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129Y1 - 멀티 클립 - Google Patents

멀티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129Y1
KR0132129Y1 KR2019950030343U KR19950030343U KR0132129Y1 KR 0132129 Y1 KR0132129 Y1 KR 0132129Y1 KR 2019950030343 U KR2019950030343 U KR 2019950030343U KR 19950030343 U KR19950030343 U KR 19950030343U KR 0132129 Y1 KR0132129 Y1 KR 0132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able
cables
present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502U (ko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박제혁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제혁,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제혁
Priority to KR2019950030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129Y1/ko
Publication of KR970018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5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1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요성의 각종 배선이나 케이블을 일시에 고정시킬 수 있게 설계된 다기능의 멀티클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클립(10)은 같은 종류의 배선이나 케이블은 한개 이상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배선과 케이블 또는 호스나 파이프등과 같은 종류를 동시에 수납할 수는 없어서, 필요시 배선이나 케이블 종류만큼 클립의 종류도 많고 또한 이들을 별도로 준비해야한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이렇게 클립을 종류별로 설치해야 하므로 아예 트렁크 리드케이블이나 연료주입구 개폐용 케이블은 아예 클립에 고정시키지 않고 설치하여서 장시간 사용시의 늘어짐이 더욱 심하고 이는 케이블의 기능을 저하시켜서 사용자의 불편함과 오동작의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클립에 여러종류의 배선이나 케이블을 함께 설치할 수 있도록 다기능을 갖는 이른바 멀티 클립을 설치하여서 상기한 종래의 클립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클립은 수직벽(30)과 수평벽(32)이 직각으로 결합되고, 수직벽(30)과 수평벽(32) 사이에 다수개의 탄지부(16B)가 상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멀티 클립이다.
여기서 탄지부(16B)는 여러개가 형성되므로 아래의 탄지부에 대해서는 개폐부(16A)가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여러 배선이나 케이블을 한군데에 수납할 수 있는 다기능 클립을 제공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각종의 배선이나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고, 따라서 장비의 오랜사용은 물론, 정비성이 향상되고, 레이아웃의 설정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클립
제1도는 차량의 클립이 사용되는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배선도.
제2도는 종래 배선이나 케이블 지지용의 클립의 단면을 보인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클립의 구성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립 12 : 고정부
14 : 배선이나 케이블 16 : 압지부
16A,16C : 개폐부 16B : 탄지부
18 : 연결부 20 : 결합단
22 : 수납단 30 : 수직벽
32 : 수평벽 34 : 이탈방지편
40 : 멀티 클립
본 고안은 자동차의 각종 배선이나 케이블 등이 늘어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요성의 각종 배선이나 케이블을 일시에 고정시킬 수 있게 설계된 다기능의 멀티클립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각종 전자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배선이나 개폐되는 부분을 연결하는 케이블들이 설치되어서 전자장비를 작동시키고 사용자의 변의를 돕도록한 것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이러한 예의 도면으로 제1도와 같은 자동차의 배선도를 볼 수 있고, 개폐되는 부분으로는 리드나 트렁크개폐용 케이블 또는 연료주입구 개폐용 케이블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배선이나 케이블은 대개가 차량내부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도록 긴 길이로 설치되며, 이렇게 길이가 길어져 밑으로 쳐지거나 타부품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도와 같은 클립(10)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클립(10)의 형상은 용도에 따라 여러형상이 제작되어 있으나 대개는 클립(10)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2)와 배선이나 케이블(14)을 압지하는 압지부(16)로 구성되고, 압지부(16)는 배선이나 케이블(14)이 수납될 수 있도록 개폐부(16A)와 일측이 연결부(18)로 연결된 탄지부(16B)로 분할 형성되어서, 개폐부(16A)의 결합단(20)이 탄지부(16B)의 수납단(22)에 압입되어짐에 따라 압지부(16)내의 배선이나 케이블(14)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클립(10)은 같은 종류의 배선이나 케이블은 한개 이상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배선과 케이블 또는 호스나 파이프등과 같은 종류를 동시에 수납할 수는 없어서, 필요시 배선이나 케이블 종류만큼 클립의 종류도 많고 또한 이들을 별도로 준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이렇게 클립을 종류별로 설치해야 하므로 아예 트렁크 리드케이블이나 연료주입구 개폐용 케이블은 아예 클립에 고정시키지 않고 설치하여서 장시간 사용시 늘어짐이 더욱 심하고 이는 케이블의 기능을 저하시켜서 사용자의 불편함과 오동작의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클립에 여러종류의 배선이나 케이블을 함께 설치할 수 있도록 다기능을 갖는 이른바 멀티 클립을 설치하여서 상기한 종래의 클립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클립은 수직벽과 수평벽으로 이어진 역ㄱ자로 외형을 구성시키고, 다수의 개폐부와 탄지부를 수직벽과 수평벽사이에 형성시켜서 이들개폐부와 탄지부 사이에 각종 배선이나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개폐부와 탄지부 사이의 간격에 따라 배선이나 케이블의 굵기 별로 수납시킬 수 있고, 고정부도 수평벽과 수직벽에 선택적으로 형성시켜서 클립의 설치위치에 따라 고정부사용이 호환성이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수직벽(30)과 수평벽(32)이 직각으로 결합되고, 수직벽(30)과 수평벽(32) 사이에 다수개의 탄지부(16B)가 상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멀티 클립이다.
여기서 탄지부(16B)는 여러개가 형성되므로 아래의 탄지부에 대해서는 개폐부(16A)가 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클립형상을 정면위치에서 도시한 것으로 고정부(12)는 수평벽(32)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며, 수평벽(32)에 설치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수평벽(32)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하여 탄지부(16B)를 돌설시키고, 이 탄지부(16B)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벽(30) 중간으로부터 연장되는 개폐부(16A)를 돌설시키고, 수직벽(30)의 상단을 연장하여 또다른 개폐부(16C)를 형성시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중앙의 개폐부(16A)는 상단의 개폐부(16C)에 대해 탄지부(16B) 역할을 하지만 보다 나은 수납상태를 만들기 위해 탄력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므로 그냥 개폐부로 칭한다.
또한, 각 개폐부(16A)(16C)나 탄지부(16B)에는 이탈방지편(34)을 형성시켜서 용도에 맞는 배선이나 케이블을 수납시킬 수 있고, 이들이 일정갯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한 일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을 사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멀티클립(40)은 그 고정부(12)가 수평벽(32)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것이 편할 것이며, 고정된 멀티 클립(40)의 공간으로 각종 배선이나 케이블을 끼워넣게 된다.
첨부도면 제3도를 예로 하면, 수평벽(32)과 개폐부(16A) 사이에 가장 굵은 케이블(14A)이 수잡되고, 이탈방지편(34) 사이의 공간에는 호스(14B)류가 수납된다.
또한, 개폐부(16A)상의 이탈방지편(34A)에도 배선이나 케이블(14)이 수납되고, 개폐부(16A)와 상단이 개폐부(16C) 사이에도 다른 배선이나 케이블이 수납되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각 개폐부나 탄지부는 제3도에 한정되지 않고 더 가감하여 형성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종류에 따라 한정된 크기의 멀티 클립을 생산하여 사용하면 되며, 이 경우 멀티클립의 형상과 구조는 본 고안을 응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여러 배선이나 케이블을 한군데에 수납할 수 있는 다기능 클립을 제공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각종의 배선이나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고, 따라서 장비의 오랜사용은 물론, 정비성이 향상되고, 레이아웃의 설정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수직벽(30)과 수평벽(32)이 직각으로 결합되고, 수직벽(30)과 수평벽(32) 사이에 다수개의 탄지부(16B)가 상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멀티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수직벽(30)과 수평벽(32) 및 탄지부(16B)에는 이탈방지편(34)이 설치되어 배선이나 케이블을 수납하는 수납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수평벽(32)과 수직벽(30)에는 고정부(12)가 선택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클립.
KR2019950030343U 1995-10-26 1995-10-26 멀티 클립 KR0132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343U KR0132129Y1 (ko) 1995-10-26 1995-10-26 멀티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343U KR0132129Y1 (ko) 1995-10-26 1995-10-26 멀티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502U KR970018502U (ko) 1997-05-26
KR0132129Y1 true KR0132129Y1 (ko) 1999-03-30

Family

ID=1942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343U KR0132129Y1 (ko) 1995-10-26 1995-10-26 멀티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1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502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6578A (en) Cable manager
KR920009661A (ko) 차량용 전기배삭(配索)구조
US7020931B1 (en) Grommet and retainer
KR0132129Y1 (ko) 멀티 클립
JP4402598B2 (ja) 自動車の車体とドアとの間のケーブル通過装置と該装置が装備された自動車
KR20038814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US10122159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0130801Y1 (ko) 자동차의 케이블 고정구
US6349655B1 (en) Wire management system
AU2004246336B2 (en) Distribution board, especially small distribution board
KR200166641Y1 (ko) 자동차용와이어링하니스보호구
KR200225092Y1 (ko) 익스텐션
KR200152932Y1 (ko) 커넥터 체결용 클립
KR970006239Y1 (ko) 다용도 클램프
KR0137327Y1 (ko) 고정 클립
EP0981178A2 (en) Control wire terminal for wire clamp terminals
JPH10191537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リップ
KR200405945Y1 (ko)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보강구조
KR200222719Y1 (ko) 클립
JPH08162206A (ja) コネクタの電線取り回し構造
JP2000102136A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KR200152872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0148555B1 (ko) 케이블 고정용 클립
KR100335186B1 (ko) 와이어 하니스 보호장치
KR19980054962U (ko) 케이블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