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928B1 - 대형 트럭의 캡 틸팅 구조 - Google Patents

대형 트럭의 캡 틸팅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928B1
KR0131928B1 KR1019950015859A KR19950015859A KR0131928B1 KR 0131928 B1 KR0131928 B1 KR 0131928B1 KR 1019950015859 A KR1019950015859 A KR 1019950015859A KR 19950015859 A KR19950015859 A KR 19950015859A KR 0131928 B1 KR0131928 B1 KR 0131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inged
side frame
present
threade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116A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50015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928B1/ko
Publication of KR97000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차 타이어를 교환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스크류잭을 대형트럭의 캡 하단부의 메인 바디 실(Main Body Sill)과 차체의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의 웨브(Web)면으로 상,하단이 힌지축설되도록 하여 래칫 렌치(Ratchet Wrench)등의 회동수단에 의해서 캡을 틸팅시키도록 하는 대형 트럭의 캡 틸팅 구조에 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수평의 나사봉재가 회전하면서 양측으로 결합된 램들이 동시에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므로서 상기 램들의 작동으로 상기 나사봉재의 상,하부 결합부간 간격이 축소 또는 확장되도록 하는 스크류 잭을 상단부 결합부는 캡 메인 바디 실 저면에 부착시킨 브라켓트에, 하단부 결합부는 사이드 프레임 웨브면으로 돌출되게 부착시킨 브라켓트에 동시에 힌지축설되도록 하여서 상기 나사봉재의 일단부를 렌치등의 회동수단을 사용하여 회동시키므로서 캡의 틸팅 또는 안착이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대형 트럭의 캡 틸팅 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수단이 차체에 결합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종래의 캡 록킹구조를 도시한 요부도.
제5도의 (a)도는 종래의 수동 틸팅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b)도는 종래의 자동 틸팅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크류 잭 11 : 나사봉재
12 : 램 13 : 지지대
14 : 하단 결합부 15 : 상단 결합부
16 : 커넥터 17 : 링크
20 : 사이드 프레임 21 : 웨브면
22 : 브라켓 23 : 스트라이커
30 : 캡 메인 바디 실 31 : 캡 힌지축
32 : 브라켓트 33 : 래치
34 : 토션 바
본 발명은 승용차 타이어를 교환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스크류 잭을 대형트럭의 캡 하단부의 메인 바디 실(Main Body Sill)과 차체의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의 웨브(Web)면으로 상,하단이 힌지축설되도록 하여 래칫 렌치(Ratchet Wrench)등의 회동수단에 의해서 캡을 틸팅시키도록 하는 대형 트럭의 캡 틸팅 구조에 대한 것이다.
대형화물을 주로 운송하는 수단인 대형트럭이나 내연기관이나 클러치 및 변속기등의 대부분의 구동장치들이 캡(Cap) 직하부로 설치되어 있어 엔진 또는 그 밖의 구동장치들을 점검 또는 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캡을 전방 하단부의 캡 힌지축을 중심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틸팅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캡 틸팅구조는 현재 도면 제 4 도에서와 같이 캡(100) 배면 하단에 부착시킨 래치(Latch, 23)와 캡(100) 후미의 차체 사이드 프레임(20)에 부착시킨 스트라이커(Striker, 33)가 작동레버(도시되지 않음)의 수동 또는 자동조작에 의해 괘해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수동식의 경우에는 도면 제 5 도의 (a)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며, 상기의 래치(33)와 스트라이커(23)를 수동의 작동레버를 조작하여 해정시킨 후 인력으로 캡(100)을 밀어올려 틸팅시키고, 정비 및 수리가 끝나면 인력으로 캡(100)을 끌어내려 자동으로 래치(33)가 스트라이커(23)에 결속되도록 하므로서 안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캡(100) 틸팅시 완전히 틸팅된 순간에는 상기 캡스테이(35)의 절첩상태가 완전히 펴지는 상태로 되며, 틸팅된 상태는 토션 바(34)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제 5 도의 (b)도에서 보는바와 같은 자동식의 경우에는 캡 힌지축(31)의 직후방 하단이 사이드 프레임(20)의 웨브면(21)으로 착설된 브라켓트에, 상단은 캡(100) 하단의 메인 바디 실(30)에 각각 힌지축설되는 실린더(40)가 구비되어 스위치 조작으로 유압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며, 캡(100) 후미의 스트라이커(23)도 상기 실린더 작동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유압작동되는 구성으로 되도록 하여 간단히 스위치를 작동시키므로서 해정되면서 실린더(40)의 피스톤(41) 인출에 의해 틸팅되고, 다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인출된 피스톤(41)이 실린더(40)내로 서서히 삽입되어 스트라이커(23)에 래치(33)가 괘정되면서 안착되도록 하는 작동구성으로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동식의 경우에는 스트라이커(23)로 부터 래치(33)를 레버조작에 의해 이탈시키더라도 캡(100)을 인력으로 밀어 올려야만 하고, 안착시에도 인력으로 캡(100)을 끌어내려야만하므로 캡(100)의 틸팅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래치(33)가 스트라이커(23)에 괘정된 상태가 충격등에 의해 풀려질 수가 있고, 특히 래치(33)가 스트라이커(23)에 제대로 괘정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경고 표시등의 작동이 불량하여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을 하게 되면 크나큰 인명사고를 야기시킬 수가 있는 우려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캡(100)이 완전히 틸팅된 상태를 토션 바(34)와 캡 스테이(35)에 의해 유지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노후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많은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식의 경우는 유압에 의한 작동구성이므로 설치비용이 대단히 많이 소요되므로 원가상승요인이 되며, 정기적인 유량의 적절한 보충이 반드시 필요로 되므로 관리가 매우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틸팅 구성들은 또한 수동식의 경우 별도의 캡 스테이(35)구조와 스트라이커(23) 해정구조를 형성시켜야 하고, 자동식의 경우는 실린더(40)와 유압작동구성을 형성시켜야만 하므로 대체로 구조가 복잡해져 노후방지를 위한 유지관리 및 보수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복잡함과 관리 및 안전사고에 대한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해 개선시킨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캡의 틸팅 및 안착을 스크류 잭의 수동 또는 자동작동에 의해서 수행되도록 하므로서 작동구조를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안전한 작동이 유지되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시간 유지에 따른 노후시에도 특별한 관리가 필요로 되지 않으면서 항상 정상적인 작동이 유지되어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함과 동시에 설치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의 틸팅수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틸팅수단은 흔히 승용차의 타이어 교체를 위해 차체를 올려주는 스크류 잭(10)이다.
상기의 스크류 잭(10)은 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봉재(11) 양측으로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램(Ram, 12)이 끼워지도록 하고, 상,하로 상기 양측 램(12)과 지지대(13)를 힌지체결시켜 삼각형 형상이 되도록 하며, 상기 양측의 지지대(13)는 상,하단으로 체결공이 천공된 결합부(14)(15)에 각각 힌지체결되도록 한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 잭(10)은 전체형상이 마름모꼴로서 이루어져 상기 양측의 램(12)들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하결합부(14)(15)간 간격은 좁아지게 되고, 반대로 양측의 램(12)들이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하 결합부(14)(15)간 간격은 멀어지는 작동구성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형상인 상기 스크류 잭(10)에는 나사봉재(11)의 일측단으로는 끝단면에 결합홈이 각인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돌기가 돌설되도록 한 커넥터(16)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상기와 같은 스크류 잭(10)을 종래 유압 실린더(40)의 위치에 체결되도록 한것으로서, 즉 본 발명은 캡(100) 하단의 메인 바디 실(30)에 부착시킨 브라켓트(32)와 차체 사이드 프레임(20)의 웨브면(21)에 부착시킨 브라켓트(22)에 각각 스크류 잭(10)의 상,하단 결합부(14)(15)가 힌지축설되도록 하여서 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크류 잭(10)의 형상은 도시된 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스크류 잭 사용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 및 그에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류 잭(10)의 커넥터(16)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결합단면을 일측으로 형성시킨 렌치(Wrench, 50)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된다.
즉 상기의 렌치(50)를 커넥터(16)에 결합 후 상기 렌치(50)를 일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면 상기 스크류 잭(10)의 나사봉재(11)가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봉재(11) 양측으로 끼워진 램(12)들이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하 결합부(14)(15)간 간격은 점점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단부 결합부(14)가 차체 사이드 프레임(20)의 웨브면(21)으로 부착시킨 브라켓트(22)에 힌지고정된 상태이므로 캡 메인 바디 실(30)측의 브라켓트(32)에 힌지결합된 상단부 결합부(15)의 상승작용으로 캡(100)을 틸팅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렌치(50)를 사용하여 일방향으로 나사봉재(11)을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캡(100)은 캡 힌지축(31)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틸팅이 되고, 원하는 위치에서 렌치(50)의 조작을 멈추게 되면 틸팅이 중지하게 되므로 필요한 만큼의 틸팅을 자유자재로 수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틸팅된 캡(100)을 다시 원상태로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틸팅시킬 때와는 반대로 렌치(50)를 일방향으로 계속 돌리게 되면 캡(100)은 서서히 회전하면서 안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틸팅과 안착이 끝나는 시점을 작업자로 하여금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경보수단이 구비되도록 하므로서 작업을 중지할 수 있는 시점을 알려주도록 하는 것도 좋으며, 이러한 작업의 중지를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임의의 위치에 리미트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설치시키도록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와 같은 렌치작동이 작업자에게는 다소 번거롭기도 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이와같은 불편함조차 손쉽게 하기 위해 상기의 나사봉재(11)를 스위치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정·역회전 모터에 의해 회동되로록 하되 상기 모터는 기설치된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전원이 단속되도록 하므로서 보다 쉬우면서도 빠르게 캡(100)을 틸팅 또는 안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는 달리 대형트럭 중에는 승차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캡(100) 하단으로 사이드 프레임(20)과 사이에 다수개의 텐션스프링을 개재시키되 상기 텐션스프링의 하단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20)의 상부 플랜지면에 고정착설되도록 하여 그 상부로 캡(100)이 얹혀지도록 하므로서 캡(100)에 약간의 상·하 유동을 생기도록 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차량의 경우에는 도면 제 3 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스크류 잭(10) 상단 결합부(14)(15)와 캡 메인 바디 실(30)사이에 이단절곡 형상의 링크(17)를 개재시키되, 상기 링크(17)의 상부 곡면부(17A)는 상기 캡 메인 바디 실(30)의 경사면에 고정착설되도록 하고, 그 하단은 상단 결합부(15)에 힌지축설되도록 하므로서 텐션스프링의 유동작용에 대하여 대응되는 유동작동구조를 갖도록하여 텐션스프링에 의한 캡(100)의 유동작용이 정상적으로 구현되도록 한다.
즉,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이 진동함에 따라 캡 메인 바디 실(30)이 상승하면 링크(17)가 약간 펴지면서 유동적으로 대처하므로 캡 메인 바디 실(30)의 상승 운동량이 스크류잭(10)에 전달되지 않게되며, 제3도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캡 메인 바디 실(30)이 하강하면 링크(17)가 약간 접히면서 유동적으로 대처하므로 캡 메인 바디 실(30)의 하강 운동량이 스크류잭(10)에 전달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주로 승용차 타이어 교환시 차량의 차축을 승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스크류 잭(10)을 대형 화물차량의 캡 틸팅구조로서 사용토록 하므로서 별도의 래치(33)나 스트라이커(23) 및 상기 스트라이커(23) 작동구조들이 생략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므로 구조를 매우 간소화시키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스크류운동에 의해 양측의 램(12)이 수평이동하면서 상단 결합부(15)가 하단 결합부(14)에 지지되어 틸팅되므로 오작동이나 고장발생의 문제소지가 제거되는 것으로 안정된 작동성능의 유지가 보장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 유압작동의 자동구조에 비해서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시키게 되는 것이며, 또한 수동구조에 비해서는 캡(100)의 틸팅 또는 안착작업을 렌치(50)나 스위치작동에 의해 매우 쉽게 할 수가 있으면서 저절로 래치(33)가 풀리면서 자동으로 캡(100)이 틸팅상태가 되는 위험을 제거시키게 되므로 안정성을 대단히 향상시킨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회동수단에 의해서 일단부를 형성시킨 커넥터를 회전시켜 수평의 나사봉재가 회전하면서 양측으로 결합된 램들이 동시에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수평이동토록 하여 상기 나사봉재의 상,하부 결합부간 간격이 축소 또는 확장되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 결합부를 사이드 프레임 웨브면상에 돌출 형성된 브라켓트에 힌지축설하고, 상기 상단부 결합부에는 이단절곡 형상의 링크 하단부를 힌지결합하되, 상기 링크의 상단 곡면부는 상기 캡 메인 바디 실의 경사면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트럭의 캡 틸팅 구조.
KR1019950015859A 1995-06-15 1995-06-15 대형 트럭의 캡 틸팅 구조 KR0131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859A KR0131928B1 (ko) 1995-06-15 1995-06-15 대형 트럭의 캡 틸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859A KR0131928B1 (ko) 1995-06-15 1995-06-15 대형 트럭의 캡 틸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16A KR970001116A (ko) 1997-01-21
KR0131928B1 true KR0131928B1 (ko) 1998-04-21

Family

ID=1941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859A KR0131928B1 (ko) 1995-06-15 1995-06-15 대형 트럭의 캡 틸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9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513B1 (ko) * 2000-12-19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트럭 캐빈의 인양 틸팅용 턴버클구조
KR101030230B1 (ko) * 2009-07-07 2011-04-22 (주)에이엠 (A.M) 특장 차량의 적재함 커버용 도어
CN103303657A (zh) * 2013-05-24 2013-09-18 铜陵天奇蓝天机械设备有限公司 手动可调平料器
KR101459733B1 (ko) * 2013-05-22 2014-11-13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시험기용 나이프 교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513B1 (ko) * 2000-12-19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트럭 캐빈의 인양 틸팅용 턴버클구조
KR101030230B1 (ko) * 2009-07-07 2011-04-22 (주)에이엠 (A.M) 특장 차량의 적재함 커버용 도어
KR101459733B1 (ko) * 2013-05-22 2014-11-13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시험기용 나이프 교환 장치
CN103303657A (zh) * 2013-05-24 2013-09-18 铜陵天奇蓝天机械设备有限公司 手动可调平料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16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5515B1 (en) Over-center towing locking mechanism for tow truck wheel lift or the like
KR0131928B1 (ko) 대형 트럭의 캡 틸팅 구조
JPH1159506A (ja) キャブ下降防止装置付きキャブチルト装置
JPH10121767A (ja) ロック式駐車装置
US4241899A (en) Lifting jack with locking device
KR101293009B1 (ko) 지게차의 캐빈 틸팅 시스템
US5603486A (en) Frame-type car jack
KR20120002090A (ko) 차량용 캡 틸팅장치
CN111301448B (zh) 一种托部的锁闭机构及驮背车
KR200444278Y1 (ko) 포크의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 구동장치
JPS635995Y2 (ko)
CN2407995Y (zh) 车厢活动顶升降机构
CN211342263U (zh) 用于乘用车自带报警开关的机罩锁
CN214455304U (zh) 一种带有自动对接功能的货车限动器
CN216033996U (zh) 一种自卸车液压系统与自卸车
KR100271985B1 (ko) 화물차량의 캡 틸팅용 실린더의 충격흡수장치
KR100307095B1 (ko) 트럭용 캐빈의 잠금장치
KR100507532B1 (ko) 화물차용 캡 틸팅 실린더
KR950001210B1 (ko) 차량용 시트의 에어 서스펜션
JPH0630793Y2 (ja) オイル駆動型オ−トリフトにおける下降防止用安全装置
JP4671495B2 (ja) キャブチルト装置
CN2153497Y (zh) 锁紧式机动车车箱挂钩装置
CN201023431Y (zh) 侧翻低速汽车
KR200224296Y1 (ko) 단식으로 작동되는 유압실린더를 갖는 화물차량의 리프터장치
JPH0750393Y2 (ja) X型アウトリ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