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848B1 - 밀폐형 전동압축기용 프로텍터(protector) - Google Patents

밀폐형 전동압축기용 프로텍터(protector)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848B1
KR0134848B1 KR1019940024168A KR19940024168A KR0134848B1 KR 0134848 B1 KR0134848 B1 KR 0134848B1 KR 1019940024168 A KR1019940024168 A KR 1019940024168A KR 19940024168 A KR19940024168 A KR 19940024168A KR 0134848 B1 KR0134848 B1 KR 0134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terminal
protector
holde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981A (ko
Inventor
이사오 히가시카타
요시히사 우에다
히데키 코세키
Original Assignee
니시카와 히로토시
가부시끼가이샤 우부카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3935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348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5259331A external-priority patent/JP29345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52917A external-priority patent/JP2769600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카와 히로토시, 가부시끼가이샤 우부카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니시카와 히로토시
Publication of KR950008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01H37/54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 H01H37/5427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encapsulated in sealed miniaturised housing
    • H01H37/5436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encapsulated in sealed miniaturised housing mounted on controll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5Devices for sensing temperature,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66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lug and socket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밀폐형 전동 압축기에 사용되는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
프로텍터의 부착이 용이하면서 부착위치를 최소한으로하기 위해 전동 압축기의 밀폐하우징내의 여분의 공간을 고려해서 하우징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압축기의 작동시에 진동에 의해 프로텍터와 연결단자와의 고정부에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전원공급단자가 배치된 밀폐형 하우징과 전기모터와 소정량의 냉각가스가 포함된 압축장치등을 포함하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를 위한 열프로텍터에 있어서, 압축기의 하우징내에 배치되며, 열응답요소가 수용된 금속케이스와 금속케이스상에 설치된 리드단자와 리드단자에 고정된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열응답스위치와 절연재료로 형성되며, 열응답스위치의 케이스를 수용하는 제1공동과 리드단자와 연결단자사이의 고정부를 수용하는 제2공동과 연결단자를 수용하는 제3공동을 포함하고 각 공동은 그 한면이 개방되어 있는 홀더와 리드단자와 연결단자사이의 고정부가 홀더와 확실하게 일체가 되도록 홀더의 제2공동내에 설치된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형 전동압축기용 프로텍터(protector)
제 1도는 본 발명의 프로텍터를 사용한 밀폐형전동 압축기의 일실시예.
제 2도는 제1도의 밀폐형압축기의 2-2선단면도.
제 3도는 절연재가 충진되어 있지 않은 제2공동의 평면도.
제 4도는 절연재가 충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3도의 4-4선 단면도.
제 5도는 열프로텍터의 조립사시도.
제 6도는 열프로텍터의 사시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적용한 홀더의 사시도.
제 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적용된 홀더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제 9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11도는 제 10도의 11-11선에 따른 단면도.
제 12도는 제10도의 12-12선에 따른 단면도.
제 13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15도는 제4실시예에 의한 홀더의 측면도.
제 16도는 제4실시예에 의한 홀더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압축기 3 - 하우징
4 - 모터 5 - 압축장치
10 - 리드선 11 - 프로텍터(protector)
12 - 열응답스위치 13 - 절연홀더
본 발명은 전기 구동형 압축기의 밀폐하우징에 수용된 전기모터, 또한 압축장치와 소정량의 압축가스를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과 압축기의 하우징내에 수용된 형식의 열 프로텍터(themal protector)의 과열과 과전류를 방지하는 열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바이메탈 또는 다른 형식의 열반응스위치로 구성된 다양한 형식의 열프로텍터는 종래부터 밀페형전동압축기에서 과부하에 의한 과열상태로부터 전기모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형식의 하나는 열프로텍터가 열응답스위치와 모터 또는 냉각가스 사이의 열교환을 좀더 활성화시키기 위해 압축기의 밀폐하우징내에 설치 했었다. 이런 형식에 있어서, 열프로텍터는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55-87170에 소개된 바와 같이 (제1,2도 참조) 모터의 코일에 밀착해서 묶여 있다. 또한, 열프로텍터는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소 60-95183호에 소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부재 또는 압축기 하우징의 내벽상에 장착되어 왔다.
열프로텍터를 모터 코일에 함께 감는 것은 쉽지도 않을뿐더러 문제를 일으킨다. 한편, 장착은 열프로텍터가 압축기의 하우징내에서 탄성부재상에 장착될 때 좀더 용이하게 수행되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 탄성부재와 다른 장착부품은 압축기 하우징내에서 확실하게 설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압축기 하우징과 모토권선사이의 과도한 절연공간이 필요함으로써 압축기의 하우징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전술한 결점에 감안해서 미국특허공보 제 4,791,329호에서는 모터의 열프로텍터가 탭이나 리셉터클의 형식으로 고정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프로텍터는 소켓내에 수용되거나 또는 소켓의 외면에 장착된다. 그래서, 모터의 열프로텍터의 단자은 압축기의 하우징내에 위치한 유리절연된 전원공급단자의 단자핀에 직접 연결된다. 그러나, 비록 상기한 형식의 모터프로텍터가 프러그_인 형식이긴 하지만 크기가 크며, 전원공급단자로부터의 착탈이 기대한만큼 용이하지 않다. 말하자면, 상기한 장착구조에 있어서, 모터의 작동중에 발생한 힘은 프로텍터와 각 터미널사이의 고정부위에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양자사이에 고정된 부위가 변형되거나 휘게 되므로 고정부위의 기계적인 강도가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하우징내에 배치된 전원공급단자에 연결된 프로텍터의 부위의 기계적강도가 있는 개선된 열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응답스위치와 도전부품 또는 그 둘레와의 사이에 절연을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열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 공급단자가 설치된 밀폐형 하우징과 전기 모터와 소정량의 압축가스가 담긴 압축기를 포함하는 밀폐형전동압축기를 위한 열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열프로텍터는 압축기의 하우징내에 배치된 열응답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열응답요소에 수용된 금속케이스와 금속케이스에 설치된 리드단자와 리드단자에 고정된 연결단자를 포함한다. 홀더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재료로 형성되며, 열응답스위치의 케이스를 수용하는 제1공동, 리드단자와 연결단자사이의 고정부위를 수용하는 제2공동, 그리고 연결단자를 수용하는 제3공동을 포함하며, 각각의 공동은 한면이 개방되어 있다. 단일체가 리드단자와 연결단자사이의 고정부위를 홀더와 일체가 되도록 하기위해 홀더의 제2공동내에 마련된다.
단일체는 리드단자와 연결단자사이의 고정부가 제2공동내에서 제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홀더의 제2공동내의 충진되는 경화가능한 절연충진재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열응답스위치의 리드단자와 연결단자사이의 고정부는 제2공도내의 절연충진재와 같은 단일체에 의해 홀더에 완전하게 고정되므로 압축기의 진동이 열응답스위치에 전달되는 것이 고정부에 차단된다.
게다가, 열응답스위치가 절연재료로 형성된 홀더내에 수용됨으로써 열응답스위치와 전도체부분 또는 모터와 같이 그것의 주위와의 사이의 절연을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압축기하우징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연결단자가 조립등에 의해 압축기의 전원공급단자상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연결단자는 그것이 제3공동내에 수용될 때 강화된다. 결과적으로 프로텍터의 자중에 의한 연결단자의 변형이 방지된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부재가 틈(gap)을 통하여 냉각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제1공동의 내주면과 열응답스위치 케이스의 외주면사이의 규정된 틈(gap)을 위해 홀더의 제1공동내에 설치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단일체는 제2공동인 홀더의 벽을 구성하도록 홀더와 함께 일체가 되며, 리드단자와 연결단자사이의 고정부는 삽입주조(insert molding)방식으로 벽상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고정부가 홀더에 완전하게 고정되게 된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열응답스위치는 제1,제2의 리드단자와 제1,제2의 연결단자를 갖는다. 제1리드단자는 제2공동내에서 삽입주조형식으로 홀더내에 마련된 제1연결단자에 고정된다. 제2리드단자는 제2공동내에서 제3공동내에 수용된 ㅔ2연결단자에 고정된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단자는 리드단자에 고정되는 제1연결단자와 열응답스위치의 금속케이스에 고정되는 제2연결단자로 구성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 제6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밀폐형전동압축기는 제1실시예의 프로텍터(11)이 하우징내에 위치하도록 장착된, 상부커버(2A)와 리셉터클(2B)을 포함한 밀폐형 고압하우징(3)으로 구성된다. 하우징(3)은 전기모터(4)와 모터(4)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장치(5)를 둘러싸고 있다. 흡입관(6)은 하우징(3)의 주위의 저벽을 통해서 연장되며, 외부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 부터 공급된 냉각가스가 압축기의 하우징(3)내로 인도되도록 압축장치(5)에 연결된다. 압축장치(5)에 의해 압축된 냉각가스는 압축기하우징(3)내로 방출되며, 모터(4)의 주위를 따라 흐른다.
냉각가스는 커버(2A)를 통해 연장된 방출파이프(7)를 통해 열교환기내로순환된다. 유리밀봉단자(8)는 압축기하우징(3)의 커버(2B)를 통하여 기밀하게 연장되며, 용접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된다. 유리 밀봉단자(8)는 세개의 도전핀(8,A),(8B),(8C)를 포함하며, 세개의 연결탭단자(8D)는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압축하우징(3)내에 위치한 도전핀(8,A),(8B),(8C)의 끝에 장착된다. 모터(4)의 권선으로부터 뻗어나온 리드선(10)은 각각 도전핀(8B)(8C)에 연결된다. 프로텍터(11)은 다른 도전핀(8A)에 연결된다. 프로텍터(11) 은 제 3도 ~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로텍터(11)은 열응답스위치(12)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열응답스위치(12)를 수용하는 절연홀더(13)으로 구성된다. 열 응답스위치(12)는 공지기술로 잘 알려진 밀폐형금속케이스(12D)와 케이스(12D)내에 수용된 바이메탈 열응답요소(도시하지 않음)을 구성된다. 그러한 열응답요소의 구조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공보 5,015,985호에 잘 나타나 있다.
열응답스위치(12)는 각각 하우징(12D)를 벽을 관통해 나와서 유리나 세라믹등의 밀봉재에 의해 제자리에 기밀하게 고정된 두개의 리드단자핀(12A),(12B)를 갖는다. 두개의 연결단자(14A),(14B)는 전원공급단자(8)의 도전핀(8A)에 연결되며, 리셉터클(도시하지 않음)은 각각 모터(4)로 부터 리드선(10)에 연결된다. 홀더(13)은 일반적으로 박스형내에 형성되며, 한쪽에 개구(13E)를 갖는다. 홀더(13)의 내부공간에 리브(13A)에 의해 제1수용부(13B)또는 제1공동과 단자수용부(13C)또는 제2공동으로 구분된다. 열응답스위치(13C)의 몸통은 열응답스위치(12)의 단자핀(12A),(12B),(12C)가 단자수용부(13C)에 수용되는 동안에 주수용부(13B)내에서 둘러사여 진다. 상하 개구단을 갖는 단자홀딩부(13D)또는 제3공동은 단자수용부(13C)에 이웃하도록 설치된다. 연결단자(14A),(14B)는 용접에 의해 각각의 리드단자핀(12A),(12B)에 고정된다. 그런다음 연결단자(14A)의 말단이 단자홀딩부(13D)내로 삽입됨과 동시에 열응답스위치(12)의 케이스(12D)가 주수용부(13B)에 수용되며, 리드단자(12A)(12B)사이의 부분에 고정되며, 각각의 연결단자(14A)(14B)는 단자수용부(13C)내에 수용된다. 누름돌기(13F)는 홀더(13)의 주수용부(13B)의 내벽에 형성된다. 주수용부(13B)내에 수용된 열응답스위치(12)의 케이스의 한끝면이 열응답스위치(12)가 홀더(13)에 의해 일시적으로 지지되는 돌기(13F)에 의해 리브(13A)에 대항해 밀어넣어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 에폭시수지의 혼합물이나 고형제와 같은 소정량의 액체절연충진제(15)이 리드단자(12A)(12B)사이의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주입되며, 각각의 연결단자(14A),(14B)는 충진제(15)에 의해 피복된다. 충진제(15)는 제4도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응답스위치(12)가 홀더(13)에 고정되도록 고화된다. 그러므로, 열응답스위치(12)는 압축기내에서 홀더(13)의 개구(13E)를 통해서 냉각가스와 양호하게 접촉하도록 홀더(13)내에 고정되고 수용되어서 열교환이 열응답스위치(12)와 냉각가스사이에서 수행된다.
절연충진제(1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열응답스위치(12)를 수용한 주수용부(13B)내에 주입되어 단일체로 작용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열응답스위치(12)의 하우징(12D)의 끝면은 충진제(15)가 주수용부(13B)내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리브(13A)과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충진제위치(12)주위면을 통해 흐름으로써 모터의 과열상태 또는 압축장치의 비정상 상태에 기인한 열에 열응답스위치의 열응답성을 향상시키는 열교환효율이 향상된다.
열교환효율은 또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관통구멍(17G)을 홀더(13C)의 주수용부(13B)의 측벽에 형성함으로써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제8도에 있어서, 얇은판부분(13A1)는 열응답스위치(12)가 홀더(13)과 좀더 밀착하도록 하기 위해 리브(13A)에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니드단자핀(12A)와 (12B)사이에 고정된 부분들과 각각의 연결단자(14A),(14B)가 단자수용부(13C)내에 수용된 후에 절연충진재(13)이 수용부(13C)에 고정된 각 부분들을 완전히 고착시키기 위해 주입된다. 압축모터의 진동에 의한 비틀림력과 굽힘력은 열전단스위치(11)이 압축기(1)의 전원공급단자(8)상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고정된 부분에 전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연결단자(14A),(14B)가 열응답스위치(12)로 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조는 유리 또는 세라믹과 같이 열응답스위치(12)의 리드단자핀(12A),(12B)를 지지하는 밀폐부재(12C)상에 가해지는 진동능력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열응답스위치(12)는 밀폐재료(12C)의 크랙의 발생에 의한 기밀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텍터(11)는 압축기(1)의 전원공급단자(8)에서 단일연결단자(14A)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연결단자(14A)부위나 특히 만곡부(14A1)이 압축기의 진동에 영향을 받기쉬운 프로텍터(11)의 자중에 기인한 힘이 연결단자(14A)부위에 집중될때 변형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 연결단자(14A)는 움직이지 않도록 보강하기 위해 홀더(13)의 단자(13D)내에 수용된다.
그러므로, 연결단자(14A)의 만곡부(14A1)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막을수 있다. 열응답스위치(12)가 절연홀더(13)내에 수용됨으로써, 절연을 위한 공간이 연응답스위치(12)와 도전체 또는 그 둘레부분사이에서 감소된다. 게다가, 리드단자(12A)와(12B)와 연결단자(14A),(14B)가 절연충진재(15)내에 묻힘으로서 단자사이의 절연을 위한 공간이 감소되고, 프로텍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제9도 ~ 제1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전기한 실시예에 사용된 절연충진재(15)의 열용량이 상대적으로 크기때문에 열응답스위치(11)에 의해 발생한 열은 홀더(13)에 전달되기 때문에 열응답스위치(11)의 신속한 응답은 기대할 수 없다. 제4실시예는 상기한 결점에 직결된다. 제13도 ~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20)은 주수용부(20G)또는 제1공동, 단자수용부(20K)또는 제2공동 그리고 단자홀딩부(20G)또는 제3공동을 포함한다. 주수용부(20G)에 있어서, 상면과 상면에 이수한 한면은 개방되어 있다.
특히, 제2공동(20K)는 열응답스위치(12)의 케이스내에 자리를 잡도록 하기위해 제1공동(20G)내에 설치된 위치결정부(20J)사이에 위치한다. 연결단자(21)은 삽입주조(insert molding)에 의해 단자고정부(20A)상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단자고정부(20A)는 제2공동으로 규정된 벽의 일부이다. 그러므로, 제4실시예에 있어서 단자연결부재(20A)는 단일체로 제공된다. 연결단자(21)의 양단(21A)와(21B)는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홀더(20)으로부터 노출된다. 연결단자(22)는 단자수용부(20B)내에 수용된다. 연결단자(22)의 만곡부(22A)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자수용부(20B)의 벽(20C)의 상부와 함께 고정된다. 이상태에서 연결단자(22)의 견부(shoulder)(22B)는 연결단자(22)가 홀더(20)에 의해 지지되는 단자수용부(20B)의 내벽상에 형성된 계단부(20D)와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선반(20E)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용접구역(22C)쪽에서 연결단자(22)의 끝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10도 ~ 제12도에 있어서 홀더(20A)의 제2공동(20K)내에 위치한 연결단자(21),(22)의 끝은 용접에 의해 각 단자핀이 고정된 용접구역(21A)(22C)를 갖는다. 관통구멍(20F)는 각각의 용접구역과 연결되도록 하기위해 홀더(20)의 제2공동(20K)의 벽내에 형성된다. 용접전극은 각각의 관통구멍(20F)를 통해 삽입된다. 열응답스위치(12)는 제10도, 제11도,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홀더(20)의 주수용부(20G)에 수용된다. 그다음 열응답스위치(12)는 리브(20H)와 위치결정부(20J)에 의해 위치하게 된다.
그후, 리드터밀널핀(21A)(12B)는 각각 홀더에 고정된 연결단자(21),(22)의 용접구역(21A)(22C)에 용접된다. 용접에 있어서, 용접전극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른 용접전극이 아래로부터 관통구멍(20F)를 통해 삽입되어 전기저항용접이 수행되도록 연결단자(21) 또는 (22)의 용접구역(21A)또는 (22C)의 하면과 접촉되는 동안 위로부터 리드단자핀(12A) 또는 (12B)와 접촉하게 한다.
특히, 제4실시예에 있어서, 수지같은 절연물질(23)이 제11도와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드단자핀과 열응답스위치의 금속케이스사이의 저항전압의 개선을 위한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리드단자(12A),(12B)부근의 열응답스위치벽의 일부에 공급된다.
절연물질(23)은 각 리트단자핀과 열응답스위치사이의 절연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녹여져 고화된다.
밀폐형압축기(1)내의 포로텍터(24)의 장착은 다음과 같다. 제9도에 도시한 압축기(1)의 전원공급단자(8)의 도전터밀널핀(8A)의 탭(8D)가 프로텍터(24)의 연결단자(22)내로 삽입된다.
프로텍터(24)의 다른 연결단자는 제1도에 도시한 모터(4)의 권선으로부터 뻗어나온 리드선(10)의 한끝에 장착된 리셉터클(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프로텍터(24)의 연결과 장착은 완료된다. 압축기의 작동시에 압축기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비틀림과 굽힘은 압축기모터와 전원공급단자로부터 리드선을 통해 프로텍터의 리드단자핀에 공급된다. 그러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단자(21)의 중간부는 삽입주형식으로 홀더(20)에 고정되고 또한, 연결단자(22)의 만곡부(22A)는 홀더(20)의 벽(20C)와 탄성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진동에 의한 힘은 홀더(20)전체에서 받아들여지게 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힘이 각 연결단자와 열응답스위치사이의 고정또는 용접된 부분을 관통하지 않으므로 고정된 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연결단자(22)와 전원공급단자(8)사이의 연결부위가 단자홀더(20B)에 의해 지지됨으로서 연결단자(22)의 편향이나 비틀림이 제한되고, 연결단자(22)의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된다. 열응답스위치(12)의 하우징(12D)의 돔형부(12D1)은 노출된다. 압축기내의 냉각가스는 프로텍터(24)가 신속하게 냉각가스의 온도변화에 응답하도록 열응답스위치(12)와 바로 접촉하여 흐른다. 비록 열응답스위치의 돔형부(12D1)이 전기적으로 절연이 되지 않았지만, 커버(2A)와 압축기(1)의 리셉터클로부터 충분하게 떨어져 있으므로 돔형부(12D1) 은 절연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열응답스위치(12)의 각 리드단자(12A),(12B)는 핀모양으로 형성되며, 하우징벽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스위치하우징의 벽을 통해 돌출된다. 대신에 스위치하우징자체가 단자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구조에 있어서, 연결단자는 스위치하우징에 용접된다. 비록 본 발명이 전기한 실시예에서 밀폐형공압하우징으로 구성된 전기구동압축기에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 스크롤, 그리고 왕복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전원공급단자가 배치된 밀폐형하우징과 전기모터와 소정량의 냉각가스가 포함된 압축장치등을 포함하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를 위한 열프로텍터에 있어서,
    압축기의 하우징내에 배치되며, 열응답요소가 수용된 금속케이스, 금속케이스상에 설치된 리드단자와 리드단자에 고정된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열응답스위치와 절연재료로 형성되며, 열응답스위치의 케이스를 수용하는 제1공동과 리드단자와 연결단자사이의 고정부를 수용하는 제2공동과 연결단자를 수용하는 제3공동을 포함하고 각 공동은 그 한면이 개방되어 있는 홀더와 리드단자와 연결단자사이의 고정부가 홀더와 확실하게 일체가 되도록 홀더의 제2공동내에 설치된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프로텍터(thermal protector).
  2. 제1항에 있어서,
    단일체는 리드단자와 연결단자사이의 고정부가 제2공동내에서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홀더의 제2공동내에 충진되는 경화가능한 전기절연충진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프로텍터.
  3. 제1항에 있어서,
    부재가 틈(gap)을 통하여 냉각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제1공동의 내주면과 열응답스위치 케이스의 외주면사이의 규정된 틈(gap)을 위해 홀더의 제1공동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프로텍터.
  4. 제2항에 있어서,
    부재가 틈(gap)을 통하여 냉각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제1공동의 내주면과 열응답스위치 케이스의 외주면사이의 규정된 틈(gap)을 위해 홀더의 제1공동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프로텍터.
  5. 제1항에 있어서,
    제1공동의 윗면과 적어도 윗면에 이웃한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프로텍터.
  6. 제1항에 있어서,
    단일체는 제2공동인 홀더의 벽을 구성하도록 홀더와 함께 일체가 되며, 리드단자와 연결단자사이의 고정부는 삽입주조(insert molding)방식으로 벽상에 갖추어 진것을 특징으로하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프로텍터.
  7. 제5항에 있어서,
    단일체는 제2공동인 홀더의 벽을 구성하도록 홀더와 함께 일체가 되며, 리드단자와 연결단자사이의 고정부는 삽입주조(insert molding)방식으로 벽상에 갖추어 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프로텍터.
  8. 제7항에 있어서,
    열응답스위치는 제1,제2의 리드단자와 제1,제2의 연결단자를 갖고 있으며, 제1리드단자는 제2공동내에서 삽입주조형식으로 홀더내에 마련된 제1연결단자에 고정되고, 제2리드단자는 제2공동내에서 제3공동내에 수용된 제2연결단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프로텍터.
  9. 제1항에 있어서,
    연결단자는 리드단자에 고정되는 제1연결단자와 열응답스위치의 금속케이스에 고정되는 제2연결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프로텍터.
  10. 제5항에 있어서,
    연결단자는 리드단자에 고정되는 제1연결단자와 열응답스위치의 금속케이스에 고정되는 제2연결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프로텍터.
KR1019940024168A 1993-09-22 1994-09-22 밀폐형 전동압축기용 프로텍터(protector) KR0134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59331 1993-09-22
JP5259331A JP2934571B2 (ja) 1993-09-22 1993-09-22 密閉形電動圧縮機用プロテクタ
JP6052917A JP2769600B2 (ja) 1994-02-25 1994-02-25 密閉形電動圧縮機用プロテクタ
JP94-052917 1994-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981A KR950008981A (ko) 1995-04-21
KR0134848B1 true KR0134848B1 (ko) 1998-05-15

Family

ID=2639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168A KR0134848B1 (ko) 1993-09-22 1994-09-22 밀폐형 전동압축기용 프로텍터(prote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15217A (ko)
KR (1) KR0134848B1 (ko)
CN (1) CN106443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362B1 (ko) * 2007-01-26 2014-06-25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매사추세츠, 인크. 모터 보호기 부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45312Y1 (it) * 1998-05-28 2002-03-20 Zanussi Elettromecc Motocompressore ermetico con dispositivi perfezionatidi comando e di controllo
JP2001085116A (ja) * 1999-09-17 2001-03-30 Texas Instr Japan Ltd 端子金具
JP3600781B2 (ja) * 2000-06-06 2004-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密閉形電動圧縮機用保護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密閉形電動圧縮機及び冷却システム
KR100415817B1 (ko) 2000-12-07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제품용 단자장치 보호커버 및 이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EP1486671B1 (en) * 2002-02-19 2008-01-23 Ubukata Industries Co., Ltd Thermally-actuated switch
JP4011397B2 (ja) * 2002-05-13 2007-11-21 株式会社センサータ・テクノロジーズジャパン 密閉型電動圧縮機用インターナルプロテクタ
CN1295830C (zh) * 2003-01-30 2007-01-17 钱根良 密封型压缩机的马达保护装置
JP4522132B2 (ja) * 2004-04-02 2010-08-11 株式会社生方製作所 電動圧縮機用保護装置
JP4799180B2 (ja) * 2006-01-05 2011-10-26 サンデン株式会社 電動圧縮機
US20080028789A1 (en) * 2006-08-02 2008-02-07 Arylux S.P.A. Terminal block assembly for the connection and control of sealed compressors particularly for home refrigerators
CA2660140C (en) * 2006-08-10 2016-01-19 Ubukata Industries Co., Ltd. Thermally responsive switch
CN101281834B (zh) * 2007-04-03 2010-05-12 贵州航天电器股份有限公司 插接式压缩机保护器
JP2009036056A (ja) * 2007-07-31 2009-02-19 Ubukata Industries Co Ltd 密閉形電動圧縮機
KR101241629B1 (ko) * 2008-05-30 2013-03-11 가부시키가이샤 우부카타 세이사쿠쇼 열응동 개폐기
IT1404255B1 (it) * 2011-01-25 2013-11-15 Gate Srl Dispositivo regolatore di tensione per un motoventilatore associato ad uno scambiatore di calore di un autoveicolo
CN102678508A (zh) * 2011-03-18 2012-09-19 森萨塔科技(常州)有限公司 具有电机保护器的空调压缩机以及空调器
TR201718720T3 (tr) * 2011-12-29 2017-12-21 Arcelik As Termik içeren elektrik motoru.
US9030074B2 (en) 2012-05-04 2015-05-1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Air-cooled generator rotor with improved wedges
US9559517B2 (en) * 2014-09-16 2017-01-31 Hoffman Enclosures, Inc. Encapsulation of components and a low energy circuit for hazardous locations
CN104900369A (zh) * 2015-06-08 2015-09-09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防爆电磁线圈
CN106884797B (zh) * 2015-12-15 2019-11-26 上海海立新能源技术有限公司 压缩机及其接线机构
DE102015122342A1 (de) * 2015-12-21 2017-06-22 OET GmbH Kompressor
US20210099047A1 (en) * 2019-09-30 2021-04-01 Jiangsu Leili Motor Co., Ltd. Motor, water divider and dishwasher with the water divid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7170A (en) * 1978-12-26 1980-07-01 Can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y
US4252394A (en) * 1979-05-16 1981-02-24 Tecumseh Products Company Hermetic compressor motor terminal
IT8153530V0 (it) * 1981-08-07 1981-08-07 Aspera Spa Gruppo di alimentazione e protezione di un compressore ermetico di una macchina frigorifera con regolazione termostatica
JPS6095183A (ja) * 1983-10-31 1985-05-28 Hitachi Ltd 電磁式燃料噴除弁
US4791329A (en) * 1986-06-16 1988-12-13 Susumu Ubukata Motor protector mounting structure for enclosed electric compressors
JP2519530B2 (ja) * 1989-03-01 1996-07-31 生方 眞哉 熱応動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362B1 (ko) * 2007-01-26 2014-06-25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매사추세츠, 인크. 모터 보호기 부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436C (zh) 2001-04-11
CN1106506A (zh) 1995-08-09
KR950008981A (ko) 1995-04-21
US5515217A (en) 1996-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848B1 (ko) 밀폐형 전동압축기용 프로텍터(protector)
KR900003712B1 (ko) 밀폐형 전동압축기용 프로텍터 부착구조
KR900003679B1 (ko) 컴프레사 단자 블럭과 과부하 안전기 조립체
KR100698762B1 (ko) 냉장고 압축기용 접속 패키지
KR19990072831A (ko) 냉동및공조압축기시스템용과전류보호장치
KR890013347A (ko) 모터 압축기 조립체와 그 조립 방법
JP2799204B2 (ja) 電動機保護装置および始動器を組み合わせた装置
RU2301472C2 (ru) Тепловой выключатель
MX2011004399A (es) Dispositivo protector de motor trifasico.
JP2769600B2 (ja) 密閉形電動圧縮機用プロテクタ
JP3010141B2 (ja) 密閉形電動圧縮機用プロテクタ
KR200209503Y1 (ko) 압축기 전동기용 과부하 보호 장치의 클러스터 블록
JP2782173B2 (ja) 密閉形電動圧縮機用保護装置
JP3130738B2 (ja) 密閉型圧縮機の端子箱構造
JP2748314B2 (ja) 密閉形電動圧縮機
US20020018326A1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and equipment using thereof
JPH0297253A (ja) 温度保護スイツチ付電動機
KR100368856B1 (ko) 레진 팩 모터의 프로텍터 고정구조
JP2001115962A (ja) 熱応動スイッチ
JPH0730941Y2 (ja) 密閉形電動圧縮機の保護装置
JP2934571B2 (ja) 密閉形電動圧縮機用プロテクタ
JPH08163830A (ja) 密閉形電動圧縮機用保護装置
JPH1089254A (ja) 密閉形電動圧縮機用プロテクタ
JP2657759B2 (ja) 密閉形電動圧縮機用プロテクタ
JP2000161221A (ja) コンプレッサ用接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