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774Y1 - 조립재의 로딩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재의 로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774Y1
KR0132774Y1 KR2019950019709U KR19950019709U KR0132774Y1 KR 0132774 Y1 KR0132774 Y1 KR 0132774Y1 KR 2019950019709 U KR2019950019709 U KR 2019950019709U KR 19950019709 U KR19950019709 U KR 19950019709U KR 0132774 Y1 KR0132774 Y1 KR 0132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onveyor
rollers
supplying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9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723U (ko
Inventor
이왕근
고윤환
Original Assignee
경주현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주현, 삼성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주현
Priority to KR2019950019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774Y1/ko
Publication of KR970005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7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7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4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1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by modifying the orientation or position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랜지나 웨브재등과 같은 조립부재들을 조립상태로 조립순서에 따라 조립위치에 이송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틸팅기능을 갖는 권상수단을 이용하여 웨브재를 픽업한 후 90° 회전시켜 컨베이어에 적재하고 조립상태로 정렬시켜 조립위치에 공급하는 조립재의 로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웨브재를 수평인 상태로 권상한 후 틸팅기능을 이용하여 웨브재를 직립시켜 컨베이어에 공급함으로써 작업준비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마그포트의 접착면 전체로 조립부재를 부착권상하므로 안전작업이 가능하고, 마그포트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조립재의 로딩시스템
제1도는 기존의 조립재를 이송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재의 로딩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립재 20 : 흡착부재
30 : 권상장치 32 : 횡행이동수단
33 : 회전수단 34 : 수직이동수단
40 : 컨베이어장치 41 : 컨베이어
50 : 하부정렬수단 51 : 롤러
52 : 유압실린더 60 : 상부정렬수단
61 : 스윙롤러 62 : 유압발생기
본 고안은 플랜지나 웨브재등과 같은 조립재들을 조립상태로 조립위치에 이송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틸팅기능을 갖는 권상수단을 이용하여 조립재를 픽업한 후 90° 회전시켜 컨베이어에 조립상태로 정렬, 적재시켜 조립위치에 공급하는 조립재의 로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플랜지재와 웨브재등의 조립재를 크레인이나 로딩전용장치를 이용하여 한장씩 권상하여 컨베이어에 탑재이동시켰다.
특히, 이러한 조립재 공급시스템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재(10)가 눕혀 적치된 상태 조립재(10)의 측면부에 크레인의 흡착부재(magnetic pot)(20)를 정렬시킨 후 조립재(10)를 90°로 세워 권상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흡착부재(20)의 일부분에 조립재(10)의 측면부를 부착시켜 권상해야 하므로 흡착부재(20)의 전자적 흡착용량이 증대되며, 부착면적이 적어 이동중 낙하할 우려도 있었다.
또한, 선진국의 경우에는 전용공급장치에 플랜지재나 웨브재를 다량 적치시킨 후 유압장치등으로 1매씩 조립대에 밀어넣어 탑재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스템도 적재물의 두께변화나 마찰력등에 의해 밀어넣기가 쉽지 않고, 탑재시 조립재의 낙하로 인해 컨베이어에 충격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특히, 웨브재를 적재하기 위해 90°로 세워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시수가 과다 투입되어 실용화에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틸팅기능을 갖는 권상수단을 구비하고 조립재를 권상하여 90° 회전시켜 컨베이어에 적재한 후 조립위치로 이송시킴으로써 조립재를 용이하고 신속안전하게 공급하여 조립재의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는 조립재의 로딩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재의 로딩시스템은 적치장의 상부에 위치하여 조립재를 부착이송하는 흡착부재와, 흡착부재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하고, 적치장으로부터 적치된 조립재를 부착하여 권상한 후 회전시켜 컨베이어에 적재하는 권상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권상장치에 의해 적재된 조립재들을 조립위치로 이송공급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에 평면으로 안착된 플랜지재를 조립상태로 정렬시켜 이송하는 하부정렬수단 및, 상기 플랜지재의 상부에 직립적재되는 웨브재를 조립에 적합한 상태로 정렬지지하여 이송하는 상부정렬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다른 조립재의 로딩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시스템은 크게 조립재(10)인 플랜지재(10a)와 웨브재(10b)를 적치장으로부터 권상하는 권상장치(30)와, 권상장치(30)에 의해 적재된 조립재들(10)을 정렬하여 조립위치로 이송안내하는 컨베이어장치(40)로 구성되어 있다.
권상장치(30)는 조리재(10)가 적치된 적치장과 컨베이어장치(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립재(10)를 부착하는 흡착부재(20)가 횡행가능케 설치되는 횡행이동장치(32)와, 조립재들(10)을 픽업한후 횡행이동수단(32)상을 횡행하여 컨베이어장치(40)에 조립재(10)를 적재하는 흡착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권상장치(30)에는 전술한 흡착부재(20)가 90° 회전하는 회전수단(33)이 구비되어 있다. 이 회전수단(33)은 유압시스템이나 모터등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흡착부재(20)를 90° 틸팅시키게 된다. 물론, 회전수단(33)과 흡착부재(20)는 횡행이동수단(32)에 횡행가능케 고정된 수직이동수단(34)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착부재(20)가 적치장에 적치된 조립재(10)중 웨브재(10b)를 부착하여 권상하면 수직이동수단(34)가 횡행이동수단(32)상을 횡행이동하여 컨베이어장치(40) 상부에 위치한 후 회전수단(33)은 흡착부재(20)를 90° 틸팅시켜 웨브재(10b)를 직립시킨후 컨베이어장치(40)에 적재하게 된다.
컨베이어장치(40)는 조립재(10)가 안착되어 이송되는 컨베이어(41)와, 컨베이어(41) 상부에 안착된 플랜지재(10a)를 정렬시켜 가이드하는 하부정렬 수단(50) 및, 컨베이어(41) 상부에 직립적재된 웨브재(10b)를 정렬시켜 가이드하는 상부정렬수단(60)으로 구성된다.
이 상부정렬수단(60)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대면하며, 이격공간상에 웨브재(10b)를 삽입수용하고 양측에서 지지스윙해서 90°로 셋팅이송하는 한쌍의 스윙롤러들(61)과, 스윙롤러들(61)이 스윙할 수 있도록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발생기(6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부정렬수단(50)은 컨베이어(41)의 상부양측부에 소정간격 이격 되어 한쌍 배설되며, 플랜지재(10a)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정렬지지하는 롤러들(51)과, 롤러들(51)이 플랜지재(10a)의 양측면을 밀착하여 정렬하도록 롤러들(51)의 사잇간격을 수축/팽창하는 유압실린더(52)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유압실린더(52)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 및 액츄에이터로 구성된다.
이제, 본 고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권상장치(30)은 횡행이동수단(32)로부터 수직이동수단(34)가 하강하여 적치장으로부터 조립재(10)의 플랜지재(10a)나 웨브재(10b)중 먼저 플랜지재(10a)를 흡착부재(20)에 부착한 후 권상한다. 그리고, 플랜지재(10a)를 부착한 수직이동수단(34)를 횡행이동수단(32)에서 횡행시켜 컨베이어장치(40)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이동한 플랜지재(10a)는 컨베이어(41)로 하강하여 수평 적재된다. 이때, 플랜지재(10a)가 올바르게 정렬되도록 컨베이어(41)의 상부에 구성된 롤러들(51)을 유압실린더(52)를 조정하여 롤러들(51) 사이에 위치한 플랜지재(10a)를 정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랜지재(10a)를 컨베이어(41)에 정렬적재한 후 흡착부재(20)는 다시 적치장으로 이동하여 웨브재(10b)를 부착권상하게 된다. 그리고, 컨베이어장치(40) 상부로 이동한 뒤 90° 틸팅하여 웨브재(10b)를 직립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적재된 웨브재(10b)는 상부정렬수단(60)인 스윙롤러들(61)에 의해 플랜지재(10a)상에 수직정렬된 후 조립위치로 이송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웨브재를 수평인 상태로 권상한 후 틸팅기능을 이용하여 웨브재를 직립시켜 공급함으로써 작업준비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흡착부재의 접착면 전체로 조립재를 부착권상하므로 안전작업이 가능하고, 흡착부재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조립재들을 조립 가능상태로 이송공급하기 위한 로딩시스템에 있어서, 수평 및 수직조립재를 부착이송하는 흡착부재와, 이 흡축부재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이 회전수단을 횡행이동시키는 횡행이동수단에 의하여 적치장으로부터 권상된 조립재를 회전 및 횡행이동시켜 컨베이어에 적재하는 권상장치; 및 상기 권상장치에 의해 적재된 수평조립재를 조립위치로 이송공급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안착된 조립재를 조립상태에서 정렬시켜 이송하는 하부정렬수단과, 수직조립재를 상기 수평조립재와의 조립에 적합한 상태로 수직하여 지지, 정렬하기 위한 상부정렬수단을 갖춘 컨베이어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재의 로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정렬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상부 양측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대면하며, 이 간격상에 수직조립재를 수용하면서 양측에서 스윙하여 수직으로 인입되는 수직조립재를 정렬,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스윙롤러들과, 상기 스윙롤러들이 스윙할 수 있도록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발생기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재의 로딩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정렬수단은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양측부에서 소정간격 이격하여 한쌍으로 설치되며, 조립재의 하부 양측면을 가압하여 정렬지지하기 위한 롤러들과, 상기 롤러들이 조립재의 하부 양측면을 밀착, 정렬하도록 상기 롤러들의 간격을 수축/팽창시키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재의 로딩시스템.
KR2019950019709U 1995-07-31 1995-07-31 조립재의 로딩시스템 KR0132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709U KR0132774Y1 (ko) 1995-07-31 1995-07-31 조립재의 로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709U KR0132774Y1 (ko) 1995-07-31 1995-07-31 조립재의 로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723U KR970005723U (ko) 1997-02-19
KR0132774Y1 true KR0132774Y1 (ko) 1998-12-01

Family

ID=1941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9709U KR0132774Y1 (ko) 1995-07-31 1995-07-31 조립재의 로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7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757B1 (ko) * 2012-03-30 2013-08-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틸팅 기능이 구비된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757B1 (ko) * 2012-03-30 2013-08-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틸팅 기능이 구비된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723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7758A (en) Magnetic sorting and piling bank
US4658715A (en) System for automating the palletizing of bundles
CN111003517A (zh) 一种磁力下料装置
KR0132774Y1 (ko) 조립재의 로딩시스템
US5024577A (en) Paper arranging system
US3853234A (en) Sheet stack handling apparatus
GB2255761A (en) Web roll transferring apparatus.
JP2969593B1 (ja) ドラム缶積上装置及びドラム缶積上方法
EP0992441A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or unloading stacked products
JPH07115725B2 (ja) 物品搬送システム
JPH07187418A (ja) パレット積瓦用保護用材の自動供給装置
US3880308A (en) Sheet stack handling method
WO1998015489A1 (en) Lifting apparatus
JP3321348B2 (ja) パレット整列装置
CN218855968U (zh) 一种用于腹板总成自动拼焊系统
JP2763027B2 (ja) 板の搬送装置
JPH01145907A (ja) 巻取の自動搬送装置
JPH06255980A (ja) タイヤ搬送用吊具
JP6697623B1 (ja) 無人搬送車
KR200167191Y1 (ko) 상하부를 동시 적치, 인출장치
KR0133931Y1 (ko) 플로팅 테이블을 갖춘 원주형상물 반송차
CN114476548A (zh) 龙门式石材背网专用上板机
JPH0626518Y2 (ja) スペーサーの嵌込装置
JP3144900B2 (ja) 版胴搬送装置
JP2004091007A (ja) 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