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990B1 - 염 및 솔비톨을 이용한 슈도모나스 균종의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염 및 솔비톨을 이용한 슈도모나스 균종의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화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990B1
KR0133990B1 KR1019940017767A KR19940017767A KR0133990B1 KR 0133990 B1 KR0133990 B1 KR 0133990B1 KR 1019940017767 A KR1019940017767 A KR 1019940017767A KR 19940017767 A KR19940017767 A KR 19940017767A KR 0133990 B1 KR0133990 B1 KR 0133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steine
sorbitol
reaction
at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철수
류옥희
Original Assignee
신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철수 filed Critical 신철수
Priority to KR1019940017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990B1/ko

Links

Landscapes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전환을 이용한 L-시스테인(cysteine) 및 L-시스타인(cystine)의 신규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슈도모나스 균종(Pseudomonas sp.)을 이용하여 D,L-2-아미노-△2-티아졸린-4-카르복실산(D,L-2-amino-△2-thiazoline-4-carboxylic acid, 이하 'D,L-ATC'라 함)로 부터 효과적으로 L-시스테인 및 L-시스타인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염 및 솔비톨을 이용하여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솔비톨을 이용한 효소안정성 증진방법을 연속생산에 적용하여 L-시스테인의 생성 반응시간을 장기간 연장 시킬 수 있으며, 반응중에 생성된 L-시스테인을 분리하여 생성물에 의한 생합성 억제를 줄이면서 L-시스테인의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미반응된 D,L-ATC를 재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Description

염 및 솔비톨을 이용한 슈도모나스 균종의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화 방법
본 발명은 염 및 솔비톨을 이용한 슈도모나스 균종(Pseudomonas sp.)의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D,L-2-아미노-△2-티아졸린-4-카르복실산(D,L-2-amino-△2-thiazoline-4-carboxylic acid, 이하 'D,L-ATC'라 함)의 기질로부터 L-시스테인(cystein)을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균종의 L-시스테인 생성효소를 염 및 솔비톨의 첨가에 의해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함유 아미노산인 L-시스테인은 공기중의 산소에 의해 쉽게 L-시스타인으로 산화되며, 주로 의약품, 화장품, 식품첨가물 등에 이용되어 왔다. 종래, 이러한 L-시스테인의 산업적 생산은 동물의 털이나 인모(人毛)로 부터 추출하는 방법에 의존하여 왔으나, 이 방법은 수율이 7 내지 8%로 아주 낮음은 물론, 제조시 악취가 발생하며 부산물로 발생하는 폐기물 처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화학적으로 시스테인을 합성하는 방법도 있으나, 공정이 복잡하고 생성된 시스테인은 D 및 L형이 공존하므로, 광학적 분리가 수반되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추출방법이나 화학적 합성방법이 아닌 제3의 방법으로 미생물이나 효소를 이용하여 L-시스테인 만을 제조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시도되었으며, 이 중에서도 L-시스테인의 화학적 합성중간체인 D,L-ATC를 기질로 사용하여 L-시스테인 및 L-시스타인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참조: Agric. Biol. Chem., 42, 2315(1978)].
한편, 효소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물질을 효과적으로 대량생산하기 위해서는,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장기간 유지시켜 이를 연속생산 공정에 적용하는 것이 필수 불가결하다. 그러나, L-시스테인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는 실제적인 반응조건하에서 매우 불안정하여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므로, 이를 연속생산에 적용하여 L-시스테인을 제조한 예는 전무한 실정이다. 더구나, L-시스테인의 제조에 관여하는 효소는 최종생성물인 L-시스테인 및 L-시스타인에 의해 생합성이 억제(product inhibition)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참조: Kor. J. Appl. Microbil. Biotech., 18, 49(1990)].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반응물에 염 또는 솔비톨을 가하면, 반응중 L-시스테인 생성효소계의 안정성이 증대되어L-시스테인 및 L-시스타인의 제조시 연속생산이 가능하며, 반응중에 생성된L-시스테인 및 L-시스타인을 제거하여 반응액내 생성물의 농도를 낮추면, L-시스테인 생성반응속도가 증가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L-시스테인 및 L-시스타인의 연속생산이 가능하도록 L-시스테인 생성효소계의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의 L-시스테인 생성효소계를 사용한 연속반응을 통해 L-시스테인 및 L-시스타인을 제조하는 동시에 반응 중에 생성된 L-시스테인 및 L-시스타인을 분리하여, 즉 연속반응공정과 분리공정을 병용하여 L-시스테인을 효과적으로 대량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L-시스테인 생성효소계의 안정성 증진방법 및 전기방법을 연속생산에 적용하여 L-시스테인 및 L-시스타인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아울러 생성된 L-시스테인 및 L-시스타인을 제거하는 분리공정을 병용한 새로운 L-시스테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염 또는 솔비톨을 사용하여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공정, 이를 고정화 균체로 충진된 연속반응기에 적용하는 공정 및 L-시스테인 분리공정을 병용한 2단 반응공정을 개발하여 효과적으로 L-시스테인을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D,L-2-아미노-△2-티아졸린-4-카르복실산 기질용액에 염 및 솔비톨 중 1종 이상의 화합물을 가하는 공정에 의해 슈도모나스 M-38 균종으로 부터 분리한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성을 증대시킨다. 이때, 염으로는 KCl, NaCl, CaSO4, (NH4)2SO4, Na2SO4및 MgSO4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L-시스테인 생성효소로는 D,L-ATC로 부터 L-시스테인을 생산하는 능력을 가지며, 시스테인 디설프하이드라제(cystein desulfhydrase) 활성이 미약한 변이주인 슈도모나스 균종(Pseudomonas sp.) M-38[Biotech. Lett., 14, 1143(1992)]을 사용한다. 즉, 전기 균주를 2.0% 글루코스, 0.5% 효모 추출물, 0.5%펩톤, 0.25% NaCl, 0.1%KH2PO4, 0.05%MgSO4·7H2O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pH가 7.0이 되도록 유지한 배지에서, 30℃, 200rpm으로 진탕배양기(rotary shaker)에서 12시간 정도 배양하여 종배양액을 만든다. 본 배양은 전기와 동일한 배지 50ml을 함유하고 있는 500ml 삼각 플라스크에 종배양액을 8%(v/v)가 되도록 접종하여, 30℃, 200rpm의 조건 및 호기적 조건에서 12시간 진탕배양한다. 그런 다음, 균체내에 효소의 유도생산을 위하여 배양액에 0.15%되게 D,L-ATC(pH 7.0)를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계속 진탕배양한다. 일정량의 배양액을 취하여 4℃에서 8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모으고 0.1M Tris 완충용액(pH 7.8)으로 세척한 후, 균체액을 농축하여 약 40g/1 농도의 균체현탁액을 수득한다. 이를 음파파쇄기(sonicator)로 파쇄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효소액으로 사용한다. 한편, 고정화균체의 제조는 균체현탁액을 3% 소디움 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 용액과 동량 혼합한 다음,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0.05M CaCl2용액에 적하시켜 지름 2mm의 Ca-알지네이트 비드(alginate bead)를 만들어 사용한다. 고정화 균체의 구조를 숙성시키기 위하여, 비드를 4℃에서 12시간 보존하며 L-시스테인 생성능을 향상시키시 위하여 0.1%(w/v) CaCl2를 포함하고 있는 배양배지에서 30℃, 120rpm으로 5시간 진탕배양하고 활성화시켜 사용한다.
그런 다음, D,L-ATC 용액에 염 및 솔비톨 중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전기의 L-시스테인 생성효소와 반응시킨다. 효소액을 이용한 L-시스테인 및 L-시스타인의 생성반응은 0.5mM MnSO4와 0.1% Triton X-100을 포함한 30mM D,L-ATC 기질용액에 효소액을 가하여 30℃에서 일정시간 반응시켜 진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생성된 L-시스테인 또는 L-시스타인의 생성량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컬럼: Crownpak CR(+) 150mm×4mm I.D., 이동상: perchloric acid 수용액(pH 1.3)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또한, L-시스테인의 연속생산은 컬럼(1.7cm×15cm)에 30ml의 고정화 균체를 채워 제조한 공간분율(void fraction) 약 80%의 충진형 반응기(packed bed reactor)를 이용하는데, L-시스테인 생성반응은 0.5mM MnSO4와 0.1% CaCl2, 0.1% Triton X-100을 포함한 30mM D, L-ATC 기질용액을 미량정량펌프를 이용하여 0.25 또는 0.75hr-1의 희석율로 반응기에 연속공급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이때, 반응기 내부의 온도유지는 반응기 외부의 워터쟈켓(water jacket)을 이용하여 항온수조의 물을 순환시켜 30 내지 42℃로 유지시키며,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활성유지는 반응시간에 따른 L-시스테인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계산한다.
한편, 반응중에 생성된 반응액 중의 L-시스테인 및 L-시스타인의 분리를 위하여 이온교환수지로 충진된 분리조를 사용한다. 수지를 컬럼에 충진하여 활성화시킨 후 0.1M Tris 완충용액(pH 7.8)으로 평형화시키고, 솔비톨, D,L-ATC 및 L-시스타인이 포함된 반응액을 통과시켜 생성물인 L-시스타인 만을 흡착시킨다. L-시스테인 및 L-시스타인의 연속생산을 위하여 고정화균체로 충진된 부피 30ml의 충진형 반응기 2개와 이온교환수지로 충진된 2개의 L-시스테인 분리조를 연결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염 및 솔비톨을 이용하여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솔비톨을 이용한 효소안정성 증진방법을 연속생산에 적용하여 L-시스테인의 생성 반응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반응중에 생성된 L-시스테인을 분리하여 생성물에 의한 생합성 억제를 줄이면서 L-시스테인의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미반응된 D,L-ATC를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포화농도의 KCL, NaCL, CaSO4, (NH4)SO4, NaSO4, MgSO4염용액과 0, 40, 80% 솔비톨 용액을 각각 동량 혼합하여 제조한 30℃로 유지된 각 용액상에서 슈도모나스 균종(Pseudomonas sp.) M-38[Biotech. Lett., 14, 1143(1992)]로 부터 얻어진 L-시스테인 생성효소를 48시간 저장하였다. 그런 다음, 0.5mM MnSO4와 0.1% Triton X-100을 포함한 30mM D,L-ATC 기질용액과 30℃, 120rpm으로 반응시켜 생성된 L-시스테인의 양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측정하여 효소의 잔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저장하지 않은 효소활성을 100으로 하여 상대치로 나타낼 때, 염이나 솔비톨이 첨가되지 않은 0.1M Tris 완충용액상에 효소를 저장한 경우 약 12%의 잔존활성을 보였으나, 염과 솔비톨이 함유된 용액상에서는 이들 염의 종류나 첨가량 및 솔비톨 첨가농도에 따라 효소활성이 달리 유지되었다. 즉, 염을 첨가하여 효소가 존재하는 환경의 이온강도를 증가시키거나, 낮은 이온강도 조건에서는 솔비톨을 가하여 수분활성도를 저하시키므로써,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솔비톨이 첨가되지 않은 Na2SO4(이온강도 2.5), (NH4)2SO4(이온강도 5부근) 또는 MgSO4용액(이온강도 6.3)에서는, 각각 15, 40, 55%의 효소활성이 유지되었다. 20% 솔비톨이 함유된 Na2SO4, (NH4)2SO4또는sMgSO4의 각 용액에 효소를 저장한 경우에서는 효소활성이 각각 35, 47,78%로 증가되었고, 이러한 염용액에 솔비톨을 40%되게 첨가한 경우에는, 효소활성이 각각 50, 75, 92%로 더욱 증가되었다.
실시예 2:
20% 솔비톨이 첨가되거나 또는 첨가되지 않은 0.1M Tris 완충용액(pH 7.8)에 슈도모나스 균종 M-38 균체를 30℃에서 48시간 저장한 다음, 0.5 mM MnSO, 0.1% CaCl2와 0.1% Triton X-100을 포함한 30mM D,L-ATC 기질용액과 30℃, 120rpm으로 반응시켜 생성된 L-시스테인의 양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여 균체내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성에 미치는 솔비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균체를 솔비톨이 첨가되지 않은 완충용액상에 저장한 경우에는 저장 2일 후에 L-시스테인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이 33%로 유지된 데 대하여, 20% 솔비톨이 첨가된 용액에서는 효소활성이 90%이상 유지되었다.
실시예 3:
슈도모나스 균종 M-38 균체 및 이를 Ca-알지네이트로 포괄시킨 고정화균체를 0, 20, 40% 솔비톨이 첨가된 완충용액에서 저장온도를 각각 26, 30, 37, 42℃로 변화하며 48시간 저장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완충용액에 균체 또는 고정화균체를 저장한 경우에서 저장온도의 증가에 따라 효소안정성이 낮게 유지되어 저장온도 30, 37, 42℃에서 고정화균체를 저장한 경우에는 효소활성이 44, 22, 4%로 각각 유지되었으며, 20% 솔비톨을 첨가한 경우에는 30℃까지는 효소안정성이 90% 정도로 높게 유지되었으나 37℃에서는 효소안정성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40% 솔비톨 용액을 첨가한 경우는 26℃에서 37℃의 온도범위에서 효소안정성이 90% 이상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한편, 효소가 불활성화되지 않는 한 가능하면 고온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생산성 증가에 효과적이므로, L-시스테인 생산에 있어서도 여러가지 다른 온도조건에서 솔비톨의 농도를 변화시켜 L-시스테인의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효소원으로는 균체 또는 고정화균체를 이용하여, 반응온도를 각각 26, 30, 37, 42℃로 하여, 0, 20, 40%의 솔비톨을 포함한 D,L-ATC 기질용액으로 반응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균체와 고정화균체 모두에서 반응온도의 증가에 따라 생성된 L-시스테인 양이 증가하여, 20% 솔비톨 내 고정화균체는 반응온도 37℃에서, 26℃에서의 반응에 비해 약 2배 가량의 L-시스테인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4:
고정화균체로 충진시켜 제조한 컬럼형태의 충진형 반응기에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30mM의 D,L-ATC 기질용액을 미량정량 펌프로 이용하여, 0.25 hr-1의 희석율(유속 6ml/hr)로 30℃로 유지시킨 반응기에 연속공곱하여 반응을 수행하였다. L-시스테인 생성 효소의 안정성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D,L-ATC 기질용액에 20%되게 솔비톨을 첨가하여 반응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솔비톨이 전혀 첨가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였다. 충진형 반응기에서 반응하고 나온 액을 시간에 따라 채취하여 생성된 L-시스테인을 측정한 결과, 솔비톨이 첨가되지 않은 기질용액으로 반응을 수행한 경우에서는 반응초기에 15.2mM의 L-시스테인이 생성되었고, 반응 147시간 후에는 2.6mM만의 L-시스테인이 생성되어, 빠른 시간내에 효소활성이 급격히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20% 솔비톨을 포함한 기질용액으로 반응시킨 경우에서는 초기에 17.6mM의 L-시스테인이 생성되었고, 반응 600시간 이후에도 12.0mM의 L-시스테인이 생성되어 초기 효소활성의 68%가 유지되었다.
실시예 5:
L-시스테인 또는 L-시스타인의 분리를 위해 양이온 교환수지인 DOWEX 50W(Sigma Chemical Co., U.S.A.)로 충진된 컬럼에 D,L-ATC, L-시스테인, L-시스타인 및 솔비톨 등이 포한된 반응액을 통과시키고 Tris 완충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0 내지 2M HCL로 농도구배를 변화시키면서 흡착된 물질을 유출시켜 분획하였다. 그 결과, 솔비톨은 이온교환수지에 흡착되지 않고 컬럼을 통과하였으나, D,L-ATC, L-시스테인 및 L-시스타인은 이온교환수지에 흡착되었다. 흡착된 물질들의 분리를 위해 0 내지 2N HCL로 농도구배를 변화시키면서 용출시켰을 때, D,L-ATC는 0.7N HCL에서, L-시스테인과 L-시스타인은 0.5와 1.ON HCL에서 각각 탈착되었다. 그런 다음, 반응액에 공기를 주입시켜 L-시스테인을 L-시스타인으로 산화시킨 후, 전기의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그 결과, 솔비톨은 이온교환수지에 흡착되지 않고 컬럼을 통과하였으나, D,L-ATC와 L-시스테인은 HCL농도 0.7N과 1.ON에서 각각 분리되었다.
실시예 6:
40% 솔비톨을 포함한 실시예 2의 D,L-ATC 기질용액을 0.75hr-1의 희석율(유석 18.0ml/hr)로 37℃의 첫번째 반응기에 연속공급하여 얻은 반응액에 공기를 주입하였다. 이 용액에 5.4ml/hr의 유속으로 3.5N HCL을 연속공급하여 HCL의 최종농도가 0.8N이 되도록 조절한 다음, 23.4ml/hr의 유속으로 첫번째 분리조에 유입하였다. 분리조를 통과하여 나온 액에 5.4ml/hr의 유속으로 3.5N NaOH를 공급하여 pH를 7.8로 조절하고, 이 용액에 MnSO4와 CaCl2가 포함된 용액을 각각의 최종농도가 0.5mM과 0.1% 되게 5.4ml/hr의 유속으로 공급한 후, 희석율 1.71hr-1(유속 34.2 ml/hr)로 두 번째 반응기에 공급하여 30℃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두번째 반응기로 부터 유출된 반응액에 다시 공기를 주입시키고 이를 두번째 분리조에 공급하였다. 이때, L-시스테인의 생산성은 첫번째 반응기와 두번째 반응기로 부터 유출된 반응액에 존재하는 L-시스테인의 양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한편, 분리공정을 수반하지 않은 2단 반응에서는 기질희석율을 0.75hr-1(유속 18.0ml/hr)로 하였고, 첫번째 반응기의 온도는 37℃, 두 번째 반응기는 30℃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상과 같은 장치를 이용한 L-시스테인의 연속생산 공정으로 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분리단계를 병용한 2단 반응의 연속생산 공정에서는 반응 20시간 후의 정상상태에서 첫번째 반응기에서는 14.9mM의 L-시스테인이 생성되었고, 두번째 반응기에서는 8.0mM의 L-시스테인이 생성되어 최종 22.9mM의 L-시스테인이 생성되었다. 한편, 분리공정을 수반하지 않은 2단 반응에서는 최종 16.0mM의 L-시스테인이 생산되었다. 분리공정이 없는 2단 반응에서의 L-시스테인 생산성은 12.0mM/hr인데 비해 분리공정을 병용한 2단 반응에서의 L-시스테인 생산성은 17.2mM/hr로 연속생산 반응에 분리공정을 병행하므로써, L-시스테인 생산성이 43% 더 증가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에 의하여 다양한 염 및 솔비톨을 이용하여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솔비톨을 이용한 효소안정성 증진방법을 연속생산에 적용하여 L-시스테인의 생성 반응시간을 장기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반응중에 생성된 L-시스테인을 분리하여 생성물에 의한 생합성 억제를 줄이면서 L-시스테인의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미반응된 D,L-ATC를 재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1)

  1. KCl, NaCl, CaSO4, (NH4)2SO4, NaSO4, 및 MgSO4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염 및 0∼40% 솔비톨 중에서 1종 이상을 첨가하여, D, L-2-아미노-△2-티아졸린-4-카르복실산 (D,L-2-amino-△2-thiazoline-4-carboxylic acid )의 기질로부터 L-시스테인을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균종의 L-시스테인 생성효소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KR1019940017767A 1994-07-22 1994-07-22 염 및 솔비톨을 이용한 슈도모나스 균종의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화 방법 KR0133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767A KR0133990B1 (ko) 1994-07-22 1994-07-22 염 및 솔비톨을 이용한 슈도모나스 균종의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767A KR0133990B1 (ko) 1994-07-22 1994-07-22 염 및 솔비톨을 이용한 슈도모나스 균종의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3990B1 true KR0133990B1 (ko) 1998-04-20

Family

ID=1938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767A KR0133990B1 (ko) 1994-07-22 1994-07-22 염 및 솔비톨을 이용한 슈도모나스 균종의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687B1 (ko) * 2007-08-13 2009-03-13 한국화학연구원 D,l-시스틴 화합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687B1 (ko) * 2007-08-13 2009-03-13 한국화학연구원 D,l-시스틴 화합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0497B2 (ja) D−パント酸、d−パントテン酸およびそれらの塩の製造法
JP3109884B2 (ja) D−パントテン酸の製造法
Griengl et al. Enzymatic cleavage and formation of cyanohydrins: a reaction of biological and synthetic relevance
JP7169025B2 (ja) 酵素によるキラル化合物の分割方法
JPH0753116B2 (ja) 光学活性なシアンヒドリンの酵素的製造方法
EP1247869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icht-proteinogenen L-Aminosäuren
Ryu et al. Continuous L-cysteine production using immobilized cell reactors and product extractors
CA1217158A (en) Enzymatic synthesis of l-serine
Eggers et al. Enzymatic production of L-tryptophan in a reverse micelle reactor
KR0133990B1 (ko) 염 및 솔비톨을 이용한 슈도모나스 균종의 l-시스테인 생성효소의 안정화 방법
Johnson et al. Biocatalytic applications of hydroxynitrile lyases
CN108715881A (zh) 一种区域、立体选择性生物催化合成普瑞巴林手性中间体的方法
FR2461753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ephalosporine par fermentation et micro-organisme destine a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Faleev et al. Preparation of α-deuterated L-amino acids using E. coli B/It7-A cells containing tryptophanase
CH666695A5 (fr) Procede enzymatique de preparation de l-amino acides contenant du soufre.
Obón et al. L (−)-Carnitine production with immobilized Escherichia coli cells in continuous reactors
US5846793A (en) Microbial process for biotransformation to (R)-3-chloro-1,2-propanediol
JPH01144996A (ja) カルニチンヒドロリアーゼの分離方法およびl(−)−カルニチン合成への利用
DE60105657T2 (de) Immobilisiertes Enzy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ptisch aktiven Cyanhydrinen
US3787288A (en) Method for preparing alpha-aminobenzylpenicillin
NL8303369A (nl)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l-fenylalanine door het opnieuw gebruiken van fenylalanineammoniaklyase.
JP3370356B2 (ja) D−エリスロ−β−ヒドロキシアミノ酸の製造法
JP3905690B2 (ja) 酵素反応方法
JP2721536B2 (ja) D―β―ヒドロキシアミノ酸を取得する方法
JP3647065B2 (ja) 光学活性アラニ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