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974Y1 - 승용차문의 자동개폐장치 구조 - Google Patents

승용차문의 자동개폐장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974Y1
KR920005974Y1 KR2019900006253U KR900006253U KR920005974Y1 KR 920005974 Y1 KR920005974 Y1 KR 920005974Y1 KR 2019900006253 U KR2019900006253 U KR 2019900006253U KR 900006253 U KR900006253 U KR 900006253U KR 920005974 Y1 KR920005974 Y1 KR 920005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door
pinion
gear
ge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988U (ko
Inventor
전병일
Original Assignee
전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일 filed Critical 전병일
Priority to KR2019900006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974Y1/ko
Publication of KR910019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9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62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용차문의 자동개폐장치 구조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의 개폐장치어셈블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중 감속기 내부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3도는 상기 감속기를 정면에서본 상태의 결합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제5도는 상기 제4도 상태에 있던 도어가 본 고안 작동에 의해 열려진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설시상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속기어셈블리 2 : 모-터
3 : 주동헬리컬기어 4 : 중동헬리컬기어
5 : 피니언 6 : 지지휘일
7 : 랙크 8 : 부착판
9 : 도어 10 : 개폐장치어셈블리
11 : 격벽 11' : 랙유통구멍
12 : 차체 13 : 연결구
13 : 고정틀 17 : 온, 오프 스위치
본 고안은 승용차문의 자동개폐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보유되 있는 전원을 주동력으로 하여 모터가 그 축단에 축설된 주동헬리컬기어를 회동시켜주면, 피니언과 랙크가 상호 유기적으로 지지안내 작용하게 되어 승용차문(이하 도어라 함)이 열리거나 닫히는 작용이 실시되게 하는 것이다.
특히, 스텝핑 모터를 비롯한 헬리컬기어가 또다른 수개의 타이밍기어를 한몸체에 결합해서 랙크와 유기적으로 작동하게하여 도어내부에 주어진 최소한의 공간에 간단하게 장착해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단은, 본원출원인이 1989년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9-5309호, 공개번호, 제90-18578호(1992.5.4)일자 출원공고)에 의해 알려진 바도 있었지만, 상기 선출원인의 경우는 실시과정에서 그 구조상 다소의 결함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을 안출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6도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6도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차체(12)와 도어(9) 내부에 랙크(7) 일단부와 고정틀(14)의 부착판(8)이 장착실시 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첨부도면 제4도 내지 제5도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차체(12)에 랙크(7)의 연결구(13)를 형성하여야 하며, 그 랙크(7)가 운동할수 있는 도어 랙유통구멍(11')을 도어(9)의 격벽(11)부에 형성한다.
이때의 상기 차체(12)라 함은 도어(9)와 인접해 있는 도어트림의 격벽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그 차체(12)와 도어(9)의 격벽(11)사이에는 일정한 폭의 공간이 통상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수 있는데, 따라서 상기연격구(13)가 그 공간에 위치되도록 용착 형성하며, 이때의 상기 연결구(13)에 랙크(7)일단부가 힌지핀(P)으로 설치되어 피니언(5)회동에 따라 수평회전운동을 하게되고, 이어서 도어(9)가 개폐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랙유통구멍(11')은, 도어(9)의 격벽(11)에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랙크(7)가 유통할수 있도록 운동각도에 맞추어서 적정한 크기로 통공 형성하게 되며, 그 상, 하면에는 고정틀(14)의 부착판(8)을 고정시킬수 있도록 볼트구멍(도시없음)을 형성해서 모터(2)와 감속기어셈블리(1)가 견고하게 결합되 있는 고정틀(14)을 결착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고정틀(14)은 금속판을 절단절곡하여 첨부도면 제1도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내부에 공간(14a)이 형성되도록 ""형으로 직각형성하여 그저면판상(14b)에 수개의 볼트그멍을 형성하고, 양측모서리를 상기 랙크(4)가 수평운동할수 있도록 운동공간(14c)을 형성하며, 그 전면중앙 아래위로 향한 부착판(8) (8')을 직각으로 절곡 형성한다.
이때의 상기 부착판(8) (8')에는 상긱 격벽(11)에 볼트로 결합할수 있도록 한개 내지 두개 내외의 구멍(8a)을 각각 형성하여, 감속기어셈블리(1)를 고정결합하는 한편, 모터(2)를 감속기어셈블리(1)저면에 하나의 몸체로 결합하여 도어(9)내부에 고정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어셈블리(1)는, 그 회전비율과 회동력이 안배 구성된 각각의 크고 작은 주동헬리컬기어(3)를 비롯한 중동헬리컬기어(4)와 제1타이밍기어(G1) 및 제2, 제3타이밍기어(G2) (G3)를, 형성하여 각각의 아이들샤프트(S, T)로 축설하고, 종동기어(4a)와 베어링(5a), 피니언(5)을 종동축(5')에 축설하여 기어박스(10')에 교합축설하되, 이때의 상기 기어박스(10')는, 케이싱(10a)과 박스브라켓(10b)을 각각 형성하여 결합하며, 그 내부에는 각각의 구멍을 가진 판넬브라켓(10c)을 결합구성해서, 상기 모터(2)와 고정틀(14)사이에, 볼트로 결합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주동헬리컬기어(3)는, 모터(2)축단에 형성되멸, 피니언(5)은, 케이싱(10a)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축설되어, 랙크(7)와 유기적으로 교합운둥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의 상기 피니언(5)과 지지휘일(6)은, 고정틀(14)의 공간(14a)내부 즉, 저면 판상에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설치된체, 상기 랙크(7)에 유도되거나 안내받게 된다.
상기 랙크(7)는, 그 기어부(7a)가 상기의 피니언(5)과 교합되고, 이면이 지지휘일(6)에 접촉된채 상기 피니언(5)회동에 따라 수평운동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랙크(7)는, 도면 제1도 및 제4도 내지 제5도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형상모양으로 그몸체를 만곡형성하되, 만곡내향진 일면부에 일정한 구간의 기어부(7a)가 형성되고, 그 일단부에는 상기 차체(12)연결구(13)에 힌지핀(P)으로 연결할수 있도록 구멍(7b')을 가진 고리부(7b)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한 랙크(7)는, 그 고리부(7b)가 부착판(8)의 전면방향외부로 돌출되도록 고정틀(14) 공간(14a)으로 밀어 넣어서, 상기 피니언(5)과 유기적으로 작동할수 있게 교합구성한다.
이와같이 형성한 개폐장치어셈블리(10)는, 상기 도어(9)의 내측에서, 랙크(7)의 고리부(7b)가, 랙유통구멍(11')을 통해서 연결구(13)로 빠져 나오게 한후 부착판(8)을, 도어(9)내부 격벽(11)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이어서 랙유통구멍(11')을 통해서 격벽(11)외부로 나와있는 랙크(7)의 고리부(7b)를 차체(12)의 연결구(13)에 힌지핀(P)으로 연결하고, 운전석주변에는 열림, 닫힘스위치(17)를 구비하며, 전원이 연결된 별도의 솔레로이드장치(도시없음)를, 도어록크(도시없음)와 연결하여 도어(9)를 여닫을수 있게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좁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9)를 열고자 하는 목적으로, 열림, 닫힘스위치(17)를 열림방향으로 누르게되면, 그 전원이 별도의 솔레로이드(도시없음)와 모터(2)로 인가되면서 솔레로이드와 모터(2)가 작동하게 되고, 이어서 솔레로이드는 밀거나 당기는 운동을 하여 도어록크(도시없음)를 해제시켜주는 한편, 모터(2)는 그 축상의 주동헬리컬기어(3)를 회동시켜 주게되어, 이와 교합되있는 중동헬리컬기어(4)를 비롯한, 제1타이밍기어(G1)와 제2, 제3타이밍기어(G2) (G3)를 회동시켜서 종동기어(4a)에 의한 피니언(5)을 회동시켜 주게되므로, 도어(9)가 열리게 된다.
이때의 상기 주동헬리컬기어(3)는, 모터(3)회전비와 동일하게 회전되지만, 이와 교합되있는 주동헬리컬기어(4)는, 그 지름이 큰만큼 낮은 비율로 감속회전하면서 그 회전동력을 제1타이밍기어(G1)를 비롯한 제2, 제3타이밍(G2) (G3)를 거쳐서, 종동기어(4a)를 회동시켜 주게 되어, 피니언(5)을 회동시켜 주게되며, 이와 동시에 일단부가 차체(12)에 핀설되어 있는 상기 랙크(7)의 기어부(7a)를 따라 자리이동을 하게 되고, 따라서 피니언(5)이 랙크(7)를 따라 회동이동하는 만큼 도면 제5도에서와 같이 도어(9)가 열리게 되는 것을 알수 있는데, 이러한 개폐작용은, 상기 연결구(13)에 연결되있는 힌지핀(P)을 정점으로 랙크(7)가 원을 그리면서 회동이동하게 되므로, 이에 교합되어 있는 피니언(5)이 그 랙크(7)의 기어부(7a)끝으로 이동되면서 도어(9)가 열리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9)를 열고자 할대에는 그 열림, 닫힘스위치(17)를 열림방향으로지속적으로 누르고 있게 되며, 요구하는 각도에서 정지시키고자 할때는 느르고 있던 스위치(17)에 손을 떼게 되면, 이와 동시에 전원이 차단되면서 모터(2)는 멈추게 되고, 솔레로이드는 원위치되어 당기거나 밀고있던 도어록크를 원위치 시켜놓게된다.
또한, 상기의 랙크(7)는, 그 이동하는 과정에서 랙유통구멍(11')에서 이동각도만큼 자리이동을 하게 되므로, 도어(9)가 열릴때 전혀 지장을 받지 않게 되며, 피니언(5)의 경우는, 랙크(7)의 기어부(7a)를 따라 끝까지 이동하더라도 상기 랙크(7)의 끝 일부는 기어형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멈추게 되나, 그 이상의 각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멈출수 있게 하기위해 모터(2)를 스텝핑모터로 구비한다.(스텝핑모터, 일정하게 주어진 시간이나 회전수 만큼만 회전하고 지되는 구조로 가진것으로서, 로봇등의 정밀기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임.)
또한 상기 이동운동하는 랙크(7)는, 그 피니언(5)이 회동하는 정, 역회전 방향에 따라 그 이면이 지지휘일(6)과 밀착운동을 하게 되므로 요동없이 항시 일정하게 이동운동을 할수있게 되고, 랙크(7)가 이동함 만큼의 필요한 각도는 고정틀(14)의 선단 모서리에 형성된 운동공간(14c)이 보상해 주게 되어 요구하는 만큼 제지 받지않고 원활히 운동할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도어(9)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열림, 닫힘스위치(17)를 닫힘쪽을 눌러서 도어(9)를 닫게 되는데, 닫힘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역자용에 의해 랙크(7)의 외부방향으로 이동되었던 피니언(5)이, 그 랙크(7)의 내측으로 원위치 이동하게 되므로, 이와동시에 열려있던 도어(9)는 도어(9)는 도면 제4도에서와 같이 닫혀지게 되고 랙크(7)도 원위치되므로 쉽고 간편하게 도어(9)를 자동으로 여닫을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원이 인가 되어 있지 않는 평상시 즉, 처음에 자동차에 승차하거나, 운행후 차에서 내릴때는 상기 본 고안과 상관없이 도어(9)를 열어야 하는데, 이때에는 전원 불통상태에 있으므로, 통상의 방법으로 도어(9)를 여닫게 되며, 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는 무동력 상태의 모터(2)가 도어(9)를, 열거나 닫는 방향에 따라 자유회동운동하게 되므로 전원이 인가된 자동수단 및 전원이 불통된 인위적 수단에 따라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는 것으로, 노약자를 비롯한 몸이 불편한 환자 및 모든 승객들의 교통수단 이용에 따른 안전사 방지 및 예방차원에서의 많은 도움을 줄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에 보유되어 있는 DC전원을 이용하여 정, 역회전하는 모터와 수조의 기어들을 감속 및 증속배열하여서 승용차문을 열거나, 닫을수 있게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일정한시간 내지는 지정된 회전비 만큼만 지정작동되는 스텝핑모터(2)를 사용하여 그 축단면에 주동헬리컬기어(3)를 형성하며, 상기 주동헬리컬기어(3)와 교합되는 중동헬리컬기어(4)를 교합해서, 제1타이밍기어(G1)를 비롯한 제2, 제3타이밍기어(G2) (G3)를 순차적으로 교합하며, 종동축(5')에 종동기어(4a)와 피니언(5)을 동시출설하되, 피니언(5) 이 케이싱(10a)외부로 결합되며, 상기 케이싱(10a)은, 그 내부에 판넬브라켓(10c)을 갖게하는 한편, 그 외부걸림턱이 주변형성된 박스브라켓(10b)을 형성하여 밀폐 구성하며, 상기 케이싱(10a)일면에는, 단면 형상이 "ㄷ"모양으로된 고정틀(14)와 결합하되, 그 고정틀(14)은 공간(14a)이 형성되어, 양측모서리에 운동공간(14c)과 그 중앙 아래위로 볼트구멍(8a)을 가진 부착판(8)을 직각 형성하며, 상기 공간(14a)내부의 저면판상(14b)위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지지휘일(6)와 피니언(5)을 입설하며, 평면상 ""형 랙크(7)의 몸체를 형성하여 만곡내향면 일측에 기어부(7a)를 형성하고, 그 일단부에 구멍(7b')을 가진 고리부(7b)를 갖게해서 상기 피니언(5)과 교합시키며, 상기 차체(12)와 격벽(11)에는, 상기 랙크(7)를 연결하는 연결구(13)와, 그 랙크(7)가 유통운동하는 랙유통구멍(11')을 형성하고, 도어(9)내측 격벽(11)에 부착판(8)으로 개폐장치어셈블리(10)를 고정설치하며, 상기 랙크(7)의 고리부(1b)를 상기 격벽(11)의 랙유통구멍(11')을 통해 차체(12)의 연결구(13)와 힌지핀(P)으로 연결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문의 자동개폐장치 구조.
KR2019900006253U 1990-05-12 1990-05-12 승용차문의 자동개폐장치 구조 KR920005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253U KR920005974Y1 (ko) 1990-05-12 1990-05-12 승용차문의 자동개폐장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253U KR920005974Y1 (ko) 1990-05-12 1990-05-12 승용차문의 자동개폐장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988U KR910019988U (ko) 1991-12-19
KR920005974Y1 true KR920005974Y1 (ko) 1992-08-27

Family

ID=1929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253U KR920005974Y1 (ko) 1990-05-12 1990-05-12 승용차문의 자동개폐장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9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750B1 (ko) * 2001-07-12 2003-06-18 동아특수정밀 주식회사 승용차문 자동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988U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2185A (en) Door operating device for a slide door unit
US4436270A (en) Support mechanism of swivel seat structure
HU903295D0 (en) Swinging push door for vehicles
US3403926A (en) Extendable and retractable step apparatus
KR920005974Y1 (ko) 승용차문의 자동개폐장치 구조
US3936158A (en) Remote control rear view mirror operating mechanism
JPH0227513B2 (ko)
KR100203496B1 (ko) 승합차의 도어 자동개폐장치
JPH0546968Y2 (ko)
JPH0675826U (ja) リヤウィンドウ開閉装置
JPS5823701Y2 (ja) ジドウシヤドアカイヘイソウチノクドウデンタツキコウ
JPS6338047A (ja) シ−トスライド装置
JPS58101832A (ja) 乗物用座席
JPH0640866Y2 (ja) 車両における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H028116B2 (ko)
JPS5854277Y2 (ja) パツシブシ−トベルト装置の駆動装置
JPH053387Y2 (ko)
JPH072740Y2 (ja) 車両用の窓開閉装置
JPH022668Y2 (ko)
JPH04372434A (ja) 車両用ステップ
JPS58156668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2668325B2 (ja) 引戸用開閉装置
JPS6019002Y2 (ja) パツシブシ−トベルト装置
KR19980044668U (ko)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JPH022915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