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533Y1 -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533Y1
KR0133533Y1 KR2019950014196U KR19950014196U KR0133533Y1 KR 0133533 Y1 KR0133533 Y1 KR 0133533Y1 KR 2019950014196 U KR2019950014196 U KR 2019950014196U KR 19950014196 U KR19950014196 U KR 19950014196U KR 0133533 Y1 KR0133533 Y1 KR 0133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fixed
fixing plat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4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847U (ko
Inventor
김성근
Original Assignee
조래성
아시아자동차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래성, 아시아자동차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래성
Priority to KR2019950014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533Y1/ko
Publication of KR9700008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8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5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36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fluid and restriction type, e.g. dashp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45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issipating material type, e.g. elastomeric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7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에어콘의 작동중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이에따른 소음발생을 억제하며, 구동벨트의 장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벨트의 수명과 컴프레셔의 회전부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 고정구조를 제공할 목적으로, 판상의 부재 일측을 절곡시켜 형성되는 수직부가 프레임에 고정되는 메인 브라켓과, 상측으로 요구하는 숫자의 컴프레셔가 장착되며, 그의 중앙부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주가 세워지고 이에 아이들링 풀리가 장착되어, 상기 메인 브라켓의 수평부 상면으로 완충부재를 개재시켜 고착되는 힌지부재에 그 중압부가 힌지 연결되는 컴프레셔 고정판과, 상기 컴프레셔 고정판의 프레임 측단과 프레임 사이에 세워져 완충작용은 물론 컴프레셔 고정판을 상측으로 밀어주는 완충수단과,상기 완충수단의 반대측 컴프레셔 고정판에 일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에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로 형성되는 고정판 경사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에어콘의 콤프레셔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 고정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컴프레셔가 고정된상태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메인 브라켓 b : 프레임
12 : 힌지부재 14,16 : 컴프레셔
18 : 컴프레셔 고정판 20 : 힌지부
22 : 탄성부시 24 :지주
26 : 아이들링 풀리 44 : 완충수단
44 : 쇽 업소어버 46 : 스프링
50 : 경사 조절수단 52 : 고정부재
54 : 볼트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 고정구조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에어콘의 작동중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며. 구동벨트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 고정구조에 관한것이다.
[종래기술]
예컨데, 최근의 차량의 경우에는 차종을 막론하고 하절기 운행을 위한 에어컨이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콘은 저장용기에 저장된 냉매가 팽창밸브를 통해 서서히 증발기로 보내어지면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냉동작용이 이루지고, 증발된 가스는 다시 컴프레셔에 의하여 압측되어 응축기로 보내어진다.
그러면 응축기에서는 압축가스를 냉각하여 액상의 냉매로 만들어 저장 용기에 저장하는 경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에어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은 에어콘에 있어서, 동력이 필요한 곳은 컴프레셔인데 컴프레셔는 엔진의 회전 동력을 이용하게 된다.
이에따라 에어컨용 컴프레셔는 엔진의 일측부에 장착되어 크랭크 축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게 되는데, 대형 승합차량과 같이 용량이 매우 큰 대형 에어콘이 요구되는 차량에 있어서는 차량 주행용 주엔진 이외에 에어콘 전용의 소형 엔진을 별도로 배치함으로써, 소형 엔진은 에어콘을 가동시키는데에만 사용토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자동차의 에어콘을 가동하는데에 사용되는 컴프레셔를 장착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단순히 동력원인 엔진에 이웃하는 고정대 위에 컴프레셔를 고정하고, 이컴프레셔의 엔진 크랭크 측 풀리와 V벨트로 연결하는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컴프레셔를 엔진에 이웃하여 유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컴프레셔의 작동중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지 못하여 에어콘 가동에 의한 진동과 소음이 크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벨트의 장력 조절시 작업자의 감각으로만 조절할 수 밖에 없는 바. 벨트의 수명을 단축함은 물론 컴프레셔의 베어링 부분이 쉽게 마모되어 이에따른 고장율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안의 요약]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콘의 작동중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이에따른 소음발생을 억제하며, 구동벨트의 장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벨트의 수명과 컴프레셔의 회전부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 고정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판상의 부재 일측을 절곡시켜 형성되는 수직부가 프레임에 고정되는 메인 브라켓과:
상측으로 요구하는 숫자의 컴프레셔가 장착되며, 그의 중앙부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주가 세워지고 이에 아이들링 풀리가 장착되어, 상기 메인 브라켓의 수평부 상면으로 완충부재를 개재시켜 고착되는 힌지부재에 그 중압부가 힌지 연결되는 컴프레셔 고정판과:
상기 컴프레셔 고정판의 프레임 측단과 프레임 사이에 세워져 완충작용은 물론 컴프레셔 고정판을 상측으로 밀어주는 완충수단과:
상기 완층수단의 반대측 컴프레셔 고정판에 일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에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로 형성되는 고정판 경사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에어콘의 콤프레셔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것으로서, 부호 2는 메인 브라켓을 지칭한다.
상기 메인 브라켓(2)은 판상의 부재 일측을 절곡시켜 브라켓(2)의 수직부(4)가 프레임(6)에 소정의 고정수단으로 장착되는데, 이러한 고정수단으로는 고정볼트 또는 고정 리벳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브라켓(2)의 수평부(8)선단 상면에는 완충부재(10)를 개재시켜 힌지부재(12)가 고착되며, 이러한 힌지부재(12)중앙부에는 상측으로 2개 1조로 이루어지는 컴프레셔(14)(16)가 장착되는 컴프레셔 고정판(18)이 힌지 고정된다.
이에따라 컴프레셔 고정판(18)은 힌지부재(12)와의 연결부인 힌지부(20)를 기준으로 좌우로 약간의 회전이 허용되며, 상기 힌지부(20)는 중간에 탄성부시(22)가 개재되는 부시형 힌지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컴프레셔(14)(16)가 2개가 1조로 장착된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2개가 설치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컴프레셔 고정판(18)는 중앙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주(24)가 세워져 지주(24)의 상측부에 아이들링 풀리(26)가 배치되며, 상기 아이들링 풀리(26)는 그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컴프레셔(14)(16)의 풀리(28)(30)와 벨트(32)(34)로서 연결되고 엔진의 크랭크 풀리(36)와도 벨트(38)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아이들링 풀리(26)는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지주(24)의 상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40)과, 상기 장공(40)을 관통하여 일축으로 아이들링 풀리(26)가 장착되는 고정볼트(42)를 풀어 그의 위치 변경에 따라 아이들링 풀리(26)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것이다.
물론 상기 장공(40)을 관통하는 볼트(42)는 그의 중간부가 장공(40)의 측편과 대응되는 평면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 고정판(18)의 일측단 즉, 프레임(6)측단은 완충수단(44)을 개재시켜 프레임(6)과 연결되는데, 상기 완충수단(44)은 쇽 업소오버(46)와, 상기 쇽 업소오버(6)의 댐퍼 로드(47)외측으로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코일스프링(48)은 쇽 업소오버(46)를 연장시키려는 탄발력을 발휘하여 항시 컴프레셔 고정판(18)의 내측단을 상측으로 밀어주어 지주(24)을 도면에서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엔진의 크랭크 풀리(36)와 아이들링 풀리(26)를 연결하는 벨트(38)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따라 상기 코일 스프링(48)의 스프링 상수는 요구하는 벨트(38)장력에 따라 결정되는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층수단(44)의 반대측에는 컴프레셔 고정판(18)의 외측단 높이를 조절하는 고정판 경사 조절수단(50)이 마련되는데. 상기 경사 조절수단(50)은 컴프레셔 고정판(18)에 일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52)와, 상기 고정부재(52)의 선단에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54)로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상기 볼트(54)를 조이면 볼트(54)상승하면서 선단으로 접촉되는 컴프레셔 고정판(18)이 프레임(6)측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지주(24)가 제1도의 일점쇄선과 같이 기울어지게 하여 벨트(38)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벨트(38)를 장착하고 볼트(54)를 풀면, 컴프레셔 고정판(18)이 완충수단(44)에 작용에 의하여 이점쇄선과 같이 밀리면서 벨트(38)의 장력이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벨트(38)의 장착시 고정판 경사 조절수단(50)을 이용하여 매우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일단의 장착후에는 완충수단(44)의 코일 스프링(48)에 의하여 장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따라 벨트의 수명은 물론 컴프레셔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것이다. 그리고 컴프레셔(14)(16)의 작동중에 발생되는 진동은 완충수단(44)과 힌지부(20)의 탄성부시(22)에, 의하여 흡수됨으로써, 컴프레셔(14)(16)작동에 따른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것을 최소화하여 진동에 의한 소음발생을 근본적으로 치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에어콘의 작동중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이에따른 소음발생을 억제하며, 구동벨트의 장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벨트의 수명과 컴프레셔의 회전부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판상의 부재 일측을 절곡시켜 형성되는 수직부(4)가 프레임(6)에 고정되는 메인 브라켓(2)과; 상측으로 필요한 갯수의 컴프레셔(14)(16)가 장착되며, 상기 컴프레셔(14)(16)의 중앙부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주(24)가 세워지고 이에 아이들링 풀리(26)가 장착되어, 상기 메인 브라켓(2)의 수평부(8)상면으로 완충부재(10)를 개재시켜 고착되는 힌지부재(12)에 그 중압부가 힌지 연결되는 컴프레셔 고정판(18)과; 상기 컴프레셔 고정판(18)의 프레임(6)측단과 프레임(6)사이에 세워진 완충수단(44)과; 상기 완충수단(44)의 반대측 컴프레셔 고정판(18)에 일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52)와, 상기 고정부재(52)의 선단에 상하로 관통하는 볼트(54)로 형성되는 고정판 경사 조절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에어컨의 콤프레셔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컴프레셔 고정판(18)과 힌지부재(12)를 연결하여 주는 힌지부(20)는 탄성부시(22)가 개재되는 부시형 힌지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 고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아이들링 풀리(26)는 지주(24)의 상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40)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2)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 고정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완충수단(44)은 쇽 업소오버(46)와, 상기 쇽 업소오버(46)의 댐퍼로드(47)외측으로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고정구조.
KR2019950014196U 1995-06-21 1995-06-21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 고정구조 KR0133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196U KR0133533Y1 (ko) 1995-06-21 1995-06-21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196U KR0133533Y1 (ko) 1995-06-21 1995-06-21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847U KR970000847U (ko) 1997-01-21
KR0133533Y1 true KR0133533Y1 (ko) 1999-02-18

Family

ID=1941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4196U KR0133533Y1 (ko) 1995-06-21 1995-06-21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5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985B1 (ko) * 2003-07-14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벨트 장력 조정이 가능한 차량 에어컨 컴프레서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847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2306B2 (en) Engine mount
US20050282669A1 (en) Belt tensioning arrangement and belt drive with such a belt tensioning arrangement
CN2867060Y (zh) 机车空调的压缩机固定机构
WO2011002718A1 (en) Dual tensioner assembly
JPH11227434A (ja) 自動車の懸架装置
KR0133533Y1 (ko) 자동차 에어콘의 컴프레셔 고정구조
KR102654461B1 (ko) 차량용 압축기 마운팅 장치
JPH06117373A (ja) 振動減衰装置
KR100317057B1 (ko) 진동 소음을 저감한 차량의 에어컨 컴프레서 구동용 벨트 전동장치
CN210799276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空调压缩机底座
KR0138936B1 (ko) 버스의 에어컨장치
KR100218166B1 (ko) 차량의 냉방용 에어컨 압축기의 진동방지장치
KR200311780Y1 (ko) 차량용 압축기의 설치구조
JP2003136948A (ja) 縦置型電動圧縮機用取付装置
KR100712343B1 (ko) 엔진 구동식 히트 펌프
KR100312520B1 (ko) 차량용에어콘의압축기장착장치
JPS5885716A (ja) 自動車用パワ−ユニツトのマウンテイング装置
KR100333324B1 (ko) 에어컨의 실외기
KR100959854B1 (ko) 냉동차량의 에어컨 전용 컴프레서 어셈블리
KR100534998B1 (ko) 쇽 업소버 냉각장치
KR102300780B1 (ko) 냉동차량용 압축기
CN220973861U (zh) 一种车用空调压缩机安装结构及新能源车
CN106762124A (zh) 柴油机双空调压缩机的前端轮系结构
CN210599434U (zh) 一种直流变频压缩机组减震机构
KR200305866Y1 (ko) 차량용 압축기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