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661Y1 -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661Y1
KR0133661Y1 KR2019950046008U KR19950046008U KR0133661Y1 KR 0133661 Y1 KR0133661 Y1 KR 0133661Y1 KR 2019950046008 U KR2019950046008 U KR 2019950046008U KR 19950046008 U KR19950046008 U KR 19950046008U KR 0133661 Y1 KR0133661 Y1 KR 0133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upport boss
tape recor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6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5490U (ko
Inventor
강길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46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661Y1/ko
Publication of KR9700454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54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6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4Stops for limiting movement of members, e.g. adjustable stop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나사구멍, 대직경부, 소직경부를 갖는 지지보스, 지지보스의 소직경부에 끼워맞추어지는 결합공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이 지지보스에 체결된 후, 인쇄회로기판이 지지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보스의 대직경부와 동일한 헤드부를 가지고 지지보스의 나사구멍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 구조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구조(STRUCTURE FORFIXING A ROTATING KNOB ASSEMBLY OF A TAPE RECORD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나사(SCREW)의 체결력에 의해 프론트 패널 내측의 인쇄회로기판이 휘는 이른바 회전 노브의 편심(偏心)이 방지되도록 한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레코더의 여러가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회전 노브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회전 노브들은 테이프 레코더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패널(front panel)의 전방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 구조는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1)이 전면에 관통공(2)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2)의 내면에 다수의 리브(rib: 3)들이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프론트 패널(1)의 배면에는 나사구멍(4a)을 갖는 보스(boss: 4)가 형성되며, 프론트 패널(1)의 관통공(2)에 회전 노브(5)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끼워져 장착된다.
그리고, 회전 노브(5)의 로드(rod: 5a)는 테이프 레코더의 기능을 설정하게 된다. 회전 노브(5)는 회로기판(7)의 상면에 장착된 회전 노브(5)의 로드(5a)에 대응 결합된다. 한편, 회로기판(7)은 그 중앙의 관통홈(7a)을 통해 지지보스(9)의 나사구멍(9a) (제2도 참조)에 체결되는 고정나사(8)에 의해 프론트 패널(1)의 배면에 조립된다. 그리고, 제1도에서 미설명부호(1a)는 카세트 테이프(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 로딩부를 지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고정구조는, 관통홈(7a)에 고정나사(8)를 체결하여 회로기판(7)이 프론트 패널(1)으 배면에 조립될 경우에, 회전 노브(5)의 조립 및 제작오차로 인하여 관통공(2)상에서 한쪽으로 편심이 발생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7)에 변형과 피로현상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제품의 외관이 불량해져 신뢰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해서는 제2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테이프 레코더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패널(1)의 전면에는 관통공(2)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2)의 내면에는 다수의 리브(3)들이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3)의 중앙 내면에는 반원형의 지지돌기(5a)를 갖는 회전 노브(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원에서 리브(3)들과 지지돌기(5a)들은 각각 2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나, 이들 리브(3)와 지지돌기(5a)들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가감할 수 있다.
한편, 리브(3)들이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7)은 프론트 패널(1)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보스(9)에 체결된다. 즉, 지지보스(9)의 내측의 나사구멍(9a)에는 인쇄회로기판(7)의 관통홈(7a)을 통해 고정나사(8)가 체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나사(8)는 그 편심으로 인하여 인쇄회로기판(7)을 내측으로 휘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와 같이 노브를 조립하는 경우 센터 편심으로 인하여 회전 노브의 가변시 뻑뻑해지는 동시에 제품의 외관이 불량해져 신뢰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즉 회전 노블(5)의 편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론트 패널(1)의 관통공(2)과 회전 노브(5)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방지용 링(ring)을 개재시키고 있으나, 이는 방지용 링의 사용으로 조립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워져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되므로, 회전노브(5)의 편심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데 미흡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에 의해 회전노브의 편심이 용이하게 방지되므로, 제품으 외관 불량이 개선되어 제품의 신뢰성 및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한 쌍의 회전노브가 프론트 패널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쇄회로기판을 프론트 패널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보스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지지보스는 나사구멍,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를 가지고, 인쇄회로기판은 지지보스의 소직경부에 끼워맞추어지는 결합공을 가지며, 인쇄회로기판이 지지보스에 체결된 후, 인쇄회로기판이 지지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보스의 대직경부와 동일한 헤드부를 가지고 지지보스의 나사구멍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구조에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구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론트 패널 11 : 관통공
14 : 지지보스 14a : 지지보스의 나사구멍
14b : 지지보스의 대직경부 14c : 지지보스의 소직경부
15 : 인쇄회로기판 15a :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공
16 : 고정나사 16a : 고정나사의 헤드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레코더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패널(10)의 전면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1)의 내면에 다수의 리브(12)들이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리브(12)들의 중앙 내면에 반원형의 지지돌기(13a)를 갖는 회전 노브(13)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서, 리브(12)들과 지지들기(13a)들은 각각 2개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리브(12)들과 지지돌기(13a)들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가감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프론트 패널(10)의 배면에는 나사구멍(14a)을 갖는 원통형의 지지보스(14)가 형성된다. 지지보스(14)는 대직경부(14b)와 소직경부(14c)로 나누어진다. 인쇄회로기판(15)은 지지보스(14)의 소직경부(14c)에 그의 결합공(15a)을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지지보스(14)에 체결된다. 그후, 지지보스(14)의 대직경부(14b)와 동일한 직경의 헤드부(16a)를 갖는 고정나사(16)를 지지보스(14)의 나사구멍(14a)을 통해 체결하는 것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5)이 지지보스(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한 기재에 있어서, 고정나사(16)의 헤드부(16a)는 인쇄회로기판(15)이 지지보스(14)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후, 보다 확실한 체결을 위해 인쇄회로기판(15)과 리브(12)와의 연결부가 납땜 처리된다.
이때, 회전노브(13)의 외주면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돌기(13)와 결합한다.
이와 같이, 인쇄호로기판(15)은 다지 그의 결합공(15a)이 지지부재(14)의 소직경부(14c)에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지지보스(14)와 체결가능하므로, 인쇄회로기판(15)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다른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 구조는, 관통공(11)의 리브(12)들의 중앙 내면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지지돌기(13a)들에 내주면이 지지됨으로써, 관통공(11)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회전노브(13)의 편심이 용이하게 방지될 뿐만 아니라, 회전노브(13)의 조립 작업이 보다 간단하게 수행된다.
이에 따라 단순한 휨 방지 지지보스 구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5)의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되어 편심이 방지되고, 결과적으로는 제품의 외관 불량이 개선되어 신뢰성 및 품질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설치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 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각종 테이프 레코더에서 기능선택 버튼의 노브를 조립하는데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 구조에 의하면, 회전노브의 관통공에 지지돌기들이 형성되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 회전노브의 편심이 용이하게 방지되므로, 제품의 외관 불량이 개선되어 제품의 신뢰성 및 품질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인쇄회로기판(15)에 설치된 한 쌍의 회전노브가 프론트 패널(10)에 형성된 한 쌍으 관통공(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쇄회로기판(15)을 프론트 패널(10)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보스(14)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스(14)는 나사구멍(14a), 대직경부(14b) 및 소직경부(14c)를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5)은 상기 지지보스(14)의 소직경부(15c)에 끼워맞추어지는 결합공(15a)을 가지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5)이 상기 지지보스(14)에 체결된 후, 상기 인쇄회로기판(15)이 상기 지지보스(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보스(14)의 대직경부(14b)와 동일한 헤드부(16a)를 가지고 상기 지지보스(14)의 나사구멍(14c)에 체결되는 고정나사(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구조.
KR2019950046008U 1995-12-22 1995-12-22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 구조 KR0133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008U KR0133661Y1 (ko) 1995-12-22 1995-12-22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008U KR0133661Y1 (ko) 1995-12-22 1995-12-22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490U KR970045490U (ko) 1997-07-31
KR0133661Y1 true KR0133661Y1 (ko) 1999-01-15

Family

ID=1943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6008U KR0133661Y1 (ko) 1995-12-22 1995-12-22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6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490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7763A (en) Fitting structure of rotary connector and switch
US4661698A (en) Rotary optical transducer
KR013366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노브 조립체 고정 구조
US4212437A (en) Tape cassette
JP3662631B2 (ja) シフトレバーノブの取り付け構造
KR19990006487A (ko) 누름버튼스위치 및 그 누름버튼스위치를 이용한 스위치장치
JP2000049517A (ja) アンテナユニット
JP3391611B2 (ja) Ledレンズの取付構造
KR0125130Y1 (ko) 셔틀 스위치 조립체
KR910001769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스타트 및 엔드 센서용 램프홀더 고정장치
JP2000074017A (ja) 薄型部材の取付構造
JPH0582919A (ja) 可撓性プリント配線板
KR930001730Y1 (ko) 축수 보유 장치
JPH09275285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KR910003087Y1 (ko) 모니터의 볼륨 노브 고정장치
JP3719827B2 (ja) 操作装置
JPS5926633Y2 (ja) パネルの取付構造
KR19990026379U (ko) 자동차의 쿼드런트 아우터 커버 장착구조
EP1191239A1 (en) Distance washer
KR950008079Y1 (ko) 텍트 스위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연동버턴 취부장치
KR940005343Y1 (ko)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외부단자 결합장치
JPH018003Y2 (ko)
KR100343987B1 (ko) 조그 셔틀 스위치 장치
KR19980047811U (ko) 도어프레임 가니시 마운팅구조
JPS5843270Y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