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356B1 - 베어링 취부용 지그 - Google Patents

베어링 취부용 지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356B1
KR0135356B1 KR1019940030578A KR19940030578A KR0135356B1 KR 0135356 B1 KR0135356 B1 KR 0135356B1 KR 1019940030578 A KR1019940030578 A KR 1019940030578A KR 19940030578 A KR19940030578 A KR 19940030578A KR 0135356 B1 KR0135356 B1 KR 0135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haft
fitted
connecting member
bear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283A (ko
Inventor
지양훈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4003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356B1/ko
Publication of KR96001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링 취부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베어링(18)을 축(10)의 베어링 설치부(12)에 안착시키는 베어링 취부용지그에 있어서, 외주에 나사부(34)가 형성되는 몸체(33)와 상기 몸체(33)와 일체로 형성되고 암나사부(36)가 형성되는 머리(35)로 구성되어 베어링(18)이 끼워지는 축(10)의 수나사부(14)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2)와, 관통구(39)가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머리(38)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32)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슬라이더(37)와, 상기 연결부재(32)의 몸체(33)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34)에 나합되는 너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취부용 지그인바, 본 발명에 의하면 베어링의 취부작업이 정숙하고 정확하며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베어링 취부용 지그
제1도는 종래 베어링 취부용 지그를 사용하여 축에 베어링을 안착시키는 것을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취부용 지그의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12 : 베어링 설치부
14 : 수나사부18 : 베어링
20 : 지그22 : 몸체
24 : 베어링 접촉부26 : 관통구
28 : 햄머30 : 지그
32 : 연결부재33 : 몸체
34 : 나사부35 : 머리
36 : 암나사부37 : 슬라이더
38 : 머리39 : 관통구
40 : 너트
본 발명은 각종 축에 베어링을 편리하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한 베어링 취부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축의 수나사부에 연결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하여 축에 베어링을 삽입시킨 후 슬라이더를 상기 연결부재에 끼워 연결부재의 후부에 너트를 끼워 조임으로써 베어링이 슬라이더에 의해 밀려 축의 베어링 설치부에 압착되도록 한 베어링 취부용 지그(jig)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각종 축에 베어링을 취부시키기 위하여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그(20)를 사용하여 축(10)의 베어링 설치부(12)에 베어링(18)을 취부시켜 왔었으며, 이의 구성 및 작업방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베어링 취부용 지그(20)는 선단에 넓은 베어링 접촉부(24)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관통(26)가 형성된 몸체(22)로 이루어져 있으며, 먼저 축(10)에 베어링(18)을 헐겁게 끼운후, 베어링(18)이 끼워진 축(10)에 지그(20)의 베어링 접촉부(24)를 전방으로 하여 삽입시켜서 지그(20)의 몸체(22) 후단을 햄머(28)로 타격시킴으로써 베어링(18)이 축(10) 베어링 설치부(12)에 억지끼움 되도록 했었다.
상기한 종래의 베어링 취부방법은 베어링(18)이 지그(20)의 베어링 접촉부(24)에 접촉된 상태로 햄머(28)의 타격에 의하여 끼워지게 됨으로써, 햄머(28)의 타격력에 의하여 베어링(18)의 내구성이 저하되게 되고, 베어링(18)이 축(10)의 베어링 설치부(12)에 정확하게 끼워지지 못하고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햄머(28)의 타격에 의하여 축(10)의 수나사부(14)가 손상되거나 작업자가 다치게 되는 위험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베어링 취부방법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을 축의 베어링 설치부에 취부시 정숙한 작업을 이룰 수 있고, 베어링의 정확한 설치가 가능하며, 작업자를 사고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나사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머리로 이루어져 베어링이 끼워지는 축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관통구가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넓은 머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끼워지는 연결부재의 몸체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더를 전진시켜 베어링이 축의 베어링 설치부에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베어링 취부용 지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취부용 지그(30)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외주에 나사부(34)가 형성되는 몸체(33)와 이 몸체(33)와 일체로 형성되고 암나사부(36)가 형성되는 머리(35)로 구성되는 연결부재(32)와, 관통구(39)가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플랜지형의 넓은 머리(38)가 일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더(37)와, 상기 연결부재(32)의 몸체(33)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34)에 나합되는 너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32)의 머리(35)에 형성되는 암나사부(36)는 후술하는 베어링(18)이 삽입되는 축(10)의 수나사부(14)에 나합가능하도록 구성시킨다.
상기 슬라이더(27)의 관통구(39)직경은 연결부재(32)의 머리(35)가 헐겁게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시킨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37)의 관통구(39)일단은 연결부재(32)의 몸체(33)가 끼워지고 외측에서 너트(40)가 끼워져 접촉될 수 있는 크기로 상기 관통구(39)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시킨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베어링 취부용 지그(30)를 사용하여 축(10)에 베어링(18)을 끼우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먼저 베어링(18)이 끼워지는 축(10)의 선단 수나사부(14)에 연결부재(32)의 암나사부(36)를 나합시키고, 베어링(18)과 슬라이더(37)를 상기 연결부재(32)에 순서대로 끼운후, 슬라이더(37)를 축(10)을 향하여 전진시켜 연결부재(32)의 몸체(33)가 슬라이더(37)의 관통구(39)외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상기 연결부재(32)의 몸체(33)에 형성된 나사부(34)에 너트(40)를 끼운다.
이와같이 된 상태에서 너트(40)를 조이면 연결부재(32) 외측에 끼워진 슬라이더(37)가 축(10)을 향하여 서서히 전진되면서 슬라이더(37)의 머리(38)에 접촉된 베어링(18)을 밀게되며, 너트(40)를 충분히 조이게 되면 베어링(18)이 축(10)의 베어링 설치부(12)에 완전히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베어링(18)을 끼운후에는 먼저 너트(40)를 풀고 슬라이더(37)를 연결부재(32)로부터 해제시키고 축(10)의 수나사부(14)에 나합된 연결부재(32)를 풀어내면 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한 작업과정에서 베어링(18)은 너트(40)의 회전에 의해 전진되는 슬라이더(37)에 밀려 축(10)의 베어링 설치부(12)에 안착되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햄머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정숙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베어링(18)은 축(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베어링(10)일측의 전면이 균일한 압박력을 받게 됨으로써 베어링(18)이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패너 등으로 너트(40)를 조임으로써 베어링(18)을 축(10)의 베어링 설치부(12)에 안착시키게 되는 것으로 종래 작업에서 발생하는 작업자의 부상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연결부재를 축에 결합시키고 베어링과 슬라이더를 연결부재에 끼운후 연결부재의 후부에서 너트를 끼워 조임으로써 베어링이 축의 베어링 삽입부에 안착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작업시 종래와 같이 햄머를 두드리는 등의 소음 및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베어링이 슬라이더에 의해 균일하게 압박을 받으면서 안착되게 됨으로써 정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베어링(18)을 축(10)의 베어링 설치부(12)에 안착시키는 베어링 취부용 지그에 있어서, 외주에 나사부(34)가 형성되는 몸체(33)와 상기 몸체(33)와 일체로 형성되고 암나사부(36)가 형성되는 머리(35)로 구성되어 베어링(18)이 끼워지는 축(10)의 수나사부(14)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2)와, 관통구(39)가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머리(38)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32)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슬라이더(37)와, 상기 연결부재(32)의 몸체(33)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부(34)에 나합되는 너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취부용 지그.
KR1019940030578A 1994-11-21 1994-11-21 베어링 취부용 지그 KR0135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0578A KR0135356B1 (ko) 1994-11-21 1994-11-21 베어링 취부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0578A KR0135356B1 (ko) 1994-11-21 1994-11-21 베어링 취부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283A KR960018283A (ko) 1996-06-17
KR0135356B1 true KR0135356B1 (ko) 1998-04-23

Family

ID=1939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578A KR0135356B1 (ko) 1994-11-21 1994-11-21 베어링 취부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3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283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5981A (en) Air die grinder
JPH1199441A (ja) 工具ホルダ
JPH0321847Y2 (ko)
KR950006963Y1 (ko) 드로우어웨이팁의 크램프기구
US2961905A (en) Socket wrench
ATE75433T1 (de) Zusammenbauvorrichtung fuer einen kegelschaft, insbesondere fuer 7/24 kegelschaefte, verwendet fuer anbauvorrichtungen, werkzeughalter und werkzeuge.
KR0135356B1 (ko) 베어링 취부용 지그
CA2148182C (en) Rotary apparatus with gap-controlling features and related method
US5137289A (en) Chuck
JPH075294Y2 (ja) ゆるみ止めナット
JP3755986B2 (ja) 締結方法
US4264306A (en) Dental hand piece
US4478113A (en) Tool for aiding in thread connecting a spark plug or other object in place
GB2291156A (en) Breakneck bolt
JPH0621615Y2 (ja) カッタ締結装置
KR900000958Y1 (ko) 관 연결구
JPH066282Y2 (ja) テーパー軸連結装置
JP4098804B2 (ja) セットスクリュー
JPH0124416Y2 (ko)
JPS5932523Y2 (ja) チエンジノブ等のレンチアダプタ
JP4121512B2 (ja) 管継手
JP4469743B2 (ja) 管継手に対する接続管の挿入及び締付ナットの本締め方法
JP2821644B2 (ja) コレットチャック嵌着装置の製造方法
JPH081296Y2 (ja) 軸の固定装置
JP3023856U (ja) 部材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