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946Y1 - 에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946Y1
KR0131946Y1 KR2019930031982U KR930031982U KR0131946Y1 KR 0131946 Y1 KR0131946 Y1 KR 0131946Y1 KR 2019930031982 U KR2019930031982 U KR 2019930031982U KR 930031982 U KR930031982 U KR 930031982U KR 0131946 Y1 KR0131946 Y1 KR 0131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ulb
supply pipe
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1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168U (ko
Inventor
박종만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2019930031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946Y1/ko
Publication of KR9500211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1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38Exhausting, degassing, filling, or cleaning vessels
    • H01J9/395Filling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01Generalised techniques
    • H01J2209/017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 공급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공압공급관과, 이 공압공급관에 수직으로 설치된 노즐을 구비하여된 에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압공급관에 설치되며 노즐을 감싸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에 슬라이딩되는 벌브지지대와, 상기 노즐과 공압공급관 사이에 설치되어 벌브지지대의 승강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가 구비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이는 불필요한 에어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에어 공급장치
제1도는 종래 에어 공급장치를 도시한 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공급장치를 도시한 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공압공급관 22 : 노즐
23 : 지지대 24 : 벌브지지대
30 : 노즐 34 : 개폐부재
35 : 노즐부재 100 : 벌브
본 고안은 에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용 벌브의 건조 또는 이물제거시 사용되는 에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극선관의 제조공정중 벌브의 세척후 건조시키거나 벌브내부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벌브내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게 되는데, 제1도에는 벌브의 내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공급장치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턴테이블상에 설치된 공압공급관(11)에 수직 상방으로 관상의 노즐(12)이 복수개 설치되고 이 노즐(12)의 주위의 공압공급관(11)에는 지지대(13)이 설치되고 이 지지대(13)의 상부에는 벌브홀더(14)가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에어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벌브(100)의 내부를 건조시키거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압공급관(11)에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노즐(12)로부터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벌브(100)를 벌브홀더(14)에 안착하여 그 네크부에 상기 노즐(12)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면 상기 노즐(12)로부터 분사된 에어가 벌브(100)의 내주면과 형광막 측으로 분사되어 벌브(100)의 내면을 건조시키거나 이의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게된다.
그런데 상기 에어 공급장치는 공압공급관(11)과 연결된 각 노즐(12)로부터 항상 에어가 분출되고 있으므로 벌브(100)가 벌브홀더(14)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에어의 낭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에어의 낭비는 결과적으로 벌브의 생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벌브의 건조 및 이물제거시에만 에어가 분출되도록 하여 에어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에어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압공급관과, 이 공압공급관에 수직으로 설치된 노즐을 구비하여된 에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압공급관에 설치되며 노즐을 감싸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에 슬라이딩되는 벌브지지대와, 상기 노즐과 공압공급관 사이에 설치되어 벌브지지대의 승강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중공부를 가지는 본체와, 이 본체의 내주면에 이를 따라 돌출된 시트부와, 이 시트부에 안착되며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벌브 지지대와 연결간에 의해 연결된 노즐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공급장치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공급장치는 음극선관의 제조공정중 음극선관용 벌브를 건조시키거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 벌브에 에어를 분사하는 것으로, 제2도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공압공급관(21)에 수직으로 노즐(22)이 설치되고 상기 공압공급관(21)에는 노즐(22)을 감싸는 지지대(23)가 설치되며 이 지지대(23)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벌브지지대(2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22)과 공압공급관(21) 사이에는 벌브지지대(24)의 승강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30)가 설치된다.
상기 공압공급관(21)과 노즐(22) 사이에 설치된 밸브(30)는 중공부(31a)를 가지는 본체(31)와, 이 본체(31)의 내주면에 이를 따라 돌출된 시트부(32)와, 이 시트부(32)에 안착되며 스프링(33)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개폐부재(34)와, 상기 벌브 지지대(24)와 연결간(24a)에 의해 연결된 노즐부재(35)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부재(34)는 상기 시트부(32)의 하면에 안착되는 안착부(34a)와 이 안착부(34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노즐부재(35)와 접촉된 자루부(34b)를 구비하여 된것이다. 그리고 상기 밸브와 공압공급관(21) 사이에는 에어조절기(40)가 더 구비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에어 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압공급관(21)에 고압의 공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 조절기(40)를 조절하여 공급관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벌브(100)을 벌브 지지대(24)에 안착시키게 되면 벌브(100)의 자중에 의해 벌브가 지지대(23)에 대해 하강하고 이에 따라 연결간(24a)에 의해 연결된 노즐부재(35)가 하강하여 개폐부재(34)의 자루부(34b)를 누르게 된다. 이와같이 하면 자루부(34b)의 단부에 설치된 안착부(34a)가 시트부(32)로부터 분리되게 되어 에어가 상기 노즐(22)로 공급되어 분사되게 된다. 이때에 상기 노즐부재(35)의 측면에는 노즐(22)의 분출구와 연통되는 구멍이 뚫어져 있으므로 자루부(24b)가 노즐부재(35)의 하면과 접촉되어 있다하여도 공기의 흐름에 따른 저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벌브의 건조 또는 이물제거가 완료되어 벌브지지대(24)로부터 벌브(100)을 분리하게되면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벌브지지대(24)가 상승되면서 노즐부재(35)가 상승되어 개폐부재(34)의 안착부(34a)가 시트부(32)에 밀착되어 노즐(22)로의 에어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벌브(100)가 벌브지지대(24)에 안착되지 않은 동안은 에어의 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 에어 공급장치는 벌브홀더에 벌브가 장착된 경우에만 에어를 공급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에어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3)

  1. 공압공급관과, 이 공압공급관에 수직으로 설치된 노즐을 구비하여된 에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압공급관에 설치되며 노즐을 감싸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에 슬라이딩되는 벌브지지대와, 상기 노즐과 공압공급관 사이에 설치되어 벌브지지대의 승강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밸브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중공부를 가지는 본체와, 이 본체의 내주면에 이를 따라 돌출된 시트부와, 이 시트부에 안착되며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벌브 지지대와 연결간에 의해 연결된 노즐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와, 공압공급관 사이에 설치된 에어 조절기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공급장치.
KR2019930031982U 1993-12-31 1993-12-31 에어 공급장치 KR0131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982U KR0131946Y1 (ko) 1993-12-31 1993-12-31 에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982U KR0131946Y1 (ko) 1993-12-31 1993-12-31 에어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168U KR950021168U (ko) 1995-07-28
KR0131946Y1 true KR0131946Y1 (ko) 1998-12-01

Family

ID=1937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1982U KR0131946Y1 (ko) 1993-12-31 1993-12-31 에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9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168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9101A (en) Mold vents
US5960815A (en) Air nozzle of inflating device
EP0166959B1 (de)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Schleusvorganges für ein Haufwerk von Schüttgutpartikeln
SG74560A1 (en) Ink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950021165A (ko) 침지형 기판처리장치
KR101728880B1 (ko) 분수용 개폐형 노즐 장치
KR0131946Y1 (ko) 에어 공급장치
JPH0632398A (ja) 洗浄回路を備えた充填機
EP0904871A1 (en) A mechanism for blowing molding sand in blowing machines
KR102346614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와 패킹의 조립장치
JPH11208867A (ja) コイルスプリングの供給方法とその供給装置
JPS60183387A (ja) 液充填装置
JPH11124198A (ja) ノズル装置
US5749487A (en) Device for preventing gush of fuel oil from the fuel tank
KR200148596Y1 (ko) 반도체 제조장비용 가스밸브의 퍼지키트 장치
JP4574397B2 (ja) 粉体塗装装置
KR100760575B1 (ko) 코크스 오븐용 유튜브의 화염분출 방지장치
KR920003754Y1 (ko) 흑백 브라운관의 중간막 스프레이장치
JP3013223B2 (ja) 液体充填機におけるノズルの交換装置
JP2755136B2 (ja) 射出成形機のノズル装置
DE69222805T2 (de) Zusammenstellung von Füllstutzen und Ventil
KR960015312B1 (ko) 브라운관용 넥크튜브 세척장치 및 방법
KR200154085Y1 (ko) 간이주유펌프
KR0114762Y1 (ko) 세탁기의 급수밸브
JP2520815Y2 (ja) 圧力タンク用エアー噴射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