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601Y1 -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601Y1
KR200349601Y1 KR20-2004-0004840U KR20040004840U KR200349601Y1 KR 200349601 Y1 KR200349601 Y1 KR 200349601Y1 KR 20040004840 U KR20040004840 U KR 20040004840U KR 200349601 Y1 KR200349601 Y1 KR 200349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washing water
store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모
Original Assignee
이재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모 filed Critical 이재모
Priority to KR20-2004-0004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6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1Shape or selection of material for flushing cisterns
    • E03D1/012Details of shape of cisterns, e.g. for connecting to wall, for supporting or connecting flushing-device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using flushing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밀봉부재를 신축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와 하부가 각각 피스톤판과 본체의 하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여,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완전 밀폐하여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고, 세척수의 하중에 의한 수압과 피스톤판에 의한 압력 및 신축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된 신축부에 의한 수압을 얻음으로써, 보다 적은 양의 세척수로도 충분한 압력을 얻을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에도 충분한 성능의 유지 및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세척수를 저장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물탱크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장치 및 상기 배수장치의 개폐를 결정하여 본체에 저장된 세척수의 배출을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세척수의 수압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피스톤판이 설치되며,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밀봉부재가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피스톤판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늘어나고 줄어드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A Flushing Unit for A Toilet}
본 고안은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밀봉부재를 신축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와 하부가 각각 피스톤판과 본체의 하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완전 밀폐하여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고, 세척수의 하중에 의한 수압과 피스톤판에 의한 압력 및 신축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된 신축부에 의한 수압을 얻음으로써, 보다 적은 양의 세척수로도 충분한 압력을 얻을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에도 충분한 성능의 유지 및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화장실의 악취를 제거하고 위생을 위한 것으로, 일정량의 물(이하, 세척수와 혼용함)을 저장하고 수위차에 의한 수압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세척수를 흘러내리게 하여 양변기 내부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양변기용 급배수 장치의 구성도로서, 급수관(2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물탱크(10)내부에 저장되어지고, 상기 물탱크(10)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플로우터(Floater)(30)가 상승하며, 일정량의 물이 물탱크(10)에 저장되면 급수관 개폐구(21)가 닫히게 되어 급수관(20)으로부터의 물 공급이 차단된다.
이 후, 레버(40)를 작동시키면 작동바(50)에 의하여 연결부재(60)가 당겨지게 되며, 상기 연결부재(60)의 당김에 의해 배수관 개폐구(71)가 열리게 되어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이 배수관(70)을 통해 배출되어 양변기를 세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양변기는 세척을 위하여 물의 압력을 높게 유지해야 하며, 그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게 되어 수자원의 낭비와 함께 오, 폐수의 발생량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근래 들어 양변기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의 양을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양변기의 물탱크 내에 벽돌이나 물을 담은 페트(Pet)병 등을 수장시켜 세척수의 양을 일부분 줄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절수를 위해 용변용과 소변용으로 구분하여 대소변에 따라 소비되는 세척수의 양을 이중으로 동작하도록 한 것도 있으나, 용변 때의 세척수 배출량은 줄일 수 없어, 이 역시 상기와 같은 벽돌이나 물을 담은 페트병을 수장시켜 적은 양의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상기 벽돌이나 페트병에 의하여 감소되는 물의 양에 의하여 양변기의 완전한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그로 인해 재차 세척을 해야 함에 따라 오히려 많은 양의 세척수를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출원된 등록실용신안 제277595호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는, 피스톤 작용에 의하여 물탱크 내부의 세척수가 급속하게 양변기로 배수되도록 하여 적은 양의 세척수만으로도 양변기를 세척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110)와 커버(120)로 이루어진 물탱크(100) 본체(110)의 상부에는 스프링(130)의 일측이 고정된 덮개(150)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130)의 다른 일측이 고정된 피스톤판(14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20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장치(300)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장치(200)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210)과, 상기 급수관(210)의 상부에 물탱크(100)에 저장된 세척수가 급수관(21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22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배수장치(300)는 저장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수관(310)과, 상기 배수관(310)을 개폐하는 차단부재(3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차단부재(320)의 일측에는 물유입공(3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수장치(200)의 급수관(210)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는 역류방지밸브(22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물탱크(100)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차단부재(320)의 물유입공(321)을 통해 차단부재(320)의 상측부로 공급되고, 상기 차단부재(320)의 상측부로 공급된 세척수는 조절관(500)을 통해서 제어장치(400)로 공급된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조절관(500)과 연결되는 위치에 개폐변(440)을 설치하여, 상기 조절관(500)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가 개폐변(440)의 물유입공(441)을 통해 압력실(420)에 충분히 채워지게 되면, 상기 배수장치(300)의 차단부재(320)의상부에도 충분한 수압이 발생하여 차단부재(320)에 의해 배수관(310)이 차단되어, 물탱크(100)에 세척수가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100)에 세척수가 저장됨으로 인해 피스톤판(140)이 수압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400)의 외부 일측에 설치된 조작버튼(410)을 누르게 되면, 압력실(420)에 저장된 세척수가 우회관(430)을 통해 퇴수관(600)으로 배출되어 압력실(420)의 수압이 낮아지게 되고, 그로 인해 차단부재(320)에 발생되던 압력이 낮아지면서 상기 차단부재(32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배수관(310)이 개방된다.
따라서 물탱크(100)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의 하중과 더불어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한 피스톤판(140)의 급속한 하강에 의하여, 세척수가 배수관(310)을 통해 급속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물탱크(100)에 저장되는 세척수가 피스톤판(140)과 본체(110) 사이를 통하여 피스톤판(140)의 상측부로 스며들게 되어, 압력실(420) 및 물탱크(100) 내부 등의 수압이 낮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판(140)의 측면에는 밀봉부재(700')를 설치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즉, 상기한 각각의 장치들이 원활히 동작하기 위해서는 밀봉부재(700')에 의한 밀폐성이 확보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313353호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는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제 277595호의 문제점인 구조의 복잡함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오작동으로 인한 신뢰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성능을 개량한 것이다.
즉,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수장치(300)의 배수관(310) 상부에 설치되는 차단부재(320)의 가장자리에 탄성력을 갖는 박판형의 연결부재(340)를 일체로 형성하여 차단부재(32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에 따라 차단부재(320)가 자연스럽게 상하로 이동하여 배수관(310)을 개폐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급수장치(200)의 급수관(210) 상부에 설치되는 차단부재(230)의 가장자리에는 탄성력을 갖는 박판형의 연결부재(240)를 일체로 형성하여 차단부재(23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에 따라 차단부재(230)가 자연스럽게 상하로 이동하여 급수관(210)을 개폐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어장치(400)의 내부에 압력실(420)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퇴수관(600)을 연결하며, 다른 일측에는 조절관(500)을 연결하여, 상기 조절관(500)과 압력실(420) 및 퇴수관(600)이 하나의 통로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400)의 일측에는 조작버튼(410)을 설치하되, 상기 조작버튼(410)은 개폐변(440)과 연결되어 지며, 상기 개폐변(440)의 일측단에는 스프링(450)을 설치한다.
즉, 스프링(450)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폐변(440)이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조작버튼(410)을 누를 경우에 개폐변(440)이 눌려지면서 퇴수관(600)이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급수장치(200)와 배수장치(300) 및 제어장치(400)의 구조를 단순화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도, 각각의 장치들이 원활히 동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피스톤판(140)의 측면에 밀봉부재(700')를설치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등록실용신안 제277595호 및 제313353호는 장기간 사용하게 될 경우 피스톤판(140)의 반복적인 상하이동으로 인하여 밀봉부재(700')와 본체(110)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 시에 상기 밀봉부재(700')가 마모, 변형 또는 파손되어 밀폐성이 저하되어 누수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급수장치(200)와 배수장치(300) 및 제어장치(400) 등의 동작에 필요한 수압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급수장치(200)의 차단부재(230)와 배수장치(300)의 차단부재(320) 및 제어장치(400)의 개폐변(440)이 수압의 저하로 인해 완전히 밀착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계속적인 세척수의 누수가 발생되어 수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판(140)의 불규칙한 상하운동으로 인하여 밀봉부재(700')가 완전히 밀착되지 못할 경우에도 세척수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피스톤판(140) 상측부의 본체(110) 내부로 세척수가 누수되어, 결국 본체(10) 밖으로 물이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밀봉부재를 신축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와 하부가 각각 피스톤판과 본체의 하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완전한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를 제공함에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의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3은 종래의 양변기용 급배수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6a는 종래의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의 급수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6b는 종래의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물탱크 130 : 스프링
140 : 피스톤판 200 : 급수장치
300 : 배수장치 400 : 제어장치
500 : 조절관 600 : 퇴수관
700 : 밀봉부재 710 : 밀착부
720 : 신축부 730 : 고정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물탱크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장치 및 상기 배수장치의 개폐를 결정하여 본체에 저장된 세척수의 배출을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세척수의 수압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피스톤판이 설치되며,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밀봉부재가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피스톤판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늘어나고 줄어드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의 구성도로서,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탱크(100)와, 상기 물탱크(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물탱크(10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200) 및 물탱크(100)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장치(300)와, 상기 배수장치(300)의 개폐를 결정하여 물탱크(100)에 저장된 세척수의 배출을 작동시키는 제어장치(400)와, 상기 배수장치(300)와 제어장치(400)를 연결하는 조절관(500)과, 상기 제어장치(400)의 일측에 설치되는 퇴수관(6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물탱크(100)의 내측 하부에 밀봉부재(700)가 설치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의 세척수 공급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급수장치(200)를 통해 물탱크(100)에 세척수가 공급되면, 물탱크(10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밀봉부재(700)가 팽창되면서 세척수가 저장됨을 보이고 있다.
또한,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의 세척수 배출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배수장치(300)를 통해 물탱크(100)의 밀봉부재(700)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출될 경우, 상기 밀봉부재(700)가 수축되면서 저장된 세척수가 배출됨을 보이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탱크(100), 급수장치(200), 배수장치(300), 제어장치(400), 조절관(500), 퇴수관(600) 및 밀봉부재(7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의 동작순서를 살펴보면, 상기 급수장치(200)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는 물탱크(100) 내부에 설치된 밀봉부재(700)에 저장됨과 동시에 조절관(500)을 통해 제어장치(400)의 내부에 저장되며, 이후 상기 제어장치(400)를 작동시켜 제어장치(400)에 저장된 세척수가 퇴수관(600)을 통해 배출되면 밀봉부재(700)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출장치(300)를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물탱크(100)는 내부에 소정의 세척수 저장 공간을 갖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커버(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피스톤판(140)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110)의 내측 상부 및 피스톤판(140)의 상부에 스프링(130)의 양단이 고정 지지되며, 상기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피스톤판(140)을 하측으로 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급수장치(200)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급수관(210)이 본체(110)의 하부를 관통하여 내측과 외측이 통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수관(210)의 상부에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역류방지밸브용 커버(2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역류방지밸브용 커버(250)의 내측에는 상기 급수관(210)의 상측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차단부재(230)가 설치되고, 상기 차단부재(230)의 가장자리에는 탄성력을 갖는 박판형의 연결부재(2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급수관(210)으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면 차단부재(23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세척수가 역류방지밸브용 커버(250)의 일측에 형성된 통과공(251)을 통해 공급되며, 밀봉부재(700) 내부에 세척수가 만수되면 수압과 스프링(130)의 탄력에 의해 자동으로 차단부재(23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급수관(210)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배수장치(300)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수관(310)이 본체(110)의 하부를 관통하여 내측과 외측이 통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관(310)의 상부에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덮개(3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350)의 내측에는 상기 배수관(310)의 상측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차단부재(320)가 설치되고, 상기 차단부재(320)의 가장자리에는 탄성력을 갖는 박판형의 연결부재(3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급수관(210)으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어 본체(110)의 내부에 저장되면, 상기 저장된 세척수의 하중과 피스톤판(140)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130)의 탄력에 의하여 차단부재(320)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며, 덮개(350)와 차단부재(320) 사이, 즉 압력부(360)에서 발생되는 수압과 상기 저장된 세척수에 의해 발생되는 수압의 크기에 따라 차단부재(320)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배수관(310)을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압력실(420)을 형성하고, 일측에 조작버튼(410)을 설치하되, 상기 조작버튼(410)은 상기 압력실(420)을 개폐하는 개폐변(440)의 일측과 연결되어 지며, 상기 개폐변(440)의 다른 일측에는 스프링(450)이 설치되어 진다.
즉, 스프링(450)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폐변(440)이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조작버튼(410)을 누를 경우에 개폐변(440)이 이동되면서 압력실(420)이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관(500)은 일측이 배수장치(300)의 덮개(350) 일측과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압력실(420)의 일측과 통로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퇴수관(600)은 상기 압력실(420)의 다른 일측과 통로로 연결되어 지되,상기 개폐변(440)에 의하여 압력실(420)과 연결된 통로가 개폐되어 진다.
즉, 상기 조절관(500)과 압력실(420) 및 퇴수관(600)은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 밀봉부재(700)의 상부에는 피스톤판(14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밀착부(7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고정부(730)가 형성되어 내부에 급수장치(200)와 배수장치(3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본체(11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밀착부(710)와 고정부(730)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늘어나고 줄어드는 신축부(7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동순서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급수장치(200)의 급수관(210)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면, 상기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하여 차단부재(230)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급수관(210)이 개방되어 내부로 공급되고, 통과공(251)을 통하여 물탱크(100)의 본체(11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본체(110) 내부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는 배수장치(300)에 설치된 차단부재(320)에 형성된 통과공(321)을 거쳐, 조절관(500)으로 보내진다.
상기 조절관(500)을 통해 제어장치(400)로 보내진 세척수는 압력실(420)에 저장되면서 상기 압력실(420)의 수압과 차단부재(320)에 가해지는 수압이 최대가 될 때까지 저장되며, 그 후에 급수장치(200)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모두 본체(110)의 내부에 저장되어 진다.
즉, 차단부재(320)에 가해지는 수압에 의하여 차단부재(320)가 배수관(310)에 밀착되면, 급수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피스톤판(140)이 상측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신축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된 신축부(720)는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펼쳐지면서 늘어나게 되며, 상기 본체(110)에 충분한 양의 세척수가 저장되면 급수장치(200)로부터의 세척수 공급이 중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400)의 조작버튼(410)을 누르게 되면, 상기 압력실(420)에 저장된 세척수가 퇴수관(600)을 통해 배출되면서 압력실(420)의 수압이 낮아짐과 동시에 배수장치(300)의 차단부재(320)에 가해지는 수압이 낮아지게 되고, 본체(110)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압이 차단부재(320)의 상부에 가해지는 수압, 즉 압력부(360)의 수압보다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차단부재(320)의 상하부 수압차에 의하여 차단부재(320)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배수관(310)이 개방되고, 상기 본체(110)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는 개방된 배수관(310)을 통해 배출되되, 상기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압된 피스톤판(140)의 하강에 의하여 급속 배출이 되는 것이다.
이때,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축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된 신축부(720)가 접혀지면서, 주름의 접혀짐으로 인하여 중앙부로의 수압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판(140)의 하강에 의한 수압 및 세척수의 하중에 의한 수압과 더불어 보다 큰 수압으로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피스톤판(140)의 하강력 및 세척수의 하중에 의한 수압과 더불어 신축부(720)의 접혀짐에 의한 수압이 더해져 보다 적은 양으로도 충분한 세척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완전 밀폐하여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고, 세척수의 하중에 의한 수압과 피스톤판(140)에 의한 수압 및 밀봉부재(700)의 신축부(720)에 의한 수압을 얻음으로써, 보다 적은 양의 세척수로도 충분한 압력을 얻을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충분한 성능의 유지 및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세척수를 저장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120)로 이루어진 물탱크(100)와,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11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200)와,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110)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장치(300) 및 상기 배수장치(300)의 개폐를 결정하여 본체(110)에 저장된 세척수의 배출을 작동시키는 제어장치(400)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세척수의 수압과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피스톤판(140)이 설치되며,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밀봉부재(700)가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700)는
    상기 피스톤판(140)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부(710)와,
    상기 밀착부(7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늘어나고 줄어드는 신축부(720) 및
    상기 신축부(72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110)에 고정되는 고정부(7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720)는 신축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KR20-2004-0004840U 2004-02-24 2004-02-24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KR200349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840U KR200349601Y1 (ko) 2004-02-24 2004-02-24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840U KR200349601Y1 (ko) 2004-02-24 2004-02-24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601Y1 true KR200349601Y1 (ko) 2004-05-10

Family

ID=4942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840U KR200349601Y1 (ko) 2004-02-24 2004-02-24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6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78843B (zh) 马桶注水阀的防逆流装置
KR100447875B1 (ko)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US5862537A (en) Flush lever operated reservoir toilet tank control
CN102418374B (zh) 一种具有泄压功能的冲洗装置
KR100408076B1 (ko) 절수용 변기
KR101111624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150046978A (ko) 양변기 물 내림 장치
KR200349601Y1 (ko)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KR100530575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0499662B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100458200B1 (ko) 절수형 양변기
JP2002201690A (ja) 補助封水供給機構を備えたトラップ装置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KR100191123B1 (ko) 절수형 프레쉬밸브
JP2004332470A (ja) ロータンク装置における排水弁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084159B1 (ko)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KR200313353Y1 (ko)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KR20010015995A (ko) 절수형 양변기
KR200206147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KR102032988B1 (ko)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GB2289696A (en) Fluid inlet valve waste preventer for W.C. cistern
KR20060058060A (ko) 직수와 저장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양변기
KR200301128Y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209156B1 (ko) 절수형 플래시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