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252B1 - 내열성의 알파-1-안티트립신 뮤테인 - Google Patents

내열성의 알파-1-안티트립신 뮤테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252B1
KR0133252B1 KR1019940010902A KR19940010902A KR0133252B1 KR 0133252 B1 KR0133252 B1 KR 0133252B1 KR 1019940010902 A KR1019940010902 A KR 1019940010902A KR 19940010902 A KR19940010902 A KR 19940010902A KR 0133252 B1 KR0133252 B1 KR 0133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residue
antitrypsin
alanine
human alph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희
권기선
이기녕
신화수
Original Assignee
김은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영길
주식회사 녹십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영길, 주식회사 녹십자 filed Critical 김은영
Priority to KR101994001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252B1/ko

Links

Landscapes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발명은 야생형 재조합 AT의 일부 아미노산을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함으로써 단백질 활성은 유지하면서 내열성이 증가된 AT 그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 및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사용한 내열성이 증가된 AT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열성의 알파-1-안티트립신 뮤테인
제1도는 야생형 알파-l-안티트립신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것이고.
제2도는 대장균으로부터 재조합 알파-1-안티트립신을 분리·정제하는 과정중 대표적인 단계들로부터 얻은 시료를 12% SDS(나트륨 도데실설페이트)-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SDS-PAGE)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고,
제3도는 대장균에서 생성된 야생형과 변이형의 제조합 알파-1-안티트립신과 인체 혈장 알파-l-안티트립신에 대한 57℃에서의 열불활성화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제4도는 51번 잔기가 시스테인인 내열성 변이 AT와 야생형 AT의 웅집현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55℃에서 보관중에 생기는 고분자량 단백질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제5도는 효모 배양액으로 부터 재조합 알파-l-안티트립신을 분리 정제하는 과정중 대표적인 단계들로부터 얻은 시료를 12% SDS-전기영동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고,
제6도는 효모로 부터 생산된 재조합 알파-l-안티트립신이 당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엔도그리코시다제의 처리에 의한 분자량의 변화를 12%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에 의해 분석한 사진이고,
제7도는 효모에서 생산된 재조합 알파-l-안티트립신의 58℃에서의 열불활성화율을 인체 혈장 알파-l-안티트립신 및 대장균에서 생산된 재조합 알파-l-안티트립신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제8도는 대장균에서 생산된 단일변이 알파-l-안티트립신과 복합변이 알파-l-안티트립신에 대한 불활성화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내열성이 증가된 알파-l-안티트립신(이하 “AT”로 약함) 및 그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야생형 AT의 51번째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AT 단백질의 소수성 중심부위에 존재한 아미노산을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함으로써 단백질 활성은 유지하면서 내열성이 증가된 AT 뮤테인, 그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사용한 내열성이 증가된 AT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질의 안정성은 그 물질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특히 변성이 잘 되는 단백질로 구성된 물질은 안정성이 보존기간과 체내에서의 반감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단백질로 구성된 치료물질이나 진단시약을 산업제품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들 물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인체혈액에서 분리 및 정제된 기존의 단백질 치료제는 원료의 제한과 에이즈나 간염바이러스와 같은 감염성 물질이 오염 문제 때문에 최근에는 유전공학기법을 통해 생산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생산된 재조합 단백질들은 인체에서 분리된 것들보다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떨어지고 따라서 혈장에 투여하였을 때 반감기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치료제로서의 개발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안정성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모색이 필요한데, 그 방법중 하나는 안정성 감소의 원인이 미생물내에서의 정상적인 단백질의 당화가 결여되거나 미비한 점에 근거하여 당화가 제대로 된 단백질을 생산하는 것이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유전자변이를 통해 아미노산을 치환시켜 활성은 유지시키면서 안정성이 증가된 변이 단백질을 생산하는 유전공학적 방법이 있다.
한편 단백질의 내열성과 변성에 대한 안정성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이미 이론적 및 실험적으로 밝혀진 바 있다(Pace, Trends in Biotechnology 8,93-98(1990)).
한편 AT는 간세포에서 합성된 후 혈액내로 분비되며, 혈장내에 존재하는 트립신(trypsin), 카이모트립신(chymotrypsin), 엘라스타제(elastase), 콜라게나제(collagenase), 트롬빈(thrombin) 및 플라스민(plasmin)과 같은 대부분의 세린계 단백질 분해요소에 대한 저해제들과 함께 설핀족(serpin family)에 속한다.
AT는 분자량이 52KD(kilodalton)인 당단백질이며 생리적 기능을 중성 백혈구의 엘리스타제에 대한 저해제로 작용한다.
특히 폐포에 존재하는 탄성섬유(elastic fiber)가 중성백혈구의 엘리스타제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막아준다.
AT와 관련된 병리학적 증상을 일으키는 선천적인 유전자 변이는 많이 알려져 있으며(Carrell et al., Mol. Biol. Med. 6, 35-42(1982). 이들 대부분이 혈장내의 AT 농도를 감소시켜서 단백질 분해요소-저해제의 균형이 깨어지며, 이로써 허파는 신축성을 잃게되고 호흡기종으로 진전된다(Gadek and Crystal, in Metabolic Basis of Inherited Disease. Stanbury et al., Eds., McGraw-Hill, New York. pp.1450-1467).
이와 같은 유전적 결함에 의한 호흡기종 외에도 과다한 흡연이나 심한 환경공해로 인한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의 불활성화로 인해 호흡기종이 유발되기도 한다.
현재 북미와 유럽의 백인종에서 주로 발견되는 이러한 유전적 질환을 극복하기 위하여 매년 1억$ 이상의 AT 시장이 형성되어 있고, 혈액에서 추출된 AT가 치료제로 투여되고 있다.
또한 AT는 급성 쇼크 증후군의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Robin W. Carrell, Biotechnology and Genetic Engineering Reviews. 4,291-297(1986)).
쇼크 증후군은 중성백혈구의 갑작스런 대량 방출로 인해 혈장 설핀과 단백질분해효소사이의 균형이 파괴되어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원료의 제한과 바이러스등의 감염 문제 때문에 유전공학 기법을 통한 안전하고 경제적인 생산이 연구되어 왔다.
AT 단백질을 코오드화하는 DNA 염기서열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Long et al., Biochemistry 23, 4828(1984)), 보고에 따르면 AT 유전자를 대장균(Bollen et al., FEBS Lett. 16, 67(1984); Courtney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1. 669(1984); Tessier et al., FEBS Lett. 208, 183(1986); Johnsen et al., Mol. Biol. Med 4, 291(1987); Sutiphong et al., Mol. Biol. Med 4, 307(1987); 이상철과 유명희, 한국 생화학회지 22, 148(1989); Lee et al., Molecules and Cells 3, 71-74(1993)) 또는 효모(Travis et al., J. Biol. Chem. 260. 4384(1985); Rosenberg et al., Nature 312, 77(1984); Cabez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1, 6594(1984); 김진미 등, 한국생화학회지 23, 236(1990); 김무겸 등. 미생물 학회지 30, 108(1992))에서 발현시킨 바 있다.
또한 AT의 활성부위 잔기인 358번 메티오닌 잔기를 부위 특이 돌연변이 유도법(site specific mutagenesis)에 의해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친환시켜 엘라스타제외의 다른 세린계 단백질 분해효소에 대한 저해제로 전환시키거나 산화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된 저해제로 개발하는데 성공한 바 있다(Rosenberg et al., Nature 312, 77-80(1984); Courtney et al., Nature 313, 149-151(1985); Barr et al., US patent No. 4,732,973; Insley et al., US patent No. 4,711,848). 한편 효모에서 생산된 당화되지 않은 AT는 시험관내에서 내열성이 떨어졌으며, 이와 같은 내열성의 감소는 생체내에서의 반감기의 감소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보고 되었다(Travis et al., J. Biol. Chem., 260. 4384(1985)).
AT의 구조-기능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휴버(Huber)와 카렐(Carrell)에 의해 잘 정리된 바 있다(Biochemistry 28, 8951-8963(1989)).
본 발명자들은 유전공학적으로 생산된 AT의 상기와 같은 불안 정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AT의 51번째, 56번째, 59번째, 68번째, 69번째, 70번째, 374번째, 381번째 및 387번째 아미노산 잔기들중 하나 이상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변이형 제조합 AT 당화된 변이형 재조합 AT의 내열성과, 열역학적 안정성이 야생형 재조합 AT 보자 크게 증가되는 것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과, 열역학적 안정성이 야생형 재조합 AT보다 크게 증가된 변이형 AT 뮤테인 및 이를 코오트화하는 유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이형 AT 뮤테인의 유전자를 포함하여 그의 발현시 내열성이 증가된 변이형 AT 뮤테인을 생산하는 발현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 및 이러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를 이용하여 내열성이 증가된 AT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내열성 AT는 야생형 재조합 AT의 51번째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 56번째 아미노산 세린, 59번째 아미노산인 트레오닌, 68번째 아미노산인 트레오닌, 69번째 아미노산인 라이신. 70번째 아미노산인 알라닌, 374번째 아미노산인 메티오닌, 381번째 아미노산인 세린 및 387번째 아미노산이 라이신중 하나이상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것들이며, 바람직한 내열성 AT들은 51번째 아미노산 잔기가 시스테인,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또는 알라닌, 56번째 잔기가 알라닌, 59번째 잔기가 알라닌 또는 세린, 68번째 잔기가 알라닌, 69번째 잔기가 글루타민, 70번째 잔기가 글리신, 374번째 잔기가 이소로이신, 로이신 또는 발린, 381번째 잔기가 알라닌, 387번째 잔기가 아르기닌으로의 치환이 하나 이상 일어난 재조합 AT들이다.
상기 아미노산중 하나의 아미노산이 치환된 단열변이 AT중 가장 바람직한 내열성 AT는 51번째 아미노산이 시스테인인 재조합 AT, 및 374번째 아미노산이 이소로이신인 재조합 AT이며, 이는 대장균등에서 당화되지 않은 형태로 생성되었을 경우 야생형 재조합 AT보다 10배 이상 증가된 반감기를 가지며, 효모에서 당화된 형태로 생성되었을 경우 훨씬 내열성이 증가한다.
상기 아니모산중 2개 이상이 치환된 복합 돌연변이 AT의 예로는 51번이 로이신이고 394번이 이소로이신이 변이 AT 59번과 68번이 알라닌이고 70번이 글리신인 변이 AT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복합변이 AT들은 단일 변이 AT보다 훨씬 증가된 내열성을 보이며, 당화될 경우 더욱 내열성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열성 AT의 아미노산 서열은 상기 치환된 아미노산을 제외한 다른 부분이 야생형(제1도 참조)과 동일하며, 야생형에는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아미노산 서열외에도, 101번 잔기를 Arg, 204번 잔기는 Lys, 213번 잔기는 Ala, 223번 잔기는 Cys, 341번 잔기는 Asn, 363번 잔기는 Lys, 376번 잔기는 Glu로 각각 하나 이상 치환된 아형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야생형 AT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되어도 무방하며, 또한 아미노 말단의 11개 잔기들중 하나 이상이 삭제되거나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도 상관없다.
특히 대장균에 생성된 야생형 AT는 Met이 제1도의 첫번째 아미노산인 Glu 앞에 붙거나, Glu 대신 치환될 수 있으며, AT의 아미노 말단의 11개 잔기들중 하나이상이 삭제된 경우에도 N-말단에 부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AT 아미노산 번호는 아미노산의 삭제 또는 부가에 관계없이 제1도의 아미노산 서열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내열성 AT들은 부위특이 돌연변이 유도법등에 의해 재조한 내열성 변이형 AT를 코오드화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벡터로 숙주세포를 형질전환시켜 내열성 AT를 발현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화학적 아미노산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내열성 AT를 코오드화하는 DNA야생형 제조합 AT의 상기 치환되는 부위의 아미노산을 코오드화하는 코돈이 다른 아미노산을 코오드화하는 코돈으로 치환되고 나머지 DNA 서열은 야생형의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코오드화하는 DNA이다.
내열성 AT를 코드화하는 DNA 서열로서 바람직한 것은 51번째 코돈이 시스테인,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또는 알라닌을 코오드화하는 코돈으로 치환된 것들이며, 56번째 잔기가 알라닌, 59번째 잔기가 알라닌 또는 세린, 68번째 잔기가 알라닌, 69번째 잔기가 글루타민, 70번째 잔기가 글리신, 374번째 잔기가 이소로이신, 로이신 또는 발린, 381번째 잔기가 알라닌, 387전째 잔기가 아르기닌을 코오드화하는 코돈으로 치환된 것들이다.
한편, 코돈의 퇴화(degeneracy)에 의해 하나의 아미노산을 코오드화하는 코돈이 다수 존재이므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코오드화하는 DNA 라도 그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다를 수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내열성 AT를 코오드화하는 DNA는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야생형 AT cDNA를 제조하여 이를 바탕으로 부위특이 돌연변이 유도법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제조된 본 발명의 변이형 재조합 AT를 코오드화하는 DNA는 당 분야에 잘 공지된 적당한 원핵 또는 진핵 발현 시스템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이를 발현시킬 수 있다(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 Cold Spring Habor Laboratory, Cold Spring Habor Laboratory Press, USA(1989).
발현은 당화되지 않은 AT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대장균, 예를 들어, 대장균 BL21(DE3), 대장균 JM109(DE3), 대장균 NM522 등에서 수행되며, 당화된 AT의 경우 효모, 예를 들어,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마이세스 다이아스타티커스(Saccharomyces diastaticus) 등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유선 조직 특이 발현 벡터등을 이용하여 형질전환 동물에서도 발현시킬 수 있다.
대장균 및 효모에서의 발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벡터들은 샘브룩 등의 문헌(상동) 및 피어스(Fiers)등의 논문(“Proced. 8th Int. Biotechnology Symposium”, Soc. Frac, de Microbiol., Paris,(Durand et al., eds.), pp. 680-697(1988))에 언급되어 있다.
상술한 벡터에 의한 숙주세포의 형질전환은 통상적인 방법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Sambrooketal.,Molecular Cloning, ALaboratory Manual (1989); Ito etal., J.Bacteriol. 153,263(1983)).
대장균을 형질전화시킬 경우, DNA를 흡수할 수 있는 콤페텐트 세포를 준비하고, 이어서 공지된 CaCl2방법등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효모 형질전환은 또한 숙주 세포가 스페로플라스토(spaeroplast)를 형성하도록하여 상기 문헌들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등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목적 발현 벡터를 함유하는 숙주 미생물은 목적 단백질의 생산을 최대화하는 범위에서 그들의 최적 성장 조건에서 배양된다.
예를 들면, 엠피실린 저항 유전자를 선택 표지로 함유하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 세포는 앰피실린이 함유된 LB 배지(박토-트립톤 10g, 박토-효모 추출물 5g, NaCl 10g을 물1ℓ에 녹임)에서 37℃로 배양한다.
효모의 경우 문헌(Sherman et al., Methods in Yeast Geneticts, Cold Spring Ha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Y., U.S.A)에 기술된 바에 따라 최적 성장 조건에서 배양할 수 있다.
형질전환된 숙주세포를 배양한 후 생산된 AT의 회수 및 정제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여러 방법 또는 그들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형질전환된 대장균 세포에서 발현된 재조합 AT는 세포 배양물로 부터 또는 세포의 파쇄후에 단백질 화학계에 공지된 어떤 적합한 방법에 의해 추출함으로써 회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조합 AT를 정제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93-686호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재조합 대장균 세포의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확하고, 수확한 세포를 리소자임이 첨가된 완충용액에 현탁시키고 포음파로 파쇄한다.
세포 파쇄액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과립형태의 AT가 함유된 침전물을 얻는다.
이 침전물을 트리톤 X-100이 첨가된 완충용액에 현탁시키고 침전물을 회수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한다.
침전물을 요소가 함유된 현탁액에 용해시키고 에틸렌 디아민 4초산 및 머캅토에탄올이 첨가된 인산칼륨 용액으로 희석한다.
에틸렌디아민 4초산 및 머캅토에탄올이 첨가된 인산염 완충용액에 투석하고 동일 용액으로 평형화된 DEAE-세파셀(Pharmacia LKB Biotechnology사)컬럼을 통해 용출시킨다.
다시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피의 모노 Q칼럼(Pharmacia LKB Biotechnology사)에서 용출시키므로써 정제한다.
또한, 효모의 경우 세포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제거하고 배양여액을 농축한 후 암모늄설페이트로 분획시켜 원심분리한 후 완충용액에 투석하고 DEAE-세파설, 모노 Q 칼럼등을 이용하여 분리·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조합 변이형 AT는 중성 백혈구의 엘라스타제에 대한 저해제로 작용하며, 특히 폐포에 존재하는 탄성 섬유가 엘라스타제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전적 결함이나 환경오염 등에 의한 호흡기종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재조합 변이형 AT는 내열성이 크게 증가된 것이므로 더욱 유용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연구전략은 다른 세린계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의 내열성 전환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들 내열성 재조합 저해제는 야생형 재조합 저해제에 비해 혈장내에서 반감기가 증가될 것이며, 따라서 재조합 저해제의 산업적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내열성 저해제의 조성은 주사투여 및 에어졸 흡입법 및 유전자 치료법 뿐아니라 다른 여러가지 용도(진단시약, 친화성 컬럼의 제조 등)에 응용될 수 있다.
하기 참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모든 DNA 조작방법은 샘브룩(Sambrook) 등의 문헌(Molecular Cloning, Cold Spring Harbor Lab(1989))을 참조하였다.
제한효소들은 뉴 잉글랜드 바이오랩스사(New England Biolabs)나 뵈링거 만하임사(Boeringer /Mannheim)로 부터 구입하였다.
하기 참조예 및 실시예에서 사용한 AT의 활성 및 열안정성의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AT의 활성측정방법의 개념은 엘라스타제의 펩타이드를 분해하는 능력이 AT의 존재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분석하는 것이다. 즉, 글리세롤을 첨가한 반응 완충액(트리스-HCl, pH8.0)에 엘라스타제를 용해시킨 효소액 AT 추출액 및 반응 완충액을 혼합하여 반응시킨 후, 완충액과 기질(숙시닐-알라닐-알라닐-알라닐-파라-니트로아닐리드(시그마 S4760)를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여 410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AT의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평가한다. AT의 열안정성은 세포추출액을 사용할 때는 55℃에서, 정제된 AT를 사용할 경우에는 57℃ 또는 58℃에서 열처리된 AT를 사용하여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고, 대조군으로 야생형 재조합 AT와 인체 혈액에서 분리-정제된 AT를 사용한다.
[참조예 1. AT 유전자의 클로닝]
사람의 간 cDNA 라이브러리(Clontech, U.S.A에 구입)의 클론으로 부터 롱등이 보고한 염기서열(Long et al., Biochemistry 23, 4828(1984))중 염기번호 50-72 프로브를 사용하여 32개의 양성클론을 얻었고, 이를 염기번호 1150-1172의 프로브를 사용하여 다시 4개의 양성 클론으로 축소하였다. 이로부터 pUC-AT(R)을 얻었으며, AT 유전자는 EcoRI 또는 BamHI으로 절단되는 1.3kb 절편이었다.
이상에 관해서는 이상철과 유명희의 논문(한국생화학회지, 22, 148(1989))에 수록되어 있다.
[참조예 2. 야생형 재조합 AT의 발현]
참조예 1에서 얻은 pUC-AT(R)을 BamHI으로 절단하여 1.3kb절편을 분리하고, 이를 pET-8c 플라스미드(Studier and Moffatt. J. Mol. Biol, 189, 112(1986))의 BamHI 부의에 삽입하여 pEAT 8을 제조하였다.
이를 사용하여 대장균 BL21(DE3)을 형질전환시켰을 때 발현된 AT를 야생형 대장균 재조합 AT라 명명하였다.
생성된 야생형 대장균 재조합 AT 폴리펩티드는 아미노산 서열의 첫번째 잔기로서 이체혈장에서 분리된 AT의 첫번째 아미노산인 글루탐산 대신 메티오닌을 지니며 두번째 잔기부터는 야생형 AT(제1도)와 서열이 일치한다.
이와 같은 야생형 재조합 AT의 아미노말단 서열은 단백질 서열 분석실험에 의해 확인되었다(Applied Biosystem 477A 사용).
pEAT 8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은 1991년 4월 17일자로 KCTC 0009BP로 기탁되었다. 이상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93-686호에 수록되어 있다.
제조예 1. 무작위 돌연변이 유전자를 포함하는 형질전환체의 제조 참조예 2의 pEAT 8 플라스미드를 BamHI으로 처리하여 얻은 1.3kb 절편을 M13mp18의 BamHI 부위에 삽입하였다. 에커트 등(Eckert 및 Kunkel, PCR Chap. 14, The fidelity of DNA polymerase chain reactions, ed. by McPharson et al., Oxford Univ. Press(1991)이 개발한 변형된 PCR 방법에 따라, M13 클론으로부터 얻은 단일가닥 DNA와 시그마(Sigma) 사로부터 구입한 프라이머 #1201 및 프라이머 #1212를 사용하여 무작위 돌연변이를 유도하였다.
반응액에 dATP는 0.1mM로 낮추고, dCTP, dGTP, DTTP는 각각 1mM로 염화마그네슘은 10mM로 첨가하여 PCR을 25회 반복하였다.
증폭된 DNA를 Bcll과 BstXI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770bp 절편(17번 코돈에서 273번 코돈까지)을 잘라내어 참조예 2의 pEAT8의 Bcll/BstXI 절편과 치환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플라스미드를 사용하여 대장균 BL21(DE3)을 형질전환시킨 후 앰피실린에 대한 저항성을 지닌 5×104개의 콜로니를 얻었다.
[제조예 2. 내열성 AT를 생산하는 콜로니의 스크리닝]
대장균에서 발현된 내열성 AT를 조사하기 위하여 코플렌 등의 방법(Coplen et al., Proteins; Structure, function and genetics 7, 16(1990))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콜로니를 1mM 이소프로필 베타-티오가락토사이드(IPTG)가 첨가된 배지(인산제 2 나트륨 6g, 인산칼륨 3g, 염화암모늄 12g, 포도당 2g, 효모추출물 0.2g, 카사미노산 3g을 물 1ℓ에 녹인 것) 0.1㎖에 접종한 후 하룻밤 동안 배양하고 25㎕의 용해액(250mM 트리스 pH 8.0, 25mM EDTA, 0.25% 트리톤 X-100, 0.5mg/㎖ 리소임자)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6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7nM 엘라스타제액(시그마 E0258) 25㎕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1.2mM 숙시닐-알라닐-알라닐-파라니트로아닐리드(시그마 S4760)50㎕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아질산 나트륨(0.2%를 2M 염산에 녹인 것) 25㎕를 첨가하여 3분간 방치하고, 2% 암모늄 설파메이트 25㎕를 첨가하여 다시 3분간 방치한 다음, N-나프틸렌디아민용액(0.05%를 95% 에탄올에 녹인 것) 50㎕를 첨가하여 붉은색 반응을 관찰하였다. 붉은색을 나타내지 않는 클론이 내열성의 AT를 생성하는 클론이므로, 이를 양성이라 하였다. 제조예 1에서 얻은 콜로니중 5000개의 클론을 스크린하여 41개의 양성클론을 얻었다.
[실시예 1.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변이형 재조합 AT를 발현하는 대장균의 제조]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측정법으로는 트래비스트의 방법(Travis Johnson, Methods in enzymol. 80. 754(1981))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반응 완층액은 50mM 염화나트륨이 첨가된 50mM 트리스(pH 8.0)이고, 숙시닐-알라닐-알라닐-알라닐-파라니트로아닐리드(시그마 S4760)를 15mM이 되도록 디메틸설폭사이드에 녹여서 엘라스타제의 기질로 사용한다.
효소액은 50% 글리세롤을 첨가한 반응 완층액에 엘라스타제를 0.3μM이 되도록 용해시켰다.
효소저해 활성은 효소액 10㎕, AT 추출액 10-50㎕및 반응완충액을 섞어 60㎕로 만든 10분간 반응시키고, 반응완충액 430㎕와 기질 10㎕를 첨가하여, 즉시 410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3분간 측정하였다.
제조예 2에서 얻은 형질전환 클론을 LB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600nm에서의 흡광도가 0.8이 될 때까지 배양한 뒤, IPTG를 0.4mM 첨가하여 3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확하고, 수확한 세포를 50mM 염화타트롬이 첨가된 50mM 트리스 완충용액(pH 8.0)에 현탁시키고, 0℃에서 초음파로 파쇄하였다. 파쇄액을 15분간 원심분리(10,000 xg)하여 상등액을 취한 후 AT 추출액으로 사용하였다. 내열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AT 추출액을 55℃로 유지하면서 시간별로 잔여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야생형 재조합 AT에 비하여 현저히 열안정성이 증가된 변이 재조합 AT를 발현하는 대장균 1주를 분리하고, 이를 대장균(Escherichia coli)BL21(DE3)(pEAT81)이라 명명하고 1993년 3월 19일자로 한국유전자 은행에 KCTC 0077BP로 기탁하였다. 상기 대장균에 함유되어 있는 플라스미드를 pEAT 81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변이 재조합 AT를 코드화하는 DNA의 서열 결정]
실시예 1에서 얻은 플라스미드 pEAT81에서 BamHI으로 벌단시킨 1.3kb 절편을 M13mp18의 BamHI 위치에 삽입하여35S-dATP와 시쿼나제(sequenase) 키트(US Biochemical Co.)를 이용하여 생거의 방법(Sange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74, 5463(1977))을 활용하여 DNA 염기배열을 판독한 결과, 51번 코돈인 TTC(페닐알라닌)가 TGC(시스테인)로 치환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재조합 AT의 분리정제]
분리정제 방법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공개 특허 93-686호에 기재된 방법을 활용하였다. 재조합 균주 KCTC 0077BP와 KCTC 0009BP를 M9ZB배지(염화 암모늄 1g, 인산 칼륨 3g, 인산 나트륨 6g, 글루코즈 2g, 효모추출물 0.2g, 카사미노산 3g을 1ℓ의 물에 녹인것) 250㎖에 각각 접종하고, 37℃에서 600nm에서의 흡광도가 0.8이 될 때까지 배양한 뒤, IPTG를 0.4mM 첨가하고 40℃에서 3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원심부리하여 세포를 수확하고, 수확한 세포를 리소자임이 0.1mg/㎖로 첨가된 완충용액(50mM 염화나트륨 1mM 에틸렌디아민 4초산, 1mM 머캅토에탄올이 첨가된 50mM 트리스 pH 8.0)에 현탁시키고 0℃에서 초음파로 파쇄하였다.
파쇄액을 10분간 원심분리(10,000 xg)하여 불용성 과립형태의 AT가 함유된 침전물을 얻었다. 이 침전물을 0.5% 트리톤 X-100이 첨가된 완충용액 A에 첨가하여 현탁시키고, 현탁액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회수하는 과정을 1회 이상 반복하였다. 침전물을 8M 요사가 함유된 완충용액 A 5㎖를 녹여 30분간 반치하고 1mM 에틸렌 디아민 4초산 및 1mM 머캅토에탄올이 첨가된 50mM 인산완충용액(pH 8.0) 45㎖를 가하여 희석하였다. 30분후 1mM 에틸렌디아민 4초산 및 1mM 머캅토에탄올이 첨가된 10mM 인산염완충액(pH 6.5)에서 투석하고, 투석액으로 평형화시킨 DEAE-세파셀(Pharmacia LKB Biotechnology사) 컬럼에 투입하여 0-300mM 선형농도 구배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투석액으로 용출시켰다.
다시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피의 모노 Q 컬럼(Pharmacia LKB Biotechnology사)에서 0-200mM 선형농도 구배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투석액으로 용출시켜,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수한 AT를 얻었다.
제2도에서, 제1도열은 세포 총파쇄액을 나타내고, 제2열은 세포 파쇄 후 원심분리에 의해 얻은 AT가 함유된 침전물을 나타내며, 제3열은 침전물의 요소용해 및 리폴딩과정 직후의 상등액을 나타내고, 제4열은 리폴딩 과정의 침전물을 나타내며, 제5열은 DEAE-세파셀컬럼과 모노 Q 컬럼을 통과시킨 후의 정제된 재조합 AT를 나타내고, 제6열은 아피-겔 블루 컬럼과 모노 Q 컬럼을 통과시킨 인체혈장 AT를 나타내며, 제7열은 표준 단백질 분자량을 나타낸다.
[실시예 4. 부위특이 돌연변이 유전자 및 변이형 AT의 특성]
[4-1. 부위특이 돌연변이 유전자의 제조]
51번째 아미노산이 18개의 다른 아미노산 잔기들로 치환된 변이형 AT들을 얻기 위해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의한 부위 특이 돌연변이 유발법(Kunkel et al., Methods in Enzymology 154, 367-382(1987))을 사용하였다.
변이유도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30개의 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서열은 다음과 같이 51번 주위에는 야생형 아미노산 서열을 코드화하고 51번에는 20개의 아미노산중 하나가 코드화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5′-GG AGG GAA G/CNN GAT ATT AGT ACT GTT GGA C-3′
여기서 G/C는 G와 C가 동일 몰 수로 섞인 것을, 그리고 N은 A, T, G 및 C로 동일 몰 수로 섞인 것을 의미한다.
AT 유전자의 M13 클론을 대장균 CJ236(dut-, ung-, Boeringer Mannheim사)을 숙주로 하여 0.25μg/㎖의 우리딘(uridine)이 첨가된 LB 배지에서 3회 증폭 배양시켜 얻은 박테리오파지 입자로부터 단일가닥 우리딘 주형을 획득하였다.
합성된 올리고클레오티드를 결합시킨 다음 이를 사용하여 대장균 JM109(ATCC 53323)를 형질전환시켜 야생형 주형을 선별적으로 제거시킨 후 원하는 변이클론을 획득하였다.
변이 M13 클론들을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염기 서열 분석하여 51번째 아미노산이 18개의 아미노산중 하나로 치환된 변이 클론을 확인하였다.
이들로부터 RF(Replicative form) DNA를 얻은 후 제조예 1에서와 같이 Bcll과 BstXI으로 처리하여 얻은 770bp 절편은 pEAT8의 Bcll/BstXI 단편과 치환하여 변이 AT 발현 벡터를 완성하여 이 벡터로 대장균 BL21(DE3)을 형질전환시켰다.
[4-2. AT 뮤터인의 열안정성 측정]
각각의 변이 AT를 발현하는 대장균 세포추출액으로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내열성을 조사한 결과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알라닌 등으로 치환된 것들이 야생형 재조합 AT보다 열안정성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단백질을 실시예 3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정제한 후 시그마(Sigma)사에서 구입한 인체 혈장AT(A9204)를 아피-겔 블루(Affi-Gel Blue) 컬럼(Bio-Rad 사)과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모노 Q 컬럼을 통과시켜 정제한 인체 혈장의 AT를 사용하여 이들의 활성과 열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엘리스타제에 대한 결합상수 및 열에 대한 불활성화율을 조사하였다.
결합상수는 비아티(Beatty)등의 방법(Beatty et al., J. Biol. Chem. 255, 3931-3934(1980))에 따라 동일 농도 (8nM)의 엘라스타제와 AT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액을 시간별로(1분-10분) 분취하여 기질로서 숙시닐-알라닐-알라닐-알라닐-파라니트로아닐리드(시그마 A4760)을 1mM 첨가하여 잔여 엘라스타제 활성을 410nm에서 측정한 후, 시간에 대한 엘라스타제 농도의 역수를 그래프화하여 얻어진 직선의 기울기 값으로 구하였다.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각각 대장균에서 생산된 야생형 및 변이형 재조합 AT는 인체 혈장의 AT와 유사한 결합상수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상기 실시예에 얻어진 변이형 AT의 활성이 정상임을 알 수 있다.
열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AT 종류들은 57℃에서 진탕하다가 시간별로 분취한 후 잔여 AT 활성을 실시예 1에서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시간에 대한 잔여활성의 대수값을 그래프화하여 얻은 직선(제3도)으로부터 반감기와 열 불활성화율을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변이형 세린계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들은 야생형과 동등한 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열에 대한 안정성이 대장균에 생산된 야생형 재조합 저해제보다 현저히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중에서 51번 아미노산이 시스테인으로 치환된 변이형 재조합 AT는 야생형 재조합 AT에 비해 열안정성이 13.5배나 개량되었으며, 인체 혈장의 AT와 유사한 내열성을 나타내었다.
[4-3. AT 뮤테인이 응집 억제능력]
로마스 등의 문헌(Lomas. D.A. et al., Nature 357, 605-607(1992); Lomas, D.A., et al., Biochemistry 32, 500-508(1993))에 따르면, AT는 고온(41℃이상)이나 약한 변성 조건에서 중합(polymerization)되어 활성이 없는 상태로 응집(aggregation)되는 현상이 있고, 이것이 바로 열불활성화의 기작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변이형 AT와 야생형 AT의 응집현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응집반응을 유도한 후 겔여과(gel permeation)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고분자량 단백질이 형성되는 것을 분석하였다. 자세히 설명하면 정제된 재조합 AT를 55℃에서 0.1mg/㎖의 농도에서 적당시간 동안 진탕하다가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슈퍼로즈 12 컬럼(Pharmacia LKB Biotechnology사)를 이용하여 분자량에 따라 분리하였다.
제4도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서 획득된 51번 잔기가 시스테인으로 치환된 변이형 AT는 야생형 AT에 비해 월등히 낮은 비율로 중합 현상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의 51번 잔기에 대한 돌연변이는 중합 반응에 의한 AT의 불활성화를 감소시키는 성질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제44도에서 12.5분에 용출되는 분획은 활성 형태의 단백질이고 그 이전에 용출되는 단백질은 비활성형의 고분자량 단백질이다.
[실시예 5. 당화된 AT 뮤테인의 제조 및 성질분석]
[5-1. 효모에서의 반현을 위한 플라스미드 제조]
하기 실시예에서는 아미노산 치환에 의한 내열성 변이 AT가 당화됨에 의해 더욱 그 내열성이 향상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미노산 치환 변이중 대표적인 내열성 변이인 51번째 잔기(페닐알라닌)가 시스테인으로 바뀐 것을 재료로 하였다.
각각 야생형 AT 유전자 및 아미노산 치환에 의한 내열성 변이 AT 유전자를 함유하는 대장균 발현 벡터인 pEAT8(KCTC 0009BP)과 pEAT81(KCTC 0077BP)을 BamHI과 Smal 제한효소로 처리하여 1.3kb 절편으로 된 야생형 및 내열성 변이형 AT 유전자를 각각 분리해내었다.
이들을 플라스미드 pYES24(Ahn et al., Kor. J. Microbiol. 30, 403(1992))의 BamHI과 Smal 위치에 삽입시켰다.
이를 다시 BamHI으로 절단한 후 멍빈 뉴클레아제(Mungbean nuclease)로 처리한 후 다시 연결반응시켜 해독 프레임을 맞춤으로써 효모에서의 발현을 위한 플라스미드 pGAT11(야생형)과 pGAT15(변이형)를 제조하였다.
결국 이와 같은 효모용 플라스미드들을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디아스타티커스(Saccharomyces diastaticus) STA1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중 일부분과 분비 신호서열을 포함하는 450bp 서열의 뒤쪽에서 AT 유전자 서열이 연결되게 된다.
pGAT11의 제조방법은 이미 보고된 바 있다(Song et al., Kor. J. Microbiol. 31, 203(1993)).
[5-2. 효모 형질전환체의 제조 및 배양]
상술한 벡터에 의한 숙주세포(효모)의 형질전환은 리튬 아세테이트 방법(Ito et al., J. Bacteriol. 153. 163(1983))에 의해 수행하였다.
상기 제조된 벡터를 이용하여 효모에서 재조합 AT를 발현 및 분비시키기 위한 숙주세포로 사카로마이세스 디아스타티커스(Saccharomyces diastaticus) YIY345(KCTC 1791)(Yamashita et al. J. Bacteriol 161. 574(1985))를 숙주로 사용하여 형질전환시켰다. 벡터 pGAT15로 형질전환된 효모 YIY345는 효율적인 AT 생산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배양하였다.
히스티딘과 로이신이 각각 20mg/l 로 함유된 YNB 배지(0.67% 아미노산 결핍 효모 질소 기질, 2% 포도당 수용액)에서 30℃에서 16 내지 18시간 배양한 후 YEPD 배지(1% 효모 추출물, 2% 펩톤, 2% 포도당 수용액)에 옮겨서 24시간 배양하였다.
[5-3. 효모 배양액으로부터 AT의 회수 및 정제]
상시 5-2의 효모 배양액을 원심불리하여 세포를 제거하고 배양여액을 한외여과 방법(Amicon PM30)에 의해 농축하였다.
암모늄 설페이트를 60% 포화시킨 후 원심분리하여(25,000g, 15분) 침점물을 제거한 후 다시 75% 포화되게 암모늄설페이트를 추가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얻은 침전물은 완충용액 B(10mM 트리스, 1mM 에틸렌 디아민 4초산, 1mM 머캅토에탄올, pH 8.0)에 녹인 후 같은 완충용액에서 투석하였다.
프로타민설페이트를 0.1% 되게 첨가한 후 원심불리하여 침전물을 제거시킨 후 완충용액 B에 투석시켰다.
이 용액을 완충용액 B로 평형화 시킨 DEAE-세파설(Pharmacia LKB사) 컬럼에 투입하여 0-200mM 선형 농도구배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완충용액 B로 용출시킨후 다시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는 모노 Q 컬럼(Pharmacia LKB사)에서 0-150 mM 염화나트륨 선형 농도 구배로 용출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
제5도는 효모 배양액으로부터 제조합 AT의 분리 정제 단계의 단백질 구성을 SDS-전기영동에 의해 분석한 결과이다.
제1열은 배영액을 한외 여과한 후 얻은 농출액을 나타내고 제2열은 암모늄의 페이트 분회 및 프로타민설페이트 침전후의 상등액을 나타내며 3열은 DEAE-세파셀 컬럼을 통과시킨 후의 AT 활성 분획을 나타내며, 제4열은 모노 Q 컬럼을 통과시킨 후의 전제된 재조합 AT를 나타내며, 제5열은 표준단백질 분자량을 나타낸다.
[5-4. 효모에서 생산된 재조합 AT의 당화(Glycosylation) 확인]
상기 5-3으로부터 생산된 AT가 정상적으로 당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정제된 재조합 AT를 엔도글리코시다제H(New England Biolabs사)(이하 “엔도 H”로 약함)를 처리한 후 SDS-전기영동하였다.
H는 N-당화된 고-만노스(high-mannose)타입의 탄수화물 잔기를 제거시킴으로써 당단백질의 분자량의 변화를 일으키고 이 결과는 SDS-전기영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엔도 H는 사람에서 생산되는 복합(complex) 타입의 탄수화물을 포함하는 당단백질에는 작용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효모에서 분비되는 당단백질은 고-만노스 타입의 탄수화물을 함유한다.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효모에서 생산된 재조합 AT의 분자량이 당화된 형태의 인체 혈장 AT와 유사하고, 엔도 H 처리에 의해 분자량이 45kD인 대장균에서 생산된 당화되지 않은 형태의 재조합 AT와 그 크기가 유사해짐을 볼 때 상기 실시예 6의 효모에서 생산된 AT는 고-만노스타입으로 N-당화되고 있는 당단백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6도에서, 제1열은 대장균에서 생산된 비당화된 형태의 재조합 AT이고, 제2열은 인체혈장 AT이고, 제3열은 인체혈장 AT 를 엔토 H 처리한 것이고, 제4열은 효모에서 생산된 야생형 재조합 AT이고, 제5열음 효모에서 생산된 야생형 AT를 앤도 H처리한 것이고 제6열은 효모에서 생산된 변이형 AT이고, 제7열은 효모에서 생산된 변이형 AT를 엔도 H처리한 것이고, 제8열은 표준 단백질 분자량을 나타낸다.
[5-5. 당화된 재조합 AT의 성질분석]
상기 5-3에서 정제된 효모에서 생산된 51번 잔기가 시스테인으로 치환된 변이형 및 야생형의 재조합 AT의 활성 및 58℃ 에서의 열안정성을 실시예 3 및 4에서 각각 정제된 대장균 및 인체 혈당에서 생산된 야생형 AT와 비교하면 실시예 4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당화된 재조합 AT는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로서의 활성은 야생형고 동등하였으며(표 2). 열에 대한 안정성은 현저히 증가하였다(제7도, 표2).
효모에서 생산된 야생형 재조합 AT는 대장균에서 생산된 야생형재조합 AT보다 열안정성이 5.3배 증가하였으나 인체혈장의 AT보다는 내열성이 낮았다.
그러나 효모에서 생산된 당화된 변이형 재조합 AT는 효모에서 생산된 야생형 AT에 비해 열안정성 31배나 개량 되었으며 인체혈장 AT에 비해서도 6배나 증가하였다.
실시예 6. 변성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한 일정부위 무작위 변이 유도 및 변이형 AT의 특성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른 내열성 변이가 얻어지리라고 예측되는, 51번 잔기를 포함하는 AT 단백질의 소수성 중심부위에 집중적으로 변이 유도를 함에 의해 가능한 내열성 변이를 망라하기 위하여, 51번 잔기와 인접한 소수성 부위를 선정하여 올리고 뉴클레오티드의 혼합합성에 의해 무작위 돌연변이를 시도하였다. 선정된 변이 위치는 아미노산 서열상 48번 잔기에서 70번 잔기까지와 368번 잔기에서 391번 잔기까지이다. 이 부위의 무작위 변이 유도를 위하여, 허치슨등의 방법(Hutchis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3, 710-714(1986))에 따라, 혼합합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였다.
즉,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화학 합성에 사용되는 네종류(A.T.C.G)의 포스포아미다이트 용액에 미량의 다른 세가지 포스포아미다이트 용액을 오염시킨 후 합성에 사용하게 되면, 생산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서열상에 비정상적인 염기가 오염 정도에 따라 일정 비율로 삽입되게 된다.
이런 혼합합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실시예 4에 서술된 바와같이 부위특이 돌연변이법(Kunkel et al., Methods in Enzymology 154, 367-382(1987)에 사용하게 되면 특정 부위에 대한 무작위 변이를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두개의 변이 부위를 포괄하기 위하여서 48번지에서 60번까지(a), 58번에 70번까지(b), 368번에서 380번까지(c), 378번에서 391번까지(d)의 서열에 상보적인 4종의 혼합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하여 돌연변이 유발에 사용하였다.
a. 5′-GGC TGT AGC GAT GCT CAC TGG GGA GAA GAA GAT ATT GTT-3′
b. 5′-AGC CTT GGT CCC CAG GGA GAG CAT TGC AAA GGC TGT AGC--3′
c. 5′-CTT GGT ATT TTG GTC AAT CAT TAA GAA GAC AAA GGG TTT-3′
d. 5′-GGG ATT CAC CAC TTT TCC CAT GAA GAG GGG AGA CTT GGT ATT-3′ 변이 빈도를 최적화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각 포스포아미다이트 용액에 나머지 3종의 포스포아미다이트가 각각 2.5% 씩 오염되게 혼합하였다.
각각의 합성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실시예 4에서와 같이 AT 유전자의 M13 클론에 결합시킨 후 형질전화시켜 예상 변이 M13 클론들을 얻었다.
이 클론드로부터 분리한 RF DNA로 부터 BamHI-절단된 변이 AT 서열을 발현 벡터 pEAT8의 BamHI 부위에 삽입시켜 변이 AT를 대장균에서 발현시키는데 사용하였다. 제조예 2에서 기술된 스크리닝 방법으로 대장균에서 발현된 변이 AT의 열안정성을 조사하여 내열성 변이를 선별하였다.
내열성 변이 AT를 발현하는 대장균의 세포추출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55℃에서의 정성을 비교한 결과 표 3에서 보듯이 야생형에 비해 반감기가 최소 2,27배에서 15.73배 까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복합 돌연변이 AT의 제조]
상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확보된(표 2, 표3) 내열성 AT들의 아미노산 변이를 선택적으로 조합함으로써 더욱 내열성이 향상된 변이 AT를 얻고자 하여, 두개 혹은 그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된 복합변이를, 상기 실시예 4에 기술된 바와같은, 변이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이용한 부위 특이 돌연변이법을 이용하여 얻었다.
그 결과 두 개의 변이를 함유하는, 51번이 알라닌이고 374번이 이소로이신이 복합변이 AT는 각각의 단일 변이 AT보다 월등한 내열성(300배 이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제8도), 세개의 변이를 함유하는 59번과 68번이 알라닌이고 70번이 글리신인 복합변이도를 각각 300배 이상의 내열성을 가지고 있었다.
제8도는 대장균에서 생산된 단일변이 알파-l-안티트립신과 복합변이 알파-l-안타트리신에 대한 열 불활성화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제8도에서 ●는 야생형 재조합 AT, ▽는 51번이 로이신으로 치환된 변이형 AT, ▼는 374번이 이소로이신으로 치환된 변이형 AT, □는 51번과 374번이 각각 로이신과 이소로이신으로 치환된 복합변이 AT의 55℃에서의 시간(분)별 활성도를 상기 실시예 4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결국 이들 복합변이들은 단일변이들의 내열성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키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을 효모에서 발현시켜 당화된 형태로 생산될 경우 내열성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태양과 관련하여 기술하였으나, 당해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한 다양한 변형 및 변화를 행할 수 있으며 또한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을 인지해야 한다.

Claims (12)

  1. 야생형 인체 알파-l-안티트립신 아미노산 서열의 51번, 56번, 59번, 68번, 70번, 374번, 381번 및 387번 아미논산 잔기중 하나이상이 하기 아미노산으로 치환되고 나머지 아미노산 서열은 야생형의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하며, 엘라스타제에 대해 저해 활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열에 대한 안정성이 야생형에 증가된 인체 알파-l-안티트립신 뮤테인: 상기 51번 페닝알라닌 잔기의 경우 시스테인,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또는 알라닌; 상기 56번 세린 잔기의 경우 알라닌; 상기 59번 트레오닌 잔기의 경우 알라닌 또는 세린; 상기 68번 트레오닌 잔기의 경우 알라닌; 상기 69번 라이신 잔기의 경우 글루타민; 상기 70번 알라닌 잔기의 경우 글리신; 상기 374번 메티오닌 잔기의 경우 이소로이신, 로이신 또는 발린; 상기 381번 세린 잔기의 경우 알라닌; 및 상기 387번 라이신 잔기의 경우 아르기닌.
  2. 제1항에 있어서, 당화된 인체 알파-l-안티트립신 뮤테인.
  3. 제1항에 있어서, 야생형 인체 알파-l-안티트립신 아미노산 서열의 51번 잔기가 로이신으로, 374번 자기가 이소로이신으로 각각 치환된 복합변이 인체 알파-l-안티트립신 뮤테인.
  4. 제1항에 있어서, 야생형 인체 알파-l-안티트립신 아미노산 서열의 59번 및 68번 잔기가 알라닌, 및 70번 잔기가 글리신으로 각각 치환된 복합변이 인체 알파-l-안티트립신 뮤테인.
  5. 제1항의 재조합 인체 알파-l-안티트립신 뮤테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6. 제5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7. 제6항에 있어서, pEAT81 또는 pGAT15인 발현벡터.
  8. 제5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
  9. 제8항에 있어서, pEAT 81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DE3)(pEAT81)(기탁번호:KCTC 0077BP).
  10. 제8항에 있어서, pGAT15로 형질전환된 효모 Saccharomyces diastaticus YIY345.
  11. 적절한 조건하에서 제8항의 숙주세포를 배양하고 배양액으로부터 생산된 AT 뮤테인을 분리함을 포함하는, 증가된 내열성을 갖는 제1항에 따른 인체 알파-l-안티트립신 뮤테인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0항의 효모를 배양하여 배양액으로부터 생산된 뮤테인을 분리함을 포함하는, 당화된 인체 알파-l-안타트립신 뮤테인의 제조방법.
KR1019940010902A 1993-05-18 1994-05-19 내열성의 알파-1-안티트립신 뮤테인 KR0133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902A KR0133252B1 (ko) 1993-05-18 1994-05-19 내열성의 알파-1-안티트립신 뮤테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3-8510 1993-05-18
KR930008510 1993-05-18
KR1019940010902A KR0133252B1 (ko) 1993-05-18 1994-05-19 내열성의 알파-1-안티트립신 뮤테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3252B1 true KR0133252B1 (ko) 1998-04-14

Family

ID=2662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902A KR0133252B1 (ko) 1993-05-18 1994-05-19 내열성의 알파-1-안티트립신 뮤테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2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8738B2 (en) 2007-11-21 2012-01-0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rmostable alpha1-antitrypsin mutein with a disulfide bond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it
WO2013039295A1 (ko) * 2011-09-15 2013-03-21 (주)알테오젠 신규한 알파-1 안티트립신 변이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80055647A (ko) * 2017-03-17 2018-05-25 주식회사 유비프로틴 단백질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KR20180055649A (ko) * 2017-03-17 2018-05-25 주식회사 유비프로틴 단백질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KR20180055646A (ko) * 2017-03-17 2018-05-25 주식회사 유비프로틴 단백질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KR20180122896A (ko) * 2017-05-05 2018-11-14 주식회사 유비프로틴 Pdgfa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KR20180122897A (ko) * 2017-05-05 2018-11-14 주식회사 유비프로틴 Pdgfb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8738B2 (en) 2007-11-21 2012-01-0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rmostable alpha1-antitrypsin mutein with a disulfide bond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it
WO2013039295A1 (ko) * 2011-09-15 2013-03-21 (주)알테오젠 신규한 알파-1 안티트립신 변이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402702B1 (ko) * 2011-09-15 2014-06-05 (주)알테오젠 신규한 알파-1 안티트립신 변이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AU2012309292B2 (en) * 2011-09-15 2015-05-07 Alteogen, Inc Novel alpha 1-antitrypsin variant,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US9051395B2 (en) 2011-09-15 2015-06-09 Alteogen, Inc. Alpha-1 antitrypsin variant,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KR20180055647A (ko) * 2017-03-17 2018-05-25 주식회사 유비프로틴 단백질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KR20180055649A (ko) * 2017-03-17 2018-05-25 주식회사 유비프로틴 단백질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KR20180055646A (ko) * 2017-03-17 2018-05-25 주식회사 유비프로틴 단백질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KR20180122896A (ko) * 2017-05-05 2018-11-14 주식회사 유비프로틴 Pdgfa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KR20180122897A (ko) * 2017-05-05 2018-11-14 주식회사 유비프로틴 Pdgfb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6975B2 (ja) プロテイナーゼ阻害因子、それらの調製方法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薬物
AU2382195A (en) Methods of producing effective recombinant serine protease inhibitors and uses of these inhibitors
WO1992022320A1 (en) C1 inhibitor variants and treating inflammatory response with c1 inhibitor
Srisuparbh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jor royal jelly cDNAs and proteins of the honey bee (Apis cerana)
JP2916228B2 (ja) 遺伝子操作した組み換えアプロチニン変異型、均質に処理されたアプロチニン変異型の微生物調製の方法およびその治療学的使用
KR0133252B1 (ko) 내열성의 알파-1-안티트립신 뮤테인
US5817484A (en) Thermoresistant α-1-antitrypsin mutein
WO1996010418A1 (en) Human monocyte elastase inhibitor
JPH09512423A (ja) エラスターゼ阻害活性を有するα−1−アンチキモトリプシンアナログ
US5827662A (en) Methods for detecting genetic mutations resulting in protease inhibitor insufficiencies
US8975370B2 (en) Inhibitor proteins of a protease and use thereof
CA2082226A1 (en) Polypeptide, dna fragment encoding the same, drug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992526B1 (ko) 이황화결합을 이용한 내열성의 알파-1-안티트립신 뮤테인및 그의 제조방법
US5412073A (en) Polypeptides and DNA coding therefor
CN1032019C (zh) 生物合成灭活素的方法
US5231010A (en) Recombinant aprotinin variants genetically engineered process for the microbial preparation of homogeneously processed aprotinin variants and the therapeutic use thereof
JP2916205B2 (ja) 生理活性ペプチド
KR100481621B1 (ko) 내열성 안티카이모트립신 변이체
Azam Site-directed mutagenesis of corn inhibitor of activated Hageman factor (factor XIIa)
DK164283B (da) Polypeptid med cystatin c aktivitet, dna-sekvens til udtrykkelse af 3-des-oh-cystatin c eller en modifikation deraf,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3-des-hydroxy-cystatin c eller en modifikation deraf, plasmid og mikroorganisme til udoevelse af fremgangsmaaden og anvendelse af 3-des-oh-cystatin c eller en modifikation deraf til fremstilling af et terapeutisk praepar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