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586Y1 - 자동차의 차체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차체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586Y1
KR0132586Y1 KR2019930019281U KR930019281U KR0132586Y1 KR 0132586 Y1 KR0132586 Y1 KR 0132586Y1 KR 2019930019281 U KR2019930019281 U KR 2019930019281U KR 930019281 U KR930019281 U KR 930019281U KR 0132586 Y1 KR0132586 Y1 KR 0132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anel
bumper cover
assembly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9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764U (ko
Inventor
김현배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19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586Y1/ko
Publication of KR950008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7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5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5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lights or registrat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5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lights or registration plates
    • B60R2019/505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lights or registration plates with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앞부분의 판넬(12)과 범퍼커버(14)의 조립부(20)가 곡선 형태로 된 자동차의 차체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판넬(12)에 고정되는 고정부(32)와 사이에 삽입홈(38)이 형성되도록 대응하여 나란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판(34)(36)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판(36)에 결합홈(36a)이 형성된 결합부가 일체로 구성된 제1 고정부(30)와, 상기 범퍼커버(14)에 고정되는 고정부(42)와 상기 삽입홈(38)에 끼워지고 결합홈(36a)에 걸림유지되는 돌기(44a)가 형성된 결합부(44)와 상기 고정부(42)와 결합부(44)를 연결하고 결합부(44)가 고정부(42)에 대해 탄성유동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46)로 구성된 제2 고정구(40)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구(30)(40)의 탄성결합에 의해 판넬과 범퍼커버(14)의 조립이 용이하고, 별도의 조립공구와 조립공간이 필요없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차체조립구조
제1도의 종래의 자동차 앞부분을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앞부분을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판넬 14 : 범퍼커버
20 : 조립부 30, 40 : 제1 및 제2 고정구
32, 42 : 고정부 34, 36 : 제1 및 제2 지지판
38 : 삽입홈 44 : 결합부
46 : 탄성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체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체 앞부분의 판넬과 범퍼커버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앞부분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판넬(2)과 범퍼커버(4)가 조립되고, 범퍼커버(4)에는 범퍼(6)가 구비되며, 범퍼(6)상부에 헤드램프(8)가 구비된 구성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판넬(2)과 범퍼 커버(4)와의 조립부(10)가 수평방향의 직선으로 디지인 되어 있고, 이들은 수공구 또는 로봇에 의한 자동 볼팅(Bolting)작업으로 내측이 조립되는 것으로, 헤드램프(8)를 조립하기 전에 헤드램프(8)의 조립공간을 통해 조립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자동차의 고급화 추세에 대응하여 차체의 디자인이 새로워지고 있으며, 특히 판넬(2)과 범퍼커버(4)의 조립부(10)를 더욱 미려하게 보이도록 점선부분으로 나타낸 변경된 조립부(10')와 같이 곡선처리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판넬(2)과 범퍼커버(4)의 조립부(10)가 직선일때는 이들의 볼팅방향이 수직방향이므로 헤드램프(8)의 조립공간을 통해 수공구 또는 로봇에 의한 자동 볼팅작업이 가능하였으나, 변경된 조립부(10')와 같이 곡선상태에서는 볼팅방향이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의 대각선 방향이므로 헤드램프(8)의 조립공간만으로는 협소하여 수공구 또는 로봇에 의한 자동 볼팅작업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 앞부분의 차체 판넬과 범퍼커버의 조립부가 곡선 형태일 경우에도 조립이 가능하고, 이들의 조립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져 조립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자동차 앞부분의 판넬과 범퍼커버의 조립부가 곡선형태로 된 자동차의 차체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사이에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대응하여 나란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판에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가 일체로 구성된 제1 고정부와, 상기 범퍼커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고 결합홈에 걸림유지되는 돌기가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와 결합부를 연결하고 결합부가 고정부에 대해 탄성유동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로 구성된 제2 고정구로서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차체 조립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자동차 앞부분은 차체의 판넬(12)과 범퍼커버(14)가 조립되고, 범퍼커버(14)에는 범퍼(16)가 구비되어 있으며, 범퍼(16)상에는 헤드램프(18)가 설치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판넬(12)과 범퍼커버(14)의 조립부(20)는 곡선형태로 되어 있고, 이들의 조립구조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12)에 고정설치된 제1고정구(30)와 범퍼커버(14)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구(30)와 결합하는 제2 고정부(40)로 이루어진다.
제1 고정구(30)는 판넬(12)의 조립부(20)로부터 근접된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판넬(12)의 고정구멍(12a)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32)를 구비하고, 이 고정부(32)에는 돌기(32a)를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구멍(12a)에 끼워진후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 고정구(30)는 제2 고정구(40)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결합부를 제1 및 제2 지지판(34)(36)을 대향하도록 구비하여 이들 사이에 삽입홈(38)이 형성되도록 하며, 삽입홈(38)을 향하는 제2 지지판(36)의 측면에 결합홈(36a)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고정구(30)에 결합되는 제2 고정구(40)는, 고정부(42)와 결합부(44)로 이루어지고, 이들 사이에 절곡된 탄성부(46)를 갖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42)는 범퍼커버(14)내측에 나사(22)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결합부(44)는 제1 고정구(30)의 제` 및 제2 지지판(34)(36)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제1 고정부(30)의 삽입홈(38)의 폭보다 같거나 적어도 작은 두께로 형성하여 삽입홈(38)내에 삽입가능하게 하며 제2 지지판(36)에 형성된 결합홈(36a)에 걸림유지되는 돌기(44a)를 이와 대응하는 면에 일체로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의 제1 및 제2 고정구(30)(40)는 재질을 가요성 수지로 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요성 수지는 자체 탄성력으로 제1 고정구(30)와 제2 고정구(40)의 결합시 구조적인 탄성변형에의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 고정구(30)의 제1 및 제2 지지판(34)(36)의 내측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점점 얇아지는 곡면(34a)(36b)을형성하여 제2 고정구(40)의 결합부(44)가 삽입홈(38)으로 쉽게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조립부(20)가 곡면상태인 판넬(12)과 범퍼커버(14)를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판넬(12)과 범퍼커버(14)의 조립부(20) 근방에 각각 고정설치된 제1 및 제2 고정구(30)(40)에 의해 별도의 조립공간없이도 이들의 조립이 가능하다. 즉, 판넬(12)과 범퍼커버(14)를 조립하기 전에 제1 고정구(30) 및 제2 고정구(40)를 판넬(12)과 범퍼커버(14)의 조립부(20) 근방에 각각 고정하고, 판넬(12)과 범퍼커버(14)의 조립부(20)를 일치시키게 되면, 제1 고정구(30)의 제1 및 제2 지지판(34)(36)사이에 구비된 삽입홈(38)으로 제2 고정구(40)의 결합부(44)가 끼워지는 것이고, 결합부(44)의 돌기(44a)가 제2 지지판(36)의 결합홈(36a)에 걸림유지됨으로써 제1 고정구(30)와 제2 고정구(40)는 결합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판넬(12)과 범퍼커버(14)가 간단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및 제2 고정구(30(40)는 가요성 수지재로 제작되어 자체 탄성 및 신축성에 의해 탄성결합이 가능하게 되고, 제1 고정구(30)의 제1 및 제2 지지판(34)(36)끝단부가 곡선처리되어 제2 고정구(40)의 결합부(44)삽입시 삽입홈(38)으로 미끄러지면서 안내됨으로써 제1 고정구(30)와 제2 고정구(40)의 결합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 고정구(30)(40)에 의해서는 판넬(12)과 범퍼커버(14)의 조립부(20)를 일치시킴과 동시에 제1 고정구(30)에 제2 고정구(40)를 결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별도의 조립공간 및 조립공구가 필요없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차체 조립구조에 의하면, 판넬과 범퍼커버에 각각 고정설치된 제1 및 제2 고정구에 의해 판넬과 범퍼커버의 조립이 용이하고 별도의 조립도구나 조립공간이 필요치않아 조립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앞부분의 판넬(12)과 범퍼커버(14)의 조립부(20)가 곡선 형태로 된 자동차의 차체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넬(12)에 고정되는 고정부(32)와 사이에 삽입홈(38)이 형성되도록 대응하여 나란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판(34)(36)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판(36)에 결합홈(36a)이 형성된 결합부가 일체로 구성된 제1 고정부(30)와, 상기 범퍼커버(14)에 고정되는 고정부(42)와, 상기 삽입홈(38)에 끼워지고 결합홈(36a)에 걸림유지되는 돌기(44a)가 형성된 결합부(44)와, 상기 고정부(42)와 결합부(44)를 연결하고 결합부(44)가 고정부(42)에 대해 탄성유동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46)로 구성된 제2 고정구(40)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 조립구조.
KR2019930019281U 1993-09-23 1993-09-23 자동차의 차체조립구조 KR0132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281U KR0132586Y1 (ko) 1993-09-23 1993-09-23 자동차의 차체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281U KR0132586Y1 (ko) 1993-09-23 1993-09-23 자동차의 차체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764U KR950008764U (ko) 1995-04-17
KR0132586Y1 true KR0132586Y1 (ko) 1998-12-15

Family

ID=19364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9281U KR0132586Y1 (ko) 1993-09-23 1993-09-23 자동차의 차체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5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764U (ko) 199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586Y1 (ko) 자동차의 차체조립구조
JPH11314552A (ja) 車両用グリルの取付構造
US20050125963A1 (en) Elements for fixing components such as to be able to slide
KR0136929Y1 (ko) 크래쉬 패드 고정장치
JPH027088Y2 (ko)
JPH06293280A (ja) フェンダパネルの取付構造
KR100376551B1 (ko) 자동차의 웨이스트 몰딩 취부구조
KR200148782Y1 (ko) 차량의 패널 고정용 구조물
KR200149298Y1 (ko) 사이드밀러용 내부커버 결합구조
JPS6234907B2 (ko)
KR0120096Y1 (ko) 메인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KR0141392B1 (ko) 자동차 헤드 램프 체결력 강화 구조
KR960007401Y1 (ko) 에어크리너의 취부구조
KR0132973Y1 (ko) 자동차의 도어 풀 핸들 고정구조
KR0177457B1 (ko) 자동차용 카울의 고정방법
KR200145690Y1 (ko) 자동차용 쿼터 모듈라 글라스의 가조립구조
KR0129367Y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라스 체결구조
JPH0150041B2 (ko)
KR0124997Y1 (ko) 자동차의 프론트 휀더 브래킷 설치구조
KR930006411Y1 (ko) 자동차용 도어 손잡이 홀더구조
JP2562521Y2 (ja) 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の取付構造
KR200150865Y1 (ko) 자동차 범퍼의 체결구조
KR0115707Y1 (ko) 차량의 턴램프 조립구조
KR200149574Y1 (ko) 자동차의 쿼터가니시 장착구조
KR20000015822U (ko) 자동차의 센터필러부 웨더스트립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