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930Y1 - 단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단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930Y1
KR0133930Y1 KR2019940034717U KR19940034717U KR0133930Y1 KR 0133930 Y1 KR0133930 Y1 KR 0133930Y1 KR 2019940034717 U KR2019940034717 U KR 2019940034717U KR 19940034717 U KR19940034717 U KR 19940034717U KR 0133930 Y1 KR0133930 Y1 KR 01339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uter container
pot
inner pot
heat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4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954U (ko
Inventor
세이이치 이토
요시노리 아라이
구니오 마쓰다
Original Assignee
노자키 지로
닛폰 산소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자키 지로, 닛폰 산소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노자키 지로
Priority to KR2019940034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930Y1/ko
Publication of KR9600199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9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9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갖고 나르기에 편리하고, 떨어뜨리거나 넘어뜨리더라도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단열바깥용기(2)의 바깥용기 본체(4)의 양측벽에, 바깥용기 손잡이(6)을 부착축(9)에 의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부착축(9) 상부의 바깥 뚜껑(5) 양측부에 로크편(12)을 돌출설치한다. 바깥용기 손잡이(6)의 바깥용기 본체 부착부(20)에, 바깥용기 손잡이(6)의 세워진 상태 및 세워진 상태로부터 한편으로 회전운동하여 넘어지는 상태로 할 동안은 상기 로크편(12) 상면에 걸어맞춤하고, 세워진 상태로부터 다른편으로 회전운동하여 넘어지는 상태로 할 동안은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걸어맞춤부(23)를 형성하고, 바깥 뚜껑(5)을 닫으면, 바깥 뚜껑(5)의 내면(14)이 조리용 안남비(3)의 안남비뚜껑(15) 상면에 맞닿아서 누르고, 조리용 안남비(3)의 안남비뚜껑(15)을 안남비 본체(24)에 고정하고, 또한 조리용 안남비(3)를 단열바깥용기(2)내에 고정한다.

Description

단열조리기
제1도는 본 고안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단열조리기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동 일부단면 측면도.
제3도는 단열바깥용기의 바깥용기 본체와 바깥 뚜껑을 로크한 상태를 나타낸 바깥용기 손잡이 부착부의 일부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 단면도.
제5도는 바깥용기 본체와 바깥 뚜껑과의 로크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바깥용기 손잡이 부착부의 일부단면도.
제6도는 단열바깥용기의 측면도.
제7도는 안남비뚜껑을 바깥 뚜껑의 돌출편에 얹어놓은 상태의 측면도.
제8도는 조리용 안남비의 사시도.
제9도는 안남비 손잡이의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제10도는 안남비 손잡이의 넘어진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열조리기 2 : 단열바깥용기
3 : 조리용 안남비 4 : 바깥용기 본체
5 : 바깥 뚜껑 6 : 바깥용기 손잡이
7 : 가장자리 보호부 8 : 바닥부 보호부
9 : 축부 10 : 암힌지 연결구
11 : 단열층 12 : 로크편
13 : 수힌지 연결구 14 : 내면
15 : 안남비뚜껑 16 : 손잡이부
17 : 오목부 18 : 돌출편
19 : 돌기 20 : 부착부
21 : 부착구멍 22 : 둘레벽
23 : 걸어맞춤부 24 : 안남비 본체
25 : 안남비 손잡이 26 : 둘레가장자리부
26a : 수직벽 27 : 부착부
28 : 스톱퍼 29 : 슬릿
본 고안은, 휴대에 적합한 단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재료를 조리용 안남비로 미리 가열하여 사전준비한 후에, 조리용 안남비를 단열바깥 용기에 수납, 밀폐하여 소요시간 단열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조리를 하는 단열조리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평 3-10920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용 안남비의 가장자리에 기복이 자유로운 손잡이를 부착하고, 그 손잡이에 넘어졌을 때에 남비의 일부에 해당하는 걸어맞춤부를 설치하여서 내용물을 쏟아지기 어렵에 하고 있는 것이 있다.
그런데, 상술한 것으로는 단열조리기 본체에 손잡이가 없기 때문에, 휴대할 때에 갖고 나르기가 불편하고, 또 조리용 안남비의 뚜껑을 확실히 고정할 수 없으므로, 휴대할 때에는 조리용 안남비가 단열바깥용기의 내부에서 덜컹거려서 내용물이 쏟아지기 쉬웠다. 또, 단열바깥용기내에서 쏟아진 내용물이 단열바깥용기로부터 새면, 내용물이 뜨거우므로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었다.
또한, 조리용 안남비의 본체와 뚜껑의 밀폐성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조리용 안남비의 내용물로부터 외부로 열량의 누설이 생기고, 단열조리기의 성능을 떨어뜨리고 있었다.
더구나, 조리가 종료하여 내용물을 담아 놓을 때에, 조리용 안남비의 뚜껑을 놓을 장소가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특히, 단열조리기를 캠프장 등의 옥외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공간이 없기 때문에 불편하였다.
그래서, 본 고안은, 갖고 나르기에 편리하고, 잘못하여 떨어뜨리거나 넘어뜨리더라도 내용물이 쏟아지기 어렵고, 또, 조리용 안남비의 뚜껑 놓을 장소를 갖춘 단열성능이 좋은 단열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단열조리기는, 바깥 뚜껑과 바깥용기 본체로 이루어지는 단열바깥용기의 내부에, 안남비뚜껑과 안남비 본체로 이루어지는 조리용 안남비를 출입이 자유롭게 수납한 단열조리기에 있어서, 제1의 고안에서는, 상기 바깥용기 본체의 양 측벽에, 바깥용기 손잡이를 부착축에 의하여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부착축 상부의 뚜껑 양측부에 로크편을 돌출설치하고, 상기 바깥용기 손잡이의 바깥용기 본체 부착부에, 상기 바깥용기 손잡이의 세어진 상태 및 세워진 상태로부터 한편으로 회전운동하여 넘어지는 상태로 할 동안은 상기 로크편 상면에 걸어맞춤하고, 세워진 상태로부터 다른편으로 회전운동하여 넘어지는 상태로 할 동안은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바깥 뚜껑 내면이, 이 바깥 뚜껑을 닫았을 때에 상기 안남비 뚜껑 상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2의 고안에서는, 상기 바깥 뚜껑 내면에, 상기 안남비뚜껑 상면에 맞닿는 탄성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3의 고안에서는, 상기 안남비뚜껑 상면에, 상기 바깥 뚜껑 내면이 맞닿는 손잡이부를 돌출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4의 고안에서는, 상기 손잡이부가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제5의 고안에서는, 상기 바깥 뚜껑 내면이, 상기 안남비뚜껑 둘레가장자리부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6의 고안에서는, 상기 안남비뚜껑은, 둘레가장자리부 안쪽에 안남비 본체의 상부개구보다 약간 작은 지름의 수직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7의 고안에서는, 바깥 뚜껑과 바깥용기 본체를 힌지연결한 단열바깥용기의 내부에, 안남비뚜껑과 안남비 본체로 이루어지는 조리용 안남비를 출입이 자유롭게 수납한 단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안남비뚜껑의 바깥 지름과 대략 동일하게, 또한 상기 바깥 뚜껑의 안쪽 둘레가장 자리를 따라서 만곡시킨 돌출편을, 상기 바깥 뚜껑 내면의 힌지연결쪽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뚜껑 내면에 적당히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바깥용기 손잡이의 위치에서 단열바깥용기의 바깥용기 본체와 바깥 뚜껑을 로크하거나 로크의 해제를 행한다.
또, 바깥 뚜껑을 로크 함으로써, 바깥 뚜껑의 내면이 안남비뚜껑 상면에 맞닿아서 이것을 누르고, 안남비뚜껑이 안남비본체에 단단히 고정됨과 동시에, 조리용 안남비가 단열바깥용기내에 고정되고, 운반시에 유동하지 않고, 수용물이나 용기 내부의 열누출을 방지한다.
또한, 조리가 종료하여 내용물을 담을 때에는, 바깥 뚜껑을 열어서 돌출편에 안남비뚜껑을 얹어놓을 수 있다. 이 때, 바깥 뚜껑 내면과 안남비뚜껑과의 사이에는, 바깥 뚜껑 내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하여 틈새가 생긴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열조리기(1)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열바깥용기(2)와 그 내부에 출입이 자유롭게 수납되는 조리용 안남비(3)로 구성된다.
단열바깥용기(2)는, 스테인리스제의 진공단열용기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바깥용기 본체(4)와, 바깥용기 본체(4)의 상부개구를 덮어서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바깥용기 본체(4)에 부착되는 합성수지제의 바깥 뚜껑(5)과, 바깥용기 본체(4)의 측벽에 기복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합성수지제의 바깥용기 손잡이(6)로 구성되어 있다.
바깥용기 본체(4)는, 개구부 측벽과 바닥부 외면에, 가장자리 보호부(7)가 바닥부 보호부(8)가 각각 합성수지로 둘러설치되고, 가장자리 보호부(7)의 직경방향으로 상대하는 측벽에는 손잡이 부착용 측부(9),(9)가 가장자리 보호부(7)와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 가장자리 보호부(7)의 축부(9),(9)과의 한편의 중간위치에는, 바깥 뚜껑(5) 부착용 암(雌)힌지 연결구(10)가 가장자리 보호부(7)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바깥 뚜껑(5)은, 내부에 합성수지에 의하여 형성된 단열층(11)을 가지며, 상기 축부(9),(9)에 대응하는 측부에, 로크편(12),(12)을 각각 돌출 설치하고, 또, 상기 암힌지 연결구(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雄)힌지 연결구(13)를 설치하고 있다.
바깥 뚜껑(5)은, 바깥 뚜껑(5)을 닫았을 때에, 단열층(11)을 덮는 내면(14)이 후술하는 조리용 안남비(3)의 안남비뚜껑(15) 상면에 맞닿는 두께로 형성되고, 또, 내면(14)의 대략 중앙부에는, 바깥 뚜껑(5)을 닫았을 때에, 안남비뚜껑(15)에 설치된 손잡이부(16)에 맞닿는 깊이에 형성한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7)는, 내면(14) 및 단열층(11)이 합성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탄성을 가지며, 바깥 뚜껑(5)을 닫았을 때에는, 상기 안남비뚜껑(15)을 누르고, 안남비뚜껑(15)을 조리용 안남비(3)에 단단히 고정한다.
또, 바깥 뚜껑(5)의 내면(14)의 힌지 연결구(13) 쪽에는, 내면(14)의 주연의 약1/4∼1/2의 길이에 걸쳐서, 안남비뚜껑(15)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또한 단열바깥용기(2)의 바깥 뚜껑(5)의 안둘레 가장자리를 따라서 만곡한 돌출편(18)이 형성되고, 또한 내면(14)에는 돌기(19)가 적당히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18)은, 안남비뚜껑(15)을 얹어놓기 위한 것으로서, 바깥 뚜껑(5)을 열었을때에 바깥 뚜껑(5)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돌기(19)는, 돌출편(18)에 안남비뚜껑(15)을 얹어놓았을 때에, 바깥뚜껑(5)의 내면(14)과 안남비뚜껑(15)의 내면이 접촉하여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높이가 3∼10㎜ 정도이고, 둥근머리형상 혹은 뾰죽한 머리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바깥용기 손잡이(6)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의 부착부(20),(20)가 원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그 중심에 각각 형성된 부착구멍(21),(21)을 상기 축부(9),(9)에 각각 끼워통함으로써, 축부(9),(9)를 중심으로 하여서 바깥용기 본체(4)의 전후방향으로 기복이 자유롭게 바깥용기 본체(4)에 부착되어 있다.
또, 부착부(20)의 바깥 둘레쪽에는, 바깥용기 손잡이(6)의 하부로부터 약 절반의 둘레에 걸쳐서 바깥용기 본체(4)쪽으로 돌출하는 둘레벽(22)이, 힌지 연결구(10)쪽에 연이어 설치되고, 바깥용기 손잡이(6)의 하부와 둘레벽(22)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목부의 안둘레벽이, 상기 로크편(12)의 상면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23)가 된다.
조리용 안남비(3)는, 열을 잘 전달하는 탄소강을 스테인리스로 샌드위치한 3층구조의 안남비 본체(24)와, 안남비 본체(24)의 상부개구를 덮어서 붙이고 떼기가 자유로운 스테인리스제의 안남비뚜껑(15)과, 안남비 본체(24)의 측벽에 기복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반원형의 안남비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안남비뚜껑(15)은, 둘레가장자리부(26)의 하면이 안남비 본체(24)의 상부개구 가장자리 상면에 맞닿고, 둘레가장자리부(26) 안쪽에 안남비 본체(24)의 상부개구보다 약간 작은 지름의 수직벽(26a)을 형성하고 있다.
수직벽(26a)은, 안남비 본체(24)의 상부개구의 내경과의 틈새를 0.3㎜∼3㎜로 하는 외경으로 높이를 2㎜∼40㎜로 하면, 밀폐성이 뛰어나고 단열효과가 증대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틈새를 1㎜, 높이를 13㎜로 하였다.
또, 안남비뚜껑(15)은, 중앙부에 합성수지제의 손잡이부(16)를 갖추고 있다. 또한, 손잡이부(16)를 탄성부재로 형성하면, 단열바깥용기(2)의 바깥뚜껑(5)의 누름에 의한 조리용 안남비(3)의 안남비뚜껑(15)과 안남비 본체(24)와의 압착효과가 커진다.
안남비 손잡이(25)는, 안남비 본체(24)의 직경 방향으로 상대하는 측벽에 설치되는 부착부(27),(27)에 부착된다. 이 부착부(27)는, 한쪽 가장자리에 스톱퍼(28)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한편의 부착부(27)는 스톱퍼(28)가 아래편으로 오도록, 다른편의 부착부(27)를 스톱퍼(28)가 위편으로 오도록, 각각 안남비 본체(24)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 스톱퍼(28),(28)는 안남비 손잡이(25)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서, 안남비 손잡이(25)를 쓰러뜨리면, 안남비 손잡이(25)는, 한편의 부착부(27)의 아래편의 스톱퍼(28)와의 맞닿음에 의하여, 안남비 본체(24)의 상부개구 가장자리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세워놓으면, 다른편의 부착부(27)의 위편의 스톱퍼(28)와의 맞닿음에 의하여, 직립상태로 각각 규제된다. 또, 안남비 손잡이(25)의 중간부에는, 안남비 손잡이(25)를 빨리 냉각시키기 위한 슬릿(29)이 형성되고 있다.
또한, 안남비 손잡이(25)는, 조리용 안남비(3)를 단열바깥용기(2)의 바깥용기 본체(4)에 수납하여 단열바깥용기(2)의 바깥 뚜껑(5)을 덮으면, 단열바깥용기(2)의 바깥 뚜껑(5) 내면(14)에 눌려서 휘고, 대략 수평의 상태로 되어서 안남비 본체(24)의 상부개구 가장자리와 같은 높이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열조리기(1)는, 조리재료를 조리용 안남비(3)의 안남비 본체(24)에 넣어서 안남비뚜껑(15)을 장착하고, 조리용 안남비(3)를 가열하여 준비한 후에, 조리용 안남비(3)를 단열바깥용기(2)의 바깥용기 본체(4)에 수납하여 조리용 안남비(3)의 안남비 손잡이(25)를 쓰러뜨린다. 이어서, 바깥용기 본체(4)에 바깥 뚜껑(5)을 덮어서, 바깥용기 손잡이(6)를 바깥 뚜껑(5)의 개구쪽(제3도에 도시한 B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로서, 바깥용기 손잡이(6)의 걸어맞춤부(23)가 로크편(12)의 상면에 걸어맞춤하고, 바깥용기 본체(4)와 바깥 뚜껑(5)이 밀착함과 동시에, 바깥 뚜껑(5)의 내면(14)의 바깥둘레쪽이 조리용 안남비(3)의 안남비뚜껑(15)의 둘레가장자리부(26)를, 내면(14)의 오목부(17)가 조리용 안남비(3)의 안남비뚜껑(15)의 손잡이부(16)를 각각 누르고, 조리용 안남비(3)의 안남비뚜껑(15)을 안남비 본체(24)에 고정하고, 조리용 안남비(3)를 단열바깥용기(2)내에 유지한다.
또, 바깥용기 손잡이(6)를 세워서 단열조리기(1)를 갖고 나를 때에는, 걸어맞춤부(23)가 로크편(12)의 상면에 걸어맞춤하고, 바깥 뚜껑(5)의 내면(14)이 조리용 안남비(3)의 안남비뚜껑(15)을 누르고 있기 때문에 조리용 안남비(3)의 안남비뚜껑(15)은 안남비 본체(24)에 고정됨과 동시에, 조리용 안남비(3)가 단열바깥용기(2)내에 고정되어서 내용물이 쏟아질 염려가 없다.
또한, 바깥용기 손잡이(6)를 단열바깥용기(2)의 바깥 뚜껑(5)의 개구쪽으로 쓰러뜨려 놓으면, 차량 등에 단열조리기(1)를 싣고 나를 때에도, 조리용 안남비(3)의 안남비뚜껑(15)이 안남비 본체(24)에 고정됨과 동시에, 조리용 안남비(3)가 단열바깥용기(2)내에 고정되어서 내용물은 쏟아지지 않는다. 또, 단열조리기(1)를 잘못하여 떨어뜨리거나 쓰러뜨린 경우라도, 내용물이 단열바깥용기(2)로부터 외부에 새는 일이 없다.
조리가 완료하여 내용물을 담아낼때는, 단열바깥용기(2)의 바깥용기 손잡이(6)를 힌지 연결구(10)쪽(제3도에 도시한 A방향)으로 쓰러뜨리고, 로크핀(12)과 걸어맞춤부(23)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단열바깥용기(2)의 바깥 뚜껑(5)을 열고, 이어서 조리용 안남비(3)의 안남비뚜껑(15)을 열어서 안남비 본체(24)로부터 내용물을 꺼낸다.
이때, 안남비뚜껑(15)을 바깥 뚜껑(5)의 돌출편(18)에 얹어놓을 수 있다. 단열바깥용기(2)의 바깥 뚜껑(5)의 내면(14)에는 돌기(19)가 적당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남비뚜껑(15)이 직접 내면(14)에 닿지 않고, 내면(14)을 더럽힐 염려가 없고, 또, 안남비뚜껑(15)의 내면에 붙은 물방울을 돌출편(18)에 모을 수 있다.
또한, 조리용 안남비(3)을 단열바깥용기(2)로부터 꺼낼 경우는, 조리용 안남비(3)의 안남비 손잡이(25)가 안남비 본체(24)의 상부개구 가장자리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서 멎어 있으므로, 슬릿(29)에 손가락을 걸어서 안남비 손잡이(25)를 용이하게 세울 수 있고, 기립한 안남비 손잡이(25)를 가지고 조리용 안남비(3)를 단열바깥용기(2)로부터 간단히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열바깥용기의 바깥 뚜껑이나, 바깥 뚜껑에 설치하는 단열층을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이 뚜껑에 형성한 탄성오목부를 조리용 안남비의 안남비뚜껑에 형성된 손잡이부에 맞닿게 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단열바깥용기의 바깥 뚜껑과 조리용 안남비의 안남비뚜껑의 맞닿음은, 단열바깥용기의 바깥뚜껑을 닫았을 때에, 안남비뚜껑을 눌러서 남비 본체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상, 재질에 의한 것이라도 지장이 없고, 예컨대 단열바깥용기의 바깥 뚜껑에 형성한 오목부가, 조리용 안남비의 안남비뚜껑의 손잡이부 주위에 맞닿는 것이라도 좋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단열바깥용기의 바깥용기 본체의 양 측벽에, 바깥용기 손잡이를 부착축에 의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부착축 상부의 뚜껑 양 측부에 로크편을 돌출설치하고, 바깥용기 손잡이의 바깥용기 본체 부착부에, 바깥용기 손잡이의 세워진 상태 및 세워진 상태로부터 한편으로 회전운동하여 넘어지는 상태로 하는 동안은 상기 로크편 상면에 걸어맞춤하고, 세워진 상태로부터 다른편으로 회전운동하여 넘어지는 상태로 하는 동안은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단열바깥용기의 바깥 뚜껑 내면이, 조리용 안남비의 안남비뚜껑 상면에 맞닿도록 하였으므로, 바깥용기 손잡이를 회전운동하여서 바깥용기 본체의 바깥 뚜껑을 토크함으로써, 바깥 뚜껑 내면이 조리용 안남비의 안남비뚜껑을 누르고, 안남비뚜껑이 안남비 본체에 고정되고, 또한 조리용 안남비가 단열바깥용기내에 고정되므로, 갖고 나르는 데에 편리하게 되고, 잘못하여 떨어뜨리거나 쓰러뜨리더라도 조리용 안남비로부터 내용물이 쏟아지기 어렵게 된다.
또, 바깥 뚜껑 내면과 안남비뚜껑의 맞닿음부분을 각각 탄성부재에 의하여 헝성함으로써, 안남비뚜껑과 안남비 본체가 단단히 고정됨과 동시에, 단열바깥용기의 밀폐성도 향상하고, 보온에 뛰어난 것이 됨과 동시에, 큰 충격 등에 의하여 조리용 안남비로부터 내용물이 쏟아지는 일이 있어도 단열바깥용기의 외부까지 내용물이 새는 일이 없고, 뜨거운 내용물에 의하여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다.
또한, 단열바깥용기의 바깥 뚜껑 내면에 안남비뚜껑을 얹어놓는 돌출편을 형성함과 동시에, 바깥 뚜껑 내면에 돌기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조리가 종료하여 내용물을 담아낼 때에는, 바깥 뚜껑을 열어서 돌출편에 안남비뚜껑을 얹어놓을 수 있다.
이때, 바깥 뚜껑 내면과 안남비 뚜껑과의 사이에는, 바깥 뚜껑 내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하여 틈새가 생기고, 안남비 뚜껑이 바깥 뚜껑 내면에 직접 닿지 않고, 바깥 뚜껑 내면을 더럽힐 염려가 없고, 또, 안남비뚜껑의 내면에 붙은 물방울을 돌출편에 모을 수 있다.

Claims (8)

  1. 단열성을 가지는 바깥 뚜껑과 바깥용기 본체로 이루어지는 단열바깥용기의 내부에, 안남비뚜껑과 안남비 본체로 이루어지는 조리용 안남비를 출입이 자유롭게 수납한 단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바깥용기 본체의 양측벽에, 바깥용기 손잡이를 부착축에 의하여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부착축 상부의 뚜껑 양 측부에 로크편을 돌출설치하고, 상기 바깥용기 손잡이의 바깥용기 본체 부착부에, 상기 바깥용기 손잡이의 세워진 상태 및 세워진 상태로부터 한편으로 회전운동하여 넘어지는 상태로 할 동안은 상기 로크편 상면에 걸어맞춤하고, 세워진 상태로부터 다른편으로 회전운동하여 넘어지는 상태로 할 동안은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바깥 뚜껑 내면이, 이 바깥 뚜껑을 닫았을 때에 상기 안남비 뚜껑 상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 뚜껑 내면에 상기 안남비뚜껑 상면에 맞닿는 탄성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조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남비뚜껑 상면에 상기 바깥 뚜껑내면이 맞닿는 손잡이부를 돌출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조리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남비뚜껑 상면에 상기 바깥뚜껑 내면이 맞닿는 손잡이부를 돌출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조리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조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뚜껑 내면이 상기 안남비뚜껑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조리기.
  7. 바깥 뚜껑과 바깥용기 본체를 힌지연결한 단열바깥용기의 내부에, 안남비뚜껑과 안남비 본체로 이루어지는 조리용 안남비를 출입이 자유롭에 수납한 단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안남비뚜껑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또한 상기 바깥 남비의 안쪽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만곡시킨 돌출편을, 상기 바깥 뚜껑 내면의 힌지연결쪽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바깥 뚜껑 내면에 적당히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조리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남비 뚜껑은 둘레가장자리부 안쪽에 안남비본체의 상부개구보다 약간 작은 지름의 수직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조리기.
KR2019940034717U 1994-12-20 1994-12-20 단열 조리기 KR01339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717U KR0133930Y1 (ko) 1994-12-20 1994-12-20 단열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717U KR0133930Y1 (ko) 1994-12-20 1994-12-20 단열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954U KR960019954U (ko) 1996-07-18
KR0133930Y1 true KR0133930Y1 (ko) 1998-12-15

Family

ID=1940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4717U KR0133930Y1 (ko) 1994-12-20 1994-12-20 단열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9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70A1 (ko) * 2017-08-16 2019-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70A1 (ko) * 2017-08-16 2019-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N111033128A (zh) * 2017-08-16 2020-04-17 Lg电子株式会社 加热设备及具备其的烹饪设备
US20200245804A1 (en) * 2017-08-16 2020-08-06 Lg Electronics Inc. Hea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11832752B2 (en) 2017-08-16 2023-12-05 Lg Electronics Inc. Hea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954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23067A1 (en)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EA004557B1 (ru) С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хвата, подъема, перемещения и наклона кухонной посуды с двумя ручками
KR0133930Y1 (ko) 단열 조리기
US4422560A (en) Frypan lid
CN209846856U (zh) 烹饪器具
JP3545044B2 (ja) 保温容器
JP2953357B2 (ja) 電気炊飯器
JP2519054Y2 (ja) 断熱調理器
JPH0748179Y2 (ja) 断熱調理器の調理用内鍋
JP2519055Y2 (ja) 断熱調理器
JPS60805Y2 (ja) 炊飯ジヤ−
JPH0128726Y2 (ko)
JPH08280550A (ja) 保温器具
JP2585301Y2 (ja) 断熱調理器
JPH0354674Y2 (ko)
JP3168154B2 (ja) 電気湯沸し器
JPH04253813A (ja) 食器
JPH0355297Y2 (ko)
JPS6231056Y2 (ko)
JPS63183Y2 (ko)
JPS5913934Y2 (ja) 焼物調理器
JP3032740B2 (ja) 炊飯器
JPH076841Y2 (ja) ポットの把手構造
GB2327333A (en) Liquid heating vessels
JPS61325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