휠커버(15)가 첨설되어 있고, 또 상기 제2사이드플레이트(2)에는 상기 기어감속기구(11)를 덮는 기어커버(16)가 첨설되어 있다.
또, 상기 전동기구(10)는 상기 구동축(7)에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도면에서는 나사결합)되고, 축방향 일측에 플랜지(22a)를 가지는 종동부재(22)와, 상기 핸드휠(8) 및 상기 종동부재(22)의 플랜지(22a)와 상기 핸드휠(8)의 보스부(8a) 사이에 개장되고, 상기 종동부재(22)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되는 제동용래칫(24)와, 상기 종동부재(22)의 플랜지(22a)와 제동용래칫(24)과의 사이, 및 이 제동용래칫(24)과 핸드휠(8)의 보스부(8a) 사이에 개장되는 라이닝판(25, 26)에 의해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1)에는 포올스프링(27)에 의해 상기 제동용래칫(24)에 가세되고,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외주부에 설치하는 추치(追齒)형식의 치부(24a)에 맞물리는 제동용포올(28)을 포올축(29)을 거쳐 요동가능하게 추착(樞着)하고, 이 제동용포올(28)과 제동용래칫(24) 및 상기 종동부재(22), 핸드휠(8) 및 라이닝판(25, 26)에 의해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9)를 구성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은 기지와 같은 것으로, 제1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핸드휠(8)의 보스부(8a)에 상기 제동용래칫(24)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동용래칫(24)과 핸드휠(9)과의 사이에 개장되는 라이닝판(26)을 덮는 원형주면(30a)을 가지는 커버부(30)를 일체로 형성하고, 또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외주부에 상기 래칫(24)의 보스부(24b)에 대하여 축방향의 내측, 즉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1)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종동부재(22) 및 이 종동부재(22)와 상기 제동용래칫(24) 사이에 개장되는 라이닝판(25)을 덮는 통상부(31)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 통상부(31)의 외주면에 상기 기어부(24a)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축방향 외측, 즉 상기 치부(24a)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부(30)의 원형주면(30a)에 대향하는 원형대향주면(30b)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30)의 원형주면(30a)을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원형대향주면(30b)에 근접시키고, 또 상기 제동용래칫(24)에 있어서 통상부(31)의 축방향내측 내주면(31a)을 상기 종동부재(22)에 있어서의 플랜지(22a)를 지나 상기 베어링(6)에 있어서의 외륜 외주면에 근접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1)에는 상기 핸드휠(8)의 내측면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동용래칫(24)과, 상기 포올축(29) 및 제동용포올(28)을 덮는 완형커버체(32)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제동용래칫(24)에 있어서 통상부(31)의 내측단부를 이 완형커버체(32)에 근접시키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30)의 원형주면(30a)과,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원형대향주면(30b)과의 사이, 및 상기 제동용래칫(24)에 있어서 통상부(31)의 내주면(31a)과 종동부재(22)에 있어서 플랜지(22a)의 외주면(22b)과의 사이, 및 상기 통상부(31)와 완형커버체(32) 사이에는 각각 시일부가 형성되고, 이들 시일부에 의해 상기 휠커버(8)내에 침입하는 빗물이나 진개의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9)내로의 침입, 상세하게는 상기 라이닝판(25)과 상기 라이닝판(25)이 대향하는 종동부재(22) 및 제동용래칫(24)의 제동면과의 사이 및 상기 라이닝판(26)과 제동용래칫(24) 및 핸드휠(8)의 제동면과의 사이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빗물이나 진개의 침입에 의한 메카니칼브레이크(9)의 제동특성 및 제동해제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33은 상기 구동축(7)의 축단부에 나착고정하는 너트이고, 34는 상기 핸드휠(8)의 보스부(8a)와 너트(33) 사이에 개장되는 간좌(間座)이다. 또, 35는 상기 기어감속기구(11)를 구성하는 제1기어로써, 상기 구동축(7)의 축단부를 냉간단조(冷間鍛造)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36은 상기 제2사이드플레이트(2)와 기이커버(16)와의 사이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되는 중간축으로, 상기 제1기어(35)에 맞물리는 제2기어(37)과 제3기어(38)를 설치하고 있고, 또, 39는 상기 제3기어(38)에 맞물리는 제4기어로서, 상기 로드시이브(3)의 통축부에 결합하고 있다.
40은 상기 기어커버(16)에 설치하는 상기 구동축(7)의 래디얼베어링으로, 상기 제1기어(35)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축부(7a)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41은 로드시이브(3)의 축구멍과 이 축구멍에 삽감하는 구동축(7)과의 사이에 개장하는 롤링베어링이다.
42는 상기 제1기어(35)와 함께 구동축(7)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부이고, 43은 이 플랜지부(42)에 계지되는 간좌이다.
44는 체인튕김이고, 45는 휠커버(15)의 하부를 지지하는 커버유지구로써, 상기 스테이볼트(12)에 나착하는 너트(46)의 조임에 의해 상기 휠커버(15)와 제1사이드플레이트(1)와의 사이에 끼워 부착되어 있다. 또, 47은 상기 커버 지지구(45)에 설치하는 각형 감합돌기이고, 48은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1)에 설치하는 각형 감압구멍이다.
다음으로 제2도에 나타낸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2실시예를 상기 커버부(30)의 원형주면(30a)과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원형대향주면(30b)과의 사이에 시일재(50)를 개장하고, 이 시일재(50)를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원형대향주면(30b)에 지지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시일재(5)로 상기 원형주면(30a)과 원형대향주면(30b)과의 사이의 극간을,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9)의 제동작용시 및 제동비작용시의 어느 때에도, 즉 환원하면 핸드휠(8)의 위치 여하에 관계 없이 매울 수가 있고, 따라서 메카니칼브레이크(9)의 제동특성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빗물이나 진개의 침입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일재(50)를 링상 판상으로 하였는데, O링이어도 좋고, 또 상기 시일재(50)를 상기 제동용래칫(24)에 지지하는 경우, 상기 시일재(50)의 외주면을 상기 커버부(30)에 있어서의 원형주면(30a)에 섭접시켜도 좋고, 이 원형주면(30a)에 환상홈을 마련하여 상기 시일재(50)의 외주면을 이 환상홈에 침입시켜 라비린스 효과로 시일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환상홈의 폭치수는 상기 핸드휠(8)의 축방향 이동폭보다 약간 길다.
다음으로 제3도에 나타낸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3실시예는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외주부에 제1,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보스부(24b)에 대하여 축방향 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통상부(31)를 설치하는 것 이외에, 상기 보스부(24b)에 대하여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2통상부(51)를 설치하고, 이 제2통상부(51)의 주면을 상기 커버부(30)의 원형주면(30a)에 대향시키고, 상기 원형주면(30a)과 제2통상부(51)의 원형대향주면(30b)사이에 O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통상부(51)에 지지된 시일재(52)에 개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1통상부(31)의 내주면(31a)과, 이 내주면(31a)이 대향하는 상기 종동부재(22)의 플랜지(22a)에 있어서의 외주면(22b)과의 사이에 O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22a)에 지지된 시일재(53)를 개장시킨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9)를 구성하는 각 라이닝판(25, 26)과 이들 라이닝판(25, 26)이 대향하는 제동용래칫(24)과 종동부재(22) 및 핸드휠(8)의 각 제동면으로의 빗물, 진개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모두 상기 핸드휠(8)의 보스부(8a)에 상기 커버부(30)를 설치하고, 그 원형주면(30a)을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외주부에 설치하는 원형대향주면(30b), 또는 상기 제동용래칫(24)에 설치하는 상기 제2통상부(51)의 원형대향주면(30b)에 근접시키거나, 시일재(50) 또는 (52)를 개장시켰는데, 제4도에 나타낸 제4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동용래칫(24)에 커버부(30)를 설치하고, 상기 핸드휠(8)의 보스부(8a)에 상기 커버부(30)의 원형주면(30a)에 대향하는 원형대향주면(30b)을 설치하여 상기 원형주면(30a)과 원형대향주면(30b)을 근접시키거나, 시일재를 개장하여도 좋다.
또, 상기 구동축(7)은 그 축방향 중간부를 상기 로드시이브(3)에, 상기 베어링(41)을 거쳐 지지했으나, 제5도에 나타낸 제5실시예와 같이 상기 휠커버(15)에 래디얼베어링(60)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7)의 핸드휠측 축단부를 연장하여 지지축부(76)를 형성하고, 이 지지축부(7b)를 상기 베어링(60)에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지지축부(7b)에 휠멈춤(61)을 끼워넣고, 또, 이 휠멈춤(61)을 래디얼베어링(60)으로 외륜(60a)에 계합하도록 하고, 멈춤링(62)으로 빠짐 저지를 행하는 것이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디얼베어링(60)으로서 시일부착 베어링을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핸드휠(8)의 보스부(8a)에 상기 휠멈춤을 삽감하는 수입요부(受入凹部)(8b)를 설치하고, 이 수입요부(8b)의 내주면과 휠멈춤(61)의 통부외주면과를 근접시키거나, 이들 내외주면 간에 시일재를 개장함으로써 상기 핸드휠(8)을 나착하는 구동축(7)의 나사축부로의 빗물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는 상기 핸드휠(8)을 상기 구동축(7)에 나착했으나, 제6도의 제6실시예와 같이 과부하방지기구(70)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는 상기 핸드휠(8)과는 별도로 구동부재(23)를 설치하여, 이 구동부재(23)의 통상 보스부(23a)를 상기 구동축(7)에 나착하고, 이 통상보스부(23a)에 상기 핸드휠(8)을 원웨이 클러치(71)를 거쳐 정전(正轉)구동방향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재(23)의 턱부와 핸드휠(8)의 보스부(8a)와의 사이에 제1라이닝판(72)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재(23)의 통상보스부(23a)에 있어서 상기 핸드휠(8)의 외측에는 제2라이닝판(73)과 상기 통상보스부(23a)와 함께 회전하는 압압판(74)과 접시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75)를 순차 삽감하고, 이 탄성부재(75)의 외측에, 그 탄성부재(75)의 압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핸드휠(8)의 구동부재(23)에 대하여 슬립하는 하중을 설정하는 하중설정 조절부재(75)를 나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또, 제6실시예에서는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휠커버(15)와 기어커버(16)와의 구동축(7)에 대한 대향부위에는 래디어 베어링(60, 40)을 설치하여 그 각 베어링(60, 40)을 거쳐 상기 구동축(7)의 축방향 양단이 상기 로드시이브(3)와는 독립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구동축(7)의 일단측을 상기 기어커버(16)측에 연장시켜, 그 연장부를 래디얼베어링(40)를 거쳐 상기 기어커버(16)에 지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7)의 타단측을 휠커버(15)측에 연장시켜, 그 휠커버(15)에 형성된 오목함몰부(15b)에 개장되는 래디얼베어링(60)을 거쳐 상기 구동축(7)의 타단측을 지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핸드체인(80)을 인장조작하여 핸드휠(8)을 정전구동시키면,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 및 메카니칼브레이크(9)를 가지는 전동기구(10)를 거쳐 상기 구동축(7)이 구동되고, 이 구동력이 상기 기어 결합기구(11)를 거쳐 상기 로드시이브(3)에 전달되고, 그 로드시이브(3)를 구동회전시켜, 이 로드시이브(3)에 걸어 설치되는 로드체인(4)의 부하측, 즉 선단에 훅을 가지는 화물을 매다는 부하측으로 감아올려, 그 화물의 인양작업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 상기 화물의 인양 작업시, 부하측에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의 하중설정 조절부재(76)에 의하여 설정되는 슬립하중을 초과하는 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핸드휠(8)은 구동부재(23)에 대하여 슬립하여, 그 이상의 화물인양이 중지되고, 또, 이렇게 화물인양된 화물인양 위치는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9)의 작용으로 지지된다.
또한 화물인양된 화물을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핸드체인(80)을 조작하여 핸드휠(8)을 역전 구동시킴으로써 행하는 것으로, 이 핸드휠(8)의 역전구동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23)가 나퇴하여,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9)의 작용·비작용의 반복으로 상기 로드시이브(3)가 역전되어, 상기 화물의 내림이 서서히 행해지는 것이다.
그런데, 제6도에 나타낸 제6실시예에서는 이상의 수동식 체인블럭에 있어서, 상기 핸드휠(8)의 보스부(8a)에 있어서의 축방향 외측에 통상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버(90)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커버(90)에 의하여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를 구성하는 제2라이닝판(73)과 탄성부재(75) 및 하중설정 조절부재(76)의 전외주위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핸드휠(8)에 있어서 사기 보스부(8a)의 축방향 내측에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커버부(30)를 일체로 설치하고, 이 커버부(30)의 연장단부를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외주부에 근겁시켜,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의 제1라이닝판(72)과, 상기 전동기구(10)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부재(23)의 턱부 및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9)를 구성하는 제2라이닝판(26)의 외주위를 커버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커버(90)의 축방향 외단부 내주면을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76)의 외주면에 근접시켜,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의 제2라이닝판(73) 및 탄성부재(75)의 외주면 전체를 피복하고, 또 상기 커버부(30)의 연장단부를 상기 제동용래칫(24)에 근접시켜,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의 라이닝판(72)과, 상기 전동기구(10)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부재(23)의 턱부 및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9)를 구성하는 라이닝판(26)과의 외주위 전체를 피복함으로써 상기 휠커버(15)의 체인 도통구멍(15a)으로부터 내부에 진개등이 들어가는 일이 있어도, 이 진개등이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의 각 구성부재내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라이닝판(72, 73)의 마찰계수등이 변동하여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76)에 의한 슬립하중이 제멋대로 변동하거나 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이 하중설정 조절부재(76)로 미리 설정된 슬립하중에 의거하여 상기 로드시이브(3)에 확실한 화물인양작업을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30)로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9)의 라이닝판(26)에 진개가 침입하는 것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라이닝판(26)의 마찰계수등이 제멋대로 변동되거나 하는 일도 없앨 수 있고,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9)에 의한 소정의 제동력도 확보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시이브(3)를 거쳐 확실한 화물내림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커버(90) 및 커버부(30)는 상기 핸드휠(8)의 보스부(8a)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핸드휠(8)을 이용하여 상기 시일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나 메카니칼브레이크(9)의 각 구성부재내에 진개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제6도의 제6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축(7)에 있어서 과부하방지기구측의 축단부를 상기 휠커버(15)측으로 연장시켜, 그 연장부를 상기 휠커버(15)의 오목함몰부(15b)에 개장한 래디얼베어링(60)을 거쳐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축(7)의 구동기구측에 있어서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핸드휠(7)이 조작으로 로드시이브(3)를 구동시킬 때, 그 구동부하가 크더라도 상기 구동축(7)이 휘어지는 것을 적게할 수 있고, 축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로드시이브(3)에의 구동력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축휘어짐에 의한 소리가 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제7도에 나타낸 제7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7도 실시예는 상기 커버(90)의 축방향 외측단부에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76)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의 축방향 외측 전체를 덮는 원판형상의 단판(91)을 착탈가능한 볼트(91a)를 거쳐 설치한 것이다.
이렇게 할 때에는 상기 커버(90)와 상기 단판(91)을 가지고,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의 각 구성부재내에 진개나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 구동축(7)의 나사축부, 즉 상기 구동부재(23)를 나착하는 나사축부에의 빗물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따라서 이들 진개나 빗물에 의하여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를 구성하는 상기 라이닝판(73)의 마찰계수등이 변화해도,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76)로 설정된 슬립하중이 제멋대로 변동하거나 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 상기 구동축(7)의 빗물침입에 의한 발청(發請)으로, 상기 구동부재(23)의 나진, 나퇴 동작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과 같이, 상기 커버(90)의 축방향 외측단부에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의 축방향 외측 전체를 덮는 상기 단판(91)을 설치할 때는 제6도에 나타낸 것과는 다르게 상기 구동축(7)의 타단측에 상기 래디어베어링(60)을 설치하는 일없이, 이 구동축(7)의 일단측을 래디얼베어링(40)에 지지하고, 또 상기 구동축(7)의 타단에는 상기 로드시이브(3)의 축구멍에 니들베어링등의 베어링을 거쳐 지지하고, 또 상기 구동축(7)의 축단부에는 상기 구동부재(23)의 보스부(23a)내에 개입하는 너트(33)를 나착 고정하여, 상기 구동부재(23)의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또한, 제7도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의 하중설정 조절부재(76)를 조절조작할 때에는 상기 휠커버(15)를 제거하고, 동시에 상기 단판(91)을 제거함으로써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8도에 나타낸 제8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8실시예는 제6도에 나타낸 구동축(7)의 지지구조를 양 베어링 지지구조로 한 다음, 상기 커버(90)의 축방향 외측단부에,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76)의 축방향 외측을 커버하는 도우넛형상상의 단판(92)을 볼트(92b)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단판(92)에 상기 휠멈춤(61)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내주면(92a)을 설치한 것이다. 이렇게 할 때에는 구동축(7)을 휠커버(15)로 지지하는 구조를 채용하면서 상기 커버(90)로 과부하방지기구(70)의 외주위를 피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단판(92)으로 과부하방지기구(70)의 외측쪽도 피복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단판(92)의 내주면(92a)은 상기 휠멈춤(61)에 있어서의 외측 외주면에 근접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커버(90)와 단판(92) 및 휠멈춤(61)과의 간단한 구성을 가지고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의 각 구성부재내에 진개등이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7)을 상기 래디얼베어링(60)으로 지지하여 그 지지강도를 향상하여 상기한 효과가 얻어지면서,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76)로 설정된 슬립하중이 제멋대로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하중설정 조절부재(76)로 설정한 슬립하중에 의거하여 상기 로드시이브(3)를 거쳐 확실한 화물인양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이상의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판(92)의 내주면(92a)과 상기 휠멈춤(61)의 외주면(61a)과의 사이에, 상기 단판 내주면(92a)에 지지시킨 O링으로 이루어진 시일재(93)를 개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할 때에는 상기 단판(92)의 내주면(92a)과 상기 휠멈춤(61)에 있어서의 외주면(61a)과의 사이의 극간을 상기 시일재(93)로 시일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의 각 구성부재내에 진개 뿐만 아니라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제9도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부(30)의 내주면과 구동부재(23)의 턱부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턱부 외주면에 지지시킨 O링으로 이루어진 시일재(96)를 개장하고 있다.
또, 이상의 과부하방지기구(70)의 시일구성과 상기한 메카니칼브레이크(9)의 시일구성을 공존시킬 수도 있다.
다음에 공존구조의 대표예를 제10도에 나타낸 제9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0도에 나타낸 제9실시예는 제3도의 제3실시예와 제9도의 제9실시예를 조합한 것으로,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9)의 제동용래칫(24)의 외주부에, 보스부(24b)에 대하여 축방향 내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종동부재(22)의 턱부 외주와 라이닝판(25)을 덮는 통상부(31)와, 상기 보스부(24b)에 대하여 축방향 외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구동부재(23)의 턱부로부터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의 제1라이닝판(72)을 덮는 제2통상부(51)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1통상부(24c)의 외주면에 상기 제동용래칫(28)이 계합하는 상기 치부(24a)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통상부(51)의 외주면에, 상기 핸드휠(8)의 보스부(8a)에 설치하는 커버(30)의 연장단부 내주면을 근접상으로 오버랩시키고, 다시 제9도와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90)의 축방향 외측단부에,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76)의 축방향외측을 덮는 도우넛형상의 단판(92)을 설치하여 이 단판(92)의 내주면과 상기 휠멈춤(61)에 있어서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시일재(3)를 개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7)의 외주면과 상기 휠멈춤(61)의 내주면 사이에 시일재(96)를 개장시키고, 또, 상기 종동부재(22)에 있어서의 턱부 외주면과 상기 제1통상부(31)의 내방측 외측면과의 사이에 종동부재(22)의 턱부에 지지시킨 O링으로 이루어진 시일재(94)를 개장시키고, 또 상기 제2통상부(51)와 상기 커버부(30)와의 사이에도, 상기 제2통상부(51)로 지지한 O링으로 이루어지는 시일재(95)를 개장시킨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동용래칫(24)의 제1통상부(31) 및 제2통상부(51)와 상기 커버(30)에 의하여, 과부하방지기구(70) 뿐만 아니라,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9)에 진개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핸드휠(8) 및 제동용래칫(24)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 과부하방지기구(70)와 메카니칼브레이크(9)와의 양쪽에 진개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라이닝판의 마찰계수등이 변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통상부(31)의 내주면과 상기 종동부재(22)의 턱부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시일재(94)를 개장하고, 또, 상기 제2통상부(51)의 외주면과 커버부(3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시일재(95)가 개장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부재(23)가 나진하거나 나퇴하는 경우에도 이들 각 시일재(94, 95)는 그 시일기능에 아무런 영향을 받는 일없이, 확실한 시일기능을 발휘시킬 수가 있으며, 또 메카니칼브레이크의 기능을 저해하는 일도 없다. 그리고, 상기 시일재(96)에 의하여 구동축(7)의 나사축부에의 침입도 방지되어, 이들 메카니칼브레이크(9)와 과부하방지기구(21)와의 작용을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제10도의 제9실시예에서는 도우넛형상의 단판(92)을 사용했으나, 제7도의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90)의 축방향 외측단부에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76)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6)의 축방향 외측 전체를 덮는 원판형상의 단판(91)을 설치하고, 이 단판(91)으로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의 각 구성부재내에 진개 뿐만 아니라 물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 그 이외에, 제1, 2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메카니칼브레이크에 적용하고 있는 실시예를 조합해도 좋다.
또한,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래디얼베어링(18)은 시판의 시일부착 베어링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할 때는 상기 과부하방지기구(70)의 각 구성부재측에의 진개나 빗물의 침입을 한층 양호하게 저지할 수 있으면서, 구동축(7)의 나사축부에의 침입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2)

  1. 사이드플레이트와, 이들 사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되는 로드시이브와, 상기 로드시이브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종동부재와, 상기 구동축에 나착되는 핸드휠과, 외주부에 치부를 가지는 제동용래칫과, 상기 제동용래칫의 치부에 계합하는 제동용포올 및 라이닝판을 구비한 수동체인블럭에 있어서, 상기 핸드휠과, 상기 제동용래칫중 한쪽에는 다른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동용래칫의 축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라이닝판을 덮는 원형주면을 가지는 커버부를 가지고, 또 상기 핸드휠과 제동용래칫과의 다른 쪽에는 상기 커버부의 원형주면에 대향하는 원형대향주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커버부의 원형주면이 상기 원형대향주면에 근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체인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원형주면과, 이 원형주면에 대향하는 원형대향주면과의 사이에 시일재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체인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용래칫의 외주부에 보스부에 대하여 축방향 내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종동부재와, 상기 제동용래칫과의 사이에 개장하는 라이닝판을 덮는 통상부를 설치하고, 이 통상부의 외주면에 제동용포올이 계합하는 치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체인블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용래칫의 통상부가 상기 종동부재의 외주면을 덮고 있고, 이 외주면과 상기 통상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시일재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체인블럭.
  5. 사이드플레이트와, 이들 사이드플레이트간에 지지되는 로드시이브와, 상기 로드시이브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종동부재와, 상기 구동축에 나착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되는 핸드휠과, 외주부에 치부를 가지는 제동용래칫과, 상기 제동용래칫의 치부에 계합하는 제동용포올과, 라이닝판과 탄성부재 및 하중설정 조절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재와 핸드휠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과부하방지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체인블럭에 있어서, 상기 핸드휠의 보스부는 상기 구동부재의 턱부 및 하중설정 조절부재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내주면을 가지고, 상기 과부하방지기구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체인블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통상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축방향 일단측이 상기 핸드휠의 보스부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체인블럭.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축방향 외측단부에는 하중설정 조절부재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과부하방지기구의 축방향 외측을 덮는 단판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체인블럭.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있어서의 과부하방지기구측의 축단부는 상기 과부하방지기구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휠커버측에 축지지되며, 상기 구동축의 연장부에는 핸드휠의 축방향 외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휠멈춤부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축방향 외측단부에는 상기 하중설정 조절부재의 축방향 외측을 덮는 단판이 설치되어 있고, 이 단판에는 상기 휠멈춤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내주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체인블럭.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판의 내주면과 휠멈춤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시일재를 개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체인블럭.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구동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종동부재와 제동용래칫과 제동용포올 및 라이닝판으로 이루어진 메카니칼브레이크를 가지고, 상기 핸드휠의 보스부에 설치되는 상기 커버는 상기 보스부에 대하여 축방향 내측으로 뻗는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연장부의 연장단부 내주면이 상기 제동용래칫의 외주부에 근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체인블럭.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용래칫의 외주부에는 이 제동용래칫의 보스부에 대하여 축방향 내측으로 뻗는 통상부를 구비하고, 이 통상부의 외주면에 제동용포올이 계합하는 치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동용래칫의 외주면 외측부에 상기 커버의 축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연장단부 내주면을 근접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체인블럭.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용래칫의 통상부는 상기 종동부재의 외주면을 덮고 있고, 이 외주면과 상기 통상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시일재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체인블럭.
KR1019940023125A 1993-09-14 1994-09-14 수동식 체인블럭 KR0135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29282 1993-09-14
JP22928193A JP2620912B2 (ja) 1993-09-14 1993-09-14 手動式チェンブロック
JP22928293A JP2620913B2 (ja) 1993-09-14 1993-09-14 手動式チェンブロック
JP93-229281 1993-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342A KR950008342A (ko) 1995-04-17
KR0135934B1 true KR0135934B1 (ko) 1998-04-28

Family

ID=2652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125A KR0135934B1 (ko) 1993-09-14 1994-09-14 수동식 체인블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86751A (ko)
EP (1) EP0643008B1 (ko)
KR (1) KR0135934B1 (ko)
CN (1) CN1040196C (ko)
AU (1) AU688350B2 (ko)
DE (1) DE6942165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5722A (en) * 1999-03-18 2000-10-03 Snap-On Tools Company Ratchet wrench with sealed reversing lever
DE19959999C2 (de) * 1999-12-13 2001-10-11 Yale Ind Products Gmbh Hebezeug
US6634622B1 (en) * 2000-07-28 2003-10-21 Donald A. Hoffend, Jr. Modular lift assembly
US20040098944A1 (en) 2000-07-28 2004-05-27 Hoffend, Donald A. Batten for lift assembly
JP5827188B2 (ja) * 2012-07-30 2015-12-02 株式会社キトー チェーンブロッ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401552A (en) * 1914-01-20 1914-05-28 Anton Maria Felix Bolzani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crew Brakes for Lifting and Lowering or like Apparatus.
US2243361A (en) * 1936-05-26 1941-05-27 Columbus Mckinnon Chain Corp Puller
FR1053220A (fr) * 1952-03-31 1954-02-01 Maurice Verlinde Ets Dispositif de frein pour palan
DE1043610B (de) * 1953-06-29 1958-11-13 Charles S Schroeder Hebezeug, insbesondere Kettenflaschenzug, mit Axialdruckbremse
JPS6216477Y2 (ko) * 1981-03-20 1987-04-25
JPS60202093A (ja) * 1984-03-22 1985-10-12 バイタル工業株式会社 捲上機の過負荷防止装置
JPS6216477A (ja) * 1985-07-15 1987-01-24 Maruishi Seiyaku Kk 抗ウイルス活性を有する2−(4−ピリジルアミノメチル)−ベンズイミダゾ−ル誘導体
US5556078A (en) * 1992-12-16 1996-09-17 Elephant Chain Block Company Limited Manual hoist and traction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596A (zh) 1995-11-15
AU688350B2 (en) 1998-03-12
US5586751A (en) 1996-12-24
CN1040196C (zh) 1998-10-14
EP0643008B1 (en) 1999-11-17
AU7289294A (en) 1995-03-30
EP0643008A1 (en) 1995-03-15
KR950008342A (ko) 1995-04-17
DE69421655D1 (de) 199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934B1 (ko) 수동식 체인블럭
KR960005022B1 (ko) 레버식 권상견인기
FR2753314A1 (fr) Commande de meuble electromotorisee
AU2013228672B2 (en) Manually operated hoisting / towing device
US4623051A (en) Load bearing, one-way, spring clutch assembly
DE19724920A1 (de) Antriebseinheit für ein Hebezeug
EP0631973B1 (en) Manual chain block
KR0135943B1 (ko) 수동식 체인블럭
JP3086874B2 (ja) チェーンレバーホイスト
JPH0781890A (ja) 手動式チェンブロック
CA2236621C (en) Hand operated chain block
EP0216959B1 (en) Lifting jack
JP2620912B2 (ja) 手動式チェンブロック
JPS58216895A (ja)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における遊転装置
JP2711650B2 (ja) 手動式チェンブロック
KR960006478Y1 (ko) 엘리베이터용 헬리컬감속기의 전동방지장치
JPH048228Y2 (ko)
JP3274121B2 (ja) チェーンレバーホイスト
JP2845769B2 (ja) チェーンホイスト
JP2597291B2 (ja) 手動式チェンブロック
JPH0111676Y2 (ko)
JP2597292B2 (ja) 手動式チェンブロック
KR100283349B1 (ko) 호이스트와 트랙션장치
KR200272093Y1 (ko) 수문 개폐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JPH0641365Y2 (ja) 自動アンテナ伸縮操作装置における回転力伝達系クラッ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