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899Y1 - 잠금확인램프가 구비된 자동차도어 - Google Patents

잠금확인램프가 구비된 자동차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899Y1
KR0131899Y1 KR2019960035923U KR19960035923U KR0131899Y1 KR 0131899 Y1 KR0131899 Y1 KR 0131899Y1 KR 2019960035923 U KR2019960035923 U KR 2019960035923U KR 19960035923 U KR19960035923 U KR 19960035923U KR 0131899 Y1 KR0131899 Y1 KR 0131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mp
lock
pivo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571U (ko
Inventor
송원석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5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89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2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8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67Door handles; Hand g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1Power supply
    • E05Y2400/612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05Y2400/822Light emitters, e.g. light emitting diodes [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가 잠겨 있는지를 야간에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램프를 점/소등하여 표시하는 잠금확인램프가 구비된 자동차도어에 관한 것으로, 도어잠금장치를 구비한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선회되게 연설된 전도체의 선회대; 및 상기 선회대의 축에 일측접점이 고정되는 한편, 타측접점은 밧데리를 개재하고 상기 선회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선회대의 끝단부와 접속 또는 단락되는 램프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본 고안은 야간에도 보다 용이하게 도어의 잠금상태확인이 가능하고, 어린이들을 태우고 주행시 도어를 잠그는 것을 주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운행을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잠금확인램프가 구비된 자동차도어
본 고안은 자동차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가 잠겨 있는지를 야간에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램프를 점/소등하여 표시하는 잠금확인램프가 구비된 자동차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안전을 위하여 도어잠금장치를 구비하고 탑승한 후 도어를 잠근상태에서 주행하게 된다. 이는 어린이들이 차량에 탑승했을 경우 장난 을 하다 차문을 열어 차량으로부터 떨어지거나 다치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안전장치로 설계된다. 기존에는 이러한 장치를 도어안쪽의 도어트림에서 차창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하여 이것을 누름에 의해 도어가 락킹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도어잠금장치가 락킹되어도 운전시 쉽게 확인할 수 없을 뿐더러, 야간에는 그 확인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도어를 잠금지 않고 주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사고들이 발생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의 잠금장치에 램프를 설치하여 도어 잠금에 따라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잠금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잠금확인램프가 구비된 자동차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잠금장치를 구비한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선회되게 연설된 전도체의 선회대; 및 상기 선회대의 축에 일측접점이 고정되며, 타측접점은 밧데리를 개재하고 상기 선회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선회대의 끝단부와 접속 또는 단락되는 램프를 포함하는 잠금확인램프가 구비된 자동차도어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도어의 도어잠금장치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동작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11 : 홈
20 : 손잡이 30 : 도어잠금장치
40 : 램프 41,42 : 접점
50 : 선회대 51 : 축
52 : 끝단 60 : 밧데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도어의 도어잠금장치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어(10)의 내부에는 일정크기의 홈(11)이 형성되어 도어개폐용 손잡이(20)가 장치되어 있는 데, 이 손잡이(20)는 대략 타원형 환상편으로, 차체내부쪽으로 잡아당기면 도어(10)가 열리게 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20)의 내부 일측에는 도어잠금장치(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도어잠금장치(30)는 도어(10)의 홈(11) 내/외부로 선회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즉, 도어잠금장치(30)를 홈(11)내측방향으로 밀면 그 위치에서 멈춰 도어(10)가 락킹되며, 홈(11)외측으로 당겨 원상태로 놓으면 잠금이 해제되게 된다. 이 도어잠금장치(30)에는 그 표면부에 램프(40)가 고정되어 있는 데, 이 램프(40)는 도어잠금장치(30)가 눌리면(잠금상태) 점등되고, 원상태(잠금해제)에 있으면 소등되게 된다. 이 동작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에서 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동작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잠금장치(30)에는 선회대(50)의 일측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선회대(50)는 전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선회대(50)는 대략 중심부가 전술한 도어에 회동가능케 축(51)으로 고정되어 있어 도어잠금장치(30)는 축(51)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선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이 축(51)에는 램프(40)의 일측접점(41)이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접점(42)은 밧데리(60)를 경유하여 선회대(50)의 끝단(52)과 접촉하도록 도어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회대(50)의 끝단(52)이 회전함에 따라 타측접점(42)이 접속되거나 단락된다. 즉, 도어잠금장치(30)의 선회와 연동하여 전도체인 선회대(50)의 끝단(52)이 회전해서 타측접점(42)과 접속되면 램프(40)의 전원공급루프는 폐회로를 이뤄 점등되고, 선회대(50)가 원상태로 복귀하여 그 끝단(52)이 타측접점(42)으로부터 단락되면 램프(40)는 소등된다.
이제, 본 고안의 작동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어잠금장치(30)를 홈(11)쪽으로 눌러 도어잠금기능을 설정하면 도어잠금장치(30)에 연착된 선회대(50)의 끝단(52)이 회전하여 타측접점(42)과 접속된다. 그러므로, 선회대(50)의 축(51)에 항시 고정되어 있는 일측접점(41)과 함께 폐루프를 구성해 밧데리(60)의 전원을 램프에 공급함으로써 램프(40)는 점등되어 운전자가 도어잠금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도어잠금장치(40)를 차내부쪽으로 당겨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선회대(50)가 회전하며 타측접점(42)으로부터 떨어지므로 전원공급회로는 단락되어 램프(40)는 소등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에 잠금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를 구비함에 의해 야간에도 보다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어린이들을 태우고 주행시 도어를 잠그는 것을 주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운행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

  1. 도어잠금장치를 구비한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잠금장치(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10)에 고정된 축(51)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선회되게 연설된 전도체의 선회대(50); 및
    상기 선회대(50)의 축(51)에 일측접점(41)이 고정되며, 타측접점(42)은 밧데리(60)를 개재하고 상기 선회대(5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선회대(50)의 끝단(52)부와 접속 또는 단락되는 램프(40)를 포함하는 잠금확인램프가 구비된 자동차도어.
KR2019960035923U 1996-10-28 1996-10-28 잠금확인램프가 구비된 자동차도어 KR0131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923U KR0131899Y1 (ko) 1996-10-28 1996-10-28 잠금확인램프가 구비된 자동차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923U KR0131899Y1 (ko) 1996-10-28 1996-10-28 잠금확인램프가 구비된 자동차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571U KR19980022571U (ko) 1998-07-25
KR0131899Y1 true KR0131899Y1 (ko) 1999-10-01

Family

ID=1947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923U KR0131899Y1 (ko) 1996-10-28 1996-10-28 잠금확인램프가 구비된 자동차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8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571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9603A (en) Door opening warning system device for cars
KR0131899Y1 (ko) 잠금확인램프가 구비된 자동차도어
KR200141630Y1 (ko) 자동차의 도어록크에 일체로 설치된 도어개방감지장치
KR0137310Y1 (ko) 자동차 도어 록킹장치
KR0138751Y1 (ko) 차량의 도난방지용 도어잠금장치
KR100415349B1 (ko) 자동차용 도어의 고정장치
JP2589186B2 (ja) 自動車用ドアのロック解除装置
KR0146460B1 (ko) 주행속도에 따른 자동차도어 자동 잠금장치
KR0184983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KR0140613B1 (ko) 자동차용 도어 자동 잠금해제장치
KR200149534Y1 (ko) 러버 스토퍼를 갖는 스윙도어 드라이브 샤프트 구조
KR0116846Y1 (ko) 자동차용 안전잠금기구의 경고장치
KR100427412B1 (ko) 자동차의 점화스위치 잠금장치
KR0123041Y1 (ko) 자동차의 도어 록 상태 확인장치
KR200165850Y1 (ko) 차량의 윈도우 글래스 개폐 확인장치
KR19980044423U (ko) 자동차용 실내등 구동장치
KR100335923B1 (ko) 카드 키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KR0140234Y1 (ko) 차량 주행중 자동 본넷트 잠금장치
KR970043856A (ko) 자동차의 어린이 보호용 록크 자동잠금장치(A device for locking automatically a child lock of an automobile)
KR200149212Y1 (ko) 어린이 보호용 자동차의 도어열림 방지장치
KR100373255B1 (ko) 버스용 중비도어의 잠금 및 해제장치
KR19980051786A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개폐 장치
KR970043989A (ko) 자동차 윈도우 개폐장치
KR19990008768A (ko) 자동차 도어 자동닫힘 장치
KR19980057822A (ko) 자동차용 와이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