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200Y1 - 자동차 출입구의 발판 자동출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출입구의 발판 자동출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200Y1
KR0135200Y1 KR2019940038521U KR19940038521U KR0135200Y1 KR 0135200 Y1 KR0135200 Y1 KR 0135200Y1 KR 2019940038521 U KR2019940038521 U KR 2019940038521U KR 19940038521 U KR19940038521 U KR 19940038521U KR 0135200 Y1 KR0135200 Y1 KR 0135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tor
entrance
car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312U (ko
Inventor
신명섭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8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200Y1/ko
Publication of KR9600223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3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2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나 승합차의 출입구에 자동출몰식 발판을 설치하여 도어가 닫히면 발판이 출입구의 공간으로 밀려나와 차내부 바닥면과 같이 평활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도어를 열면 발판이 밀려들어가 출입이 원활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출입구의 내벽면 공간에 발판을 설치하고 이 발판에는 유연성을 갖는 랙기어를 연결하여 모우터의 피니언과 치합시키고 도어와 차체에는 모우터 구동센서를 자치하여 도어를 열고 닫을 때 구동센서에 의하여 모우터가 정역회전되면서 발판이 출입구에서 출몰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출입구의 발판 자동출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출입구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판 11, 11' : 랙기어
12, 12' : 가이드로울러 13 : 피니언
M : 모우터
본 고안은 비교적 많은 숫자의 승객이 승차할 수 있는 버스나 승합자동차의 출입구에 발판(STEP)을 설치하므로서 승객이 승차후에 차내에서 활동이 자유롭고 편리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버스나 승합차일 경우에 출입구가 계단식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어가 닫힌상태 즉, 차가 주행중에는 출입구의 요구가 그대로 노출상태로 있게 되며 이 요구는 차 바닥면을 할애한 상태여서 차가 주행중이나 정차시에 차내 승객이 이동하는데 큰 불편이 있게 되는 것이다.
출입구의 요구 때문에 승객이 실족하여 다치는 경우가 많게되고, 공간활용에 제한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입구 내측에 모우터의 구동으로 출몰되게 하는 발판을 설치하여 도어가 열리면 이를 센서가 감지하여 모우터를 구동(정회전)시켜 발판을 끌어들여서 출입구로 승객이 하차할 수 있도록 하고 도어가 닫히면 이를 감지한 센서가 모우터를 구동(역회전)시켜 발판을 밀어내므로서 출입구의 요구를 차 바닥면과 같이 되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입계단(1)과 내벽면(2)으로 구성되어 요구(3)를 이루는 출입구(a)와, 상기 출입구(a)를 개폐시키는 도어(D)가 설치된 공지한 것에 있어서, 상기 내벽면(2) 안쪽 공간에는 발판(10)을 설치하고 상기 벌판(10)의 저면 전후방에는 굴정이 용이한 랙기어(11)(11')를 고정시키고 상기 랙기어(11)(11')는 가이드로울러(12)(12')에 의해 각각 ㄱ자형으로 절곡되게 하여 상기 랙기어(11)(11')의 중첩부 사이에는 모우터(M)로 구동되는 피니언(13)과 치합되게 했으며, 상기 도어(D)와 차체에는 모우터(M)의 구동되는 피니언(13)과 치합되게 했으며 상기 도어(D)와 차체에는 모우터(M)의 구동센서(S)(S')를 장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객이 승차하기 위하여 도어(D)를 열면 도어(D)에 장치된 센서(S)가 차체에 장치된 센서(S')와 격리되면서 차체센서(S')가 이를 감질하여 모우터(M)를 구동시키면 모우터(M)가 구동되면서 피니언(13)이 역회전하여 피니언(13)과 치합된 랙기어(11)(11')를 끌어당기면 출입구로 나가있던 발판(10)이 내벽면(2) 안쪽 공간으로 들어오게 되어 출입구로 자유로이 승객이 승차할 수가 있으며 승객이 승차후에 도어(D)를 닫으면 도어에 장치된 구동센서(S)가 구동센서(S')에 근접되면서 모우터(M)을 정회전되도록 구동시켜 발판(10)을 출입구(a)의 요구(3)로 밀어내어 요구(3) 상태가 발판(10)에 의해 차바닥과 같이 청활면을 이루게 됨으로 차내 승객이 발판(10)을 밟고 차내에서 편안하게 이동할 수가 있으며 차내에서 서 있는 승객에게도 급정거 등으로 인한 실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출입계단(1)과 내벽면(2)으로 구성되어 요구(3)를 이루는 출입구(a)와, 상기 출입구(a)를 개폐시키는 도어(D)가 설치된 공지한 것에 있어서, 상기 내벽면(2) 안쪽 공간에는 발판(10)을 설치하고 상기 발판(10)의 저면 전후방에는 굴절이 용이한 랙기어(11)(11')를 고정시키고 상기 랙기어(11)(11')는 가이드로울러(12)(12')에 의해 각각 ㄱ자형으로 절곡되게 하여 랙기어(11)(11')의 중첩부 사이에는 모우터(M)로 구동되는 피니언(13)과 치합되게 했으며, 상기 도어(D)와 차체에는 모우터(M)로 구동되는 피니언(13)과 치합되게 했으며 상기 도어(D)와 차체에는 모우터(M)의 구동센서(S)(S')를 장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출입구의 발판 자동출몰장치.
KR2019940038521U 1994-12-30 1994-12-30 자동차 출입구의 발판 자동출몰장치 KR0135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521U KR0135200Y1 (ko) 1994-12-30 1994-12-30 자동차 출입구의 발판 자동출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521U KR0135200Y1 (ko) 1994-12-30 1994-12-30 자동차 출입구의 발판 자동출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312U KR960022312U (ko) 1996-07-20
KR0135200Y1 true KR0135200Y1 (ko) 1999-01-15

Family

ID=1940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521U KR0135200Y1 (ko) 1994-12-30 1994-12-30 자동차 출입구의 발판 자동출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2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822B1 (ko) * 2008-04-17 2009-08-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용 보조발판장치
KR100930693B1 (ko) * 2004-12-14 2009-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플로어스텝부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693B1 (ko) * 2004-12-14 2009-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플로어스텝부 개폐장치
KR100911822B1 (ko) * 2008-04-17 2009-08-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용 보조발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312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736B2 (en) Boarding and/or access aid for vehicles with passenger transportation
US4984399A (en) Automobile enclosure
JP2000108890A (ja)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KR0135200Y1 (ko) 자동차 출입구의 발판 자동출몰장치
JP2004042841A (ja) プラットホーム用2枚扉式可動柵
GB2216869A (en) Stair lift
KR200294519Y1 (ko) 경사형 엘리베이터와 경사 안내부 및 경사형 엘리베이터시스템
KR100203496B1 (ko) 승합차의 도어 자동개폐장치
KR960005855B1 (ko) 차량개구 폐쇄조립체
JPH0327000Y2 (ko)
US4387912A (en) Seatbelt system
JPH0238292A (ja) 車両用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H05170390A (ja) エレベータ出入口装置
KR950001761Y1 (ko) 신발 수납장치를 갖는 차량용 매트
CN201385624Y (zh) 新型客车卫生间
JPH0421703Y2 (ko)
KR920005974Y1 (ko) 승용차문의 자동개폐장치 구조
KR20030004565A (ko)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KR940008666Y1 (ko) 캡슐(Capsule)탑재용 트럭
JP2002321623A (ja) 鉄道車両用の乗降補助装置
KR0127724Y1 (ko) 자동문을 갖는 지하철 승강장 칸막이 시설
KR960004039Y1 (ko) 비닐하우스용 창문 개폐장치
RU24458U1 (ru) Лифт для пешеходных переходов
JPH0728346Y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における天井装置
JPH011190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