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762Y1 - 세탁기의 급수밸브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급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762Y1
KR0114762Y1 KR2019940012012U KR19940012012U KR0114762Y1 KR 0114762 Y1 KR0114762 Y1 KR 0114762Y1 KR 2019940012012 U KR2019940012012 U KR 2019940012012U KR 19940012012 U KR19940012012 U KR 19940012012U KR 0114762 Y1 KR0114762 Y1 KR 0114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bellows
hole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325U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40012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762Y1/ko
Publication of KR9500333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3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7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수의 급수를 개폐시켜 주는 벨로우즈의 작동이 원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급수되는 세탁수가 빠른 시간내에 많은 량이 정확히 급수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세탁수의 급수를 개폐시켜 주어 세탁수를 급수시켜 주는 세탁기의 급수밸브에 있어서, 입수관(110)과 보유실(130) 사이에 이들이 연통이 되도록 하는 통공(500)과, 상기 벨로우즈의 일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통공에 긴밀히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판체(600)와, 상기 판체의 중앙에 구성되어 통공이 보유실이 상호 연통이 되도록 하여 입수관으로 입수되는 세탁수가 보유실 내로 유입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공(610)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밸브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급수밸브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급수밸브의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벨로우즈의 일부절개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입수관 120 : 급수관
200 : 개폐부 210 : 벨로우즈
220 : 벨로우즈판체 500 : 통공
600 : 판체 610 : 유입공
본 고안은 세탁기의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밸브를 개폐시켜 주는 벨로우즈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여 급수되는 세탁수가 빠른 시간내에 많은 양이 정확하게 급수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급수밸브는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되는 로드에 의해 벨로우즈가 급수관을 개폐시켜 주어 세탁수를 급수시켜 주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세탁기의 급수밸브에 있어, 종래 급수관을 개폐시켜 주는 개페부는 입수관과 급수관의 사이에 구성되어 세탁수가 보유되는 보유실에 긴밀히 끼워지는 연질의 벨로우즈가 구성되고, 상기 벨로우즈의 상면에는 이보다 크기가 다소 적은 합성수지제의 벨로우즈판넬 외측 일면에 벨로우즈를 관통하여 급수되는 세탁수가 보유실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가 구성되며, 중앙에는 벨로우즈와 연통되도록 결합고정되어 보유실 내에 보유되어 있는 세탁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벨로우즈 외측의 소정위치 즉, 벨로우즈판넬에 구성된 유입공의 외측에 위치하는 지점에 원주형으로 하여 얇은 두께를 갖고 있는 유동부로 구성되어, 보유실에 구성되어 있는 벨로우즈의 저면이 급수관과 접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는 로드의 하단면이 벨로우즈판넬 중앙에 구성되어 있는 배수공을 막아주고 있는 상태에서 입수관을 통해 입수되는 세탁수가 유입공을 통해 보유실내로 유입되어 입수관과 보유실의 압력이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세탁수의 급수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솔레로이드에 자력이 발생되면 스프링에 의해 하향되어 있던 솔레로이드에 발생된 자력에 로드가 상승하여 배수공을 열어주게 되면 보유실내로 보유되어 있던 세탁수가 배수공을 통해 급수관으로 배수되면 보유실의 압력이 입수관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져 입수관으로 입수되는 세탁수가 벨로우즈의 저면을 밀어주게 되면 상기 벨로우즈는 유동부에 의해 벨로우즈가 상승되어 밀페시켜 주고 있던 급수관을 열어주게 되므로서, 입수관으로 입수되는 세탁수가 급수관을 통해 세탁조내로 급수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한, 종래의 벨로우즈는 세탁수가 보유실내로 유입이 되도록 하는 유입공이 벨로우즈판넬의 외측일면에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공이 벨로우즈를 관통하고 있는 상태이어서, 벨로우즈에 구성되는 유동부가 유입공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밖에 없으므로서, 소형의 급수밸브에서는 유입공과 외주면 사이의 폭이 좁아짐에 따라 급수되는 세탁수의 압력에 의해 승,하강되는 벨로우즈의 상승높이가 그만큼 작아지게 되어 급수관을 막고 있던 벨로우즈가 상승하여도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원활히 급수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급수관측으로 원활히 급수되지 못함에 따라 입수관으로부터 입수되는 세탁수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높아진 압력을 갖는 세탁수에 의해 미세한 두께를 갖고 있는 유동부가 찢어지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함을 감안하기 위해 유동부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에는 벨로우즈의 승,하강 작동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세탁수의 급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며, 상기 벨로우즈의 크기를 크게 할 경우에는 급수밸브가 전체적으로 커지게 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벨로우즈의 크기를 변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유동부의 두께와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벨로우즈의 상승높이를 높여주어 입수되는 세탁수가 원활이 급수관을 통해 급수될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유동부가 급수되는 세탁수의 압력에 의해 찢어지지 않도록 하는 세탁기의 급수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입수관과 보유실 사이에 이들이 연통이 되도록 하는 통공과, 상기 벨로우즈의 일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통공에 긴밀히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판체와, 상기 판체의 중앙에 구성되어 통공과 보유실이 상호 연통이 되도록 하여 입수관으로 입수되는 세탁수가 보유실내로 유입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공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급수밸브의 측단면도로서, 이의 급수밸브는 본체(100)의 일측면에 수도꼭지와 연결된 호오스의 끝단부가 연결되어 세탁수가 입수되는 입수관(110)이 구성되고, 중앙에는 수직상으로 하여 입수관과 연통이 되어 입수되는 세탁수가 급수되는 급수관(120)이 구성되며, 급수관의 상면에는 본체의 상면이 개방되도록 하여 입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가 급수관으로 급수되기 전에 보유될 수 있도록 하는 보유실(130)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보유실에는 이에 긴밀히 끼워져 세탁수의 압력으로 인해 유동이 되는 유동부(211)의 유동에 의해 급수관을 밀폐 및 차단을 시켜 주는 벨로우즈(210)와, 이의 상면에 구성되어 중앙에 배수공(221)이 구비된 벨로우즈판체(220)로 구성되는 개폐부(2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유실의 직상면에 구성되어 본체(100)와 체결고정되는 케이스(300)의 내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이 발생되는 솔레노이드(410)가 구성되고, 이의 중앙에는 스프링(430)으로 탄지되어 벨로우즈판체의 배수공(221)을 밀폐시켜 주는 로드(4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급수밸브에 있어서, 본 고안은 제2도의 3도에서와 같이 입수관(110)과 보유실(130) 사이에 이들이 연통이 되도록 하는 통공(500)과, 상기 벨로우즈의 일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통공에 긴밀히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판체(600)와, 상기 판체의 중앙에 구성되어 통공과 보유실이 상호 연통이 되도록 하여 입수관으로 입수되는 세탁수가 보유실내로 유입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공(610)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수가 급수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프링(430)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420)가 하강을 하게 되어 상기의 로드가 벨로우즈판체(220)의 중앙에 구성되어 있는 배수공(221)을 차단시켜 주면서 벨로우즈(210)를 강제로 하향시켜 줌에 따라 상기의 벨로우즈가 급수관(120)을 긴밀히 밀폐시켜 주고 있는 상태에서 입수관(110)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는 통공(500)을 통해 벨로우즈(210)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통공에 끼워져 있는 판체(600)에 구성되어 있는 유입공(610)을 통해 보유실(130)내로 유입되어 입수관과 보유실의 압력이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탁이 진행되게 되면 먼저, 급수밸브가 열려 세탁수가 급수되게 되는데, 이는 솔레노이드(4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로부터 발생된 자력에 의해 스프링(430)의 탄성력으로 인해 하향되어 있던 로드(420)가 상승을 하여 이에 의해 막혀 있던 배수공(221)이 열리게 되면 보유실(130)내에 보유되어 있던 세탁수가 상기의 배수공(221)을 통해 급수관(120)으로 급수되게 되면 입수관과 동일한 압력을 갖고 있던 보유실의 압력이 배수공(221)을 통해 배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입수관(110)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어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압에 의해 벨로우즈(210)가 상승을 하여 이에 의해 밀폐되어 있던 급수관(120)이 열리면서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열린 급수관을 통해 급수가 되게 되는데, 이때 입수관(110)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보유실(1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공(610)이 벨로우즈의 외측 일면에 구성됨에 따라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급수밸브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고도 벨로우즈를 상,하로 작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동부(211)의 폭이 넓어져 급수관을 밀폐시켜 주고 있는 벨로우즈의 상승높이를 높여줌에 따라 입수관으로 입수되는 세탁수가 원활히 급수관을 통해 급수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유동부의 두께가 다소 두꺼워지더라도 작동에도 아무런 장애를 주지 않음과 동시에 쉽게 찢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세탁수의 급수를 개폐시켜 주어 세탁수를 급수시켜 주는 세탁기의 급수밸브에 있어서, 입수관(110)과 보유실(130) 사이에 이들이 연통이 되도록 하는 통공(500)과, 벨로우즈의 일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통공(500)에 긴밀히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판체(600)와, 상기 판체(600)의 중앙에 구성되어 통공(500)이 보유실(130)이 상호 연통이 되도록 하여 입수관(110)으로 입수되는 세탁수가 보유실(130)내로 유입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공(610)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밸브.
KR2019940012012U 1994-05-27 1994-05-27 세탁기의 급수밸브 KR0114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012U KR0114762Y1 (ko) 1994-05-27 1994-05-27 세탁기의 급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012U KR0114762Y1 (ko) 1994-05-27 1994-05-27 세탁기의 급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325U KR950033325U (ko) 1995-12-16
KR0114762Y1 true KR0114762Y1 (ko) 1998-04-18

Family

ID=1938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012U KR0114762Y1 (ko) 1994-05-27 1994-05-27 세탁기의 급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7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325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4762Y1 (ko) 세탁기의 급수밸브
KR960011145B1 (ko) 세탁기 급수 밸브의 개폐판 구조
JP2000240123A (ja) フラッシュバルブ
KR970008059B1 (ko) 세탁기 급수 밸브의 부싱 구조
KR200234018Y1 (ko) 절수형 밸브
KR0124265Y1 (ko) 세탁기의 급수밸브
KR200313353Y1 (ko)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KR200157229Y1 (ko) 급수밸브의 누수방지장치
KR940005437Y1 (ko) 화장실 세척기용 온수가열기
KR900701210A (ko) 세척 헤드
KR970008061B1 (ko) 세탁기 급수밸브의 개폐판 구조
CN208152176U (zh) 一种冲便器用电磁阀组件
KR100915254B1 (ko) 양변기의 물내림 작동장치
KR970006359Y1 (ko) 세탁기의 급수밸브
KR200349601Y1 (ko)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KR200150987Y1 (ko) 세탁기용 배수밸브
KR200194307Y1 (ko) 변기용 세척 밸브
KR200187771Y1 (ko) 양변기 저수통의 절수용 덮개
KR200243351Y1 (ko) 자연배출식 수세식 변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JPS6124230Y2 (ko)
KR200210877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158111Y1 (ko) 2조식 수동세탁기의 배수장치
JP2002088856A (ja) 浴室の床排水目皿
KR810002523Y1 (ko) 수세식 변기의 급수량 조절판
KR20020062086A (ko) 절수를 위한 승압용 후레쉬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